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Risk Management For Prevention of Birds Strike In Urban Parks Close to the Airport

        Mu-Geun Kim,Dam-Yong Park,Joon-Jo Moon,Hyunsu Kim 한국조류학회II 2016 한국조류학회지 Vol.23 No.2

        The Western Seoul Lake Park which lies in Yangcheon Sinwol-dong of Seoul was opened in October 2009. The number and species of bird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around the airspace over the Western Seoul Lake Park. The Western Seoul Lake Park is, however, geographically close to the southern end of the Gimpo Airport, and it is located on the approach surface of the obstacle limitation surfaces thereof. For that reason, the probability of bird strikes around the airspace over the Western Seoul Lake Park would be significantly high in comparison with that of bird strikes around the airspace over the other parks near the Gimpo Airport. To assessment of bird strike risk in the Western Seoul Lake Park, we visited four times between 2015 and 2016. And ducks and geese were identified as the most dangerous species. In this paper, we wil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estern Seoul Lake Park case, propose a new approach to bird strike risk management around that Park and also present the improvements of current relevant policies.

      • KCI등재

        A Multi-Center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Breastfeeding for Pediatrics Residents in Korea

        Yong Sung Choi,정성훈,김은선,Eun Sun Kim,Eunhee Lee,Euiseok Jung,So-Yeon Lee,이우령,Hye Sun Yoon,Yong Joo Kim,Ji Kyoung Park,Son Moon Shin,Ellen Ai-Rhan Kim 대한신생아학회 2022 Neonatal medicine Vol.29 No.1

        Purpose: Pediatricians have a significant responsibility to educate mothers about the importance of breastfeeding. However, there have been minimal efforts in the courses of resident train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 in knowledge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a 4-week breastfeeding educational intervention among multicenter residents. Methods: Prospective interventional educational research was designed for residents at eight training hospitals in Korea. Institutional reviews were obtained in each hospital. The education curriculum consisted of 14 courses regarding breastfeeding theory and practice. These materials were used to teach pediatric residents for 4 weeks. Knowledge-based tests were administered before the course, and re-tests were administered after the course using different test items of similar levels. Test scores and survey respons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 total of 73 residents (1st year 20, 2nd year 23, 3rd year 16, and 4th year residents 14) from eight training hospitals completed the intervention. Their average age was 30.3±2.9 years, 17 (23.3%) were male, 22 (30.1%) were married, and eight had more than one child of their own. The mean pre-test score was 61.8±13.4 and the mean post-test score was 78.3±7.5 (P<0.001). The inter-grade difference in the score was significant in the pre-test (P=0.005), but not significant in the post-test (P=0.155). There were more responses of obtaining confidence after the intervention (P<0.001). Conclusion: In our study, pediatric resi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after 4 weeks of the breastfeeding curriculum. This will provide a basis for future policymaking in the training of pediatric residents regarding breastfeedReceived: 6 January 2022 Revised: 15 February 2022 Accepted: 15 February 2022 Correspondence to: Ellen Ai-Rhan Kim, MD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3390 Fax: +82-2-3010-6978 E-mail: arkim@amc.seoul.kr A Multi-Center Educational Research Regarding Breastfeeding for Pediatrics Residents in Korea Yong-Sung Choi, MD,PhD1, Sung-Hoon Chung, MD, PhD2, Eun Sun Kim, MD, PhD3, Eun Hee Lee, MD4, Euiseok Jung, MD5, So Yeon Lee, MD, PhD5, Wooryoung Lee, MD6, Hye Sun Yoon, MD, PhD7, Yong Joo Kim, MD, PhD8, Ji Kyoung Park, MD, PhD9, Son Moon Shin, MD, PhD9, and Ellen Ai-Rhan Kim, MD, PhD5 1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2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t Gangdong, Seoul, Korea 3Department of Pediatric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uncheon, Korea 4Department of Pediatrics,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Seoul, Korea 5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6Department of Pediatric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7Department of Pediatrics, Nowon Eulji Medical Center, Eulji University, Seoul, Korea 8Department of Pediatrics,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9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Neonatal Med 2022 February;29(1):28-35 https://doi.org/10.5385/nm.2022.29.1.28 pISSN 2287-9412 . eISSN 2287-9803 Copyright(c) 2022 By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 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29 Neonatal Med 2022 February;29(1):28-35 https://doi.org/10.5385/nm.2022.29.1.28 ing in Korea.

