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조직체의 위기상황에 대한 공중들의 인식과 공중관계성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정호,정지연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2

        본 연구는 조직체의 위기상황에 대해 공중들이 어떻게 인식하며 이에 공중관계성이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귀인이론을 도입하였다. 특히 맥콜리, 던칸, 러셀(McAuley, Duncan, & Rusell) 등이 사용한 귀인의 4유형-안정성, 외부적 통제, 원인의 소재지, 인적통제 유무-을 이용하였고 위기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중의 위기인식을 4가지-공중의 위기에 대한 책임소재 인식, 심각성 인식, 공중의 조직체에 대한 위기극복 능력 인식, 조직체의 위기대응방안에 대한 공중의 기대-로 구분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귀인유형에 따라 2×2×2의 요인설계방안으로 나뉘어진 8가지의 가상위기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분리처치 하는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상황에 공중관계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같이 분석하였는데 공중관계성은 그루닉 (Grunig), 차일더스(Childers), 한정호 등이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요소들을 연구자들이 일부 수정 가감하여 리커트 스케일 (Likert Scale) 방식으로 최종질문을 만들어 측정했다. 분석결과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공중은 위기에 대한 조직체의 책임을 덜 인식하며, 조직체가 당연한 위기를 더 잘 극복해낼 수 있으리라 인식하는 한편, 조직체가 위기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와 손해배상을 하는 수용전략을 취할 것으로 더 많이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중관계성의 개별요소들 중, 상호공존적 관계성이 우호적이수록 조직체의 책임을 덜 인식하며, 순수성적 신뢰성과 만족성, 헌신성, 정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조직체가 위기를 더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체의 위기발생시 공중의 귀인유형이 외부적 통제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공중의 위기인식 종 공종의 책임소재 인식, 조직체의 위기극복 능력에 대한 공중의 인식, 조직체의 위기대응능력에 대한 공중의 기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의 귀인유형에 따른 공중의 위기인식은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중관계성은 위기의 귀인유형 중 외부적 통제와 조직체의 책임에 대한 공중의 인식 및 조직체의 위기 극복 능력에 대한 공중들의 인식, 조직체의 위기 대응전략에 대한 공중물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내부적 통제와 위기의 심각성 인식 및 위기대응 전략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기의 귀인유형 중 외부적 통제유무가 공중의 위기인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공중관계성의 여러 요소를 중 상호공존적 관계성, 헌신성, 순수성적 헌신성이 공중의 위기인식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觀海亭⋅檜原書院의 연원과 장소성 고증

