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에 대한 법인격 부여의 근거로서 탈인간중심적 법이론의 가능성

        윤현식 ( Yoon Hyun Sik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1 민주법학 Vol.- No.76

        AI 분야의 포스트 담론, 특히 ‘탈인간중심주의’는 헌법학에서도 흥미로운 논의이다. 탈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기본적 인권과 이를 보장하기 위한 체제를 규정하는 헌법의 기반을 흔들 수도 있어 주의 깊게 검토해야 한다.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는 주제는 AI에게 법인격을 부여하는 문제이다. 탈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의 지위를 다른 모든 존재와 동일하게 보도록 함으로써 AI에 대한 법인격 부여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탈인간중심주의적 관점에서, AI에게 법인격을 부여하는 것은 AI로 인해 발생하는 법률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강인공지능 또는 초인공지능을 전제로 하는 AI 법인격 부여 주장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이 견해는 AI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이 견해는 추상적 관념의 결과물로서 법적 현실을 고려하지 못한다. 셋째, 이러한 견해는 자칫 인간이 져야 할 법적 책임을 회피하는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탈인간중심주의에 근거한 AI 법인격 부여는 법적 실익이 없다. AI와 인간 간에 형성되어야 할 새로운 기준(new normal)은 인간중심주의의 재구성이다. 헌법학은 탈인간중심주의라는 추상적 관념에 사로잡히기보다는, 인간중심주의를 더욱 근본적으로 탐구하여야 한다. The post-discourse in the field of AI, especially ‘post-anthropocentrism’, is an interesting discussion in Constitutional Law studies. The post-anthropocentrism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because it may shake the foundat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which stipulates fundamental human rights based on human dignity and a system to guarantee them. The most actively discussed topic is the issue of granting legal personality to AI. The post-anthropocentrism raises the possibility of granting legal personality to AI by making the human status equal to all other beings. From the post-anthropocentric perspective, granting a legal personality to AI can be an effective way to respond to legal problems caused by AI. However, the argument for granting legal personality to AI has several problems because its premise is AGI or ASI. First, this view stems from a misunderstanding of AI. Second, this view is the result of an abstract idea that does not take legal reality into account. Third, this view can be used as a route to evade legal responsibility that human beings should bear. Therefore, granting legal personality to AI based on the post-anthropocentrism has no legal benefit. A new normal to be formed between AI and the human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anthropocentrism. Constitutional Law studies should explore the anthropocentrism more radially rather than being caught up in the abstract notion of the post-anthropocentrism.

