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자체 파일의 저작물성에 관한 연구

        강기봉 한국지식재산학회 2019 産業財産權 Vol.- No.60

        Since the Supreme Court decided in 1996 that the copyrightability of the typeface design was denied, it has been judged that the typeface does not constitute a work. However, the Supreme Court presumed the typeface file as a computer program in 1997 and consistently ruled the typeface file as a computer program work in 2001, and since then the typeface file has been treated as a computer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US court decided that the typeface does not constitute a work in 1978, and then the United States courts decided the typeface file as a computer program work. And since these decisions the protection of typeface files have been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rights of creators of typeface and typeface files. However, legal remedies by companies that create typeface file have become more active, and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ose have become serious and criticisms related to those have continued. The main points about the typeface and typeface file are the protectablity of the typeface by copyright law and the grounds for protecting typeface files by copyright law. And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ed precedents and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o discuss those. Although the US case and the Korean case reached the same conclusions,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requirements for the typeface to be works of applied art. On the other hand, it seems difficult to change the conclusion even if the requirements are changed according to current copyright law. Whereas, a typeface fi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uter program, and the code shall be a creative expression. However, unlike the US case, the Korea case by the Supreme Court recognizes the creativity of the typeface file, but omits the determination of how the actions of the font file maker are related to the computer program's source code, that is, the logical link.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otection of typeface creators and to consider social problems after the protection of the typeface file, but the discussion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protection background and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typeface and the typeface file. 1996년에 대법원이 글자체 도안의 저작물성을 부정하는 판결을 한이래로 글자체는 저작물로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왔다. 그렇지만 1997년에 대법원이 글자체 파일을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전제하고 판결한 후 2001년의 대법원 판결들은 일관적으로 글자체 파일을 프로그램저작물로 판결했고, 이후로 글자체 파일은 프로그램으로취급되어 왔다. 그리고 미국에서도 1978년에 미국 법원이 글자체를저작권 보호의 대상에서 배제했고, 1998년에 미국 법원이 글자체 파일을 프로그램저작물로 판결했다. 또한 이 판결들 이후로 글자체 파일의 보호에 의해 글자체 및 글자체 파일의 창작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글자체 파일 제작 기업에 의한 법적 구제 활동이 활발해졌고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가 부각되면서 이와 관련한비판론도 계속되어 왔다. 글자체 및 글자체 파일에 대한 주요한 논점은 글자체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 가능성과 글자체 파일에 대한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의근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 논점들을 논의하기 위해미국과 우리나라의 관련 판례들과 정책을 검토하였다. 미국 판례와우리나라 판례는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지만 글자체가 응용미술저작물로 성립하기 위한 요건에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었는데, 현행 저작권법에 따라 그 판단 기준에 변화가 있더라도 그 결론까지 변경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에 대해 글자체 파일은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것 외에 그 코드가 창작성 있는 표현이어야 한다. 그런데 미국 판례와 달리 우리 대법원 판결은 글자체 파일의 창작성을 인정하면서도 글자체 파일 제작자가 하는 행위가 프로그램의 원시코드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판단, 즉 논리적 연결고리가 생략되어 있다. 한편, 글자체 저작자의 보호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글자체 파일의 보호에 의한 사회적 문제를 고려해야 하지만, 이러한논의는 글자체나 글자체 파일에 관한 보호 배경이나 다양한 문제점들을 고려하면서 이뤄져야 한다.

      • KCI등재

        기동하는 소형 무인기의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미세운동 특성 분석

        강기봉,최인오,최재호,선선구,이정수,조병래,박상홍,김경태 한국전자파학회 201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0 No.7

        Recently, feature analysis of micro-motion characteristics has been being actively studied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s(UAVs). However, small UAVs have translational motion(TM) as well as micro-motion in practical environments. Radar line of sight(LOS) can also be different for the position of a small UAV. The TM and LOS components cause changes of micro-motion properties, necessitating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M and LOS on the micro-motion signal. In this study, we modeled signals of a maneuvering small UAV and analyzed the micro-motion signal by utilizing the frequency spectrum and spectrogram. Finally, we acquired measurement data of a small UAV having different TM and LOS to analyze their effects on the micro-motion signal.

