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방언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 대학에서의 방언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권미소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talize Jeju dialect based on thorough analysis on usage and perception of Jeju dialect according to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A study based on survey of 160 students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who attended all twelve years of primary school using Jeju dialect about questions o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education and policy issues regarding Jeju dialect. First, 85.5% of survey provided positive response such as “friendly” and “warm”. When the next survey asked about preservation of Jeju dialect, 93.4% agreed on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Jeju dialect”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In regards to education of Jeju dialect, 92.6% provided positive response that dialect learning need to be provided through school education. Chapter three covers the current situation of Jeju dialect used in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Currently, Jeju National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courses under the name of “Understanding Jeju Dialect,” but the number of subjects is far short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interest in taking the course. Contents covered in the dialect courses are either overused or misled which leads to misunderstanding of dialect in various ways. In chapter four provided strategies on revitalizing Jeju dialect for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such as proper education on Jeju dialect, establishment of dialect education center, Jeju dialect expert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Providing essential liberal art courses by different level is also essential however all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need to be verified through specialized institutions. Finally, the university needs to implement a Jeju language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onal purposes. As the official public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need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eservation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After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with prop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Jeju dialect, they will be able to properly establish policies necessary for the Jeju region to further preserve the Jeju dialect by playing a leading role in Jeju Island. 이 글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제주방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제주대학교 재학생 160명에게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제주방언 교육, 제주방언 정책 문제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의 85.5%가 제주방언에 대해 ‘친근하다’, ‘정겹다’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제주방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2.6%가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으며 교육의 형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되기를 바랐다. 또 전체의 93.4%가 제주방언 보존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고, ‘제주방언 관련 콘텐츠 개발’, ‘제주방언 교육’의 형태로 정책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제주대학교에서는 ‘제주방언의 이해’라는 교과목명으로 방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과목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의 수에 비해 과목의 수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제주대학교 내 방언을 활용한 콘텐츠는 대개 자주 사용되어 식상해진 어휘를 활용한 것이거나 방언을 잘못 사용해 오해를 부를 만한 것들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주대학교 재학생을 위한 방언 활성화 방안을 대학 내 방언 교육, 방언 교육원 설치, 제주방언 전문가 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방언 교육은 단계별, 수준별 필수 교양 교과목을 설치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대학 내 제주방언과 관련되어 생산되는 콘텐츠나 교육 자료 등은 제주방언의 쓰임을 검토, 감수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을 통해 검증받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제주대학교는 거점 국립 대학으로서 제주방언의 보전과 연구, 교육에 대한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제주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이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를 담은 제주방언을 정확히 인지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나아가 제주도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濟州大學校 卒業生의 就業問題와 그 對策

        徐庚林,金斗和,朴泰秀,姜東植 濟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89 學生生活硏究 Vol.11 No.-

