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1회, 12회 FIFA World Cup의 슈우팅 比較分析

        朴成淳 국민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982 스포츠科學硏究所論叢 Vol.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the deta for improving the soccer skill and tactics. All shots both in the 10 matches of the second final round in the 11th Argentina FIFA World Cup and in same number of the second final round in the 12th Spain World Cup, were analyzed with five facto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average goal percentage of shot in the 12th World is higher than that of shot in the 11th, especially the 12th Spain World Cup is very higher than the 11th Argentina World Cup in scoring the goal by shooting within the goal area. In the 12th World Cup, 37 percent of the shots were performed by pass assistance and 28 percent by single dribbling. While 30 percent were shot respestively by pass assistance and single dribbling. The 12th World Cup is higher than the 11th by about seven percent in the rate of successful shots resulting from centering and free kicks. Fifty-six percent of the total shots are performed with non-stop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12th and 11th. And the 12th World Cup is less than the 11th in spin shooting by four percent. The offensive tried to make a good chance to score a goal by fast breaks before the opponent arranged defensive wall near the penalty box.

      • 노랑초파리의 난자형성과정에서의 단백질 합성의 변화

        박성순,이양림 한국통합생물학회 1987 동물학회지 Vol.30 No.1

        Changes of protein synthesis in the isolated egg chambers were studied during oogenesis of Drosophila melanogaster. Protein synthesis did not change much in quantity except that the activity was slightly enhanced at the stages 11 and 12, when new structures such as vitelline membranes and yolk granules were made, but considerably changed in quality during oogenesis. Protein synthesis was believed to occur mainly in the follicle cells, and a number of stage-specific proteins were found to differ at various stages. The observations suggest that proteins synthesized in the cells within chambers as well as those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s might be directly required for the growth and maturation of oocytes in Drosophila.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난자형성과정 중 egg chamber 이외의 조직에서 합성, 이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한 상태에서 egg chamber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합성양상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단백질 합성률은 전반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난황형성, 난황막형성, 그리고 난각형성이 겹쳐 이루어지는 11-12에서는 높고, 성숙이 완료되는 단계 14에서는 낮았다. 누적 및 합성 단백질의 수와 종류가 단계에 따라 크게 변하고 있으며, 노랑초파리의 난자형성이 비록 짧은 기간동안에 이루어질지도 단계에 따라 특이한 단백질 합성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단백질의 합성은 주로 여포세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노랑초파리의 난포세포의 성장 및 성숙을 위해서는 egg chamber 이외의 조직 뿐만 아니라 egg chamber 내의 세포 자체에 의한 단백질 합성이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華西 李恒老의 心說과 斥邪論理의 相關 關係

