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로에(蘆회), 녹차(綠茶), 꿀(蜂蜜)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한은정,이길영,김혜정,김윤범,Han, Eun-jeong,Lee, Gil-young,Kim, Hae-jeong,Kim, Yoon-bum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3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16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pigmentation effects of Aloe, Camellia sinensis and Mel. Methods :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melanin production & melanoma cell viability in cultured B16 melanoma cells, UV screen and cyt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were measured. Results : Aloe has som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on the other hand Camellia sinensis and Mel do not have. They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melanoma cell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n PC12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Aloe and Camellia sinensis have some inhibitory effects on UV screen.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loe and Camellia sinensis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external application have some depigmentation effects. Following this, We should use them for whitening agents and the depigmentation effects of the other natural subjects which were generally used for external application should be examined.

      • KCI등재

        지역별 장기요양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 개발

        한은정,이정석,박세영,장수목,정인경,Han, Eun-Jeong,Lee, JungSuk,Park, Seyoung,Jang, Soomok,Jung, Inkyung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격을 결정하는 장기요양 등급인정의 지역별 차이를 관리하기 위해 지역별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별 인정률은 시군구 지역단위별로 설치된 227개 장기요양운영센터의 등급판정자 대비 인정자 비율인 운영센터별 인정률로 정의하고, 등급판정을 받은 자(등급판정자)의 특성에 따라 장기요양 등급인정 여부가 결정되므로, 운영센터별 인정률은 등급판정자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운영센터 인정률에 영향을 미치는 등급판정자 특성 요인을 고려하여 추정된 운영센터별 인정률은 표준인정률이라 정의하였고, 관찰된 인정률 간의 차이(오차)가 클수록 등급판정자의 특성 외의 요인이 인정률에 영향을 끼쳤다고 가정하여 이 지역의 등급인정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관리지표 개발을 위해 201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장기요양 등급판정이 완료된 433,115명의 인정조사 자료와 등급판정을 실시한 인정조사자 특성을 활용하였다. 운영센터별 관리지표 생산을 위해 분석대상자가 장기요양 등급을 부여 받은 운영센터를 기준으로 자료를 변환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등급판정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기요양 등급 재신청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운영센터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산출하였고, 인정의 차이 값이 전체 분포의 중앙95% 구간을 벗어난 운영센터를 등급인정에 오류가 있는 지역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별 인정의 차이 관리지표를 통해 장기요양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 제고와 형평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develops an indicator to manage regional variations of approval rates for long-term care (LTC) service. We used LTC insurance data for grade assessment that include 433,155 applicants from 227 LTC centers across Korea in 2015. The approval rate for each center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the numbers of approved applicants out of all applicants. We assumed that the approval rates depend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licants. We estimated the 'standard' approval rates from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pplicant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standard rates was then defined as an indicator for deviation. A center having a large difference could be considered as a center with a potential error in grade assessment. We also examined if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igators affected the approval rates. We found tha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pplicants and reapplication rate for LTC grade were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the approval rates. Centers having the management indicator values falling outside the middle 95% of the distribution were identified as centers with an error in grading.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reliability and equity in LTC grading.

      • KCI등재

        PubMed 검색을 통해 살펴본 Aromatherapy의 임상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한은정,김윤범,Han, Eun-Jeung,Kim, Yoon-Bum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2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15 No.1

        Aromatherapy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however there are few clear indications for its use.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clinical studies on aromatherapy, computcrized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from PubMed. Fourteen trials were locate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All the trials were published after 1993. 2. To analyze the publication journals, five of fourteen trials were on nursing, three of them on neuropsychiatry and one on dermatology. 3. Most widely used indications of aromatherapy were on gener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ield. 4. On the procedure of aromatherapy, eight of them were by massage, three by inhalation, one by massage & inhalation and one by bath additive. 5. To analyze the publication type, all fourteen trials were clinical trials. Twelve of them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wo of them were using single subject design. 6. To observe the sample size, five of them were under 10, four from 10 to 50, two from 50 to 100 and three above 100. 7. Eleven of fourteen trials were using inferential statistics. Eight of the eleven trial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but three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KCI등재

