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통신기기의 위치추적에 대한 헌법적 통제에 관한 소고

        이상경 헌법재판연구원 2019 헌법재판연구 Vol.6 No.1

        Recently, a so-called Location-Based Service (LBS) has been activated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which can lead to various constitutional problems as well as various beneficial services. In particular, there is a great deal of concern about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in using such location information for investigation purposes. The conflicts occur between the basic rights, especially securing freedom of communication, privacy,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investigatory utiliz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key issues related to location tracking, which are currently in question, 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this paper discusses the sorts of location information tracking methods, the second, tracking cell-sit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tracking real time GPS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nvestigatory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nfringes search warrant,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right to self -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e of location information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racking of cell-site location information and GPS location tracking. The cell-site location information tracking can be divided into two again. The first is a location tracking method through the use of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which is related to the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confirmation fact data in the recent constitutional case. The second is a form in which communication histor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ll communication subscribers existing in a specific base station are collectively. The following is the tracking of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tracking of such GP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wo. First, there is a way to continuously track by attaching a location tracking device. Second, there is a method of tracking real time GPS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virtual cell-site location, namely, a cell-site simulator. Since tracking real time GPS location inform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ivacy,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papers suggests that search warrant issued by courts be strictly needed for investigatory use of real time GPS location information. 최근 개인의 위치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활용하는 소위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가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위치정보의 활용은 다양한 편의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헌법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국가가 개인의 위치정보를 수사목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정보주체의 통신비밀, 사생활의 비밀 및 개인정보 등의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문제 되고있는 위치추적과 관련된 핵심 쟁점을 다음 3가지로 구분하여 논의한다. 먼저 정보통신기기의 위치추적의 종류를 논의하고, 두 번째로 발신기지국 위치추적, 세 번째로 실시간 GPS위치정보 추적에 관해 순서대로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와 더불어 위치추적의 헌법적 통제문제로서 영장주의, 통신비밀의 보장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 침해 여부에 관해 검토한다. 위치정보를 수사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크게는 발신기지국 위치정보 추적과 실시간 GPS위치정보의 추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발신기지국 위치정보 추적은 다시 2가지로 구별될 수 있다. 첫째는 이동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을 통한 위치추적 방법으로 과거의 발신기지국 접속 정보를 통한 위치추적-우리의 경우 통신확인사실자료의 요청과 관련된 부분-이다. 둘째는 특정한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 모든 통신 가입자들에 대한 통신내역과 위치정보를 일괄 제공받는 형태-소위. ‘기지국 수사’-의 위치정보 추적이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와 미국의 연방법원의 판례를 통해 발신기지국 위치정보의 추적에 관한 헌법적 통제문제를 살펴본다. 다음은 실시간 GPS위치정보의 추적이다. GPS위치정보는 인공위성과 GPS장치 부착 단말기 사이를 신호가 이동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단말기의 위치가 파악되는 것으로써, 기술적인 수단이나 추적범위, 추적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발신기지국 위치정보’와 구별된다. 실시간 GPS위치정보의 추적도 다시 2가지로 구별될 수 있다. 첫째는 GPS위치추적 장치를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실시간 추적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가상기지국을 이용한 실시간 GPS위치정보의 추적방법이다. 실시간 GPS위치정보의 활용은 명문의 근거 법률이 없다는 점에서 법률유보 위반 문제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등 침해문제를 야기하므로, 활용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되 법원의 영장주의를 요건으로 하는 등 엄격하게 인정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미국 연방법원의 판례를 고찰함으로써 우리에게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KCI등재