      • KCI등재

        动物与人类中心主义 -以金息的 『我是第一只山羊』为中心-

        刘文文 ( Liu Wen-we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1 No.-

        김숨에게서 동물은 인간의 소유물이 아니다. 그에게 동물은 인간의 우월성이나 인간중심주의를 타파하고 인간의 한계를 각성하게 하는 존재이다. 인간중심주의는 인간과 동물의 지극히 불평등한 관계를 초래했다. 인간중심주의에 의거하여 사람들은 자신이 모든 생명체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지고, 동물들이 인간의 소유물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식으로 사람들은 동물을 착취함으로써 얻는 이익만 보고 그 이익 뒤에 숨은 위험을 무시한다. 인간중심주의를 타파하고 동물들의 착취를 막기 위해서는 인간이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김숨의 『나는 염소가 처음이야』를 중심으로 인간이 동물을 통해 무엇을 어떻게 각성하는지 살펴보았다. 김숨의 소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간의 우월성을 조롱한다. 우선 동물들을 폄하하는 인간은 동물들에게 폭력을 휘두르지만 곧 동물들로부터 폭력을 되돌려 받는다. 이때 동물과 인간 사이에는 관계의 역전이 이루어진다. 이런 관계의 역전을 통해 독자들은 인간중심주의를 한계를 인식하고, 모든 폭력이 인간중심주의 때문에 발생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다음으로 인간이 동물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공간에는 흔히 아이가 등장한다. 동물에게 휘두르는 폭력은 아이의 순진함의 상실과 아이의 실종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독자들은 부모 세대에 저지른 폭력이 아이 세대로 옮겨가는 모습을 통해 인과순환을 발견한다. 마지막으로 사람의 상식을 뒤집는 시공간의 혼재가 주목된다. 사람들은 현재와 미래가 같은 공간에서 존재할 수 없고 죽은 사람이 산 사람과 함께 등장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여기서 작가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고, 이질적인 것을 혼재시킴으로써 상식을 전도한다. 이는 작금의 상식인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낯설게 보기와 반성을 유도하고 그 한계를 자각하게 한다. For Kim-Sum, animals are not human possessions, but to break the superiority of human beings and make people realize the existence of anthropocentric limitations. People have always wanted to pursue equality between animals and human beings. However, anthropocentrism nullifies the good wishes of between animals and human to live in peace. Because of the indoctrination of anthropocentrism, people believe that they have the power of life and death over all living life. Animals exist only to help people gain benefits and maintain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is idea, people only see the immediate interests, but ignore the hidden crisis behind the interests. If you want to get rid of the crisis and change the status quo, you must first change people's minds and make people realize the limitations of anthropocentrism. That is, to break out of human superiority, make people realize that person is not everything. Human belief in the anthropocentrism is merely a people’s prejudice. So this study with Kim-Sum's “I am the first goat” as the center, analyze of people how to break own superiority through the animal, and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anthropocentrism. In Kim-Sum's novel, animals break human superiority in many ways. First of all, people who think animals are dirty violence against animals. There is an immediate backlash against violence. At this time, formed the cycle of violence between animals and humans, through the process of violence, readers can recognize that anthropocentrism is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violence. Second, the readers often see children in the scene of violence. Children who have witnessed the violent process lose their innocence or disappear, and reader can discover the cycle of cause and effect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evil causes planted by parents produce bad results on their children. The last is the coexistence of heterogeneity that overturns people’s common sense, people think now and in the future can’t at the same time and space, like a dead man cannot appear with the living, but in here, the author will these impossible becomes possible, use these heterogeneous coexistences make people to recognize the limits of anthropocentrism.

      • KCI등재

        动物与人类中心主义 -以金息的 『我是第一只山羊』为 中心-

        유문문(Wenwen Liu)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1 No.-

        For Kim-Sum, animals are not human possessions, but to break the superiority of human beings and make people realize the existence of anthropocentric limitations. People have always wanted to pursue equality between animals and human beings. However, anthropocentrism nullifies the good wishes of between animals and human to live in peace. Because of the indoctrination of anthropocentrism, people believe that they have the power of life and death over all living life. Animals exist only to help people gain benefits and maintain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is idea, people only see the immediate interests, but ignore the hidden crisis behind the interests. If you want to get rid of the crisis and change the status quo, you must first change people's minds and make people realize the limitations of anthropocentrism. That is, to break out of human superiority, make people realize that person is not everything. Human belief in the anthropocentrism is merely a people’s prejudice. So this study with Kim-Sum's “I am the first goat” as the center, analyze of people how to break own superiority through the animal, and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anthropocentrism. In Kim-Sum's novel, animals break human superiority in many ways. First of all, people who think animals are dirty violence against animals. There is an immediate backlash against violence. At this time, formed the cycle of violence between animals and humans, through the process of violence, readers can recognize that anthropocentrism is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violence. Second, the readers often see children in the scene of violence. Children who have witnessed the violent process lose their innocence or disappear, and reader can discover the cycle of cause and effect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evil causes planted by parents produce bad results on their children. The last is the coexistence of heterogeneity that overturns people’s common sense, people think now and in the future can’t at the same time and space, like a dead man cannot appear with the living, but in here, the author will these impossible becomes possible, use these heterogeneous coexistences make people to recognize the limits of anthropocentrism. 对金息来说,动物不是人类的所有物,而是打破人类的优越性,是使人们认识到人类中心主义局限性的存在。人们一直想要追求动物与人类间的平等。但是,人类中心主义使人类和动物和平相处的美好愿望化为乌有。因为人类中心主义思想的灌输,使人们认为自己拥有掌握所有生物的生杀大权。动物的存在只是为了帮助人们获取利益和维持生命。在这种思想的影响下,人们只看到了眼前的利益,而忽略了利益背后隐藏的危机。如果想要摆脱危机改变现状的话,首先要先改变人们的思想,使人们认识到人类中心主义的局限性。即,打破人类的优越感,使人们认识到人不是万能的,人类所信奉的人类中心主义不过是人的偏见而已。所以,本研究以金息的『我是第一只山羊』为中心,分析人们如何通过动物打破自身的优越性,并且认知到人类中心主义的局限性。 金息小说中的动物以多种方式打破人类的优越性。首先,认为动物肮脏的人们在对动物实施暴力的时候,立刻会受到暴力的反弹。这时,动物和人类间形成了暴力的循环。读者通过暴力的循环可以认知到诱发暴力的最根本原因是人类中心主义这一事实。其次,读者在暴力现场经常可以看到孩子的身影。亲眼目睹了暴力过程的孩子丧失了童真,或者消失不见。读者可以通过父母种下的恶因在孩子的身上结出了恶果的这一过程发现因果的循环。最后是颠覆人们常识的异质的共存。人们认为现在和未来不可能在同一时空出现,就像已经死去的人无法和活着的人一起出现一样。但是在这里,作者将这些不可能变成了可能,利用这些异质的共存让人们认识到了人类中心主义的局限性。

