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접촉 IC Card기반 생체인식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구현

        주동현,염동훈,박수형,이상학,김두영 동아대학교 정보기술연구소 2002 情報技術硏究所論文誌 Vol.9 No.2

        This paper is research about the certification rate improvement of system that identify user who use face, iris, voice that is biometrics element using data of non contact ic card. The proposed system is User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face image that is inputed by CCD camera, iris image and voice signal password that is consisted of 4 numbers. We compare biometrics element information of the realtime user information(based on registerd code of non contact ic card) with biometrics information of user information that is already registerd database : user verification database that is constructed from the existing users. Through the result of real time experiment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identification rate of the proposed system outperforms conventional identification system.

      • 말초혈액에서 Tg mRNA에 대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의 갑상선 재발암의 분자생물학적 진단

        권성일,박기룡,김현영,신채희,임영찬,최영식,박요한,이강대,장희경,이재화,염하용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4

        연구배경: 갑상선암은 다른 조직에 발생한 암에 비해 비교적 천천히 자라므로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지만, 일부에서는 주위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혹은 원격 전이로 인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갑상선전절제술 및 131^I 제거술 후 경과 관찰시 갑상선암의 재발과 전이의 진단에 있어 131^I 스캔과 혈청 Tg의 측정이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결점이 있다. 최근 Tg mRNA에 대한 RT-PCR법을 이용한 여러 연구결과는 131^I 스캔과 혈청 Tg 측정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좋은 보조적인 진단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말초혈액에서 측정한 Tg mRNA에 대한 RT-PCR법이 갑상선 절제술 및 방사성요드 치료 후 갑상선암의 재발 및 전이 유무의 진단에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 시행하였다. 방법: 분화된 갑상선암으로 진단된 후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받고 방사성요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현재까지 한차례에 이상 추적 방사성요드 전신 스캔을 시행하고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유두선암 35예, 여포선암 5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은 131^I 스캔 소견상 음성인 군(Group Ⅰ), 잔여조직이 있는 군(Group Ⅱ), 국소전이가 있는 군(Group Ⅲ), 및 원격전이 군(Group Ⅳ)으로 구분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갑상선질환이 없는 10예의 건강인으로 하였다. 대상환자의 말초혈액을 이용한 Tg mRNA에 대해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RT-PCR 및 nested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31^I 스캔 소견상 음성인 군 21예 중 1예에서 Tg가 양성소견을 보였다. Anti Tg Ab가 양성인 4예 모두 Tg가 음성을 보였다. 잔여조직이 있거나 국소전이 및 원격전이를 보인 군 19예 중 Tg가 양성인 경우는 4예였으나, Tg mRNA는 전예에서 양성이었다. 2) 131^I 스캔에서 국소 및 원격전이 소견을 보인 8예 중 4예에서 Tg가 음성으로 131^I 스캔과 혈청 Tg 사이에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3) 말초혈액에서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RT-PCR 및 nested RT-PCR을 시행한 결과 대상군 40예 및 정상 대조군 10예 모두에서 Tg mRNA가 양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갑상선 절제술 및 방사성요드 치료 후 갑상선암의 재발 및 전이 유무를 평가함에 있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한 Tg mRNA 측정의 의의는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s the most common endocrine malignancy. Despite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thyroid cancer, disease recurrence and metastasis may occur in as many as 20% of patients, and so continues to pose major problems in its clinical management. Serum thyroglobulin (Tg) measurements, by immunoassay, are used to detect residual or recurrent thyroid cancer following thyriod ablation. However, the usefulness of immunoassay is limited by both the requirement for thyroid hormone withdrawal, to attain optimal test sensitivity, and interference by the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ti-Tg Ab).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detection of Tg mRNA in the peripheral blood of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d the usefulness RT-PCR of Tg mRNA in peripheral blood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following a 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ablation therapy. Methods: Forty cases that underwent a 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ablation 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f the 40 patients, 35 were papillary carcinomas and 5 were follicular carcinomas. Ten normal control subjects were also studied. Tg mRNA was extracted. Then RT-PCR and nested RT-PCR, were run with specific Tg primers. Concurrently, DNA sequencing of the isolates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isolates were identical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Tg. Results: The Tg was detected in 4 of 19 patients, with either a residual thyroid bed, or metastasis, on a 131^I whole body scan and in 1 of 21 patients with a negative radioiodine scan. Surprisingly, the Tg mRNA was detected in all th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Conclusion: From our results we can not recommend Tg mRNA, detected by RT-PCR in peripheral blood, as a tumor marker superior to that of the Tg serum level. We consider an intensive re-evaluation of the method is required before considering its clinical applications (J Kor Soc Endocrinol 17:501∼513, 2002).

