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1b 병기의 신세포암에서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대한 연구

        오승용, 김영원, 윤형윤, 서성필, 이상근, 김원태, 윤석중, 이상철, 김원재, 김용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4 忠北醫大學術誌 Vol.24 No.1

        연구목적: T1병기의 국소신세포암(localized clear-cell renal cell carcinoma)은 근치적신적출술이 나 부분신절제술이 표준치료이며 수술 후 타 병기에 비해 양호한 예후를 보인다. 하지만, 많은 수의 환 자에서 추적관찰 중 재발 및 사망이 발생하는데, 이는 T1b 병기에서 더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국소신세포암 중 T1b 병기의 신세포암에서 표준적 치료 후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주는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11년 까지 5개 기관에서 근치적신적출술이나 부분신제술을 시행 받은 3567명의 국소신세포암 환자들 중 병리학적 병기가 T1b로 확진 된 7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가 가지는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 [연령, 성별, 고혈압, 당뇨, 비만도,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수행도, 증상유무, 수술방법, 종양크기, 분화도, 조직학적 형태 등]을 이용 하여 환자의 예후 [무재발생존율(relapse-free survival), 암특이생존율(cancer-specific survival) 및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은 34.0개월 (중앙값, 0-152개월)이었으며, 이 기간 중 재발, 사망 및 암특이사 망은 각각 72례 (10.3%), 57례 (8.1%) 및 24례 (3.4%)에서 발생하였다. 단변량 및 다변량 Cox 비례위험회귀분석에서 다양한 인자들이 무재발생존율(당뇨 유무, 종양크기 및 Fuhrman등급), 암특이 생존율(나이, 체질량지수, 당뇨 유무, 종양크기) 및 전체생존율(나이, 체질량지수, ECOG 수행도, 종 양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적 예후인자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국소신세포암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추적관찰을 통하여 재발을 조기에 발 견한다면 이들의 생존율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문제목록별 비뇨기과적 진단

        윤석중,서정원,이재원,김용태,이현무,채수일,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병원을 찾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어떤 증상이나 징후 등을 주소로 호소하면서 의사를 찾게되나 이들을 대하는 의사들의 의학지식의 대부분은 최종 진단명을 중심으로 한 질병에 대한 이해나 접근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환자의 문제목록에 따른 감별진단을 위한 임상자료가 있다면 환자 진료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입력되는 진료 기록에 문제목록 까지 포함시킴으로써 마치 Problem Oriented Medical Diagnosis(POMD)와 유사한 방식의 운용이 가능한 환자관리프로그램인 비뇨기과 환자 관리체계(Chart Management System for Urology : CMSU)를 이미 개발하여 1991년 7월 20일 충북대학교 병원 개원일로 부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1992년 1월 1일 부터 1994년 12월 31일 까지 만 3년간 충북대학교 병원 비뇨기과에 입원한 환자들의 입력자료를 토대로 입원 당시의 문제목록들이 퇴원 당시 결국 어떠한 최종 진단명으로 밝혀졌는가 하는 관계를 통계 처리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성인군에서는 측복통이 12.9% 및 배뇨증상과 관련된 문제목록들이 41.0%를 차지하였고 이와는 달리 소아군에서는 고환 및 음낭질환과 요도구 이상이 전체의 69.0%를 차지하여 성인군과 대조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성인군에서 12.9%로 문제목록 1위인 측복통이 소아에서는 3.6%로 7위의 소견을 보여 성인군과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향후 이 자료를 토대로 앞으로 새로 대하게 될 환자들에 대해서는 우선 문제목록 위주로 체계적인 감별 진단을 시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뇨기과 환자 진료의 효율을 향상시켜 보고자 하였다. Most of the patients who visit to hospital that presented with chief complaint including some symptom and sign to the physicians, initially. But the most of acknowledgement of the physicians is familiar to the approach and understanding about a certain diseases based on final diagnosis other than problem oriented approach. On this of situation, if there are clinical data for differential diagnosis based on problem lists of the patients, it is helpful for the physicians to manage the patients. Therefore, we collected data that the problem lists on admission was matched a certain final diagnosis on discharge using Chart Management System for Urology(CMSU) program, which is include problem lists to the patients information inputs for 3 years from opening day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demostrated that in adult group flank pain and voiding related problems occupied 12.9% and 41.0% respectively ; in pediatric group scrotal problems with testis and abnormal urethral opening occupied 61.8%. Interestingly, Flank pain was ranked on leading problem in adult group(12.9%), but ranked on 7th problem in pediatric group(3.6%). These results suggested different pattern in problem lists between two groups. In the future, we should be facillitate efficient patients management through systemic differential diagnosis according to problem lists based on these data.