      • KCI등재

        Can traditional Anthropocentrism save us from Anthropocentrism?: Reflections on Jonas’s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Spahn, Christian 한국하이데거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1

        Traditional anthropocentrism is often disregarded in environmental debates because it has led to a view of non-human nature as devoid of inner value. This paper investigates Jonas attempt to conceive of future environmental ethics. Jonas starts from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having freedom constitutes grounds for the ascription of inner worth, but he then expands the notion of freedom to all living organisms. Jonas’s expansion of the notion of freedom as “purposive causality” will be reconstructed and defended, but his ultimate foundation of the claim to inner worth in “Nature’s striving” is critically rejected. Instead, this paper will argue that an “ethic-centric” re-reading of the anthropocentric tradition that underlies Kant’s account of the inner worth of humans can be combined with the insights of Hans Jonas’s environmental ethics. This attempt will lead to an ethical outlook that is more fruitful and epistemologically stronger than choosing between the false alternatives of Anthropocentrism or Anti-Anthropocentrism.

      • KCI등재

        칸트의 인간 중심주의 윤리에 대한 연구

        정결 한국윤리학회 2024 倫理硏究 Vol.144 No.1

        오늘날 환경 위기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커다란 문제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이런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원적 방법은 문제의 본질을 단순히기술적 문제로 볼 것이 아니라, 오염된 인간 의식을 개선하기 위한 철학이나 윤리학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 윤리의 논의는 인간 중심주의와탈인간 중심주의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간만을 직접적인 도덕적 의무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인간 중심주의가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는 환경 문제의 주요한가치관적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인간의 자연 지배 및 착취를 강조하는 강경한 인간 중심주의와 달리, 칸트의 주장은 자연과 관련한 인간의 간접적 의무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칸트의 주장은 온건한 인간 중심주의 내지 계몽된 인간 중심주의를 정당화하는 중요한 배경 이론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the environmental crisis is pointed out a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threatening human survival. The fundamental way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 is not simply to view the nature of the problem as a technical problem, but to consider it a philosophy or ethics approach to improve contaminated human consciousness. In general,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discussion of environmental ethics into anthropocentrism and post-anthropocentrism. In addition, anthropocentrism, which regards only humans as objects of direct moral obligations, is being pointed out as a major value 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raised in modern society. However, unlike strong anthropocentrism that emphasizes human domination and exploitation of nature, Kant’s argument has eco-friendly implications in that it recognizes human indirect obligations related to nature. And Kant’s argument could serve as an important background theory that justifies moderate anthropocentrism or enlightened anthropocentrism.