      • 도시공원 내 인공습지 도입을 위한 소생태계 사계 연구

        鄭龍文,朴眞英 공주대학교산업개발연구소 2000 産業開發硏究 Vol.8 No.-

        This study is presented the improvement techniques of artificial wetland, one of micro-ecosystem developed to promote bio-diversity in urban areas, through studies of problem in cases. To this end, based on instances found in broad and importance which is development method of ecological park, wetland and micro-ecosystem at cases was proved the effect of techniques. There was no monitoring result and biological lacking about biological form in urban areas in korea. But this study selected the subject which it built up until the present time and it was presumes development possibility site. So this study showed techniques to promote bio-diversity. Key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the problem of the living environment for creatures. The artificial embankment is necessary to various water depths and considering of the living of aquatic life.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bility of activity place and prevention of soil erosion for activities of aquatic insects and young fish as well as the growth of aquatic plants. Therefore, as create of the embankment must considering that form of embankment, various grade, soil stability, food-plant and as well as the plant by water to clean . (2) It is necessary for making observation way to protection. Recently, this problem must consider because of ecological park stand out in bold relief. As a result, the ecological park must accept many people to use. Therefore, nature get damaged. Until now, cases are developed deck and way for observation too accessible. So a soil environment has been change for the worse and caused soil compaction. It was menaced the living environment for creature. Therefore, suitable pattern of observation way and areas for protection through the control should be consider to protect of living environment for creatures. (3) Cases presented is lack model of living environment for creature. In such a case of a forward nation, there is studying about ecological model to promote bio-diversity even detailed part. To example, stone-constructed, to placement a log, to built of a grass-roofed house(a small cottage), it is induce a micro-living thing by create porous environment. Therefore, we must continually study for allurement a living thing at the place-constructed in urban areas. (4)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development are more earnest are urgent. It is most important works. Therefore, study have to going afterward. The present state of artificial wetland and eco-pond were not development of program. So it is raise the problem. Environment education by placement of guide map or book and a volunteer in the field is a practice way of a narrow means. Also development program is urgent to aware important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program and training for environmental specialist have to preceding. As a result of development method groping should be sponsored education of special and efficacious.

      • 자동문을 위한 무선 안전 장치 시스템 및 중앙 통제 소프트웨어 개발

        문병현,박종수,최상민,최용운,제정광 대구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4 情報通信硏究 Vol.3 No.2

        본 논문에서 고급형 실내 자동문의 설계 및 제작한다. 실내에서 사용되는 특성에 따라 소음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미세한 물건이나 어린이의 작은 신체 일부가 자동문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IrDA의 적외선 방식과 용량성 센서를 이용한 안전 장치 시스템을 설계하고 자동문을 가정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직접제어 하거나 외부에서 이더넷(Ethernet)으로 접속하여 제어 및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지능형 빌딩과 같이 다수의 자동창문을 화재, 강제 환기 및 기타 관리를 위한 중앙 통제 관리 시스템으로 확장된 중앙 통제 소프트웨어를 개발을 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omatic door for indoor use is designed and developed. Since the door is used indoor, the noise should be minimized and the accident that can happen by small object and childrens fingers strapped by the door would be prevented. Thus, Safety module by using infrared is designed and the program that controls the door using ethernet is also developed. For the use of the large intelligent building, the program that can control the multiple doors is also developed.

