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호박수검(林湖朴守儉)의 트라우머와 장자철학(莊子哲學) -치유담론으로서의 『장자』에 대한 역사적 사례-

        김종수 ( Jong Soo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5 No.-

        17세기 중.후반을 주요 활동기로 삼았던 임호 박수검은 제천에 연고를 둔 노론계의 관인.유자였다. 수학기 적부터 자자한 문명을 떨쳤던 박수검은 20세 때에 진사초시에 합격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러나 이후 약20여 년간에 이르는 온갖 집안의 불행사들로 인하여 박수검의 과거 합격은 무한정 지연되어 가고만 있었다. 마침내 박수검은 뒤늦은 나이인 44세때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이미 그의 영혼은 심각한 트라우머에 시달리고 있었다. 때문에 주로 한직과 외직을 전전했던 박수검의 관직생활은 단순한 생계유지의 수단 그 이상의 의미를 발휘하지 못했다. 대신에 박수검은 웅장한 경세에의 포부가 좌절된 데 따른 트라우머로 인하여 늘상 방황하는 모습을 연출하고 있었다. 박수검은 그런 자신을 ?『장자』? 속의 중증 장애인인 지리소로 비유하곤 하였다.그런 점에서 수학기 적에 만난 세 번째 스승인 무하옹 이준남은 박수검이 닮아야 할 동일시 모델로 다가섰고, 또한 텍스트 ?『장자』?를 매개.인도케해준 중요한 인물이었다. 박수검이 구축한 장자철학은 <장자소요유제물론이편주해서>로 대변되는 텍스트 ?『장자』?에 대한 해석과 시료로서 ?『장자』?를원용한 두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전자가 정주학적 세계 구도인 음양.오행론과 역학적 사유가 묘하게 결부된 주해 방식을 선보여 주었다면, 후자의경우 자신의 트라우머를 드러내고 해소.치유하기 위한 의식적 노력과 결부되어 있다. 또한 두 국면 모두 『주역』의 복괘에 내함된 생의[陽]가 투사되어 있는바, 이는 트라우머의 치유를 위한 박수검 나름의 치열한 노력이반영된 결과였다. 그러나 박수검은 끝끝내 자신 안에 각인된 트라우머를 치유.승화시키는 단계로까지는 진입하지를 못했다. 박수검의 경우 ?『장자』?혹은 장자철학이란 자아 성찰과 세계 확장이라는 새로운 두 계기를 제공해주었으나, 궁극적인 치유담론으로 기능하지는 못한 것 같다. Imho(林湖) Park Soo-geom(朴守儉) could not pass an examination to become a government officer because of various misfortunes which continued for more than 20 years on him. He at last passed a government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er at the late age of 44 years old; however, his soul was already suffering serious trauma. Therefore, the government officer position of Park Soo-geom was just a way to make ends meet. Park Soo-geom always wandered because of the serious trauma caused by the frustration coming from the failure to realize the big aspiration he had held as a government officer. He frequently compared himself to Jiriso(支離疏), who is a seriously disabled person appearing in the book, Zhuangzi(莊子). The philosophy of Zhuangzi philosophy established by Park Soo-geom can be seen in his two writings quoting the book Zhuangzi as the material for his poetry and his preface on the two annotations on Soyoyoo (逍遙遊) and Jemullon(齊物論) in the book Zhuangzi(莊子逍遙遊齊物論二篇註解序). However, Park Soo-geom could not reach the stage of healing and sublimation of his internal trauma with deep source until the end. Consequently, the philosophy of Zhuangzi established by Park Soo-geom provided him with two opportunities of self-introspection and world-expansion; however, it seems it could not function as an ultimate discourse on healing

