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이재수술 : 원인 및 해결적 방안 It's Cause and Solution

        남부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4 충남의대잡지 Vol.21 No.2

        Twenty one cases of revision tympanomastoidectomies operated by a junior staff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tient's symptom, preoperative otologist's view and operative finding. Otorrhea (11 cases) and cholesteatoma (12 cases) were the main reasons for revision operation by patients and surgeon, and the blockage of ventilatory route from the eustachian tube to the middle ear space was the most common causactive underlying pathology. A successful middle ear surgery requires selected method of operation based on careful preoperative evaluation and meticulous operative technique.

      • KCI등재

        미국 거주 한국인 “모”의 자녀와 한국문화 소통(疏通)과 전승(傳承)에 관한 경험연구

        남부,정은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haring Korean culture with and transmitting it to their children by Korean mothers living in U. S. Severn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share their stories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demonstrated in two categories. In the part of sharing Korean culture, the participants have used Korean family network and emphasized on using Korean language at home. Sharing Korean dishes and media programs in their family let their children know more about Korean culture and make a connection with friends from other cultures. Having a trip to Korea was for their children to discover their Korean identity and touch to actual Korean culture. To transmit Korean culture, the participants emphasized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attitude. Then, they sent their children to Korean language school. By doing these, they expected that their children keep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become a bilingual user, and contribute to Korean community and both countries (U.S.- Korea)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provides more active educational policies for children and familie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oder for them to keep their dural cultural identitie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both Korea and their native countries and adjust well in the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다양한 국적과 민족의 이주민 문화와 언어가 공존하는 미국의 다문화사회에서 7인의 재미동포 한국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와 한국문화 소통과 전승에 관한일상의 경험은 무엇이며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주요결과로 한국문화 소통의 범주에서 참여자들은 가족 간 한국어 사용과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문화 접촉기회를 증진하였다. 한식과 한류문화 접촉은 가족 간 그리고 타문화 사람들과 교류를 넓히며 한국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표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자녀에게 직접 모국방문 기회를 제공하며 정체성의 뿌리를 발견하도록 지원하였다. 한국문화 전승의 범주에서 자녀 한국어와 예절 교육을 문화정체성 함양의 필수요소로 인식하며 자녀가 이중언어 활용을 통해 미래 양국(미국-한국) 간 가교역할, 진로, 한인 공동체 기여 등의 효과를 기대하였다. 참여자들은 미국 내 소수 이주민으로서 이중언어와문화정체성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한국 내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와문화정체성 형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정책과 교육계 변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남부 ( Bu Hyun Nam ),김옥남 ( Ok Nam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우리사회가 급격히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계들 속에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은 자녀의 학교입학에 따른 염려, 교육에 대한 인지, 이중언어에 대한 관점 그리고 교사에 대한 선입견 등 4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 역할에 대한 경험은 자녀의 교육지원, 교사와의 만남 및 관계변화, 학교생활, 일반학부모와의 관계형성 그리고 가족의 지원 등 5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그 모습들은 우리사회와 학교에서 ``다름과 차이``로 인해 표출된 이들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내면의 주관적인 인식이고 경험들인 것이다. 반면 이들은 한국식 학부모 역할수행을 충분한 성찰이나 반성 없이 받아들이는 경향도 나타났다. 그 과정의 이면에는 이들이 언어적, 사회경제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경험한 문화적 충격과 갈등 그리고 아픔 등이 숨어있어 우리의 일반적인 학부모 역할에 따른 행위와 모습들을 반성하게 한다. 한국사회와 학교에서 이들은 동등한 학부모로서 교사와 일반학부모들과 관계 맺기를 기대한다. 또한 자신들의 자녀의 삶에 ``다문화``라는 꼬리표가 어떠한 장애나 차별로 이어지길 원치 않고 있었다. 이처럼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따른 경험들은 우리의 일상에서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깊숙한 내면의 의미 있는 목소리이고 모습들이다. 이러한 발견과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와 일반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위한 서비스, 학교와 지역사회의 환경변화 등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실천을 제안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s school parents. Seven marriage immigr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aring their experiences as school parents.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ere expressed and connected to socio-cultural contexts and relationships with people doing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four main themes were discovered: concerns about child`s school entrance, educational view, bilingual support, and preconceived about teacher.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five main themes were found: educational support, relationship with teacher, school activity, relationship with Korean parents, and family support. Diverse figures of their experiences from the themes were subjectively expressed. Their personal feelings stemmed from ``otherness and difference`` were caused by socioeconomic status, culture, and language. Their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were also influenced by those. They were suffering to overcome cultural shock and conflict doing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Even though some of their parenting practices were followed Koreans parenting styles, such as the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eir children. They wanted to have equal status i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Korean parents. They also argued that their children should not be separated or discriminated because of their socio-cultural backgrounds. Their parenting experiences as school parents make Korean parents examine critically ourselves in regard to parenting practices and rol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society and schools need to change to accept diversity and respect others.