        오늘날에 있어서의 職業의 意味는 생계유지의 수단이 됨과 동시에 자아를 실현하고, 심리적인 만족을 느끼며 능력을 발휘하는 터전으로 본다. 이런 의미에서 濟州大學生의 職業觀은 비교적 건전하다고 할 수 있다. 직업을 갖는 목적으로 경제적 안전(36.8%), 일을 통한 자아실현(33.2%) 에 상당한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자아실현의 의지가 남학생보다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자립할 수 있는 직업을 이상적인 직업으로 보고 있는 점, 직업선택 기준을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가 적성 및 흥미에 두고 있는 점에서 제주대학생들의 직업관은 현실과 이상을 적절히 조화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말 할 수 있겠다. 卒業生들의 就業實態를 보면, 공개모집을 통해 취업하는 경우가 많고(43.8%), 직업도 전공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71.5%). 전적경험도 적고(80.6%), 직무의 만족도도 비교적 높다. 다만 轉職을 희망하는 경우(25.6%) 가 많은데, 이것은 在學時에 취업준비가 미흡했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在學生들의 就業準備 常態를 보면, 거의 다수가 취업준비를 하지 않고 있으(75.2%), 3학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시작하고 있다(41.5%). 제주도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제주대학생들은 타대학 학생들보다 한 발 앞서 취업준비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인데, 그렇지 못하고 있다. 在學生들의 就業選擇 要件을 보면, 전공하과 선택동기로 적성 및 흥미검사 결과와 취업 전망을 들고 있으며(66.6%), 직업과 전공학과와는 관련이 있어야 하고(84.4%), 기업체의 직원 채용은 공개모집을 희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대학생들의 직업데 대한 의식이 매우 건전함을 말해주고 있다. 在學生들의 就業 相談 對象을 보면, 친구·선배, 가족, 등에서 주로 의지하고 있으며, 취업정보도 선배나 홍보매체를 통하여 얻고 있다. 이것은 앞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대학이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在學生들의 學敎에 바라는 事項을 보면, 학교 당국의 취업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들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취업정보 자료 제공, 직업관 확립 오리엔테이션, 지도교수의 취업지도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재학중에 취업준비상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말해 준다. 결론적으로, 濟州大學生들의 就業觀은 소박하고 건전하지만, 평상시에 진로교육이 없고, 취업준비도 모자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학교 당국도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 of employment by investigating the sense of occupation of the undergraduates and the state of employment of the graduates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ncludes 624 undergraduates and 242 graduates, and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are the sense of value of occupation, the state of employment, readiness for employment, requisites for the selection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consultation on employment, relation to this university after graduation, relation to alumni in the work place, and the matters that they expect of this university.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sense of value of occupation, the purposes of jobs are economic stability(36.8%) and self-realization through work(33.2%), and the tendency to commence work for self-realization is more apparent among girl students than among boy students, the criteria of selecting occupation are aptitude and interest in work. In terms of the state of employment of the graduates, many graduates are employed through public invitation(43.8), and their jobs agree with their majors(71.5%). They don'ts change occupation (80.6%), and they are comparatively content with their jobs. In terms of the readiness for employment of the undergraduates many students are not ready to be engaged(75.2%), and they start preparing for employment in the junior year(41.5%). In terms of the criteria of selecting occupation, the motives for choosing majors are aptitude, interest and the prospect for employment(66.6%). The students hope that occupation will be related to majors(84.4%), and that they will be employed by public collection. Then generally depend on friends, seniors and family members for the consultation on employ ment. They also gather information of employment from friend, seniors and mass media. This shows that the university authorities are not active in finding jobs. In terms of the matters that the students expect of the university, they desire the school authorities to devise a plan for employment, to provide information on employment, to orient themselv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ir views of occupation and to have academic advisors guide in finding occupation. The planes for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employment guidance of this university should be unified The Financial Aid Office in the Office of Student Affairs and Section of employment Guidance in the Student Guidance Center, which are concerned with finding jobs, should have organic correlation with each with each other, yet they should be merged into the Employment Guidance Section of the Student Guidance Center for the publication of employment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for the operation of employment materials, and for the relation with the consulting room. Second the operation of employment morgue should be activated. At the present time, the Student Guidance Center of this university has no employment morgue. However, an employment morgue should be set up and operated to provide students with information of rapidly changing occupation such as the structure of jobs, the tendency of employment, new kinds of jobs and the condition of work. Third, early education of the readiness of employment is needed. Most students of this university start preparing for employment in the junior year, which gives difficulty in finding jobs, considering the regional condition. According, early education of occupation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activities of aptitude tests, educating the sense of occupation, seminars on part-time jobs and occupation, special lectures on finding jobs, and the study by inspection. Fourth, strong ties with the institutes concerned should be established. Close relation should be preserved with the related section of government and the various social bodies and companies as well as with the relation of this university to facilitate employment through continuous exchange of information. Fifth, relations with the employed alumni should be reinforced. Advices can be obtained on the understanding of occupation, attitude toward jobs and employment guidance by close relations with the employed alumni, and seminars or social meetings should be held for these advices.

      • KCI등재

        제주형 대학 통일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제주대학교 '통일교육론' 수업설계안을 중심으로