      • KCI등재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의 생애와 저술 양상

        김종수 ( Kim Jong-soo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0 No.-

        향리인 제천의 만지곡에서 출생한 임호 박수검은 17세기 중후반을 전후로 한 관료이면서 사상가였다. 고려 왕족의 후손인 박수검은 효성과 학문을 중시한 전래의 가풍 속에서, 일찍부터 독서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이어지는 수학기 동안에 박수검은 순차적으로 조석윤ㆍ이영선ㆍ이준남ㆍ송시열 등의 문하에서 학업을 연마하는 행운을 누렸고, 자연히 임호는 원근을 막론하고 조기에 문명을 떨칠 정도의 실력을 배양하게 되었다. 그런데 박수검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과거 공부에 착수하였으나, 실제 그 가문과 급제한 나이는 뒤늦은 44세 때였다. 이후 박수검은 내직과 외직을 두루 거치는 사환기에 접어들게 되었으나, 남인과 뚜렷한 대립각을 곤두세웠던 그의 서인 노론적 당색으로 인해 잦은 환로의 부침을 경험하기에 이른다. 특히 박수검은 기사환국 직후에 고향 제천으로 낙향, 몇 년간에 걸쳐서 이른바 의림경영에 돌입하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서도 박수검은 경학과 역사학, 역학 과 장자철학 둥을 아우르는 일련의 저술을 추진해 나감으로써, 학자 본연의 자세를 망각하지 않았다. 박수검이 남긴 저서 목록인 『진사통고』ㆍ『중용석의』ㆍ『장자소요제물론이편주해』ㆍ『참동계교정』ㆍ『절위여편』과 문집인 『산일여편』등은 관직 생활을 하는 와중에서 저술된 결실로서, 임호의 치열한 학자적 탐구 노력을 반증해 준다. 특히 박수검은 一理 혹은 理原을 철학적 화두로 설정한 가운데, 자신의 전 저서들 속에 이 물음을 투영시켜 두었음이 주목된다. 이같은 정황은 박수검의 사상적 착지점이 근본 정주학자였다는 사실을 뚜렷이 확인시켜 주고 있다. Park Soo-geom was born in a country village, Jecheon (堤川). He was the posterity of Goryeo royal family and experienced the invasion of Ching (丙子胡亂) in person. Park Soo-geom studied until the age of 40 under the scnolars who succeed the tradition of Giho school neo-Confucianism (畿湖性理學) such as Jo Seok-yoon (趙錫尹), Yi Yeong-seon (李榮先) and Song Si-yeol (宋時烈). Accordingly, the academic school and political position of Park Soo-geom were defined as Seoin (西人) Norongye(老論系). Park Soo-geom passed examination for government officer (科擧) when he was 44 years old; however, hi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er was not successful. He had frequent conflicts with Namin (南人) and he ended up resigning government position and returned to home village. Meanwhile, Park Soo-geom authored Jinsatonggo (震史通考), Jungyongseokeui (中庸釋義), Chamdonggyegyojeong (參同契矯正) and Jeolweeyeopyeon (絶韋餘編). He also published annotation (註解書) on Zhuangzi (莊子). Like this, the academic world of Park Soo-geom was quite extensive accommodating historical studies, jingxue (經學), yixue (易學) and Zhuangzi (莊子) philosophy. These books share the characteristic of exploring me topic or chengzhuxue (程朱學) represented by yili (一理).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개의 밑수를 이용한 Flash A/D 변환기

        김종수,김만호,장은화,Kim, Jong-Soo,Kim, Man-Ho,Jang, Eun-Hwa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8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인한 TIQ 방식의 Flash 6-bit ADC 회로를 설계하였다. 새로운 논리회로 설계나 소자들의 근접 배치로 ADC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대신에 새로운 코드를 이용하여 DSP의 처리능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제안한 코드는 ADC의 출력으로 이진수를 세공하지 않고 2와 3진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Double Base Number System(DBNS)방법이다. 전압은 기존의 이진수를 표시하는 방법과 동일하지만, 밑수로 2와 3의 두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합의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DBNS 표현법은 곱셈기와 가산기를 이용하지 않고 연산을 좌우로 이동하여 연산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처리에서 사용하는 DBNS는 합의 수가 적도록 Canonical 표현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A/D 변환기에서는 Fan-In 문제가 발생하여 균일한 분포를 이루도록 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HSPICE를 이용한 ADC의 시뮬레이션 결과 0.18um 공정에서 최고 동작속도는 1.6 GSPS이며 최대 소비전력은 38.71mW이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TIQ based CMOS flash 6-bit ADC to process digital signal in real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rsion speed of ADC by designing new logic or layout of ADC circuits, a new design method is proposed in encoding logic circuits. The proposed encoding circuits convert analog input into digitally encoded double base number system(DBNS), which uses two bases unlike the normal binary representation scheme. The DBNS adopts binary and ternary radix to enhance digital arithmetic processing capability. In the DBNS, the addition and multiplication can be processed with just shift operations only. Finding near canonical representation is the most important work in general DBNS. But the main disadvantage of DBNS representation in ADC is the fan-in problem. Thus, an equal distribution algorithm is developed to solve the fan-in problem after assignment the prime numbers first. The conversion speed of simulation result was 1.6 GSPS, at 1.8V power with the Magna $0.18{\mu}m$ CMOS process, and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was 38.71mW.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독일어에 나타난 고어