      • 실험 방광 종양화과정에서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의 발현

        김원재,송형근,이현무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2 忠北醫大學術誌 Vol.2 No.1

        Fisher 344백서에 0.1% N-butyl-N-(4-hydroxybutyl) nitrosamine(BBN)을 투여하여 방광에 단순과증식(simple hyperplasia ; SH), 결절성 혹은 유두상 과증식(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 ; NPH) 및 표재성 방광암(Ta, T1)을 유발시킨 후 개개의 단계의 증식성의 차이를 보고자 후기 G1 phase, S-phase 및 전기 G2/M phase를 반영하는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cyclin)에 대한 anti-PCNA/cyclin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세포의 labeling index(LI)를 구하였다. 정상,SH,NPH,Ta 및 T1에서의 LI는 0.76±2.71,4.52±7.74,10.55±17.99,16.97±18.66, 17.04±16.10이었으며, grade I이 14.54±16.21, grade II가 19.30±16.74이었다. 방광암의 종양화 과정이 진행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LI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또한 분화도가 나빠질수록 LI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종양의 경우 즉, Ta와 T1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4)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 세포분화도상 비슷한 병기의 표재성 종양이기 때문에 LI의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같은 세포역동학적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종양의 병기보다는 개개의 세포의 생물학적 악성도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 같다.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cyclin is a cell-cycle-regulated protein, which can be demonstrated in routinely fixed specimens. The expression of PCNA/cyclin was investigated immunohistochemically in BBN induced rat bladder tumorigenesis using anti-PCNA/cyclin monoclonal antibody in embedded tissue fixed with formalin. Sequential cellular changes(normal, simple hypernlasia, 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 and transitional cell carcinoma-Ta, T1) were observed in rat urinary bladder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BBN administration. The PCNA labeling index(LI)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PCNA labeled cells in the corresponding tissue section. The average PCNA LI obtained using this method in normal, simple hyperplasia(SH), nodular or papillary hyperplasia(NPH), and bladder tumor(Ta, T1) was 0.76, 4.52, 10.55, and 17.01(16.97, 17.04), respectively. Also, higher PCNA LI was found in grade II compared to grade I. Higher PCNA LI indicated greater biological malignancy based on the fact that mean LI progressively increased with tumorigenesis. However, mean LI at Ta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at of T1, which implied that Ta might reflect similar cellular characteristics as a superficial bladder tumor.

      • 진성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서 복강경하 방광경부현수술의 유용성: 타술식과의 비교 연구

        김용태,엄민식,이석영,신관희,서정원,윤석중,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진성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법으로서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을 타수술법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진성 복압성 요실금을 주소로 본원 비뇨기과에서 수술을 시행받은 44명의 환자를 수술법별로 분류하여 수술법에 따른 성공률, 수술 시간, 입원 기간 및 합병증의 빈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수술 성공률은 86.4% 였으며 이들 중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군에서는 성공률이 100% 이었다.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군은 타수술군에 비하여 입원 기간이 짧았다.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군은 합병증이 매우 경미하였으며 전체 환자의 31.8%에서 단기간의 배뇨곤란을 호소하였으나 장기간의 배뇨곤란은 없었으며 슬링 수술군에서는 3례(16.7%)에서 심한 절박성 요실금을 호소하였다. 결론: 복강경을 이용한 Burch 수술은 높은 치료 성공률과 낮은 합병증의 빈도를 나타내어 진성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에서 매우 우수한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as a treatment of genuine stress incontinence compare to other anti-incontinence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success rate, operation time, admission day, and complication rate of various anti-incontinence operations in 44 genuine stress incontinence patients who have been received operation in our hospital. Results : Overall success rate was 86.4%, but laparoscopic Burch coposuspension showed 100% success rate.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required shorter admission day compared to other anti-incontinence oparations.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group. Short-term voiding problems were identified in 31.8% of total patients but 3 patients(16.7%) who have received sling operation complained severe urge incontinence. Conclusion : Laparoscopic Burch colposuspension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surgical method for genuine stress incontinence due to high success rate and low complication rate.