        무아의 부정 대상-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

        한은정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7

        The Buddha mainly preached about the cause of human suffering and how to get rid of it.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the Buddha explicates about suffering, the cause of suffering, the way to get out of suffering, and the result of the practice. The root cause of the pain is grasping in the self and the attachment to the self. In order to reach eternal and ultimate happiness, one must accurately grasp self as ignorance. The theory of selflessness, the right perception as to the self, has pivotal implication as it is the boundary indicator that separates Buddhist philosophy from non-Buddhists. Selflessness is a concept that presupposes the concept of self. Thu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what is the self―the object of the negation―in the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object of denial of self centering on Mādhyamika―and particularly the Consequence School(Mādhyamika-Prāsaṅgika, dbu ma-thal gyur pa)―among the four schools of Buddhism. By identifying the self with self-nature, the Consequence School allows no substantiality for affirmation while the rest of the Buddhist schools accept existence of substantial objects. We will look at the object of negation as we step through the steps from rough selflessness to fine selflessness. First of all, entire Buddhists do not acknowledge the independent ‘the permanent and omni-present self’ outside the five aggregates that non-Buddhists insists on. If you enter the four major schools of Buddhism, of the two types of selflessness,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selflessness of things, the Sarvāstivādin and Sautrāntika recognize the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the selflessness of things. They are denying only my self and my knowledge through selflessness of person. Except for the Consequence School, the Cittamātra school and the Autonomy School(Mādhyamika-Svātantrika, dbu ma-rang rgyud pa), the object that is denied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is ‘pudgala’, and the object that is affirmed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such as the five aggregates and consciousness, are left behind. The Consequence School regards the self and the self-nature as the same and understands the selflessness as the no self-nature. By denying the self-nature of 'self'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and the self-nature of 'five aggregates'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no object is affirmed. However, it does not deny the external things as object of perception as asserted by the Cittamātra school, but rather admits that they are causally established things as a name although they no self-nature. Since the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early revealed by thoroughly grasping the object of 'self' that is being denied, this paper identifies the object of negation of selflessness, especially centered on the Consequence School, which leaves no positive object behin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selflessness = no self-nature they take and pratītyasamutpāda,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s more clearly revealed. 붓다는 주로 인간의 고통의 원인과 그것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한다. 4성제를 통해 고통과 고통의 원인,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서 말한다. 그 고통의 근본 원인이 我와 我所執이라는 것이다. 고통이 제거된 궁극적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我相, 我執이라는 무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我에 대한 바른 인식인 무아론은 불교도와 비불교도를 구분 짓는 경계 지표가 되며 그만큼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無我는 我를 전제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먼저 ‘무아’라고 할 때 부정하고 있는 대상인 我가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불교 4대학파 중에서도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否定對象, pratiṣedhya, dgag bya)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머지 학파들은 부정하는 것 외에 긍정 대상을 남겨두고 있지만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시 함으로써 그 어떠한 긍정의 대상도 남기지 않는다. 거친 무아에서 미세한 무아로의 단계를 밟아 나가면서 그 부정 대상을 살펴볼 것이다. 일단, 불교도는 공히 외도가 주장하는 오온 밖의 독립적인 ‘常一主宰的자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불교 4대 학파로 들어오면, 人無我(我空)와 法無我(法空)의 두 가지 무아 중 유부와 경량부는 인무아만 인정하고 법무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인무아를 통한 我와 我所만을 부정하고 있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제외한 나머지 학파인 유식학파와 자립논증 중관학파에서는 인무아에서 부정하는 대상은 ‘보특가라(pudgala)’이고 법무아에서는 오온과 식 등 각각 긍정하는 대상을 남겨둔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無我를 無自性으로 파악한다. 인무아에서는 ‘我’의 자성, 법무아에서는 ‘오온’의 자성을 부정함으로써 어떠한 대상도 긍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식학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외경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은 없지만 연기적으로 名言成立함을 인정하고 있다. 무아는 부정하고 있는 ‘아’의 대상을 철저히 파악함으로써 그 의미가 명확히 드러나므로 본고는 특히 어떠한 긍정 대상도 남기지 않는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을 파악하고, 그들이 취하는 무아=무자성의 개념과 연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무아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 「金海府內地圖」의 군현지도 발달사적 의의 연구