        김종수,Kim Jong-Soo 한국독어학회 2000 독어학 Vol.2 No.-

        Archaismen als sprachliches $Ph\"{a}nomen$, das zeitspezifischen Bewertungen unterliegt, sind bis jetzt in der Sprachwissenschaft wenig beachtet worden. In vorliegender Arbeit werden die $vielf\"{a}ltigen$ archaischen Formen behandelt, die noch heute in einem bestimmten Kontext gebraucht werden. Das Wort Archaismus starnmt von dem griechischen archaios 'altertumlich', und wird $haupts\"{a}chlich$ als Stilmittel der Rhetorik benutzt, um poetische, pathetische oder ironische Effekte hervorzurufen. Unter Archaismus wird em aus verschiedenen $Gr\"{u}nden$ veraltendes und veraltetes Wortgut verstanden, das aber noch im $Bewu{\ss}tsein\;der\;Sprachtr\"{a}ger$ lebt und im gegenwartssprachlichen Text verwendet wird. Ein Instrument zur deskriptiven Erfassung von Archaismen kann das $W\"{o}rterbuch\;sein.\;In\;W\"{o}rterb\"{u}chern$ der deutschen Gegenwartssprache werden Angaben $\"{u}ber$ zeitspezifische Markierungen eines Lexems gemacht: z.B. 'veraltet' , 'veraltend', $'fr\"{u}her'$, 'selten' 'historisch', 'nationalsozialistisch', , 'modern', , modisch , usw. Aber liber Art und Zahl der Markierung einerseits $\"{u}ber$ liber ihre Trennscharfe andererseits besteht noch keineswegs Klarheit. Der Vorgang des Veraltens - der Archaisierung - von Lexemen ist ein $Proze{\ss}$, der schwieriger festzustellen ist als das Aufkommen von neuen $W\"{o}rtern$. Hier sol1 nur eine von verschiedenen Ursachen genannt werden: $W\"{o}rter$ veralten mit ihren Denotaten. Wenn das Denotat aus dem gesellschaftlichen Leben verschwindet, ist auch die Benennung nicht mehr notwendig. Archaismen sind keineswegs auf den lexikalischen Bereich beschrankt, obwohl sie dort am meisten auffallen. Sie treten vielmehr auf allen Strukturebenen, vom Laut bis zum Text, auf: - auf der lautlichen Ebene: Kur/$K\"{u}r$, Melodie/Melodei, $g\"{u}lden$/golden - auf der morphologischen Ebene: gerne, am Tage, geschmecket/ geschmeckt - auf der graphematischen Ebene: That vs. Tat, Capital vs. Kapital - auf der lexikalischen Ebene: Oheim, Knabe, Kerker, Schulmeister - auf der Wortbildungsebene: Afterglauben, $Sch\"{o}ne$, kleineln - auf der syntaktischen Ebene: guten Mutes sein, einer Verbindung halber, $R\"{o}slein$ rot - auf der Textebene: Wollen der Herr unten speisen? Archaismen treten in unterschiedlichen Texten und Textsorten auf. Eine spezielle Funktion haben Archaismen im Sprachkunstwerk. Autoren nutzen sie, urn Zeitkolorit zu schaffen. Im Alltagsleben $k\"{o}nnen$ Archaismen Lebensumstande und -erfahrungen signalisieren. Altes Wortgut wird als kostbarer nationaler Besitz angesehen. Man kann heute immer wieder den $R\"{u}ckgriff\;auf\;\"{a}lteres$ Sprachgut beobachten, entweder urn Vergangenes und Vergessenes neu zu beleben oder urn die jeweilige Gegenwartssprache mit Hilfe yon Archaismen historisch zu vertiefen und gleichzeitig zu erweitern. Archaismen sind somit die sprachlichen Zeugen der Vergangenheit. Zugleich sind Sie auch Zeichen $f\"{u}r$ die 'Gleichzeitigkeit des Ungleichzeitigen' in heutigen Sprachen, weil sie 'kommunikativ mehrere Generationen, kulturell viele Jahrhunderte oder sogar Jahrtausende $\"{u}berbr\"{u}cken\;k\"{o}nn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