        朴性淳 동양고전학회 2009 東洋古典硏究 Vol.34 No.-

        이항로는 太極, 즉 理가 지닌 主宰와 妙用의 측면을 적극적으로 강조하면서 그것을 明德, 즉 심의 본질이라고 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것은 리와 기를 상보적인 것으로 보는 기존의 심설에서 벗어나 리와 기의 차별성을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함이었다. 특히 그는 학문의 목표는 大人의 경지에 오르는 것이며, 그것은 먼저 인심과 도심의 구별에서 출발하는 것임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즉 인심과 도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西勢東漸이라고 하는 당시의 특수한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이항로는 리로 표현되는 物我一體的 道德律, 즉 天命意識을 부정하고 인간의 욕망을 긍정하는 서양인들의 윤리관에 대해서 반대하고 있었다. 이항로는 그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태극이 곧 우리 마음의 본체라는 점을 일깨우려고 한 것이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道德心이란 것은 인간이 사사로이 거스를 수 없는 태극의 원리, 즉 天命’이라는 사실이었다. 이와 같이 이항로가, 인간이 사사로이 거부할 수 없는 도덕심의 당위성을 강조한 것은, 그것 이외에는 당시 조선사회를 격동시키던 서양 문화의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丙寅洋擾(1866)가 발생하자, 이항로는 동부승지로 발탁되어 上疏와 奏箚 등을 통해서 척사의 방책을 진달하였다. 평소 인심과 도심의 구분을 통해서 인간으로서의 도심을 준수해야 한다고 역설한 그의 주장은 척사 상소에서도 그대로 전개되었다. ‘洋夷’의 침투에 맞서 主戰論과 通商不可論 등을 피력한 이항로의 척사소는 그 궁극적인 해결책으로서 군주의 도심을 강조하는 형식을 띠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항로의 심설은 그대로 병인양요 때에 제시된 척사소에 반영된 것이다. 이것은 이론과 실천이 일치될 수밖에 없었던 이항로 심주리설의 특징이었다. Yi, Hang-no said that taiji(=li) was Myeong-deok(illustrious virtue), the core of mind and heart, emphasizing the sides of superintendent and mysterious ability of li. It seems that he aimed to stress the upper status of li than qi, out of earlier general theory on mind and heart recognizing both li and qi consisted in the mind and heart. Through it, he wanted to say that only human being had moral mind like taiji and upper moral status than animals which human being should keep. The reason that Yi, Hang-no emphasized the difference between li and qi was because of a critical mind that the upper value of li than qi should not be changed and it would be the most dangerous situation if the value collapsed. Like this, Yi, Hang-no's attitude emphasizing li in his theory of mind and heart eventually aimed to explain the theory of Insim(Desire to be) and Dosim(Moral Mind). Yi, Hang-no's disciples testified that their teacher, Yi, Hang-no had cost his whole life to study the theory of Insim and Dosim. This means that Yi, Hang-no had tried to discriminate between Insim and Dosim, and to block private desires in Insim. The fact that Yi, Hang-no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theory of Insim and Dosim had to do with the special situation that Western Power approached Joseon dynasty. Because Yi, Hang-no opposed the Westerner's moral consciousness for individual desires, against heavenly orders. To overcome the Western challenge, Yi, Hang-no strived to notice that taiji was the core of human mind. The point that Yi, Hang-no wanted to say was that Dosim(Moral Mind) was just the heavenly orders which human being couldn't disobey. Yi, Hang-no thought that Joseon couldn't defence Western flow without this theory of Insim and Dosim. Just after French invasion(1866), Yi, Hang-no was selected as a high-leveled bureaucrat, so he insisted his opinions for rejecting heterodoxy by the letters to the throne several times. The letters also contained his theory of Insim and Dosim mainly. Insisting fight against Western Power and prohibition of trade with Western Power, Yi, Hang-no eventually emphasized the king's right mind(Dosim) as a main and sole means to achieve all the goals he said. In conclusion, Yi, Hang-no's theory on mind and heart was as it is reflected in his letters to the throne. Therefore we can see that Yi, Hang-no's theory on mind and heart had harmonized with his movement to "Rejecting Heterodoxy"

      • 산업단지 환경오염사고 영향권 설정 및 화학물질 안전관리 구축

        박성순,송윤준,박비오,박서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전라북도 환경오염사고 조사 결과 총 26건으로 유형별로 폭발이 6건 누출이 20건으로 누출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화학물질의 성상은 사고발생시 유출과 함께 매체 내 화학반응으로 2차 생성물에 의한 재산피해(부식, 흄)와 인체 피해(독성, 발암성, 질식 등)를 일으키고 일부 물질은 수계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향권에서 이해관계자가 포함된 통합 협의체를 통한 지역 공동비상대응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간접영향권 내의 피해 정도는 균일하지 않을 것이고,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밀집지역, 고령자 등 취약인구가 높은 지역, 주택밀집지역 등으로 대상자의 인문-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피해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해외에서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한 비상대응체계를 핵심으로 하고 있고, 이해당사자들의 위해성 인식을 고취시키고 긍정적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거버넌스(Governance)나 네트워크를 세워 상호 신뢰 형성하면서 진행해 나가고 있다. 사고발생 지점(On-site)과 사고영향 지역(Off-site)을 연계하여 보다 합리적인 대응체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하고, 사고 영향 지역에서 행정구역의 경계를 넘어갈 경우를 고려하여 인접 시·군과 연계성 강화하여, 화학사고 관련 통합 비상대응 체계를 자연적 재난부문의 통합 대응수준 향상을 위한 체계에 활용 가능하다. 일반 자연 재난과 달리 화학재난의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비상대응 체계에서 화학물질 정보와 그에 대한 노출 및 피해저감 행동 요령 등의 정보에 대한 교환, 제공, 확산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한 정보 확산 및 위험소통 활성화에 중요한 기반 체계로 활용 가능하기에, 지역단위에서 화학안전관리에서 비상계획과 재난관리를 연계하여 지역 주민의 알권리를 확보하고 그에 대한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 KCI등재