        한은정,김기혁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7 한국고지도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金海府內地圖」의 공간구성과 지명 분석을 통해 제작연대를 파악하고, 이 지도와 다른 군현지도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수록된 지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당시의 지리적인 내용과 경관의 변화를 파악하고, 고지명의 분포와 복원을 시도하였다. 「김해부내지도」는 성리학자 奇正鎭의 유품에서 나온 지도로 김해 읍성을 중심으로 한 군현지도이다. 「김해부내지도」는 관아 관련 지명을 많이 수록한 읍성 중심의 지도이고, 다른 지도는 읍성 내의 지명보다는 읍성 밖의 지리 정보를 많이 수록하고 있어 보다 넓은 지역을 나타내기 위한 지도임을 알 수 있었다. 「김해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김해지리지』에 근거하여 김해읍성의 위치를 복원하면 동문과 서문을 연결하는 도로는 동광아파트 주변 사거리와 김해 축협을 연결하는 분성로이다. 남문과 북문을 연결하는 도로는 세원백화점 뒤 도로에서 경화춘~가구백화점~소방파출소~광남 아파트를 연결하는 도로로, 남문은 김해 중학교 근처이며, 북문은 향교 아래가 된다. 읍성은 현재 호계천이 복개된 호계로와 가락로․분성로를 중심으로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었다. 「김해부내지도」에 수록된 지명들은 당시 김해부의 지역 구조를 이해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였던 중요한 지표였다. 또한 「김해부내지도」에 나타난 읍성은 권력의 상징성과 장소에 대한 가치 부여가 중시되어 구성되었다. 「김해부내지도」를 통해 삶의 공간에 대한 역사성을 확인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지방화의 시작이 역사적 공간 확인에서 시작된다고 볼 때 김해의 정체성을 구현하는데 있어서도 「김해부내지도」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분위회귀 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및 의료이용 분석

        한은정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evalence and healthcare expenditure factors on childhood allergy disease using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Using the 2015 Korea Health Panel, 3,123 children (42,171 cases) under 18 years were conducted. Total number of children who had allergy disease was 708 (3,575 cases). Among them, 60 children had two or more types of allergic disease within the same year.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d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the odds ratio and the marginal effect were estimated for the group with allergic disease and the group with multiple allergic disease. Quanti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clear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expenditure due to childhood allergic diseases by quantile group. Results: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sex, age, region and maternal working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revalence of childhood allergy disea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allergy by household income and parent educational level. The association between outpatient hospital visit and socioeconomic variable was factored by age, region, type of insurance, and father's education level. Quantile regression resulted in that household income was not significant for healthcare expenditure in the group under 20%, but the group with the higher healthcare expenditure had more dependency on household income. Conclusion:This finding which confirmed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healthcare expenditure, can be used as an evidence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health policy to reduce childhood allergic disease severity developme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분위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아동기 알레르기 질환 유병 및 의료이용에 대한 영향 요인을 규명했다. 연구방법: 분석 대상은 한국의료패널 2015년 조사 자료 중 만 18세 미만 아동 3,123명의 외래 의료이용 42,171건이며, 이 중 알레르기 질환으로 의료이용 경험이 있는 아동은 708(22.67%)명, 외래이용 건수는 3,575(8.48%)건이었다. 분석대상 아동 중 1년 동안 2 종류 이상의 동반이환 알레르기 질환으로 외래 의료이용 경험이 있는 아동은 전체 알레르기 환자 708명 중 60(8.47%)명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레르기 유무 및 동반이환 알레르기 유무의 오즈비와 외래 방문 횟수의 한계효과를 측정하였고, 분위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의료비 지출 분위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로지스틱 분석 결과, 알레르기 질환 유무와 관련 있는 사회경제적 요인은 성별, 연령, 지역, 모성의 경제활동 유무, 의료보장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가구소득과 부모의 교육수준은 유의하지 않았다. 외래방문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지역, 의료보장 유형, 부성의 교육수준이었다. 분위회귀분석 결과는 의료비 지출 20% 이하 집단에서는 가구소득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의료비 지출이 높은 집단일수록 가구소득에 의해 의료비 지출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가구소득과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의료비 지출의 연관성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알레르기 질환 저감을 위한 보건정책의 수립과 수행 시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AAM 기반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한 입술 특징점 검출 성능 향상 연구