      • 경유양동상미로접근법에 의한 안면신경감압술 16례

        남부,이민한,장재웅,전우진,박찬일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7 충남의대잡지 Vol.24 No.2

        With increase of traffic accidents, the otologic problems including facial palsy with skull fracture are more concerned. This paper is report our experiences with 16 cases of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which have been employed transmastoid supralabyrinthine facial nerve decompression during last four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f the 16 patients, 13 patients(81.3%) were men and 3 patients (18.8%) were women. And sex ratio was 1.4:1 (male predominent). 2. In fracture type, longitudinal fracture was 10 cases (62.5%), transverse fracture was 1 case(6.3%) and mixed fracture was 2 cases(12.5%). 3. Cerebral contusion was combined in 8 cases(50%) and facial bone fracture was combined in 6 cases(37.55). Because of these combined lesions, otologic diagnoses and treatment was delayed. 4. The most common physical finding on clinical examination were a bloody otorrhea(75%) and hearing impairment(75%). 5. In frequency of lesion in facial nerve, tympanic segment(35.7%) was the most common site, followed by geniculate ganglion(14.3%). Suggested mechanisms in facial palsy were nerve compression(57.1%), granulation tissue and congestion. 6. There were improvment of House-Brackmann grades in 13 cases after decompression. 7. Incudostapedial separation was found in 4 cases and incus fracture was found in 2 cases. Hearing improvement was found in 3 cases being ossiculoplasty.

      • KCI등재후보

        십대 미혼모를 위한 미국의 사회복지 체계와 서비스 그리고 한국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남부 ( Bu Hyun Na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1

        미국사회는 미혼모들의 문제를 개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 그리고 국가적 문제로 인식하므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 그리고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여 이들이 스스로 자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왔다. 특히 십대 미혼모들은 학교를 중퇴하고 직업을 갖지 못하며 빈곤한 환경에서 아이를 키우기 때문에 심리적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있다. 이들에 대한 서비스는 국가적으로 미혼모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까지도 돌보는 것으로 가정과 사회의 안정을 가져오며 인적자원을 잘 보존하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도 현대화/산업화된 사회로 발전하며 청소년들의 문제가 특히나 십대 미혼모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상황을 분석하고 미국의 복지 정책,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들을 이용한 서비스들을 살펴보고 한국에 적용 가능한 복지프로그램과 지원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의 미혼모를 위한 대안 학교차원의 교육/직업훈련/부모교육 등과 가족지원프로그램은 미혼모뿐만 아니라 사회와 가족이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며 프로그램이므로 한국사회에 적용하면 효율적으로 미혼모들의 어려움과 사회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자원봉사의 서비스 체계가 미혼모를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면 미혼모들은 믿고 따를 수 있는 롤 모델을 갖게 되며 국가적으로는 인력의 활용과 자원 절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남부 ( Bu Hyun Nam ),오정아 ( Jung A Oh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nd understand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Vietnamese women during their pregnancy and childbirth. Eigh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ir experiences were considered and their experiences were illuminat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re were discovered five main themes and twenty small themes within two main categories: pregnancy and childbirth. During their pregnancy, the participants felt they were accepted within their Korean family. However, after childbirth they felt they were still outsiders. The main point was that the relationships with Korean husbands were essential to overcome the difficult time. After childbirth, their relationships with mother-in-laws were not goo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during postnatal care. Childbirth was seen as giving a great gift to participants` husbands, but was stressful to the participant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ing and concerns about child`s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of other family members had positive or negative inclinations depending on their family members` interests or conditions. The participants wanted to work quickly and did not plan for another chil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to childbirth, some policies and practices were proposed in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counseling field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남부,최충옥 한국진로교육학회 2012 진로교육연구 Vol.25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compared to students with non multi-cultural backgrounds across three areas: academic-occupational exploration,career planning, and career development. It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career development among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1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12 students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especially lower in academic-occupational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areas than those with non multi-cultural background. Second, when only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ompared to one another,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ir family economic conditions, residential area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Third, all nine sub-areas under the three main dimensions of career development were mostly highly correlated.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work-society relationship was very low.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of career planning was so low. This result may prove tha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not supported enough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s need to provide more practical and specia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them after reflecting upon their diverse family cultural backgrounds and personal differences. Government should be mindful in establishing new educational policies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uch as retraining teachers and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based on multi-cultural perspectives and concepts 본 연구는 다양한 개인적 가정적 특성을 지닌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진로발달이 일반학생들과는 다를 것이며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 내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학생들의 진로발달 정도를 주요 세 영역 (자아인식, 학업․직업탐색, 진로계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5, 6학년에 재학하는 다문화가정 학생 71명과 일반학생 112명의 설문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발달 세 영역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 정도가 일반학생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직업탐색과 진로계획영역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집단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인식영역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은 자신의 장점과 특성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 내에서 그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가정유형별, 생활수준별, 거주지역별, 학생의 학업성취도별, 한국어능력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은 하위 9개 영역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진로정보이해와 활용은 의사결정 그리고 진로계획과정과 높은 상관을 보임으로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인관계는 일과 자신․사회와의 관계 그리고 진로계획과정과 낮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 두 영역에 대한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밝혀냈다. 앞으로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은 다문화적 관점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연수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정책과 제도적 뒷받침 마련이 필수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