        石洲 李相龍의 「滿洲紀事」 분석을 통해 본 新興武官學校의 하급교육기관 실태 - 柳河ㆍ通化縣을 중심으로 -

        박성순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7

        신흥무관학교는 신민회 인사들의 숙의에 따라서, 국망 직후 서간도에서 독립전쟁을 위한 배후기지로서 가장 먼저 설치된 곳이었다. 신흥무관학교는 1911년부터 1920년대까지 약 10년 간에 걸쳐서 무려 3,500명의 독립운동 간성들을 배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10년 세월 동안 많은 수의 학생들이 어떻게 충원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필자는 신흥무관학교의 학생 충원문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李相龍의 「滿洲紀事」를 주목하게 되었다. 「만주기사」는 총 16편에 이르는 연작시이다. 이상룡은 신흥강습소를 설치한 후부터 양성한 군사가 오륙백에 이른다고 회고하였으나,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이 부분을 단지 문학적 수사로 치부하여 간과한 측면이 있었다. 한편 제6편에서는 추가가에 정착한 후 8년 동안 건립한 소학교가 30개 소에 이른다고 회고하였다. 필자는 이를 바탕으로 신흥강습소 초기부터 길러낸 5백 명 이상의 학생들이 신흥무관학교 학생들을 포함하여 인근의 하급교육기관, 즉 소학교 학생들을 통칭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그 소학교들을 구체적으로 증명하였다. 유하·통화 지역 소학교 학생들은 졸업 후 신흥무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은 학규에 따라서 2년 간 의무적으로 인근 소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군사교육을 포함한 소학교 교육을 담당하였다. 결국 신흥무관학교와 그 인근의 소학교들은 독립전쟁이라는 큰 목적 하에서 서간도 한인들에 의해서 유기적으로 운영되었던 커다란 독립운동의 군영이었던 셈이다. Sinheung Military Academy was the first one which prepared for independence war built by members of Sinminhoe in Western Manchuria. Sinheung Military Academy is known that nurtured 3,500 independence soldiers during 10 years from 1911 thorough 1920. Nevertheless no people know how it recruited so many students for 10 tears.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recruit of Sinheung Military Academy, I became to focus on Manjugisa by Yi Sang-nyog. Although Yi Sang-nyon remembered that there were over five hundred students in Sinheung Military Academy from just after it's set up in Manjugisa, scholars overlooked that mention so far. In addition, in the Sixth poem of Manjugisa, Yi Sang-nyong recollected that there were 30 prelimin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1918 after installation of Sinheung Military Academy in 1911.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over 500 students nurtured from just after installation of Sinheung Military Academy were summed up students of prelimin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over Sinheung Military Academy's and proved it. The students of prelimin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Liuhexian·Tonghuaxian entranced into Sinheung Military Academy after graduation. The graduates of Sinheung Military Academy taught the students of prelimin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a common and military educations in duty for two years. In conclusion, Sinheung Military Academy and nearby preliminary educational organizations were an wide military camp organically maintained by Korean in Western Manchuria for big purpose of independence war.

      • KCI등재

        孟輔淳의 『東田文集』편찬과 잊혀진 獨立運動史

        박성순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5

        孟輔淳(1862-1933)은 근대시기 경기도 용인지방뿐만 아니라 당대를 대표하는 유림 인사였다. 『東田文集』은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외증손인 鄭虎信이 주동이 되어 근래에 편찬한 것이다. 맹보순이 근대 유림계에서 갖고 있던 역사적 위상에 비추어,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그의 문집이 편찬되었다는 것은 賞讚되어 마땅하다. 그러나 『동전문집』은 맹보순의 생애를 완벽하게 복원해내는 데에는 많은 아쉬움이 엿보인다. 특히 문집 간행을 주도한 정호신은 문집 편찬의 의의를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증조부를 기리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였으나, 실제 내용에서는 그러한 부분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 미진한 맹보순의 독립운동 내용을 복원하여 맹보순을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기억의 재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동전문집』을 살펴보면, 맹보순이 전개한 구체적인 서간도 독립운동 행적은 전무하지만, 그가 서간도에 있을 시기에 맹보순의 행적을 비난하는 유림계의 목소리는 비교적 상세히 실려 있다. 이는 성리학의 순정성과 배타성을 중시하는 당시 일부 유림계 인사들의 완고성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국권회복을 위해 나섰던 그 행위가 일부 유림계의 보수적 잣대에 의해서 비난받아야 하는 것인가는 재론의 여지가 있다. 국가 危亡의 순간에는 계급적 이념적 이해관계를 초월하여 국권회복운동에 뛰어드는 것이 正道라고 생각한다면, 맹보순은 그것을 구현한 전형적인 인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동전문집』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의 독립운동 행적을 살펴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Maeng Bo-soon(1862-1933) was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ist of modern Korea as well as Yongin region, Kyeong-ggy province. Dongjeonmoonjip is an anthology of him compiled by his maternal great-grandson, Jeong Ho-shin. But there are some shortages to understand Maeng's whole life totally. Especially there were no documents even though Jeong said that this anthology was for celebrating Maeng's exploit of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help totally memory Maeng's whole life through restoration of the contents of independence movement of him. There is no records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him in Western Manchuria, China but there are much blames of Neo-Confucianists at that time to Maeng in Dongjeonmoonjip. I guess that these blames came out from stubborn of a part of Neo-Confucianists who regarded the Neo-Confucian exclusiveness as important. But there is one question why should Maeng's patriotic behavior be blamed by conservative Neo-Confucianists at that time. If we admit that independence movement is a common sense in colonial period by Japan, we can think that Maeng is typical character who realized his loyaly. This paper was written to confirm this fact.

