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후복막강내 발생한 Castleman병 1례

        남성진,이동욱,박찬규,정시욱,김추성,조성래,구본천,양사규,이일웅,박정자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Castleman' s disease is a rare, reactive lymphoid proliferation of unknown cause and pathogenesis. Depending on histololgic findings,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distinct histologic subtypes that include hyaline-vascular type(90%) and plasmacell type(10%). This disease occurs most commonly in mediastinal lymph nodes and cervical lymph nodes, inguinal lymph nodes respectively. But occurs rarely in retroperitoneum. We report a case of hyaline-vascular type asymptomatic Castleman' s disease of the retroperitoneum in a 47-year-old man.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경북 성주지역 장수노인의 계절별 식품섭취 상태

        백지원(Ji-Won Baek),구보경(Bo-Kyung Koo),김규종(Kyu-Jong Kim),이연경(Yeon-Kyung Lee),이성국(Sung-Kook Lee),이혜성(Hye-S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수노인들의 식품섭취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건강한 장수를 위한 식생활 지침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성주군에 거주하는 85세 이상 고령노인 중에서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는 224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복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년간 4회의 계절별 식품 섭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절별 식품군별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노인은 감자류의 섭취량이 여름철에 유의적으로 높고, 버섯류의 섭취량이 가을철에 유의하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품군의 섭취량에 있어 계절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노인의 경우 곡류, 당류, 두류, 채소류, 과일류, 조미료류, 음료 및 주류, 육류, 우유류, 어패류의 섭취량이 겨울철에 유의하게 높았으며, 종실류, 해조류, 난류의 섭취량은 계절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연평균 1일 총 식품 섭취량은 594.4±186.1 g이었으며 이 중에서 513.5±161.2 g(86.4%)는 식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고 79.3±56.7 g(13.3%)는 동물성 식품군으로부터 섭취하였다.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식품군은 곡류였으며그 다음이 채소류, 과일류, 어패류, 음료 및 주류, 조미료류, 두류, 육류, 우유류, 감자류 등의 순이었다. 장수 노인대상자들의 음식별 섭취빈도는 밥류에 있어서는 쌀밥의 섭취비율이 80.1~89.2%로 가장 높았으며 국과 찌개류에서는 쇠고기국, 된장국, 된장찌개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어육류 식품의 경우 조기구이의 섭취비율(9.4~12.7%)이 높았으며, 해조류 식품의 경우 김구이의 섭취비율(7.4~20.5%)이 높았고, 각 계절마다 계절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김치류의 경우 배추김치의 섭취비율이 4계절 모두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품요리류는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과 국수의 섭취비율이 높았다.<br/>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경북 성주지역 장수 노인들의 계절별 식품 섭취량에 있어 겨울철의 식품 섭취량이 다른계절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노인보다는 여자노인이 식품섭취에 계절에 의한 영향을 더욱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수 노인들은 가공식품보다는 계절마다 제철에 생산되는 자연 식품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장수노인들은 소식의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소식습관과 신선한 식물성 식품들의 일상 섭취가 건강한 장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food intakes of the long-lived elderly and to obtain the data for establishing dietary guidelines that may be recommend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for the sake of longe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4 elderly people of age over 85 years living in Kyungpook Sung-Ju area who have no problem in daily living. The food consumption survey was carried out seasonally by the repeated 24-hr recall method for one year. The subject group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58 males and 166 females, the average age being 87 years old. Food intakes of the winter were more than any other seasons. The mean daily total food intake per capita was 594.4 g, 513.5 g (86.4%) from plant foods and 79.3 g (13.3%) from animal foods. The sequence of high intakes of food groups were cereals, vegetables, fruits, fishes, legumes and meats. Boiled white rice, beef soup, soybean paste soup, soybean paste stew, broiled yellow croaker, kimchi, ra myon and broiled noodles were consumed most frequently. In conclusion, the subjects consumed much more plants foods than animal foods and consumed more natural and seasonal foods than processed foods and also showed food habits of eating small meals. Dietary habits of eating small meals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fresh plant foods migh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longevity of the subjects.

      • 젊은 성인에서 흡연에 의한 상완동맥 내피기능의 부전에 관한 연구

        이상철,권영주,방덕원,이선해,이보영,김지욱,김영훈,온영근,현민수,김성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2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8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 Cigarette smoking is a major factor and the most modifiable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Endothelial dysfunction is an early event in atherosclerosis, befor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systemic arteries. We hypothesized that endothelial dysfunction might be present in the systemic arteries of young adult smokers and that this might be dose-dependent phenomenon. Therefore, we try to certify that smoking i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in healthy young adults without other risk factor of atherosclerosis. Subjects and Methods : we studied noninvasively 29 subjects aged 3 to 4 decades without other risk factor of atherosclerosis, they were composed of the two groups, current smokers(n=15) and nonsmokers(n=14). Smoking history varied from 3 to 20 pack years. Using high-resolution ultrasound, vessel diameter and mean flow rate were measured at rest, during reactive hyperemia(with flow-mediated endothelium-dependent dilation), and after sublingual nitroglycerin(NG-induced endothelium-independent vasodilation). Result : Flow mediated endothelium dependent dilation was observed in the control subjects (9.4±3.44%) but was impaired in the smokers(5.8±2.51%)(p=0.004). NG-induced endothelium independent dilation is no difference in all subjects. Conclusion : Cigarette smoking i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in healthy young adults.