      • 발달장애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검사조정 효과에 관한 연구

        박성우,김용욱,김종문,김은주,우정한,이대식,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 학생들이 졸업 후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또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학령기부터 이와 관련된 지식과 기능의 조화로운 습득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으며, 특수교육의 실천 또한 이를 위해 그 동안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었다. 그러나, 기능중심교육과정이 특수교육에 도입된 이래 장애학생들의 기능적인 측면에 비해 장애학생들의 학습능력에 대한 평가적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고, 이러한 경향성은 특히 지적 발달이 열약한 정신지체나 정서장애 및 학습장애 영역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물론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한다는 것은 기능적 접근에 비해 매우 힘든 과제이며, 이러한 평가 결과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약점을 강조하게 될 위험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 결과가 곧 특수교육의 성과를 판단하는 결정적인 지표는 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평가가 어렵다는 이유로 발달장애학생들이 교실에서 배운 학습에 대해 자신이 어느 정도의 성취를 이루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면, 이는 곧 학교 교육의 불균형적 발전뿐만 아니라 교육의 중요한 단계에서 최소한 보장받아야 할 그들의 공정한 평가 기회에 대한 권리를 박탈하고 있는 것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이에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의 경우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장의 실태와 이에 대한 관련인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2005년도에 발달장애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본 지침 하에 이 연구는 크게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사조정의 효과 및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조사의세 영역을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먼저 평가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누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지원하는데 있으며, 교육과정중심의 사정에 의한 교사 중심의 간접 평가로 볼 수 있다. 두 번째의 주요 연구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검사조정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욕구와 능력에 따른 평가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전술한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이 교사 중심의 간접평가로 본다면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 접근은 학생 중심의 직접 평가로 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행된 검사조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 조사는 발달장애학생에게 직접 검사조정을 통해 평가를 실시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의 집단 간 차이 외에도 현장의 적용 가능성을 보다 신빙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4년에 실시된 검사조정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가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적용에 앞선 교사들의 기대치로 본다면, 2005년에 실시된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조사는 현장에서 직접 실시해 본 결과에 따른 실제적 인식 조하였다는데 그 차이를 둘 수 있다. 연구 규모는 유층표집에 기초하여 경기도 소재 10개 지역교육청의 241개 특수학급을 대상으로 초3 214명, 초4 259명, 초5 213명, 초6 186명 등 총 872명이 검사조정 실시 집단과 미실시 집단에 배치되었고, 인식조사의 경우 검사조정을 실시한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발달장애학생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누가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한국선진학교에서 고안한 평가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수학과 하위영역별로 평가내용을 재구조화하였다. 현재 7차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서 제시해 놓고 있는 목표들은 교사의 재량권을 최대한 부여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으나, 목표 제시 형태가 다소 추상적으로 기술되어 있고, 제시된 목표를 어떠한 과제 수행을 통해 평가할 것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그 활용성에 대해 적지 않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5개영역 다시 말해, 수, 연산, 도형, 측정, 표와 그래프에서 제시하고 있는 하위 영역별 및 수준별로 학교 현장에서 평가 가능한 내용들을 협력 교사들을 통해 우선적으로 선정한 뒤 이를 현장 교사의 검증 단계를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하나의 하위 목표 당 5개씩의 구체적인 평가 내용을 제시하였다. 현재 제작된 프로그램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시각적으로 쉽게 파악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누가 관리가 가능하며, 수학과 외에도 기타 교과에도 적용이 용이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평가 결과가 계량화되기 때문에 발달장애학생들의 현재 수행목표에 대한 기술이나 단기 목표의 설정 시 매우 유익한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학습 진도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의 활용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보다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활성화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 검사조정의 빈도와 분할 정도 및 검사조정의 효과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용된 검사조정의 빈도와 분할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초등부 3, 4학년의 경우 대독과 지시문 설명의 두 가지의 혼합형태에 대한 조정유형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초등부 5, 6학년들은 단일의 지시문 설명에 대한 조정 유형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생활연력의 증가에 따른 학습경험의 양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개인의 인지능력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할시험의 빈도는 전 학년에 걸쳐 ‘2회 분할 실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초 3의 경우 ‘3회 실시’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반해, 초등부 4, 5, 6학년은 ‘1회 실시’가 2순위로 나타나 저학년일수록 분할시험의 빈도가 높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분할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사조정 효과에 있어서도 전 학년 모두 수, 연산, 측정, 표와 그래프 영역에서 검사조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검사조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높은 정반응을 나타내었으나, 도형 영역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초등부 3, 4, 6학년의 경우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초등부 5학년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정반응이 높게 나타나 학년 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뚜렷한 인과관계는 구명하지 못하였으나, 이 연구의 경우 연구목적이 학년차를 보는 것이 아니라 학년별 경향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피험자의 선정 기준만 제시하였을 뿐 연구 결과에 형향을 미칠 수 있는 연령이나 지능 등의 외래변인들은 엄격하게 통제하지는 못하였다. 다시 말해 대상학생들의 선정 시 발달장애학생들의 다양한 개인내차와 개인 간 차를 충분히 고려하기에는 현실상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피험자 선정의 다양성으로 인해 평가 문항에 대한 검사조정 유형 또한 어떤 개인에 따라서는 부적절하였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현재의결과는 집단 배치에 따른 피험자들의 개인차와 평가문항의 독특성에서 귀인된 것으로 추론되며, 차후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한 재점검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 학년 모두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 대해 검사조정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정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개인 간 차와 개인내차를 고려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이 매우 유용하고 현실적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3. 검사조정 효과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용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에 있어 대부분의 현장교사들이 이번에 실시된 평가방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즉, 직적 평가를 담당한 교사들의 경우 기존 평가시스템에 비해 이번에 실시된 검사조정적 평가방법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이 수학과 기본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목표들을 어느 정도 달성하였는지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진술하였고, 평가에 대한 흥미도와 평가 시간의 단축, 평가의 수월성과 적극성, 평가문향에 대한 이해도, 문제해결력과 평가의 실제성에 있어서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외에도 검사조정적 평가 접근이 통합학급 내에 배치되어 있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고, 차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다양한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 방법들이 모색되고 실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취지와 활용방법, 검사조정 유형 및 분할빈도,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의 효과 및 검사조정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인식수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평가적 의미는 단순히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계량화한다든지, 어떤 서열 매김을 위한 차원을 넘어서 학교 교육의 책무성 강화와 더불어 개인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가 장애학생들의 여러 가지 신체적 ㆍ정신적 어려움을 이유로 이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을 간과할 경우 이는 또 다른 분리를 의미하며, 지금까지 특수교육에서 강조하여왔던 통합교육의 접근이 형식적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자인하는 결과로 밖에 볼 수 없다. 물론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어떤 체계적인 평가시스템이나 평가에 대한 심각한 고민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찰이나 자작 검사지, 체크리스트, IEP 등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고 점검하기 위한 현장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과연 이러한 평가 방법들이 학교 교육에서 어떠한 교육적 가치를 부여하는지 혹은 어떤 목적으로 활용되고 지원되어 왔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남을 수밖에 없다. 실제적으로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일 수 있으나, 이들이 장차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능과 지식 중 어느 하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은 평가 기회의 공평성과 더불어 이들이 장차 성인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그리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최소한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전술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의 경우 연구 목적과 연구 설계의 특성상 집단배치에 따른 피험자의 동질성을 제대로 확보하였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물론 피험자 선정에 필요한 단서 조항을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이를 통해 집단간 피험자들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동질성 확보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연구 설계가 요구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경우 검사조정을 통해 초등부 발달장애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성취도의 변화는 살펴보았으나, 중학부나 고등부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현재의 연구 결과를 그대로 반영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초등부 이상의 과정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을 통한 평가의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이 연구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조정의 평가효과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구명하였으나, 현재의 결과들이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개인 간 차와 개인내차를 고려한 일반화된 결과로 보기에는 어렵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의 능력과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 시 기초 정보로서는 유용하나ㅡ 어떤 학생들의 경우 현재의 연구에서 실시된 검사조정 방법외의 다른 대안적 평가 방법들이 요구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장애영역별 하위 특성에 따른 평가 방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목적에 대한 재정립과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가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개인을 서열화 하는데 적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평가 형식은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전혀 무익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적 접근은 개인내차에 초점을 두고 학생의 능력과 욕구에 근거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검사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어떠한 검사조정의 제공이 장애 개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역동적인 실천 또한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mathemat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test accommodation effects of this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7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72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400 students. 120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perception survey on test accommodation effec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after discussing teachers about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curriculum, five fundamental fields in the mathematical curriculum - number, operation, diagram, measurement, graph- were selected, verified by the teachers, and then modified. After that five evaluation contents were suggested per each lower objective. By using this program teachers could manage and evaluat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eadily and accumulatively. In addition, this program could enable teachers to develop IEP and describe students' achievements. Second, test accommodations that teachers used the most were to explain imperative sentences and read questions in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case of fifth and sixth grades, explanation of imperative sentences were use the most. Third, most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positive to test accommodation methods. This results suggested to develop various ways to evaluate mathematical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tinuously. This study also suggested to guarantee learning righ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reinforce teachers' accountability in the public education. At the same time, teachers should consider inter and intra-individual differenc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nally the steady endeavors to assess their performance and develop many kinds of useful way test accommodation are needed.

