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 연구 -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조은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This study examines Nietzsche philosophy widely present in Li Sang’s poem. Motifs of a ‘ruin’ and ‘disintegration’ in Li Sang’s poem are reminiscent of Nietzsche’s voice who claimed god was dead. In addition to Japanese imperialism, oppressive religions, ethics, technologies and science turned a modern Korean society to a ruinous reality. However, as a ruin did not merely mean a destructive ending, but instead led to a birth of a new being(übermensch) in Nietzshce’s philosophy, a ruin in Li Sang’s poem also developed into an issue of redeeming the world. Stories of an ailing and dying body that frequently appeared in Li Sang’s poem can be also seen as a metaphor to a ruin of the world. Those that eulogizes a physical ruin and death in Li Sang’s poem dare to undertake writings that are against the times by converting language of extinction to language of creation. They are Nietzsche-like beings who willingly go down the road of a ruin in search of life’s meaning, rather than riding with the flow of the time. Nietzsche philosophy present in Li Sang’s poem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as it has been neglected in earlier studies. Nietzsche's motives and images in Li Sang’s poem are the result of an endless effort to abandon modern oppressive values, heal sick lives and save the world. 조은주, 2019, 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 연구, 182 : 171~198 본 논문은 李箱 시에 광범위하게 나타난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를 분석한 것이다. ‘몰락’과 ‘파국’의 모티프는 ‘신의 죽음’을 선언한 니체의 철학과 긴밀한 상관성을 지닌다. 일본 제국주의는 물론이거니와 인간을 억압하는 종교와 도덕, 기술, 과학 등은 근대적 세계를 파국적 현실로 만든다. 그러나 니체의 ‘몰락’이 단순히 파괴적 종말이 아닌 새로운 주체(위버멘쉬)의 탄생과 관련을 맺듯이, 李箱 시에서도 ‘몰락’은 세계를 구원하는 문제로 연동된다. 육체의 몰락과 죽음을 노래하는 시적 주체는 소멸의 언어를 생성의 언어로 전환시키는, ‘反時代的’ 글쓰기를 감행한다. 그는 시대의 흐름에 순응하지 않고 오히려 삶의 이유를 찾아 몰락의 길을 선택하는 니체적 주체에 가깝다. 李箱 시에 나타난 니체 사상은 매우 광범위하게 재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연구에서 충분히 주목되지 못했다. 李箱이 적극적으로 형상화한 니체적 모티프는 근대의 억압적 가치를 폐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함으로써 병든 삶을 치유하고 몰락하는 세계를 구원하려는, 주체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물들이다.

      • KCI등재

        공동묘지(共同墓地)로의 산책-심연수, 유치환의 시에 재현된 하얼빈 소재 외국인 공동묘지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은주 만주학회 2014 만주연구 Vol.- No.18