        한정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0 탐라문화 Vol.0 No.63

        Gwanhae­jeong and Hoewon­seowon are important sites that show cultural identity of Changwon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Hoewon­seowon was the first Seowon representing Changwon area. However, in the community, only a brief introduction of these ruins is made,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contrast are not shown much interest. In this regard, I tried to prove the origin and placeness of Gwanhae­jeong and Hoewon­seowon. I looked at the progress of Gwanhae­jeong, which is the predecessor and successor of Hoewon­seowon, and the process of heavy water, and then looked at the background and placeness of Hoewon­seowon. First, Gwanhae­jeong was built by Jang Ikgu, who was Jeong Koo's disciple in 1604. Jang Ikgu was later rebuilt in 1614, and it was maintained for 30 years until Jeong Koo was promoted to Hoewon­seowon in 1634 after his death. Later, the Gwanhae­jeong was maintained as an annex to Hoewon­seowon, and it was rebuilt in 1781 and 1796; it also rebuilt Gwanhae­jeong in 1870 after the abolition of Hoewon­seowon in 1868. Gwanhae­jeong at that time is thought to have been comparable to the restoration of Hoewon­seowon, but today's Gwanhae­jeong has been greatly reduced. There is a signboard on one building with the name 'Gwanhae­jeong' and 'Chibaek­dang', and it has a three­door door and a manager. Next, Hoewon­seowon, the successor of Gwanhae­jeong, was built as a Jeong Koo study facility at 237 Gyobang­dong, Masanhapp­gu, Changwon­si, where Gwanhae­jeong is located in 1634, including Jeong Koo's literary people and Changwon's local forests. Since then, Hoewon­seowon has been maintained with various facilities due to the necessity of private education as well as the reverence and orientation of Heo Mok including Jeong Koo. For example, Hoewon­seowon is believed to have been rebuilt twice in 1807 and 1818. As such, Hoewon­seowon has survived several times in heavy water for 230 years, and was destroyed in 1868 by the abolition of the Seowon. On the other hand, in 2001, the community restored Hoewon­seowon near Seowongol and has been continuing its study abroad. 관해정과 회원서원은 조선후기 창원지역의 문화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 유적이라 하겠다. 특히 회원서원은 창원지역을 대표하는 최초의 서원이었다. 하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이들 유적에 대해 간략한 연혁 차원의 소개만 이루어질 뿐, 그 건립 경위와 조영에 대해서는 깊은 관심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글에서는 관해정과 회원서원의 연원과 장소성에 대해 고증하고자 했다. 이에 글쓴이는 회원서원의 전신이자 후신이라 할 수 있는 관해정의 건립 추이와 중수 과정에 살폈고, 그런 다음 회원서원의 건립 배경과 장소성에 대해 따져보았다. 우선, 관해정은 1604년에 정구의 제자였던 장익규를 주도로 해서 박제인, 이정, 이칭 등이 건립하였다. 이후 1614년에 장익규가 중수하였으며, 정구가 사망한 뒤 1634년에 회원서원으로 승격되어 건립되기까지 30년 동안 유지되었던 시설이다. 이후 관해정은 회원서원의 부속시설로서 유지되었고, 1781년과 1796년에 중수되었다는 기문이 전한다. 또한 1868년 회원서원 훼철 이후 1870년에 관해정을 중건하였다. 당시의 관해정은 회원서원의 복원에 버금가는 규모였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오늘날의 관해정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어 남아 있다. 하나의 건물에 ‘관해정’이라는 편액과 ‘취백당’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고, 외삼문, 관리사 등을 갖추고 있다. 다음으로, 관해정의 후신인 회원서원은 정구의 문인들과 창원의 지역유림 등이 1634년 지금의 관해정이 위치한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237번지에 정구의 추숭시설로서 건립되었다. 이후 회원서원은 정구를 비롯한 허목의 추앙과 제향뿐 아니라 사학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여러 시설을 갖추어 유지되었다. 이를테면 회원서원은 1807년에 이어 1818년에 두 차례 중건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회원서원은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230여년 존속되다가, 1868년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한편, 2001년 지역사회에서는 서원골 인근에 회원서원을 복원하여 그 유학계의 맥을 이어오고 있다.

      • KCI등재

        평면상 응고계면의 형태학적 안정성에 대한 비평형 열역학적 고찰

        한정호,이동희,최국선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6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4 No.1

        This theoret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morphological stability criterion of planar solid-liquid interface. The system of a directional solidification under the nonequilibrium steady-state was defined as a continuous open system and the basic assumptions for the perturbation on the planar interface were introduced in order to analyze the pattern formation. The pattern formation was also interpreted by applying the marginal stability hypothesi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rphological stability criterion was T_mΓω²+ G_L-mG_c $gt; 0 and this could be reduced to the CS criterion. 2. The critical wavelength of perturbation, λ_c,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marginal stability.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shapes of the interface were changed with the wave length of perturbation. 3. It was suggested that the cell size, ℓ, can be limited by the critical wavelength of perturbation.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蠟石製舍利壺의 발생과 전개에 대한 고찰