      • KCI등재후보

        현대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윤리적 가치 판단, 실행성 그리고 현대 우주론의 문제 -섭리적 인간 중심주의의 윤리적 차원에 대해서 현대 우주론이 가지는 시사점에 대해-

        황은영 ( Eun Yeong Hwa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2 기독교철학 Vol.14 No.-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at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cosmology can attribute cosmic significance to the special status of humanity and its ethical valuation and agency, The ethical valuation and agency centers on relating parts to a whole in a given context according to one`s own perspective, Cosmology as a totality of rational explanations on the universe is concerned with ethical valuation and agency. Gustafson`s Theocentric Ethics, which emphasizes the limit and the ambiguity of ethical responsibility in valuation and agency, criticizes for committing the fallacy of anthropocentrism any affirmation of the special status of humanity in its ethical valuation and agency in the whole universe. Such a claim is grounded on the belief that any theological-ethical position is not to make any contradiction with modern cosmological statements which at last suggest the insignificance of humanity against the backdrop of the massiveness of the universe and the long history of evolution of life. However, not only the theocentric ethics itself shows that even it cannot be totally free from its own version of anthropocentrism, but also the current development of modern cosmology reveals that humanity as the intelligent being can be considered as the singularity retaining quite a magnificent significance in the whole cosmic dimension. Such a point would provide a sufficient foundation for affirming the providential significance of the special status of humanity and its vocation in the whole universe with a possible term of providential anthropocentrism.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강우성 ( Kang Woosung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인공지능의 시대에 범람하는 담론들은 인류의 미래에 대해 양가적이다. 인공지능 담론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성찰하고 인공지능 기계의 발전이 인간에게 던지는 도전들에 답하는 시도들이다. 인공지능 담론은 근본적으로 과학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양면적 전망을 핵심으로 하지만 심층에 놓인 근본적 질문은 어떻게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할 것인가이다. 특히 영화에 나타난 인공지능 시대에 대한 진단은 과학기술 진영에 비해 극히 비관적이다. 인공지능 영화들은 재앙의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인간중심주의에서 찾는 특징을 보여준다. 인공지능 담론에서 두드러진 인간중심주의의 논리는 개별 수행능력이 아니라 일반 능력에 있어 인간이 기계에 대해 갖는 우월성에 대한 확신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이 글은 인간의 일반 능력 자체가 불가해성에 의존하며 예측이나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 근거하는 논리임을 주장한다. 일반 능력의 우월성과 확실성은 증명된바 없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최근에 개봉되어 많은 관심을 끈 인공지능영화 <엑스 마키나>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시대 인간의 지적·감정적능력을 구현할 기계인간의 창조에 관한 전망이 불가능을 꿈꾸는 환상에 불과하며, 그 이면에는 여전히 남성에 의한 여성의 지배, 인종적 소수자에 대한 억압, 낯선 존재에 대한 타자화와 같은 지극히 모순적인 인간관계의 폐해가 고스란히 남아 있음을 밝힌다. Discour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bound with ambivalent attitudes concerning the future of humankind. These are the answers to the time old question as to whether AI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human relation with man-made machines. Deep down in the AI discourses there lurks a fundamental problem of overcoming anthropocentrism. Especially in the realm of cinema, the so-called AI films consistently demonstrated serious concerns about the possible disasters men could neither program, nor predict, nor prevent. Proponents of AI technology rely on the unfounded belief in man`s superiority of general capability over AI`s specific performativity. This paper attempts to rebut this anthropocentric belief in the human perfectability: man`s general excellence must not be verified because of man`s impossibility to pre-program all the unpredictable variables; man is not the being of conscious but of unconscious and affect. In a detailed analysis of a recent AI film Ex Machina, this paper argues that the dream of making an affective AI constitutes a mere fantasy, while insisting that underneath the very fantasy there remain persistent anthropocentric problems concerning man`s mastery over woman, racial others, and alien beings.