        박성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plan for Jeju-style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to be applied to classe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t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Jeju region has a relatively high level of peace and unification consciousness compared to other local governments, as the tangerine sending project, which was the beginning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was carried out in the past. Based on the newly amende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ct as a result of the 2018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regional-base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are actively underway. Accordingly, the need for Jeju-type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s a regional-bas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as emerged in Jeju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meet the flow of regional-based unification education by presenting a design plan for unification education specifically targeting college students in the Jeju area.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emphasize the need to reflect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in unif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hile examining educational philosophical method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uch as constructivism and facilitation. Based on this, in the second half of the thesis, I will propose a topic-oriented project lesson plan that can interpret Jeju's unique resources such as its historical resources, tourism resources, and status as an island of world peace from a new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제주형 대학 통일교육 방안을 구상하는 것에 있다. 제주 지역은 과거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시초격인 감귤 보내기 사업이 진행되었던 만큼 평화⋅통일의식이 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결과로 새롭게 개정된 남북교류협력법에 의거 지역 기반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제주 역시 지역 기반의 평화⋅통일교육인 ‘제주형 통일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제주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일교육 수업설계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지역 기반 통일교육의 흐름에 부합하고자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 통일교육에 있어 사회적⋅교육적 변화를반영할 필요성을 역설하는 한편, 구성주의 및 퍼실리테이션과 같은 대학생들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철학적 방법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논문의 후반부에는 제주가 가진 역사자원, 관광자원, 세계 평화의 섬이라는 지위등과 같은 독특한 자원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주제중심의 프로젝트 수업계획안을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특권화와 문화 화석화를 넘어서 - 타자의 시선으로 본 제주학 -

        김성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08 탐라문화 Vol.0 No.33

        This Study purposed to present a direction and a subject on Jeju-do on the basis of the eyes of others except the Jeju-do people. Jeju has a valuable property to carry out a regional science besides area studies. That is because a myth or a shamanism such as 'Bonpuri' is still alive in the people's lives and the issues in the modern history such as '4 · 3 Resistance' are maintained variously with changed forms like '4 · 3 literature'. So, it has not to be satisfied to a local privilege like a narrow regionalism and an exclusive local patriotism. In addition, it would be inadequate to be satisfied to a collection and a maintenance of the original forms with disregarding the sharply changed reality through adhering to a special language only in Jeju and a folk speciality. That's because there are risks to fossilize the live culture such as curios exhibited in museums. Besides taking pride of the greatness of collected materials, we have to enlarge the meaning of studies and purpose to make a general theory like 'the fourth world literature theory'. There can be some problems in emphasizing the sense of independence such as a member of Jeju study or Jeju people. If we emphasize a birth place, a residence sense or a local patriotism too much or addict to an egotism, we cannot promise the development of studies and the number of researchers can decrease. Jeju science has to aim at the present progressive form of Jeju to carry out an urbanization and de-modernization rather than be satisfied to the past Jeju. Then, it can achieve a real Jeju science when leaving from Jedu-do. 이 논문은 제주사람이 아닌 타자(他者)의 시선으로 제주학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제주는 지역 연구를 넘어서 지역학(regional science)을 펼치 기에 좋은 자산을 갖고 있다. ‘본풀이’ 같은 신화, 무가가 생활 속에 살아있고, ‘4.3항쟁’ 등 현대사의 쟁점도 ‘4.3문학’ 등으로 변주되어 다양하게 향유되기 때 문이다. 그런 만큼 편협한 지방주의와 배타적 향토주의 같은 지역 특권에 안주 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제주만의 독특한 언어, 민속의 특수성에 집착하여 급변 하는 현실을 외면하고 자료를 과거의 원형대로 수집, 보존하는 데 만족하면 곤 란하다. 살아있는 문화를 박물관에 전시하는 골동품처럼 화석화시킬 위험이 있 기 때문이다. 수집한 자료가 훌륭하다고 자랑하는데 그치지 말고, 연구의 의의 를 확대하여 ‘제4세계문학론’의 선례 같은 보편이론화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 제주학의 담당자 또한 제주사람이라는 주체의식이 강조되는데, 약간의 문제가 있다. 출신과 거주의식, 애향심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자기중심주의에 빠지면 학문의 발전을 기할 수 없고 연구자 풀이 줄어드는 만큼 경계해야 한다. 제주 학은 이제 과거의 제주에만 머물지 말고 도시화, 탈근대화가 진행되는 현재진 행형의 제주까지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제주를 벗어나야 진정한 제주학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구한말 제주 문인 해은(海隱) 김희정(金羲正)의 삶과 문학

