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在韓日本人의 언어생활 - 한국어의 의식과 습득을 중심으로 -

        김유나 한국일본학회 1999 日本學報 Vol.43 No.-

        한일간의 국제교류가 활발한 오늘날, 일본을 떠나 한국에 일정기간 체재하고 있는 일본인의 수는 매년 증가하여, 1998년 일본외무성의「在留邦人數統計調査」에 의하면, 14,000명이 넘는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장기체재자와 영주자를 재한일본인이라 칭하고, 본 조사의 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재한일본인의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와 언어습득의식에 대해서 사회언어학적인 방법을 원용하여, 언어생활의 실태를 과학·계량적으로 비교·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먼저 언어능력의 면에서 재한일본인의 한국어 학습경험은 남성, 학생, 노년층, 대졸의 속성순으로 그 비율이 높고, 체재국의 언어를 구사하는 것에 대한 당위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어를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상당히 높다(전체의 85%). 또, 언어능력이 높음에 따라 의사소통, 일상생활에 편리, 업무에 유리하다 등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자기평정으로 조사한 언어행동의 4기능인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가 가능한 비율은 낮음을 알았다(65%). 다음으로 재한일본인은 한국어가 가능하고, 학습경험이 있고, 언어능력이 높을수록, 학습기간이 길수록,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 때,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를 경쾌하다. 좋다. 부드럽다, 듣기쉽다라는 플러스 평정을 내림을 알았다. 이상으로 재한일본인의 한국어의 이미지를 환기하는데 사회언어학적인 속성이 요인으로 크게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입법영향분석과 법령의 해석 - 규범적 적정성을 중심으로 -

        김유나 한국입법학회 2022 입법학연구 Vol.19 No.2

        행정기본법 시행령에서 입법영향분석이 법제화되었다. 이는 현행 법령을 대상으로 하여 법령의 규범적 적정성과 효과성 및 효율성, 그 밖에 법령이 미치는 중요한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법영향분석의 방법론은 아직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법령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연구설계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사회)과학적 분석 방법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라 본다. 이 논문은 입법영향분석에 있어 행정기본법 시행령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인 법령의 규범적 적정성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 것인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입법영향분석을 입법의 해석분석과 집행분석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입법의 해석분석에 있어서 법령해석원칙 등 법해석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해석학적 입법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해석학적 입법론을 기준으로 법령의 규범적 적정성을 평가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입법기술적 요소로 법제처의 법령 입안‧심사 기준을 활용하여 입법분석의 원칙들을 살핀다. 먼저 입법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입법형식의 선택의 문제를 검토한다. 이후 실체적 내용에 관한 헌법원칙과 법령 형식에 관한 헌법원칙들이 입법해석분석에 있어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바리아트릭수술의 효과

        김유나,이연희,김종화 대한비만학회 2014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3 No.4

        과체중 또는 비만한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체중감량은 혈당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고,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관리하고 치료해야 한다. 현재까지 비만치료에 가장 효과적이고 지속적이며, 비용 대비 효과가 인정되는 치료법은 비만수술 또는 바리아트릭수술이다. 고도 비만 환자에서 바리아트릭수술의 종류는 크게 1) 제한형(restrictive type)인 복강경 조절형 위밴드술(laparoscopic adjustablegastric banding, LAGB), 위소매절제술(sleeve gastrectomy), 2) 흡수억제형(malabsorptive type)인 담도췌장 우회술(biliopancreatic diversion),3) 복합형(combined type)인 루와이 위우회술(Roux-en-Y gastricbypass, RYGB)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 수술 중 당 대사에 가장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술은 RYGB이다. 바리아트릭수술은 체중감량과 독립적으로 당 대사를 호전시키는 장호르몬인 인크레틴 효과를 통해서 간의 인슐린저항성 개선 및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기능을호전시켜서 혈당 개선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바리아트릭수술의 당뇨병에 대한 좋은 효과의 기전을 밝히고자 많은 연구가진행되었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잔존하고 있어 향후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좋은 체료제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바리아트릭수술의 당 대사 호전의 기전을 밝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영아의 그리기에 나타나는 언어의 기능에 대한 인식