      • 고속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지문의 분류

        박신재,이정문,권용호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8 産業技術硏究 Vol.18 No.-

        Classification of fingerprints is one of the major subjects on which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for efficient identification, But fingerprints should be preprocessed in various ways prior to being classified. Factors such as the accuracy and the processing time should be considered in classified. Factors such as the accuracy and the processing time should be considered in classification of fingerpri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classifying fingerprints into several frequent patterns. This method consists of two stages. A fingerprint image is first converted to a skeleton form to find out the center. Then it is identified as a member of one of preclassified pattern by the frequency domain featur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quite useful in classifying fingerprints into typical patterns

      • KCI등재

        장골정맥 압박증후군 4 예 보고

        문인성,박장상,김용귀,문석일,고용복 대한혈관외과학회 1998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14 No.2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is a rare clinical condition in which left common iliac vein is anatomically compressed between right common iliac artery and the fifth lumbar vertebrae or pelvic brim. Patients usually have marked edema of the left leg. Although the actual incidence is unknown, this syndrome most affects women in the second to fourth decade of life. We report 4 cases of iliac compression syndrome treated by surgical intervention during the last fifteen-year period. Among them, two women have suffered from chronic intermittent swelling and pain of left leg, and two men had acute or subacute symptoms. The fibrous web in the entrance of left iliac vein into vena cava existed in one case. Including this one, two were treated by transposition of iliac artery or vein with thrombectomy. One was decompressed the arterial compression by mobilization or adhesiolysis of the surrounding vessles with thrombectomy. To the last one in which the distal common iliac vein was compressed by tortous dilated left internal iliac artery, transsection and ligation of the internal iliac artery was performed. All patients have experienced improved left leg condition after operation. except the last one in which suffered from thrombosis of left popliteal vein after the iliac decompression.