      • 사인에 의한 즉시형 과민반응의 억제 효과

        신태용,염정열,김원,김현미,박해정,장진이,조성룡,채병숙 우석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8 생명과학연구소 논문집 Vol.2 No.-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Ammomum xanthioides(AXAE) on immediate hypersensitivity. AXAE inhibited systemic anaphylaxis induced by compound 48/80 in mice. AXAE inhibited serum histamine levels induced by compound 48/80 in mice. Moreover, AXAE dose-dependently inhibited histamine release in peritoneal mast cells activated by compound 48/8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XAE may be benificial in the regulation of immediate type allergic reaction.

      • KCI등재

        주관절 골절 - 탈구의 치료 결과

        김동수,염재광,권칠수,정병현,안종국,성열보,정형진,황순호 대한골절학회 2000 대한골절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linical and biomechanical data from patients with elbow fracture dislocation to correlate long-term objective result with the specific injury type and treatment rendered. This can provide a basis for the management of this difficult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patients with elbow dislocation were studied from October, 1992 to October, 1997 in Sang-Gye Paik Hospital.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was 4.2 years. Results: On the basis of an objective functional grading score that included elements of pain, motion, strength, and stability, the results were excellent in five(33%), good in five(33%), fair in one(7%), poor in four(27%). Prolonged immobilization greater than four weeks was associated with poor results. The resul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mbined injuries and duration of immobilization. In case of radial head fractures, the best result was obtained in patients with Mason type II fractures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Herbert screw and early complete radial head excision. Summary and Conclusion: The most common combined injury is radial head fracture. Early complete radial head excision and encouraging early ROM had more satisfactory result than delayed radial head excision or internal fixation for Mason type III fracture.

      • KCI등재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외래환자마취 실태 분석

        박창주,정준민,김현정,장기택,이상훈,염광원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치과적 장애인이란 치과진료 시 치과의사에게 자발적인 협조가 힘든 사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에서 치료받은 치과적 장애인 환자들의 임상진료 실태를 마취과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지침 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1999년 1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에 내원한 장애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89명의 환자들에게 93건의 치과진료가 시행되었다. 환자의 대다수는 정신지체였고 전신마취 하 보존치료를 받았다. 주로 마취유도제는 thiopental, 근이완제는 vecuronium을 이용하였으며 산소, 아산화질소, enflurane을 함께 흡입시켜 마취를 유지하였다. 총 마취지속시간과 회복실 체류시간은 각각 164.4±57.2 분과 106.2±50.5 분이었고 회복 과정에서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래환자마취에 기반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장애인진료실의 치료방침에 따라 특별한 문제없이 성공적인 마취가 가능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증가하는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시설과 인력을 갖춘 보다 많은 외래환자마취 센터의 필요성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Dentally disabled person means one who have difficulty in cooperating voluntarily with a dentist for routine dental c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SNUDH) Dental Clinic for Disabled has worked for them under outpatient anesthesia concep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ttending for dental treatment at SNUDH Dental Clinic for Disabled in order to establish better future treatment plan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patients who visited SNUDH Dental Clinic for Disabled from January 1999 to October 2002. Total 93 dental treatments for 83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ost patients had mental retardation and the conservative treatments were carried out under general anesthesia. Thiopental and vecuronium were mostly used for induction agent and neuromuscular blocker, respectively. Enflurane, with oxygen and nitrous oxide, was mostly used to maintain the anesthesia. Mean total anesthetic time was 164.4±57.2 minutes and mean duration at the post-anesthetic care unit was 106.2±50.5 min. Seriou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t observed. These results showed our successful anesthetic outcomes without any severe side effect or complication and the needs of more outpatient centers for dental care for disabled.