      • 환경철학에서 본 확장된 인간중심주의

        윤용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6 철학·사상·문화 Vol.0 No.3

        An idea of environmental philosophy must be persuasive enough for a large number of environmental community to consent. On the other hand, if the idea ask too much morality, it will make environmental problems worse. The reason is that while majority of community neglect environmental problems, moral and spiritual minority are concerned about them.The Antropocentrism and the Ecocentrism in environmental philosophy have been regarded as incommensurable to each other. But the Extended Anthropocentrism is about to compromise a dispute between them. If the extended anthropocentrist and the ecocentrist agree that we must conserve the environment and ecosystem to survive in future, they would prefer to elaborate and extend the Anthropocentrism rather than to present the new paradigm of Ecocentrism. The extended anthropocentrists insist that all the people must take care of the environment for sustainable life and are obligated to conserve the ecosystem. The theories of Global Life, Buddhist Causality, and Systems Thinking have been used for the grounds of the Ecocentrism. But I use them for elaborating and extending the Anthropocentrism. If the Extended Anthropocentrism is fomulated to be a complete system, it actually contributes to conservation of environment and ecosystem. 환경철학의 이념이 아무리 고상할지라도 다수의 동의를 얻지 못해 실천되지 못한다면 효력이 없다. 따라서 환경이념은 가능한 한 다수가 동의할 수 있게 보다 설득력 있는 것이라야 한다. 오늘날의 환경위기가 인간중심주의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환경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명(생태)중심주의로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그러한 생명(생태)중심주의자들의 주장은 생명과 생태계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중성을 담아내기가 어렵기에 현실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명(생태)중심주의가 되어야 한다면, 인간중심주의자들은 환경문제를 외면해도 좋다는 원치 않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지금까지 장회익의 온생명론, 불교의 연기론, 그리고 시스템이론 등은 생명(생태)중심주의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것들은 근대적 세계관, 특히 편협한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지만, 생명(생태)중심주의를 지지하기 위한 전유물이 아니다. 온생명론, 연기론, 시스템이론 등은 고스란히 확장된 인간중심주의를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인간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자연에 대해서 음미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면서 가치판단의 유일한 주체이다. 생태계 위기가 심각한 오늘날 인간의 그러한 특성은 다른 생명체를 마음대로 처분할 인간의 권리에 대한 근거가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다른 생명체들과 생태계 전체를 잘 관리해야 할 책임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인류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생태계가 보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태계 보전의 책무는 생태중심주의자들뿐만 아니라 인간중심주의자들에게도 있다. 다시 말해서 확장된 인간중심주의는 생태계 보전의 책무는 생태적 깨달음을 얻은 생명(생태)중심주의자들만의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의 책무라는 것을 강조한다. ‘확장된 인간중심주의’와 ‘생명(생태)중심주의’는 그 전제는 다르지만 “다른 생명체를 함부로 죽이지 말아야 하고 생태계를 잘 보전해야 한다.”는 동일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굳이 생명(생태)중심주의라는 새로운 틀을 제시하기보다는 인간중심주의를 확장하는 편이 더 설득력 있다.

      • KCI등재

        국가주의 정책사상은 인간중심주의인가?