        This paper examines two works of poem, Shim Yeonsu’s ‘Roin-gongdongmyoji(a cemetery for Russians)’ and Yu Chihwan’s ‘Ukraine Temple’, analyzes why the poets chose the theme of a park-like cemetery, and explores the literary essence of the poem and its meaning. These two works portray a cemetery for Russians and a Ukraine temple within a cemetery for Ukraine located in Nangang District of Harbin in China, and have received attention for reproduction of a cemetery. During the 1920s and 30s, cities grew rapidly in Japan and Chosun, and efforts were made to beautify graveyards to look like a park. In ‘Myoji-hwajang-maejanggup-hwajang-chuichegyuchik(墓地火葬埋葬及火葬取締規則)’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2, cemeteries were described as filthy and dangerous. However, soon after, new discourses were formed to view them as a scenic place. Not surprisingly, cemeteries were included in the itinerary of Manchuria tour which became very popular in the 1930s. Still, official tour routes of Chosun and Manchuria, travel guides, and the itinerary of school excursions in Manchuria show that only a limited part of park-like cemeteries were visited during the tour. As a tour destination, most of the cemeteries were empty graves, that is, a war memorial or a place to commemorate war veterans. In this context, the two poem that described cemeteries in Manchuria that are not related to war or battlefield are noteworthy. These cemeteries were not seen as a ‘tour site’ from the perspective of an empire, but portrayed from a viewpoint of an ‘intellectual’ of the colonized country, keeping a distance from the object. The dark side of the splendid metropolis, Harbin, is revealed in cemeteries for Russians(Shim Yeonsu) and Ukraine(Yu Chihwan). A White Russian beggar that pays respect at a tour site of an empire, and Ukraine people who are sacrificed in a foreign country expose the folly of the Manchuria ideology. These are people of minority repressed under colonial capitalism, who were deprived of their home country and ruined. The two poets portray cemeteries at the center of Harbin and invite readers to think about how to truly rebuild a community, and what is the genuine meaning of a ‘country’ as a resting place for the soul. 이 글은 ‘공동묘지’를 중심제재로 삼은 심연수의 시 「露人共同墓地」, 유치환의 시 「우크라이나 寺院」에 내재된 문학적 정신과 의미를 구명한 것이다. 두 작품은 공통적으로 하얼빈 남강구(南崗區)에 위치한 러인공동묘지와 우크라이나 사원(우크라이나인 공동묘지 內)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공동묘지’의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되었다. 1920-30년대 일본과 조선에서는 도시의 급속한 팽창으로 공동묘지의 공원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의 <墓地火葬埋葬及火葬取締規則>에서 더럽고 위험한 공간으로 규정되었던 묘지는 아름다운 공간으로 담론화되기 시작했다. 1930년대 붐을 이루었던 만주 관광 코스에 ‘묘지’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공원묘지’로서의 ‘묘지’는 매우 제한적 코스였다. 관광의 대상으로서의 ‘묘지’는 대부분 빈 무덤들, 즉 전쟁 유적지와 전사자를 위한 참배지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만주 관광에서 전적지의 묘지가 아닌 공동묘지를 재현한 장면에서는 특별한 시선이 읽힌다. 공동묘지를 바라볼 때 제국의 시선을 내면화한 ‘관광자’로서가 주체가 아닌,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피식민지 지식인 주체로서의 시선을 보여준 것이다. 화려한 국제도시로 부상되었던 도시 하얼빈(哈爾賓)의 어두운 이면은 러인공동묘지(심연수)와 우크라이나인 공동묘지(유치환)에서 폭로된다. 거지로 전락해 제국의 관광자에서 경예를 표하는 백계러인(白系露人), 타국에서 온갖 박해를 받으며 희생된 우크라이나인 등은 민족협화(民族協和), 왕도주의(王道主義)라는 만주국 지배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정확히 진단한다. 두 민족은 제국주의와 식민 자본주의의 타자이자 나라를 잃고 몰락한 소수민족을 표상한다. 심연수와 유치환은 하얼빈 중심가에 위치한 두 민족의 공동묘지를 형상화함으로써 “정신의 안주지”로서의 진정한 공동체 재건의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 KCI등재

        이장희의 시, 우울의 ‘기원’

        조은주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이 글은 고월 이장희의 시 전면에 부각되어 있는 ‘우울(melancholy)’이 어떤 시적 메타포와 상징을 만들어 내고 있는가, 그리고 그러한 시적 형식을 통해 시적 주체가 우울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승화하는가에 대한 탐색이다. "녯생각-어머니"라는 절대적이고 완벽함에 대한 욕망, ‘고양이’에서 포착된 예술의 덧없는 아름다움에 대한 통찰과 우울한 시적 주체의 자화상, ‘빈 집’처럼 텅 비어있는 빈곤한 자아-이미지, 방랑하는 혼의 비극적 운명을 상징하는 ‘연’, 끊임없이 ‘방’ 내부로 호집(呼集)되는 청각적인 요소들과 ‘노래’는 이장희의 짧은 생애와 문단활동을 가득 채우고 있는 각별한 은유의 흐름이다. 그의 대표작 「봄은 고양이로다」의 ‘봄-고양이’라는 파격적인 결합도 우울한 주체의 내면이 승화됨으로써 창조적으로 만들어 낸 형식, 즉 은유로부터 비롯된 것일 터이다. 멜랑콜리커-시인은 ‘우울’을 승화를 통해 ‘시적 형식’으로 옮겨놓으며 완전히 다른 두 사물사이에서 유사성을 발견하는 비범한 자들이다(아리스토텔레스). 고월의 시를 관통하는 우울의 감각은 시인의 전기적 체험으로부터 비롯되어 확정된 체질적인 그 무엇이 아니라, 시의 언어들 사이에서 상호텍스트적 의미망을 형성하고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를 움직이며 순간적으로 생성되었거나 소멸되는 운동을 반복하는 리듬에 가깝다. 고월 시에 나타난 ‘우울’은 우울의 정동을 중심으로 생성된 은유적 기호의 흐름 속에서 비로소 그 의미가 드러난다. 본고는 이를 일컬어 우울의 ‘기원(Ursprung)’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Jang-hee Lee’s poetry in relation to the melancholy which is expressed through special poetic metaphors and symbols. This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how Jang-hee Lee transforms melancholy into a poetic form through expression of the melancholic subject’s creative spirit. Many of the poetic images found in Jang-hee Lee’s poetry are related to melancholy. For example, one of his poems shows a desire for a unconditional and perfect relationship through the metaphor of "an ancient idea-mother" and shows insight into the vain beauty of art with its metaphor of "a cat". Other metaphors of "an empty house" and "a kite" symbolize an image of a hollow ego and of a wandering fate. But the melancholic subjects in Jang-hee Lee’s poetry do not sink into a depression, and he attempts to be creative with his metaphors by turning a melancholy subject into a poetic form. The metaphor of "a small song" represents a melancholic subject’s continued effort. Aristotle considers a metaphor to be the melancholic poet’s gift, because in a metaphor he looks for similarities between two completely different things. In "a spring is a cat",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Jang-hee Lee, ‘a spring is a cat’ is an exceptional combination resulting from a metaphor that has a creative poetic form and which is created when a melancholic subject sublimates his sorrow.