      • 방광암의 기초 연구 방향

        김원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1 忠北醫大學術誌 Vol.1 No.1

        인체 방광암은 고분화이면서 자주 재발하는 표재성 종양에서 미분화의 침윤성 종양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성질을 가진 종양이다. 따라서 여러형태의 종양 모델이 개발되었고 이같은 발암 현상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종양유발 및 진행과정을 관찰함으로써 방광암의 자연 경과를 간접적으로나마 밝히게 되었다. 실험적 방법이나 임상 연구를 통해서 방광이행상피세포암을 고분화 재발성 종양과 미분화 침윤성 종양으로 구분한다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따라서 1) 표재성 종양을 경요도절제술후 재발을 방지하는 것, 2) 표재성 종양의 악성 진행시 이를 일찍 발견하는 것, 3) 침윤성 방광암의 치료법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 오늘날 방광암의 실험적 연구의 주된 목표인 것이다. 방광종양을 실험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같은 형태의 임상연구에 비하여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그 이유는 개개의 연구기관마다 각기 다른 연구 목적과 얻고자하는 목표의 우선 순위, 연구자의 경험, 능력 및 지식 정도에 따라서 매우 산만할 수도 있고 개인적 취향에 의해서 객관성을 상실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방광암의 실험적 연구"에 관하여 많은 경험을 가진 연구가의 결과와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방광암 연구의 지침을 요약하고자 한다. To define a true consensus with regard to basic research into bladder tumor is more difficult than equivalent clinical studies, because basic research is usually a more diffuse and individualistic discipline, with aims and priorities varying from one center to another. The major challenges in research for bladder tumor are to identify and remove environmental causes and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bladder tumor, and to understand the natural history of bladder tumor and to further develop treatments for bladder tumor. Human bladder tumor is actually a spectrum of neoplasm of neoplasms ranging from a low grade, frequently recurring superficial tumor to a deeply invasive cancer of high grad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ese two types of bladder tumor. The following three point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bladder tumor research today : 1) Preventing intravesical ectopic recurrences after TUR of superficial bladder tumor, 2) early detection of malignant progression in superficial bladder tumor, and 3) improving treatment of deeply invasive bladder tumor.