        한정호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1 고문화 Vol.77 No.-

        In many cases, absolute age of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 Unified Silla has been identified through inscription on its surface. This becomes an important standard to know relative chronicle of then living container or burial container for cremation tomb. But among containers made of pagodite, there were ones which were originally used in other application. Because they had inscription later,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o judge the time of production. Among examples, the use of which was changed, was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scribed in Yeongtae's second year (永泰二年銘蠟石製壺) - this jar is a ground for the common view that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 Unified Silla began to be made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ntents of inscriptions on floor and body part of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scribed in Yeongtae's second year - until now, its absolute age was 766 -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ntainer was recycled from a container for other use. Moreover, the purpose of sarira jar made of pagodite was to contain historical record of statue of the Buddha and to enshrine Raśmivimalaviśuddhaprabhānāma-dhāraṇī-sutra, not to enshrine sarira. So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relic with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 terms of the time when sarira jar made of pagodite first began to be made. Accordingly, it was figured out that the year 766 is lower limit on the age of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scribed in Yeongtae's second year, not absolute age; sarira jar made of pagodite in Unified Silla appeared in the earlier half of the 9th century, not the 8th century. And appearance of sarira jar made of pagodite was influenced by the tradition of the Eastern Asia's sarira decoration method not India.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spinning wheel molding technique which was used to make wooden or metal container could be grafted into technique of processing pagodite. Finally, it is assumed that since fall of Silla, sarira jar made of pagodite had been disappeared gradually, this trend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Goryeo ceramics which were replaced with sarira container made of pagodite after the 10th century.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납석제사리호는 기벽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절대연대가 확인되는 사례가 많아서 당시 생활용기나 화장묘용 매장용기의 비교편년 자료로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러나 납석제 용기 중에는 다른 용도로 제작되어 사용되던 용기가 사리호로 전용되면서 명문을 새긴 사례가 포함되어 있어 그 제작시기의 판단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제작당시의 쓰임새에서 용도가 바뀐 납석제 용기 중에는 통일신라시대 납석제사리호의 발생 시기를 8세기 중엽으로 보는 통설의 근거가 되는 영태이년명납석제호도 포함되어 주목된다. 지금까지 766년을 절대연대로 보던 이 납석제호는 바닥의 명문과 동체부 명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존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던 용기를 재활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납석제호가 불상에 전용된 목적도 불상조상기의 기록과 무구정광다라니를 넣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 유물을 납석제사리호의 출현문제와 결부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766년은 영태이년명납석제호의 절대연대가 아닌 하한연대에 해당하며, 통일신라 납석제사리호의 발생 시기 역시 8세기 중엽이라는 기존의 통설과 달리 9세기 전반이라는 새로운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납석제사리호의 출현 배경은 인도의 영향 보다는 동아시아 사리장엄 방식의 전통과 더불어 목기나 금속기의 제작에 이용되던 녹로성형기법이 납석가공기술에 접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신라의 멸망이후 납석제사리용기가 점차 소멸되는 원인은 10세기 이후 납석제 사리용기를 대체하는 고려 도자기의 생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기억상실을 유발한 마귀광대버섯 중독 1례

        한정호,김희성,이원익,권순길,김혜영,이석우,김양섭 대한응급의학회 2004 大韓應急醫學會誌 Vol.15 No.6

        Amanita pantherina and Amanita muscaria have been called hallucinogenic fungi. They contain ibotenic acid and muscimol. Patients may appear to be intoxicated or have apparent ‘p a t h e r i n a - m u s c a r i a’syndrome, which is atropine-like, but fatality is rare. Confusion, dizziness, tiredness, visual and auditory hypersensitivity, space distortion, unawareness of time, dryness of the mouth, mydriasis and hallucination may occur. Also, in exceptionally rare severe poisoning cases, convulsion, coma and death may occur. A 50-year-old well-nourished and developed man was admitted to this hospital with a 30-minute history of semicoma and involuntary contraction of the extremities which had developed following mushroom ingestion 2 hours earlier. Ingested mushrooms were revealed to be A. pantherina b y a mycologist. The patient recovered 7 hours later after only supportive management, but the next day he couldn ’t recalled any of his hospital duration from admission to 20 hours later. Only a few reports have precise descriptions of the subspecies of the genus and there was no reports on poisoning by A. pantherina in Korea. In addition, there are no reports of amnesia following poisoning by A. pantherina. For these reasons, we report this case, together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