        김새미오 ( Kim Sae-mi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본고는 구한말 제주 지식인 해은 김희정의 삶과 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은은 제주도 조천에서 태어난 구한말 제주지식인이었다. 그의 집안은 이속층이었지만, 후에 유림층으로 성장하였다. 해은은 제주도에서 여러 사람들에게 교육을 받았다. 그러다가 제주도에 유배온 면암 최익현을 통해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을 익혔고, 이후 `화서-면암`의 학통을 계승하는 제주도의 대표인물로 성장한다. 해은문학의 특징은 세 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면암 최익현을 만나 제주에서 화서학맥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제주도 지식인 중에서 해은처럼 학맥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화서학맥과 노사학맥의 경우 밖에 없었다. 두 번째는 제주 교학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조선말기로 오면서 제주도의 삼천서당·귤림서원과 같은 전통적인 교육기관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해은은 삼천서당에 노봉흥학비를 세우고, 오현단에서 오현에 대해 제사를 지내면서 그 역할을 제고하였다. 이는 당시 제주사회의 사표이자리더로서 해은이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제주사람에 의한 교학 활동이었다는 점 역시 중요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유배인을 중심 교학활동과는 분명한 차별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제주자연에 대한 형상화를 들 수 있다. 해은의 「한라산기」는 한라산을 오르는 흥과 함께 당시 암울한 시대상황이 같이 서술되어 있다. 이는 면암최익현의 「한라산기」를 문학적으로 계승하는 성격을 지닌다. 해은의 「영주십경」은 매계 이한우의 문학을 계승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제주 자연에 대해서는 기존에 많은 문인들이 품제한 바 있다. 해은의 품제는 제주 사람이 직접 읊었다는 것 외에도 전대의 문학적 성과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이 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ork looks into the life and literature of scholar Haeun Kim Hee-Jeong, native to Jeju. Haeun was born in Chocheon, Jeju Island in the late 19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e social location of his family initially belonged to the category of Isok (lower managerial administrative class during the Chosun period); and later climbed up to the Confucius scholar class. Haeun learned from many people in Jeju Island. Later on, he learned Seongri Confucius teachings and the thoughts Wijung Chuksa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from Myunam Choi Ik-Hyun who was exiled to Jeju Island; and finally grew into a central figure for succeeding the scholarly lineage of Hwaseo-Myunam. We can find three characters from the literature of Haeun. Firstly, he succeeded the scholarly lineage of Hwaseo through his meeting Myunam Choi Ik-Hyun in Jeju. I have so far identified that Hwaseo and Nosa School are only those whose scholarly lineage is succeeded by a scholarly figure such as Haeun. Secondly, he was actively participated in teaching activities in Jeju. Approaching the end of Chosun period, the longsta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amcheon seodang and gullim seowon did not play well their due role. Haeun revitalized the role by establishing the scholarly statue of nobongheung and by observing Confucius ceremonies for Ohyun (five confucius scholars) at the altar of Ohyun. This all indicates that Haeun was the example and leader in Jeju society. This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teaching activities were made by a Jeju Island native. This kind of academic activities is clearly different from what was made by those exile to Jeju Island. Thirdly, Haeun tried to describe and appreciate the Jeju Island` nature in his writings. Haeun`s manuscript, climbing Halla Mt well described both the uplifting mood of climbing Halla mt and dark socio-political situations at those times. His writing holds a character for succeeding the Myunam Choi-Ik Hyun`s writing of Climbing Halla. Haeun`s writing of Youngjushipkyung (meaning, ten beautiful sceneries of Jeju) holds its significance in succeeding the literature of Maegyeo Lee Han-Woo. Numerous writers had appreciated the nature of Jeju Island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ir literature. The appreciation of Haeun for Jeju Island`s n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a Jeju Island born writer and it develops further achievement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제주도 이주의 현황과 전망

        김민영 ( Min Young Kim ),최현 ( Hyun Cho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50