      • OGGI 유전자의 다형성이 방광암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정필두,정춘구,서정원,윤석중,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 손상된 유전자의 회복은 암의 발생 및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잘못된 염기의 제거 및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OGGI 유전자의 다형성이 방광암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광암 환자 168명과 건강인 672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genomic DNA를 이용하여 SSCP (single-strande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direct DNA sequencing 및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방법을 통해 환자 및 대조군사이의 OGGI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건강 한국인에서 OGGI 유전자의 유전형을 조사한 결과 econ 6의 Pro324Pro 부위(lb type)와 exon 7의 Ser326Cys 부위 (la type)에 유전자의 다형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Codon 324는 silent polymorphic site였으나 codon 326은 C→G로 nucleotide가 바뀌어 amino acid가 serine→cysteine으로 바뀌는 polymorphic site였다. 대조군에서 codon 326은 Ser326Ser 형이 127례 (18.9%), Ser326Cys 형이 363례 (54.0%) 및 Cys326Cys 형이 182례 (27.1%)이었으며, 168명의 방광암 환자군에서는 Ser326Ser 형이 44례 (26.2%), Ser326Cys 형이 87례 (51.8%)이고 0ys3260ys 형이 37례 (22.0%) 이었다(p=0.034) 즉 Cys326Cys 형 및 Ser326cys 형에 비하여 Ser326Ser 형에서 방광암이 생길 확율이 1.52배 (95% CI=0.439-0.969) 높았다 특히 40세 미만의 남자의 경우 Ser326Ser 형에서 방광암 발생확률이 다른 유전형에 비하여 6.1배 높았다. 결론: OGGI 유전자의 유전형은 서구인과 판이하게 달랐으며 방광암에서는 이 유전자의 변이가 빈번할 뿐아니라 codon 326의 Ser326Ser 형에서는 다른 유전자형에 비하여 방광암이 발생할 확률이 1.5배 이상 높았다. 특히 한국인 40세 미만의 남자에서는 방광암 발생확률이 6배이상 높았다. 본 연구결과 OGGI codon 326의 유전적 다형성은 방광암의 종양화 과정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40세 미만의 한국 남자의 경우는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 repair of damaged DNA has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the susceptibility to cancer development and prevention. Therefore, it is worth investigating genetic polymorphisms of the OGGl gene associated with the gene repair mechanism. In this study, we examined a possible association of genetic ploymorphisms in OGGl with the risk of bladde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Hospital based, case-contro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168 primary bladder tumor patients and 672 control subjects. We performed the SSCP,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DNA sequencing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 of OGGI in both cases and oontrols. Results: We found two polymorphic sites in OGGl. A Ser/Cys polymorphism at codon 326 (la type) in exon 7 was associated with an exchange of amino acid. Another polymorphic site at codon 324 (1b type) in econ 6 was silent. The association between codon 326 Polymorphism and the risk of the bladder tumor was examined by a age-sex adjusted analysis.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OGGl Ser326Cys genotypes of controls(Ser/Ser, 18.9% ; Ser/Cys, 54.0% ; Cys/Cys, 27.1%)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bladder tumor patients (36.2%, 51.8% and 22.0%, respectively) (p = 0.034, adjusted OR = 0.652, 95% Cl = 0.44 - 0.97). Especially, bladder tumor risk in Korean male under 40 years old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over 40 years old males. Conclusion : Our data suggested that Ser326cys polymorphism at codon 326 of OGGl male below 40 years old in Kore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tumorigenesis in the urinary bladder (p = 0.015, adjusted OR = 0.165, 95% CI = 0.04 - 0.75)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GGl Ser326Cys Polymorphism might play a role in the tumorigenesis of the bladder.

      • 8-hydroxyguanine이 전립선비대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

        이재원,이석영,이형래,이상철,김용태,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2 忠北醫大學術誌 Vol.12 No.2

        연구목적: 전립선비대증은 노화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임상적으로 주로 50세 이상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산소 라디칼은 DNA의 염기에 다양한 손상을 미칠 수 있다. 산소 라디칼에 의한 DNA의 변화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러한 변화들 가운데서 guanine이 8-oxoguanine (8-hydroxyguanine, oh8Gua)으로의 수산화(hydroxylation) 반응은 가장 흔히 관찰되는 형태로서 노화 및 만성 퇴행성 질환, 기타 여러 질환의 중요한 병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oh8Gua의 생성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는 수복효소 중 8-oxoguanine-DNA glycosylase (OGG1)가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효소를 생산하는 유전자인 hOGG1은 사람마다 유전자형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비대증이 노화와 관련된 hOGG1 유전자형에 따라서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충북대학교 병원에서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 받고 입원하여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을 받은 환자로 병리 조직학적으로 전립선비대증이 확인된 81명을 환자군으로 하였으며, 충청북도내 10개 군에서 5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남자 7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립선 무료검진에서 경직장 초음파 검사상 전립선 크기 20 gm 이하,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IPSS) 7점 이하, 요속 10 ㎖/s 이상, 전립선 특이 항원(PSA) 4.0 ng/㎖ 이하인 81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에서 채취한 혈액에서 genomic DNA를 얻은 후 PCR-SSCP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직접 염기서열분석(direct DNA sequencing) 및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를 통해서 두 군 사이의 hOGG1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에서 codon 326형은 Ser326Ser형이 12례(14.8%), Ser326Cys형이 51례(63.0%), Cys326Cys형이 18례(22.2%)였으며 전립선비대증 환자군에서는 Ser326Ser형이 15례(18.5%), Ser326Cys형이 34례(42.0%), Cys326Cys형이 32례(39.5%)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22). 또한 Cys326Cys형과 나머지(Ser326Ser, Ser326Cys)형으로 나누어 시행한 통계 분석에서도 대조군에서는 각각 18례(22.2%), 63례(77.8%)였으며 전립선비대증 환자군에서는 32례(39.5%), 49례(60.5%)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17, OR=2.286, 95% CI=1.149-4.546). 결론: hOGG1 유전자의 형태와 전립선비대증의 발생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즉 hOGG1 Cys326Cys형을 가진 사람에서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8-oxoguanine DNA glycosylase (OSS1) rapairs DNA by removing 8-oxoguanine (oh8Gua), a highly mutagenic oxidative DNA adduct. Recently, the human gene for OGG1 (hOGG1) was cloned and several genotypes have been reported. However, the implications of such genotypes in benign prostatic lyperplasia have not been demonstrated. To assess the involvement of hOGG1 associated with the aging process on the developing of BPH, we analyzed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hOGG1.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the hOGG1 gene polymorphisms in 81 cases of BPH and 81 cases of normal controls. We performed the SSCP,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sequencing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hOGG1 in both BPH patients and controls. Results: We found two polymorphic sites. A serine326/cysteine polymorphism at codon 326 (1a type) in exon 7 was associated with an exchange of amino acid. Another polymorphic site at codon 324 (1b type) in exon 6 was silent.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hOGG1 genotypes in BPH patients (Ser326Ser type 18.5%, Ser326Cys type 42.0% and Cys326Cys type 39.5%)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s (14.8%, 63.0% and 22.2%, respectively) (p=0.022). Homozygosity for the Cys326Cys genotyp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developing BPH, with the odds ratio (OR) being 2.286 (95% confidence interval [CI]=1.149-4.546)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OGG1 Cys326Cys genotype might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PH.