        한은정,박강령,강병준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6 No.4

        AAM(Active Appearance Model) is an algorithm to extract face feature points with statistical models of shape and texture information based on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is method is widely used for face recognition, face modeling and expression recognition. However,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AAM algorithm is sensitive to initial value and the AAM method has the problem that detection error is increased when an input image is quite different from training data. Especially, the algorithm shows high accuracy in case of closed lips but the detection error is increased in case of opened lips and deformed lips according to the facial expression of us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improved AAM algorithm using lip feature points which is extracted based on a new lip detection algorithm. In this paper, we select a searching region based on the face feature points which are detected by AAM algorithm. And lip corner points are extracted by using Canny edge detection and histogram projection method in the selected searching region. Then, lip region is accurately detected by combining color and edge information of lip in the searching region which is adjus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lip corners. Based on that, the accuracy and processing speed of lip detection are improv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MS(Root Mean Square) error of the proposed method was reduced as much as 4.21 pixels compared to that only using AAM algorithm. AAM(Active Appearance Model)은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기반으로 객체의 형태(shape)와 질감(texture) 정보에 대한 통계적 모델을 통해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으로 얼굴인식, 얼굴 모델링, 표정인식과 같은 응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AAM알고리즘은 초기 값에 민감하고 입력영상이 학습 데이터 영상과의 차이가 클 경우에는 검출 에러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입을 다문 입력 얼굴 영상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검출 정확도를 나타내지만, 사용자의 표정에 따라 입을 벌리거나 입의 모양이 변형된 얼굴 입력 영상의 경우에는 입술에 대한 검출 오류가 매우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입술 특징점 검출을 통해 정확한 입술 영역을 검출한 후에 이 정보를 이용하여 AAM을 수행함으로써 얼굴 특징점 검출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AAM으로 검출한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반으로 초기 입술 탐색 영역을 설정하고, 탐색 영역 내에서 Canny 경계 검출 및 히스토그램 프로젝션 방법을 이용하여 입술의 양 끝점을 추출한 후, 입술의 양 끝점을 기반으로 재설정된 탐색영역 내에서 입술의 칼라 정보와 에지 정보를 함께 결합함으로써 입술 검출의 정확도 및 처리속도를 향상시켰다. 실험결과, AAM 알고리즘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입술 특징점 검출 RMS(Root Mean Square) 에러가 4.21픽셀만큼 감소하였다.

      • KCI등재

        RUSSELL AND CONFUCIANISM ON MORAL TRAINING

        한은정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6

        Bertrand Russell takes the neutral position that humans are poised between goodness and evil at birth. According to Russell, building moral habits through ethical training is essential to becoming moral, since he thinks that human nature has flexibility, that goodness can be cultivated and that moral training is required. He is not so much well known for his opinions on education. In this paper I will offer what I understand to be Russell’s view compared and contrasted with Confucianism on human nature, while we explore how Confucius, Mencius, Kaozi and Hsun-tzu regard moral development. We will consequently see whose standpoint is closest to Russell’s position.

      • KCI등재

        무선 ATM 환경에서 RCPC 코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ARQ 기법

        韓恩貞,조영종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9 No.7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hybrid ARQ scheme to consider real-time and non real-time services in a wireless ATM network. Real-time and non-real-time services require different error control schemes according to each service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where these service scenarios should be deployed, hybrid ARQ scheme using RCPC code with variable coding rate becomes one of the most suitable solutions. Because the variable coding rate is applied according to traits of transmitted frame and channel status, hybrid ARQ scheme using RCPC code can expect UEP effect. The UEP scheme does not apply equal error protection level to all information, but does high error protection level to more important information. In Our scheme, UEP of high error protection level is applied to real-time service, and UEP of low error protection and retransmission techniques are applied to non real-time service. We show that the proposed hybrid ARQ scheme improves channel utilization efficiency and yields high error correction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무선 ATM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 서비스와 비 실시간 처리 서비스를 모두 고려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ARQ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간 처리와 비 실시간 처리 서비스는 각각의 서비스 특성을 가지며 차별화 된 에러 제어 방법을 요구한다. 이러한 서비스 환경과 차세대 이동 통신 환경을 고려할 때 가변 부호율을 가진 RCPC 코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ARQ 방법은 최적의 해결책이 된다.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프레임의 특성 및 채널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부호율이 적용되므로 RCPC 코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ARQ 방법은 UEP의 효과를 가져온다. UEP는 모든 정보에 대해 동일한 에러 보호 수준을 적용하는 게 아니라 더 중요한 정보에 대해 높은 에러 보호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실시간 처리 서비스에 대해서는 에러 정정 능력이 높은 수준의 UEP를 적용하고, 비 실시간 처리 서비스에 대해서는 에러 정정 능력이 낮은 수준의 UEP를 적용하면서 재전송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ARQ 방법은 채널의 이용 효율을 높이며 에러 정정의 처리율을 향상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