      • 2-Azetidinone 유도체의 합성

        이채호,조성동,이만구 圓光大學校 基礎自然科學硏究所 1987 基礎科學硏究誌 Vol.6 No.1

        Synthesis of N-benzyl-2-azetidinone derivatives from αmethyl and a-benzyl N-benzylasparate is described. a-Methyl and a-benzyl N-benzylasparate were cyclized to 1-benzyl-4-methoxycarbonyl-2-azetidinone and 1-benzyl-4-benzyloxycarbonyl-2-azetidinone by employing phase transfer catalyst. The substitutents of the resulting monocyclic β-lactams were converted to hydroxymethyl, methoxymethyl and mesyloxymethyl groups.

      • 이중음소 모델에 기초한 대용량 음성인식

        구자윤,권영현,이건상,양성일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1 이학기술연구지 Vol.3 No.-

        본 논문에서는 문맥 종속형 유사음소 단위 모델에 기반한 대용량 어휘인식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국어의 발음 및 음운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50개의 단일 유사음소 모델로부터 총 593개의 이중음소(diphone)를 구성하여 인식의 기본단위로 설정하혔다. 유사 음소 및 언어 모델 데이타베이스로부터 발음사전을 구성하고 기본단위 인식시 탐색 공간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bigram을, 구문단위로 분할한 문장인식에 대해서는 unigram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유사음소단위 인식에서는 69.16%의 인식률을, 문장인식을 거친 최종 인식률은 87.36%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and carried out an experiment on speech recognition of large vocabulary based on diphones. We set up 593 diphones for basic PLUs from 50 phonemes considering pronunciation and phonemic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and constructed the lexicon from the database of phoneme and language models. Bigram was applied to recognition of PLUs to reduce search space and increase efficiency of recognition and unigram was applied to language model divided by phrase. As a result, experiment about the sentence recognition shows that diphone models would have 9.14% better performance than monophones.

      • Paraquat중독 사망한 한국인의 혈액 농도

        이상기,인상환,정영호,구기서 한국환경독성학회 1996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1 No.2

        To elucidate the fatal blood concentration of paraquat(Gramoxone), a contact herbicide, we investigated blood concentration of paraquat in 91 cases of paraquat intoxication. The blood paraquat concentration of 91 cases due to ingestion of paraquat was 0.9 ㎍/ml -1023.5 ㎍/ml and has been subdivided according to survival time. 48 of 91 cases were identified survival time. In 34 of 48 cases died within a day after ingestion of paraquat, blood paraquat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2.3~ 636. 6 ㎍/ml, and in 12 of 48 cases died 1~4 days after ingestion of paraquat, blood paraquat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0.9~25.1㎍/ml.

      •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 환자의 임상적 소견의 관찰 :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Sex difference

        이광희,김철현,최태명,이성우,김성구,권영주,변재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 No.1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에 대한 진단 및 연구는 이전에 주로 관혈적인 좌심실조영술이나 부검에 의해 이루어져 연구가 많이 않았으나 최근 심초음파도의 보편적인 이용으로 진단이 용이하여 이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남녀 성별에 따른 임상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보고는 많지 않았다. 대상 및 방법 :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68명(남자 37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과 심전도 및 심초음파 검사소견등을 남녀간에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유병기간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길었고(p<0.05), 호흡곤란, 심계항진 및 심부전의 빈도는 여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이완기말 내경계수, 심실중격 두께 계수, 좌심실 후벽 계수, 좌심방 내경 계수는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컸으나(p<0.01), 분획단축(fractional shorting)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심전도상 QRS 기간이 여자가 남자보다 긴 경향이 있었으나(p<0.08) 기타 소견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특별성 확장성 심근증의 임상적 소견 및 검사 소견의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여자에서 질병의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나는 소견이 있었으나 추후에 더 많은 연구및 원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diopathic dilated cardiomyopathy(IDC) is a well recognized condition both clinically and morphologically. Despite the relatively frequency of this condition, few studies focusing on sex difference have been reported. Method : A total of 68 patients with IDC(37 men, 31 women)were studied retrospectively. Certain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men and women. Results 1. The women had a significantly(p<0.05) longer mean duration of chronic congestive heart failure than men. 2. Of the echocardiographic findings, index of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thicknes and left atrial dim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3. Duration of QRS complex in ECG was longer in women(p<0.08) conclusion Some of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s are more advanced phase in women in IDC.

      • KCI등재후보

        고령자를 위한 주거시설 치수 표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이특구,권순정,오은진,김상길,김석준,김노석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6 의료·복지 건축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Guideline is to provide basic standardization basis for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dwellings so that elderly may live, either with their family or independently, an independently comfortable life style. Dwelling facility is defined as a physical area where important activities of daily life are conducted by a person/people and is also the focal place of a family. Therefore, the Guideline classifies the areas where daily activities are conducted by type of such activities and provides standards to countermeasure for natural physical disabilities of the e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