      • KCI등재

        1920~30年代 南大門路 商業街路邊의 韓屋 硏究

        조은주,송인호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3 No.7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character of Namdaemunno(南大門路) during 1920~30's, and retracing the properties of commercial Hanok on that area. The characters of commercial Hanok on the side of the street can be arranged with four categories : size of lots, building method and material, elements of the elevation and commercial functions.Linear or square lots take a large percentage than the deep and narrow one. Most Hanoks were located in these forms of lots. The characters of building structure or material have direct relation to the elements of elevation, and the differences of Hanoks' elevation is linked to building's commercial functions. On the other hand, if these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the other way, the modern commercial program affected the emergence of new typological Hanok and the modification of existing Hanok.

      • KCI등재

        李箱 문학의 건축학적 시선과 ‘迷宮’ 모티프 -1930년대의 건축학적 이념과 모홀리-나기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조은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1

        본고는 李箱 文學에서 다양하게 포착되는 건축학적 요소를 건축학적 시선과 ‘미궁’ 모티프를 통해 해명하고자 한다. 李箱은 總督府 내무부의 건축과 기수로 일했을 뿐만 아니라 잡지 <朝鮮と建築>의 편집에도 가담한 바 있다. 李箱은 미술적 재능을 바탕으로 「鳥瞰圖」, 「三次角設計圖」, 「建築無限六面角體」, 「烏瞰圖」 등에서 건축학적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그의 작품에는 1930년대 종합주의적인 건축학의 이념이 투영되어 있다. 李箱은 <朝鮮と建築>에서 건축학자 라즐로 모홀리-나기Lszl Moholy-Nagy를 직접 언급하면서 나기의 전인(全人)개념, 촉각훈련, 동력학적 리듬(運動性) 등을 독창적인 은유적 표현으로 전유한다. 그가 설계도, 평면도 작성 등에서 영감을 얻은 ‘透視圖法’은 기존의 遠近法을 전복시키는 것이다. 李箱의 透視圖法은 근대 도시의 이미지를 폐기시키고 ‘迷宮’ 모티프를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도시 設計圖를 기획한다. This essay explains architectural elements of Lee Sang's literature through the architectural gaze and labyrinth motif. Lee Sang worked not only as an architect in the government-general(Chongdokbu) but also participated in editing the magazine Chosun and Architecture. Lee Sang makes use of architectural knowledge based on his artistic talent in Ogamdo(烏瞰圖), Design Drawing of Cubic Corner(三次角設計圖), Jogamdo(鳥瞰圖) and so on. The synthetism of architectural ideology of the 1930's casts a reflection on his literature. Lee Sang mentions directly architect László Moholy-Nagy who is representative of Bauhouse in the preface of Chosun and Architecture. He appropriates László Moholy-Nagy's architectural principles of the ‘whole-human’, ‘tactile exercise’, and ‘kinetic rhythms’ into his creative metaphor. Lee Sang's perspective, inspired by drafting and two dimensional layouts subverts the existing laws of perspective. Lee Sang's ‘anti-perspective’ abandons the image of the modern city and by pursuing the labyrinth motif, creates a new city plan.

      • KCI등재

        현행 법인지방소득세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법적ㆍ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

        趙銀珠,李咏桓 한국의정연구회 2018 의정논총 Vol.13 No.1

        본고는 법인지방소득세 독립세 과체체계 개편 이후 대두되고 있는 납세자 부담증가와 지방재정 불균형 심화 등 과세체계의 쟁점사항 중에서 법적·제도적 측면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지방소득세와 법인지방소득세의 통칙내용을 명확히 구분하고, 법인지방소득세의 특별징수를 별도의 절로 구분하여 법령체계를 정비하고, 부과제척기간 및 가산세 관련 규정을 명확히 하여 법적 안정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납세자 측면에서는 납세협력비용을 절감하고, 국제적 이중과세 조정 및 중복 세무조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본점 일괄 신고 및 납부, 법인지방소득세 외국납부세액공제제도 도입과 세무조사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axation system issues such as the increase in taxpayer burden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corporation local income tax independent tax system and the deepening of fiscal imbalance,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it. Specifically, it clarifi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dividual local income tax and the general rule of the local income tax of the corporation, and improves the legal stability by clarifying the statute system by dividing the special collection of corporation local income tax into separate clauses, There is a need. In terms of taxpayer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taxation cooperation cost, an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international double taxation adjustment and duplicate tax investig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minimize the taxation investig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local taxation system have.