      • KCI등재

        논문 : 생물생산시설 및 환경공학 ; 풍동시험과 CFD를 통한 방풍망의 풍속저감 효과

        염성현 ( Sung Hyun Yum ),강승희 ( Seung Hee Kang ),김승희 ( Seoung Hee Kim ),이상봉 ( Sang Bong Lee ),김민영 ( Min Yo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1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6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stallation effect of an anti-wind net on reducing wind velocity which was used to protect orchards as well as single-span plastichouses. The pressure drop through three types of anti-wind net was measured in a subsonic wind tunnel. The wind reduction through the anti-wind facility for several sets in respect to three types of the net and heights of the facility ranging from 3 to 11 m was analyzed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The measured data showed that the pressure drop increased as an equation of the second degree of the inlet wind velocity. Numerical computations exhibited that the effect of wind reduction definitely augmented as the net size became smaller and increased with the height of the facility being heightened to some extent. For the typical and widely used anti-wind facility with a height of 5 m and a net size of 4mm, the amount of wind reduction came up to 5.1 m/s for the inlet wind velocity of 20 m/s, and also 7.6 and 10.1 m/s for the inlet wind velocities of 30 and 40 m/s, respectively. In case for the orchard`s longitudinal length to be within about 200 m, the appropriately effective height of the facility was predicted to be 5 m. Finally, the negative total pressure on the top face of the single-span plastichouse certainly reduced for all the cases with the anti-wind facility being installed. In particular, the reduction of the negative total pressure was more considerable as the inlet wind velocity increased.

      • 복숭아 재배 단동연결형 비닐온실의 구조안전성

        염성현 ( Sung Hyun Yum ),전영중 ( Young Jung Jeon ),박혜인 ( Hye I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내재해형 규격시설(「원예특작시설 내재해형 규격 설계도·시방서(농식품부 고시 제2014-78호)」)이 고시되어 현재까지 농업현장에 14,301ha(전체 시설면적 53,023ha의 27%)가 보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농식품부). 최근 농업현장에서는 연동하우스 대비 폭설 등 기상재해 경감에 다소 유리하고 설치비가 저렴한 단동연결형 비닐하우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복숭아 재배용 내재해 규격시설 개발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농가에서 요구하는 단동연결형 비닐온실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진파 응답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원예시설에 적합한 내진 설계기준 작성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조재는 비닐하우스 구조용 강관(항복강도 295MPa, 인장강도 400MPa, 탄성계수 164.8㎬, 밀도 7,850㎏/㎥, 프와송비 0.3)이며, 국내 원자력 시설물의 내진 기준인 Regulatory Guide 1.6을 입력 스펙트럼으로 적용하였다. 폭7m(측고 2.0m×동고 3.9m)×길이 95m, 서까래 φ31.8㎜×1.7t@600인 단동연결형 비닐온실의 안전적설심은 20㎝ 수준으로 분석되어 기둥을 적용하지 않는 단동연결형 비닐온실의 구조안전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차 고유진동수는 1.8㎐, 최대변위는 지붕 상단에서 0.67㎜인것으로 나타났다. 입력 스펙트럼에 대한 지진파 응답특성 분석 결과, X축(하우스 폭 방향)으로는 최대응력 203.0㎫, 최대변위 100.0㎜, Y축(하우스 길이 방향)으로는 최대응력 117.2㎫, 최대변위 59.4㎜, Z축(수직 방향)으로는 최대응력 26.1㎫, 최대변위 9.9㎜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