      • 긴볼레기말의 항고지혈증 효과에 관한 연구 : Triton WR-1339 주사에 의한 고지혈증 유발 생쥐의 간세포내 지방 축적 감소를 중심으로 Based on the Decreasing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Hepatocyte of Murine with Hyperlipidemia induced by Triton WR-1339

        박인식,안상현,정재만,강윤호,이해풍,서귀문,홍용기,김호현,김진택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9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7 No.2

        본 연구는 긴볼레기말 추출물의 항고지혈증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ICR 생쥐에 TritonWR-1339(TX) 복강주사로 인위적인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긴볼레기말 추출물(30㎎/㎏)를 복강주사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간세포내에서의 지방 축적 변화를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TX 주사후 그물구조의 세포질출 가진 간세포가 간엽 전체에서 관찰되었고, 일부 간소엽에서는 간세포 손상으로 인한 간세포판 소실이 나타났다. 또한 간세포내 지방축척도 증가하여 전체 간소엽의 간세포에서 지방의 과출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지방의 크기도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긴볼레기말 추출물 주사군에서는 그물구조의 세포질을 가진 간세포의 수가 TX 주사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대부분의 간소엽에서 정상적인 간세포판의 배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세포내의 지방 축적과 크기도 감소된 경향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해조류 긴볼레기말 추출물은 고지혈증이 유발된 생쥐 간세포 내에서의 과도한 지방축적을 감소시키는 항고지혈증 효과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Hepatic tissues of ICR mous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ed with Colpomenia bullosa(CB) Extract after Triton WR-1339(TX) injection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antihyperlipermic effect of CB extract for hyperlipidemic hepatic tissue caused by destruction of lipid metabolism. The hepatic tissues were obtained at hour-24, 48, and 72 after TX injection with CB extract treatment. And then these specimen were fixed in 10% neutral buffer solution and were cryocut. The tissue stained by H&E for general morphology and sudan black B for lipid distribution. The increase of hepatocyte having rneshlike cytoplasm were shown in all hepatic lobules after TX injection and the hepatic plates were disappeared in the region of meshlike hepatocyte aggregation, But the hepatocyte having meshlike cytoplasm were disappeared and hapatic plate were rearranged in CB extract injected mouse. The number of blue black colored lipid drop in hepatic cytoplasm of mouse injected with TX were increased and the size of lipid drop were enlarged. But the number of lipid drop in hepatic cytoplasm of mouse treated CB extract were decreased and the size of lipid drop were diminished. A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 caused by TX injection were mitigated by the antihyperlipidermic effect of CB extract.

      • 과도한 운동으로 발생한 횡문근융해증에 의한 급성신부전증 1예

        문철호,류보열,모성환,김태종,기장도,박용관,김용환,정종훈 조선대학교 199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0 No.1

        Rhabdomyolysis may be defined as a clinical and laboratory syndrome which releases muscle cell contents into the plasma, such as creatine phosphokinase, due to skeletal muscle injuries. It can be the result of many diverse causes including muscle disease, ischemia, genetic disorder, metabolic disorder, infectious disease, drugs, comatose state, trauma or vigorous exercise that can lead to acute renal failure as a complication. Since first reported in 1941, rhabdomyolysis-induced acute renal failure has been documented many times, and the major causes of this disease are carbon monoxide poisoning, snake bites, and etc in Korea Reports of acute renal failure after exercise-related rhabdomyolysis with myoglobinemia are rare. We report a case of acute renal failure caused by exercise-related rhabdomyolysis in a 20 year old man.

      • 페놀수지의 열처리 영향에 대하여

        朴冕用,李文壽,鄭求春 建國大學校附設 應用科學硏究所 1978 理學論集 Vol.4 No.-

        An infra-red absorption which is characteristics to the novolac resin is occurred at 1,000 ??, and this peak is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novolac phenol resin from resolic phenol resin. The relative intensities of infra-red absorption peaks at 813.01 and 751.88 ?? of novolac and resolic phenol resin sample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hanges for 60 min. at 140℃ and 120℃, but they were changed as a function of heat-treated time from 60 min. t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