        2011년 이후 제주 인구는 급속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제주 사회 내 변화가 급속하게 일어나는 데 반해 변화를 야기하는 제주 이주를 체계적이고 총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할 뿐 아니라 제주 이주에 관한 실태조사도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제주 이주와 관련한 기초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제주의 인구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주 이주 현황을 고찰하였다. 2010년까지 제주 지역의 일반적 인구이동 현상은 제주시 동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집중현상을 보였는데 제주 이주는 비교적 도시와 농촌 지역에 골고루 이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장년층과 10대 이전의 인구의 증가률이 높아 가족 단위로 이주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11년 이후 매년 1만에서 2만 명 정도의 외지인들이 제주에 이주하면서 급속한 인구변동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주 이주의 유형을 (1) 귀농.귀촌 정착, (2) 창업 정착, (3) 문화.예술 정착, (4) 기업이전 정착, (5) 교육 정착 다섯 가지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기업이전 정착과 교육 정착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에서 제주 이주가 탈물질주의적 가치와 관계가 있고 이러한 유형의 이주가 현재 제주 이주의 주요 부분이었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경제 성장을 주요한 가치로 두고 발전해 왔다. 한국의 주요한 가치는 성장주의와 시장주의로 자리매김하였고 이는 다른 삶을 살기 위해 떠나는 사람들을 만들어 냈다. 성장주의와 시장주의가 주류를 자치하는 한국의 현실은 탈물질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는 제주 이주와 대립한다. 따라서 한국사회의기존의 성장주의와 시장주의 체계를 급변시키지 않고 제주가 환경적 우위를 유지하는 한 당분간 제주 이주는 지속될 것이다. The Jeju population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11, and there have been numerous profound changes in Jeju society. Yet systemic research on domestic immigrants in Jeju is not available. Therefore, we make an effort to review and prospect domestic immigration by collating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references in this paper. In doing so, this paper shortly demonstrates recent migration trends in Jeju and considered the realities attached to it. By 2010, Jeju population tends to concentrate in “dong”(administrative districts) of Jeju city, while the number of migrants at rural places is similar to those at towns. The proportions of middle-aged adults, and children under 10 were higher than other ages. This higher migration rates mean migrants moved to Jeju with families.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brings a number of changes in society. Jeju population has gradually increased by about one or two million migrants every year since 2011. So, Jeju is facing demographic change. This paper categorized migrants into five types as (1) those who return to farming or rural life (2) small business owners (3) cultural workers (4) employees on secondment (5) students. In this typology, the former three types are the main groups of migrants. With the exception of employees on secondment and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tion to Jeju is related to non-material values. After the Korean War South Korea has adopted policies that have stimulated economic growth and achieved rapid development. “Developmentalism(ideology regarding economic development as the most important goal of a society)” and “marketism(discourse for marketization)” have became the core value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growing numbers of migrants have moved to Jeju in order to resist against marketism and dream another life. The core values of South Korea are contrary to the non-material values of internal migration flow. Jeju must continue addressing demographic change for the present.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 사회 통합과 제주어

        강영봉 ( Young Bong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제주 사회 통합을 위하여 제주어의 기능과 역할을 실증적으로 살 피고 있다. 논의의 출발은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라는 점, ``언어는 에네르게이아((energeia)적 요소``라는 점, 그리고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면 그에 대응하는 생 각이나 행동도 다르다``는 언어상대성가설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사회 통합과 관련한 언어적 변인으로 방언에 대한 태도, 세대 차이, 지역적 차이를 들고, 그 변인에 따른 현상을 살폈다. 방언에 대한 태도는 예전에 비해 부정적인 견해가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자기 방언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하면 세대 간 차이는 심각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 문화와 관련하여 22개의 어휘를 살핀 결과, 전체적으로 22개 모든 어휘의 생태 지수는 50% 미만이었다. 세대에 따라 어휘 사용 빈도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지역적 차이도 발견되지만 이는 세대 간 차이보다는 덜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주 사회 통합을 위해서는 방언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며, 제주 어 교육 강화, 제주 어와 표준어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이중언어 생활을 할 때 제주어가 살아 있는 언어가 될 수 있게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주 사회 통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리라는 확신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mpirically explores the functions of the Jeju dialect to unify Jeju`s society. The argument starts from the premises that "language is a social contract," "language is energeia", and the linguistic relativity hypothesis that "differences in language lead to differences in experience and thought." Attitudes towards the dialect, generation differences, and regional differences are taken as linguistic variables regarding the social unity, and the phenomena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are examin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dialect tend to alleviate, and males are more favorable to the dialect than females. Compared to this, generation differences show serious aspects. The result from exploring 22 words regarding Jeju`s culture found that overall ecological index of all 22 words was below 50 percen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e among generations, which has to be overcome in the future. Regional differences were also found, but they were less serious than generation differences. In order to integrate Jeju`s society, paradigm shifts in the perception of the dialect are needed. The Jeju dialect can be a living language when the Jeju dialect education is strengthened and bilingualism (the Jeju dialect and standard language) is accepted in the social contexts.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어 문학"의 위상과 가능성 -양전형의 『허천바레당 푸더진다』를 중심으로