      • KCI등재

        正祖代 ‘金夏材 事件’의 전말과 성격

        박성순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7 No.-

        Generally speaking, the rebellion or treason incidents in king Jeongjo's era occurred by the coalition of royal families-in-law, powerful subjects and eunuch force related with the Imo-Hwabyeon(壬午禍變). They bluntly showed their aim to remove king Jeongjo from when king Jeongjo was a prince. But "the Kim, Ha-jae incident" occurred in the 8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had a point of difference with other incidents of treason at that time. Not being by the coalition of royal families-in-law, powerful subjects and eunuch force related with the Imo-Hwabyeon, "the Kim, Ha-jae incident" was committed by high-leveled bureaucrat who had been beloved by king Jeongjo as well as he had had the best family background until that time. So, through this case, we can know the real mind that Noron bureaucrats had kept in their chests to king Jeongjo at that time. This is one reason for me to study this case. King Jeongjo was strongly shocked by "the Kim, Ha-jae incident". Like the lamentation king Jeongjo said just after the case, it was not possible incident to occur from the Kim's family background and his job carrier. But king Jeongjo's attitude to the case was so passive. King Jeongjo eagerly tried to stop more intensive investigations about the case. He didn't like that this case spread and to be social issue. Because this case would attack king Jeongjo himself, denying his dignity as a king. The antipathy of Noron against king Jeongjo had started earlier from when king Jeongjo was a prince was presented in the style of treason and insult incident like the Kim, Ha-jae case when king Jeongjo met very important time posting his son as a prince. And Kim's antipathy against king Jeongjo was inherited to his followers. Although the project for rebellion of Kim, Du-gong, a nephew of Kim, Ha-jae was suppressed in advance thanks to the report of Kim, Jong-soo, through this case, we can find out how strong the resistances of Noron against king Jeongjo were. "The Kim, Ha-jae incident" was so important case to show us the weak and lonely status of king Jeongjo in reality. So we need to understand that king Jeongjo's social and political reforms were proceeded in the hardiest political circumstance like this. 정조대의 역모사건은 대부분 임오화변과 직 · 간접적으로 연관된 척신들과 그들을 추종하는 권간 및 환관들의 결탁을 축으로 해서 진행되었다. 처음부터 정조를 위해코자 하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던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정조 8년(1784)에 발생한 ‘김하재 사건’은 여타의 역모사건과는 외견상 커다란 차별성을 띠었다. ‘김하재 사건’은 임오화변과 직 · 간접적으로 연관된 척신과 권간의 손에 의해서 주도면밀하게 진행된 것이 아니라, 정조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고 있던 명문세가 출신의 고위관료가 직접 저지른 사건이라는 점이 특징이었다. 따라서 이 사건은 노론 淸流, 혹은 정조의 후원 세력으로 분류될 수 있는 노론 관료집단이 갖고 있던 정조에 대한 ‘진심’의 일단을 엿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되어진다. ‘김하재 사건’에 대한 정조의 충격은 대단히 컸다. 이 사건 직후 정조가 내뱉은 탄식처럼 김하재의 집안 내력이라든지, 그의 관직 경력 등을 고려해 볼 때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하재 사건’에 대한 정조의 대응은 대단히 미온적이고 소극적이었다. 정조는 사건의 확대를 막아 연루자를 축소하고 사건을 조기 종결시키기에 급급했다. 정조가 ‘김하재 사건’을 황급히 매듭지으려고 한 것은 이 사건이 자칫 자신의 왕권에 대한 정통성 시비 논쟁으로 확산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다. 즉위 전부터 형성된 정조에 대한 노론의 반감은 정조가 그의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는 매우 중요한 시점에서 ‘김하재 사건’으로 표출되었고, 그의 뜻은 다시 김두공과 이율 등의 역모 기도로 이어졌다. 김종수의 고변으로 김두공 일당의 역모사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지만, 이를 통해서 정조에 대한 노론의 저항이 얼마나 뿌리 깊은 것이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김하재 사건’은 김종수가 포함된 노론 淸名黨 벽파세력과 깊은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하재 사건’은 고단했던 정조의 처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중대한 정치적 사건이었다. 그런 와중에서 추진된 정조의 개혁정치는 그가 감내해 내기 어려운 복잡한 정치 환경 속에서 진행된 것이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