      • TNF-α 유전자형과 방광암과의 관계

        정필두,김은정,엄민식,서정원,윤석중,김종석,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TNF-α는 일부 종양의 종양화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TNF-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적 다형성이 방광암과 관련이 있는지 유무를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전자 분석을 위하여 환자 113명 및 대조군 109명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RFLP 및 direct DNA sequencing을 통하여 TNF-α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여 방광암의 발생, 병기 및 분화도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형은 대조군에서는 GG형이 83.5%(90례 및 GA형이 16.5%(19례)로 관찰되었으며 AA형은 없었다. 환자군에서는 GG 형이 85.4%(97례), GA형 및 AA형은 각각 13.1%(15례)및 0.8%(1례)에서 관찰되었다. 두 군 모두에서 GG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GA형을 보이고 AA형은 1례의 방광암 환자에서만 관찰되었다. -308부위의 경우도 두 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차이는 없었다(p=0.259) 분화도별 분포를 보면 grade I이 20례, grade II가 49례, grade Ⅲ은 34례였고 병기별로 표재성인 경우가 90례였으며 침윤성은 14례였다. 분화도가 나빠질수록 GA형이 증가하였다(p=0.04). 그러나 병기와 TNF-α promoter -308부위의 유전자형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123). 결론: 방광암 환자의 혈액에서 GA genotype이 관찰되는 경우, 분화도가 나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좀 더 적극적인 치료와 세밀한 추적관찰을 함으로써 방광암으로 인한 사망과 암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s involved in tumorigenesis of several cancers as an endogenous tumor promo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was associated with human bladde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The DNA from 113 and 109 respective blood samples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DNA sequencing methods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 of -308 promoter region of the TNF-α gene in bladder tumor patients. We compared the association of bladder tumor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308) in relation to the stage, grade, recurrence and progressio. Results : Eighty-six percents(97/113)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83.5% (90/109) of control group showed genotype GG at -308 region of TNF-α. Difference in genetic variations of TNF-α promoter (-308) did not exist between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p=0.259). Tumor grad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A genotype (p=0.04). The higher is the grade in bladder tumor, the more frequent was the GA genotype. Tumor stage, recurrence and progress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Conclusion: The GA genotype of TNF-a promoter region (-308)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NF-α production and was related to higher grade tumor compared to GG genotype. TNF-α serum levels in bladder tumo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These data suggested that TNF-α might involve the tumorigenesis of the bladder rather than treatment or prevention of bladder tumor.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