        이성준 ( Sung Jun Yi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제 주어 시집``이 일곱 권이나 발간되었으나 이에 대한 관심이나 연구가 부족 한 실정이다. 제 주어 시집들이 얼마간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에 대한 평가와 정리가 절실하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제주 어 문학``의 위 상과 가능성을 양 전형의『허천바레당 푸더진다』에서 찾아봤다. 이 논문은 ``제주 어 문학``에 대한 필자의 두 번째 연구인 셈이다. 양 전형의 텍스트는 선행텍스트들과는 유다른 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텍스트 들이 1960년대나 그 이전의 제주·제주의 상황을 서술하고 있다면, 양 전형의 텍스트는 현재적 관점에서 현재적인 제주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현재의 재현이라 는 관점에서나 독자와의 상호교통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구술성과 문자성을 결합하여 제주어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한편, 시각과 청 각·촉각 등을 활용하여 공감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술 성이 강조되는 지역어의 특성을 살리는 한편 지역 어를 문자로 보전하려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지역 어 문학에 자극제 역할을 한다. 구성방식과 서술기법의 독자성도 눈에 띈다. 이 텍스트에는 거시담론이 존재 하지는 않지만 텍스트 전반을 파악해보면 거시담론을 지향하고 있음이 드러난 다. 평범한 제주인의 삶과 의식을 모자이크식으로 처리하여 제주·제주인의 의식을 드러냄과 아울러 우리나라 농촌의 현재적 모습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거대담론을 지향한다. 또한 한시(漢詩)의 구성방식인 선경후정(先景後情)을 변형하여 반전과 지연, 긴장감을 확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제주어의 구사, 선행 텍스트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 자기만의 독창적인 시 세계를 확보했다는 점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런 특성들을 감안할 때 이 텍스트는 ``제주 어 문학``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게 하고 그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단순히 제주 어 시집에 대한 평가라는 차원을 넘어 세방화의 관점에서 지역문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We have seen seven books of poetry written and published in Jeju dialect but little concern or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m. While raising some questions, I have tried to evaluate and arrange some points in this essay. Starting from this point of view, I have studied one of them, "허천바레당 푸더진다(Look Out, Otherwise You Will Fall Down)" by Yang Jeon-hyung. This is my second study on the literature written in Jeju dialect. I have noticed that Yang has achieved a particular skill in writing his texts, compared to previous works done by other poets who used to depict the situations of Jeju of 1960s or before the period. However, Yang chose to see and depict Jeju in present point of view. It is meaningful to see that he revives the current topics helping readers understand his texts easily. He tried to employ as many oral expressions as possible, thus enabling readers to experience synesthesia covering senses of sight, hearing, touch, smell, and taste. It is stimulating to find that his works revive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s and put them into printed texts as well. We can hardly find a macro-discourse in his text. However, general text is found searching for it through micro-discourse. It is significant to see him revealing the Jeju people``s way of thinking through the plain life of them as well as describing the current features of Korean rural life in general It is noticeable that he employs the principle of ``first-scenery last-sentiment``, a common technique when writing Chinese poetry, to maintain tension through turns and delays of events. It is highly evaluated that he uses a perfect Jeju dialect and feels free from the pressure of precedent text leading him to create his own world of poetry.

      • 대학 다문화교육 현황과 방향 모색- 제주대학교 다문화교육 강좌 운영 및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태도 분석

        염미경,김민호,권상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rough a case of J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and the attendees’ activities in the course, 2015. This result of this study shows some implication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were taken by the high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and the students with the idea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fter t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take greater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Secondly, Jeju National University has not established multicultural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tudent teachers college students, so a kind of multiculural education courses are offered. Thus, diverse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multiculture need to be opened inside and outside of univers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ulticultural programs and activ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in conjunction with their local community. 이 글에서는 대학다문화교육의 현황을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주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전체 다문화교육 강좌, 즉 일반교양과 교직 강좌를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에 대해서는 수업활동내용 고찰과 함께 수강 학생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조사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교양 다문화교육 강좌 수강을 통해 학생들은 다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고, 강좌 수강 후 다문화 관련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학생들이 많아졌으며, 학생들의 다문화 관련 인식과 태도도 강좌 수강 후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준다. 다음으로 제주대학교의 경우 초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운영 중이나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는 아직 개설되지 않은 상태로 중등예비교사 대상 다문화교육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