      • 지방선거제도의 변화가 여성 대표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주,김도경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1 신안보연구 Vol.- No.168

        In representative democracy, women’s low political representation is raising social concern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ociety. In order to examine how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is affected by changes in election systems such a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party nomination, and medium constituency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Busan City focusing on the 5th National local el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not only women council members but also women candidates. In addition, by the influence of Article 47‐5 of the Public Office Election Law, which was stipulated newly in 2010 for forcing each political party to nominate women candidates for its electoral districts, the proportion of women council members in the local council electoral districts of Busan City increased markedly by 5% and the overall proportion of women council members increased to 21%. According to change by the size of electoral district, the number of women candidates at 3‐seat electoral districts (9→20), the rate of winning candidates (11.1%→45.0%), and the proportion of women successful candidates (1.9%→16.7%) all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second and third winners among women successful candidates also increased (27.3%→42.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dium constituency system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women council members. 대의 민주주의 하에서 여성의 낮은 대표성은 균형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사회적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본 연구는 비례대표제, 정당공천, 중선거구제 등의 선거제도 변화가 여성의 대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부산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례대표제는 여성의원 증가는 물론 여성정치후보자 확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각 정88당의 지역구 여성의원 추천을 강제하기 위하여 신설한 공직선거법 47조 5항의 영향으로 부산시 기초의회 지역구여성의원 비율이 5%p 크게 상승함과 동시에 전체여성의원 비율은 21%로 향상됨으로써 정당공천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선거구 크기별 변화에서는 3인선거구의 여성후보자 수(9명→20명)와 당선율(11.1%→45.0%), 여성당선자 비율(1.9%→16.7%)이 모두 상승하였으며, 여성당선자 중 2위나 3위로 당선된 비율(27.3%→42.1%)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중선거구제가 여성의원 증가에 점차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역교회 중년여성의 갱년기 우울 경험

        조은주,최은정,조현미,이민경 기독교학문연구회 2017 신앙과 학문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eply the experiences of menopausal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in local churches and to reveal its meaning and structure. For this purpose, 8 middle-aged women in local churches experiencing menopausal depression are presented with specific ca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ed them. As a result, six components and sixteen subcomponents were derived. The six components that were derived were ‘the uncontrollable change of the body’, ‘the heart that does not conform to my will’, ‘the pain that is going down,’ ‘burden of heart that must be taken as a Christian’, the ‘Energy of helpful’ and ‘A religious support’. The categories of ‘uncontrollable changes in the body’ and ‘the heart that does not conform to my will’ were found to be difficult due to physical symptoms. The psychological and religious difficulties appeared in the categories of ‘the pain that is going down’ and ‘burden of heart that must be taken as a Christian’. And the categories of ‘Energy of helpful’ and ‘A religious support’ are overcoming by the power of family and faith.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concrete plan for the role of education and specialists in overcoming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교회 중년여성이 겪는 갱년기 우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그 의미와 구조를 밝히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갱년기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지역교회 중년여성 8명을 대상으로 구체적 사례를 심층면담을 통해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6개의 구성요소는 ‘통제할 수 없는 신체의 변화’, ‘내 뜻대로 되지 않는 마음’, ‘꺼져가는 듯한 아픔’, ‘기독교인으로서 져야하는 마음의 짐’, ‘이겨낼 수 있는 힘’, ‘신앙이 버팀목이 됨’이었다. ‘통제할 수 없는 신체의 변화’, ‘내 뜻대로 되지 않는 마음’의 범주는 신체적 증상으로 인해 힘들어 하는 것이 나타났고, ‘꺼져가는 듯한 아픔’, ‘기독교인으로서 져야하는 마음의 짐’의 범주에서는 심리적, 신앙적으로 힘들어 하는 것이 나타났으며, ‘이겨낼 수 있는 힘’, ‘신앙이 버팀목이 됨’의 범주는 가족과 신앙의 힘으로 이겨내고 있음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들의 우울증을 극복하고 도와주기 위한 교육 및 전문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