        이해영 대한정치학회 2020 大韓政治學會報 Vol.28 No.2

        In this research paper I argued that the serious confusions have prevailed in the study of policy thought on the policy statism those who have argued for the anthropocentric idea and philosophy that the policy statism has based on the ideologies of the human dominance of the nature for human’s self interests and desires. I shall review and consider thi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to the thought of policy statism that might misguide the bona fide underpinnings of the statism in policy studies. Rather the policy thought of the statism could be better understood by arguing that the state, not the human and/or non-human have dominated policymaking power and authority by exercising its policy capacities of state monopoly, supremacy, and intervention, that is termed to ‘the state- centeredness,’ in which it is the philosophical ideal for theorizing the policy thought of the statism. If we were simply to advance that the policy human as the presider of the policy statism has dominated and intervened to the policy world by the theory of human-centeredness, the human has policy capacities of the monopolized and supremacy power, in turn they have used to intervene or interfere to the autonomous and free-willed decisions and choices of the human themselves as well as non-humans. As a concluding remark, the policy statism is not underpinned philosophically and practically by the theory of anthropocentrism, whereas it is based upon the human- centeredness. 인간의 이기적 목적과 이해관계에 따라서 정책을 독점적으로 지배한다는 서구의 전통적인 인류학 중심의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를 비판하면서, 본 연구는 국가주의 정책사상을 국가독점, 국가우월, 국가개입 등으로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서 국가는 정책을 통한 개인의 자유롭고도 자율적인 의사결정과 판단에 개입하거나 간섭하는 정책개입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국가중심의 정책개입을 전제로 하는 국가주의 정책사상에서 인간이 정책세계나 영역에서 주재자의 역할을 한다는 정책사상으로 인간중심주의(human-centeredness)를 주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가주의의 인간중심주의는 인간이 만물의 중심자이고 지배자라는 인간중심 사상이 아니다. 즉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나 독점이 아니다. 또한 인간에 의한 비인간, 특히 생태나 자연을 독점적으로 지배하거나 착취하는 인간도 아니다. 국가주의 사상은 국사의 독점적이고 우월적인 결정권한과 집행권 및 통치권이 국가에 귀속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국가주의에서 인간중심주의를 인간중심의 인간우월과 독점 및 개입 사상 등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국가주의 정책사상은 인간중심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사상의 한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동학의 생태주의 요소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소병철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ecological directivity of Donghak(東學) as a Korean native religion and to philosophically estimate its significances. Today, the possibilities of ecological catastrophe caused by human activities seem to suggest that our view of nature must be changed epochally. Accordingly, most of contemporary philosophical or religious symbol-systems of normative sort are striving to accuse ‘anthropocentrism’ of being extremely violent and prove that they are not ‘anthropocentric’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reasonable by the public. Donghak is likewise doing so by arguing that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originally anti-anthropocentric system of ideas through the medium of the healthy ecological directivity of holistic cosmology and ‘Sicheonju(侍天主)’ doctrine characteristic of i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how persuasive such an ecological self-justification of Donghak is. This work will come to reveal both the ecological significances and the limitations of Donghak as a Korean native religion. And 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I will come to critically inspect whether a quasi-nationalist academic tradition of Korean studies which has opposed ‘our biocentrism’ to ‘western anthropocentrism’ is proper or not.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민족종교 동학의 교의에 내포된 생태주의적 방향성을 드러내어 그 의의를 철학적으로 평가해 보려는 데 있다. 오늘날 인간이 자초한 생태적 파국의 위험은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에 일대 전환이 있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하는 듯하다. 이에 따라 ‘인간중심주의’의 폭력성을 탄핵하며 자신이 그것의 보균자가 아니라는 점을 입증하는 일은 종교와 철학을 비롯한 현대의 모든 규범적 상징체계가 자신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거쳐야 할 시대적 통과의례가 된 것처럼 보인다. 동학도 역시 이러한 경향에 가세해 왔는데, 이 경우에 동학은 특유의 전일주의적 우주론과 시천주(侍天主) 교리로 건전한 생태주의적 방향성을 처음부터 확보함으로써 말썽 많은 인간중심주의와 본원적으로 무관한 사상체계로 자리매김해 왔다는 논리가 구사되곤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동학의 그러한 생태주의적 자기변호가 과연 얼마만큼의 설득력을 지닐 수 있는지를 규명해 보려고 한다. 이것은 한국적 토양에서 자생한 민족종교로서의 동학이 지구적 생태위기의 해결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관련하여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동시에 드러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해명의 결과로서 필자는 ‘서구의 인간중심주의’와 ‘우리의 생명중심주의’를 대척적으로 맞세우는 유사(類似)민족주의적 학풍을 철학적 논변의 시험대에 올려놓고 그것의 타당성 여부를 비판적으로 검증해 보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