        김유나,김영실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언어는 도구적, 규제적, 상호작용적, 개인적, 발견적, 상상적, 정보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영아의 경우, 읽기·쓰기는 고사하고 말하기의 발달도 미비한 상태여서, 이들이 문자에 대한 어떤 지식을 가지고 있으리라 기대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영아의 말하기에서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말하기와 쓰기는 표현언어라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말하기뿐 아니라 쓰기에서도 영아가 언어의 기능을 인식하고 사용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영아는 쓰기에 앞서 그리기를 통해 문자의 형태나 사용 목적과 기능에 대해 알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식별 가능한 쓰기에 앞서 식별 가능한 그리기를 할 수 있다. 영아는 그리기를 통해 쓰기를 하는 다양한 목적을 익힌다. 이런 의미에서 영아의 그리기는 쓰기로 발달해 가는 다리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쓰기와의 연계성에 불구하고 혼합매체로서 영아기 그리기와 관련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식성 도구로서 영아기 그리기에 언어의 기능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2세 영아의 그림이 가지는 문식성 도구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만2세 영아의 그리기에 나타나는 언어의 기능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2016년 5월부터 3개월 동안 만 2세인 여아와 남아 각각 1명을 1명 남아1명을 대상으로 그림 표본 수집, 참여관찰, 그리고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만2세 영아는 그림을 그리기와 쓰기의 혼합체인 문식성 도구로 사용하고 있었다. 영아는 의미 없이 그리는 것 같지만 영아는 그림에 표현하고자 하는 인물, 동물, 사물 등을 상징화하고 있었다. 특정 그림 내에서 일관된 형태로 나타내며 명백한 계획 아래 의도한 위치에 그리고 있었다. 둘째, 만2세 영아는 언어의 기능 중 도구적 기능, 상상적 기능, 상호작용적 기능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는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그림을 이용하였다. 또한 자신이 상상한 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면서 동시에 자신의 그림에 대한 이야기꾸미기를 하였다. 영아는 그림을 그리는 중간 중간에 동작을 멈추면서 교사를 바라보거나 교사에게 질문을 하여, 그리기 과정을 교사와의 언어적 상호작용 기회로 만들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2세 영아의 문식성 발달 과정에서 그림이 혼합매체 형태의 문식성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high-risk endometrial cancer: performance, outcomes, and future avenues

        김유나,김영태 대한산부인과학회 202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5 No.5

        Endometri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gynecological malignancy worldwide, with an overall favorableprognosis. However, a subgroup of patients has a high risk of recurrence and poor prognosis. This review summarizesrecently published articles that examined sentinel lymph node (SLN) biopsy in patients with high-risk endometrialcancer. We focused on the performance and outcomes of SLN biopsy, and examined potential methods for improvingthe management of this high-risk subset.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long-term outcomes of SLN in patientswith high-risk endometrial cancer. Thus, we reviewed recently published retrospective studies that have adopted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inverse probability weighting or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examine the outcome ofSLN biopsy compared to conventional lymphadenectomy. Potenti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to fine-tune decisionmaking for this patient subgroup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안전이 여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대한 다층분석 : 연령집단별 차이 비교

        김유나,이계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9 No.4

        본 연구는 최근 심각성을 더하는 여성 우울의 원인을 연령집단별로 개인적 측면과 환경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지역사회안전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환경요인으로 주목하고, 개인적요인인 스트레스 및 건강상태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다층모형 분석의 요건을 충족하는 207개 지역 6,839명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지역사회안전 변인은 독립적으로 20-30대 여성의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일 뿐 아니라 개인요인인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적인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20-30대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이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우울의 원인을 개인적 측면뿐 아니라 환경적 측면에서 실증적으로규명함으로써 여성의 우울에 대한 이론적 확장을 도모함과 동시에 우울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층적실천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육아 예능 TV 프로그램 시청에 따른 유아동복 쇼핑 성향

        김유나,김예리,김지수,나영주 한국감성과학회 2016 감성과학 Vol.19 No.3

        Qualitative consumption is a trend in the children clothing market and watching TV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are becoming popular. This study examines the watching degree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TV programs of parent buyer (30s) and potential buyer (20s) and we investigate their shopping orientation of children wear. We did the survey research of 200 consumers with SPS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he review of internet news, paper, and books on children wear shopping orientation.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longer the watching time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TV programs, the higher shopping orientation, such as following the fashion of child stars, and the higher the watching preferences on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the greater shopping orientation in following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star when they are purchasing children's clothing. Second, potential consumers as well as parent consumers were affected by watching the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Watching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TV programs could give the impact when they were shopping children’s clothing because they wanted to follow the fashion of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TV star. Accordingly, the exposure of the childcare-entertainment reality programs for children clothing is found to be positive to the both current and future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