      • KCI등재

        가상인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법적 책임

        강기봉 한국법정책학회 2023 법과 정책연구 Vol.23 No.1

        Virtual humans, such as virtual influencers, virtual YouTubers, and virtual idols, affect people's lives by providing content in various ways and forms. However, among the contents provided by virtual humans, there may be things that do not infringe copyrights as unique creations and things that do not infringe copyrights.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exists in a situation where a large number of materials are being used to train artificial intelligence without special restrictions, except for material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So, this thesis, after examining the meaning of virtual humans, looked into the attribution of rights to creations by virtual humans,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by virtual humans, and who is responsible for copyright infringement. First of all, currently the data provided by virtual humans are mainly provided by humans, so if they meet the definition of copyrighted work, they can be copyrighted works, and if copyright infringement is established, the provider is responsible for the copyright infringement. However, virtual human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t a low level provide creations as results by algorithms provided by humans, and virtual human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high-level machine learning such as deep learning can provide creations themselves. Both creation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infringement as various materials are used, so a problem of copyright infringement may occur. In principle, since virtual human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re not human beings, the data created by them do not constitute copyrighted works under the Copyright Act, so copyright infringement does not arise. However, if copyrighted works are used in the process, it may lead to copyright infringement. And if the virtual human only did the work of simply collecting and combining data by the algorithm provided by the developer, the result could be established as a copyrighted work, and the developer could become the copyright holder for it. Howev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ata by artificial intelligence, copyright infringement on other people's works may occur. In addition, even if a virtual human imitates or knits an existing work without human help, it can infringe on the copyright of others in the same way. And, the criminal law recognizes only natural persons with criminal capacity and it is a person and a corporation that can be the subject of rights or tort capacity under civil law. In addition, since virtual humans are not human beings, those cannot be employees, so creations by virtual humans does not constitute a business work. Furthermore, for the same reason those cannot be the principal offender of copyright infringement, so abet of their owners cannot be established either. However, if the provision of content by virtual humans, such as virtual influencers, is viewed as a service, direct infringement liability of the service provider may arise in case that the service provider directly provides creations that infringe copyright through virtual humans and liability as an online service provider may arise to those who provid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n case artificial intelligence provides creations that infringe on the copyrighted works of other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virtual human user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with the owner's liability for torts under the civil law for the infringement of virtual humans. Regarding this issue, it may be possible to create new provisions similar to the liability provisions of animal possessors or to hold tort liability under section 760. 가상 인플루언서, 가상 유튜버, 가상 아이돌 등의 가상인간은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가상인간이 제공하는 콘텐츠들 중에는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는 고유한 창작물이 아니고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들도 있을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와 관련한 사항을 제외하고 특별한 제한이 없이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기 위해 대단히 많은 자료들이 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저작권 침해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가상인간의 의의를 알아본 후에 가상인간에 의한 창작물의 권리 귀속, 가상인간의 창작물에 의한 타인의 저작권 침해 및 가상인간에 의한 저작권의 침해 가능성과 책임의 소재에 대해 대해서 살펴보았다. 우선 현재 가상인간이 제공하는 자료들은 주로 인간이 제공한 것이어서 저작물의 정의에 부합한다면 저작물이 될 수 있고, 저작권 침해가 성립하면 그것의 제공자가 침해에 대한 책임이 있다. 그렇지만 낮은 수준의 인공지능에 기반한 가상인간은 인간이 제공한 알고리즘에 의해 일정한 결과물로서의 창작물을 제공하고 딥러닝과 같은 고수준의 머신러닝을 한 인공지능을 갖춘 가상인간은 스스로 창작이 가능하더라도 그 창작물에 다양한 소재들이 이용되면서 저작권 침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인공지능에 기반한 가상인간은 인간이 아니므로, 이것이 창작한 자료는 저작권법상의 저작물로 성립하지 않으므로 저작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 과정에서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을 이용했다면 저작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상인간이 개발자가 제공한 알고리즘에 의해 단순히 자료를 취합하고 조합하여 자료를 작성하는 작업만 했다면, 그 결과물은 저작물로 성립될 수 있고 개발자가 이것에 대한 저작권자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인공지능이 제공받은 자료들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상인간이 인간의 도움을 받지 않고 기존의 저작물을 모방하거나 짜깁기한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다. 또한 형법은 자연인만 범죄능력을 인정하고 민법상 권리의 주체나 불법행위능력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것은 사람과 법인이므로, 가상인간은 범죄능력이 없다. 그리고 인간이 아닌 가상인간은 종업원이 될 수 없으므로 그 결과물이 업무상저작물로 성립하지 않는다. 또한 인간이 아닌 가상인간은 저작권 침해의 정범이 될 수 없으므로 그 소유자의 방조도 성립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가상 인플루언서와 같은 가상인간에 의한 콘텐츠의 제공을 하나의 서비스로 본다면, 이것의 서비스제공자가 가상인간을 통해 직접 저작권을 침해하는 창작물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에게 직접침해의 책임이 발생할 수 있고, 인공지능이 이것의 이용자의 지시에 따라 타인의 저작물을 침해하는 창작물을 제공하는 경우에 인공지능을 서비스하는 자에게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의 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가상인간의 침해에 대해 그 소유자의 민법상 불법행위의 책임이 문제되는데, 이에 대해 동물의 점유자의 책임 규정과 유사한 규정을 신설하던지 제760조에 따라 불법행위의 책임을 묻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 KCI등재

        자바API 프로그램의 법적 보호에 관한 소고

        강기봉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계간 저작권 Vol.27 No.3

        지난 2014년 5월 9일 연방항소법원에서 오라클과 구글 간 분쟁 사건의 판결이있었다.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것은 오라클의 37개의 자바 API 패키지 프로그램의선언소스코드와 구조, 순서 및 조직의 저작물성, rangeCheck라고 하는 특정 컴퓨터루틴 프로그램 및 8개의 디컴파일된 파일의 저작권 침해 여부였다. 이 사건에서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구 소재 연방지방법원이 37개의 자바 API패키지 프로그램의 선언소스코드와 구조, 순서 및 조직의 저작물성을 부정한 것에대해, 연방항소법원은 이들에 저작물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 연방지방법원의 판결을 파기하였다. 그리고 연방항소법원은 rangeCheck 프로그램과 8개의 디컴파일된파일들의 저작권 침해를 인정하였다. 그렇지만 구글의 적극적 항변으로서 자바 API패키지의 선언소스코드와 SSO에 대한 공정이용 여부에 관하여는 결론을 유보하고이를 하급심으로 환송하였다. 이에 따라 연방지방법원에서는 향후에 공정이용의 적용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소송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이 사건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및 오라클의OpenJDK와 관련이 있는 것이어서 관련 업계에 상당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따라서 상기한 법적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이 사건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분야에 어떤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본 사건의 내용을 검토하면서 컴퓨터프로그램의 법적 보호에 관한 문제에 대해 논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영향 관계를 검토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