        수사목적 GPS 위치추적의 적법성

        최대호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법학논고 Vol.0 No.62

        It is required to strictly regulate GPS Investigation in the considering the nature of GPS location tracking and the increasingly violation of the people’ basic rights. as a result of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nvestigation agency through GPS location tracking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a specific individual or group, it can cause the infringement of a very serious level that can not be tolerated against the people’s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privacy righ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ppropriate limits for GPS investigation. In this paper, it examined the compulsory disposition of GPS investigation and its legitimacy.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the cases of the US and Japan and examined the compulsory disposition of GPS investigat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After establishing the GPS investigation as a compulsory disposition, it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gulating on the current Act and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it.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even th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belongs to the public domain, accumulated, that may be used for investigation or profiling of future crimes. this GPS location tracking is contrary to the actual intention of the investigator and is likely to infringe on the right of privac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 addition to special legal restrictions, the court’ strict control through the application of warrants in order to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GPS location tracking. In this respect,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are highly utilized for GPS investigation, have acknowledged the forced disposition of GPS investigation and strengthened the legislative and judicial control over it. in contrast, the Korea is possible to control the use of the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Secret Protection Act’. which is more advanced than the US and Japan. However, it is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whether or not to include 'GPS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cope of 'communication fact confirmation data' stipulated in Article 2-11 of the Communication Secret Protection Act. In order to eliminate this, it is desirable to insert 'GPS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location base station location tracking data' through amendment of the Communication Privacy Protection Act. GPS 위치추적의 성질에 비추어 생각해 볼 때 GPS 수사는 국민의 기본권 침해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엄격한 규제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수사기관이 GPS 위치추적을 통해 취득한 위치정보가 특정 개인 또는 단체를 감시할 목적으로 이용된 결과 국민의 기본권 특히 사생활 보호권에 대하여 감내할 수 없는 매우 심각한 수준의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GPS 수사에 대한 적절한 한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PS 수사의 강제처분성과 그 적법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과 일본에서의 사례와 판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형사소송법상 GPS 수사의 강제처분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GPS 수사를 강제처분으로 자리매김한 후 현행법상 이에 대한 규제가능성과 이에 대한 입법적 방향을 검토하였다. 그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GPS 위치추적을 통해 취득된 위치정보는 그 위치정보가 사적 영역에 속하든 공적 영역에 속하든 지속적으로 취득될 경우 사생활 침해의 잠재적 위험성이 매우 크고, 뿐만 아니라 취득된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당해 범죄가 아닌 장래 범죄에 대한 수사 또는 프로파일링을 목적으로 사용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GPS 위치추적은 수사대상자의 실질적 의사에 반하고 또 헌법상 보장된 사생활 보호권에 대한 침해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GPS 위치추적의 적정성을 위해 특별한 법적 규제와 더불어 영장주의의 적용을 통한 법원의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GPS 수사의 활용도가 높은 미국과 일본에서는, GPS 수사는 개인의 의사를 억압하여 헌법이 보장하는 중요한 법적 이익을 침해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법적 근거가 없으면 허용되지 않는다는 이른바 강제처분성을 인정하면서 이에 대한 입법적 및 사법적 통제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통신비밀보호법의 적용을 통해 GPS 위치정보는 아니지만 통신기지국위치정보에 대한 수사기관의 활용을 통제할 수 있는데 이는 미국 및 일본에 비해 진일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통신비밀보호법 제2조 11호에 규정된 ‘통신사실확인자료’의 범위에 규정된 ‘발신기지국의 위치추적자료’의 해석과 관련하여 여기에 ‘GPS 위치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둘러싸고 해석론상 논란이 되고 있다. 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을 통해서 ‘발신기지국의 위치추적자료’와 더불어 ‘GPS 위치정보’를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29조의 개정 방안

        박종철,윤호연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3

        The police are authorized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reporters to make emergency rescue more efficient in dangerous situations. Nevertheles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t」i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revision of the law and shows a wide gap from reality, which hinders the swift rescue operation. In particular, Article 29 of the same Act is the most important regulation in collecting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but due to problems that do not properly reflect reality this study proposes legislative amendments based on Article 29 of the「Location Information Ac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methods of requesting emergency rescue from emergency rescue agencies and police stations. The location tracking of emergency services focuses on a ‘solid status’ relationship, while the location tracking of police stations focuses on a ‘special situation’ relationship. The above dualized rescue requests should be changed to a unified rescue request method as they result in undermining the efficiency of emergency rescue and neglecting the safety of the people. Second, illustrative techniques are needed to clarify the ‘urgent risk’ situation. Not only does other laws, including the「Location Information Act」, have no technology for ‘urgent risks’, but the concept itself is so abstract that it is an obstacle to preventing police judgment in urgent situations, which requires revision to give cla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an example situation of ‘urgent risk’ to the statement so that it can be judged quickly and accurately. Third,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intention of the structural requester of ‘Third Party Location Tracking’ should be revised. The provision of Article 29 of the same Act as an exception to Article 15 of the「Location Information Act」is aimed at rescuing the people in a dangerous situation more effectively, and in turn it is a clear violation of the upper clause of Article 29 paragraph 3. Therefore, at the time of ‘Third Party Location Tracking’ the pseudo-identifi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pre-check’ to ‘post-notification’. Fourth, legislation needs to be improved to track the location of ‘incomplete report’. The ‘incomplete report’ currently carries out location tracking even though there is no legal basis, which acts as a very high task burden for the polic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police's response to the ‘incomplete report’ can be made without illegality, the concept and legal grounds that reflect reality should be established. 경찰에게 신고자 등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것은 위험 상황에서의 긴급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법」은 법률의 개정 목적에도 배치되고 현실과도 많은 괴리를 보이고 있어 오히려 신속한 구조 업무에 방해를 주고 있다.특히, 동법 제29조는 개인위치정보수집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규정이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위치정보법」 제29조를 중심으로 입법적 개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긴급구조기관과 경찰관서의 긴급구조 요청방법의 통일이 필요하다. 긴급구조기관의 위치추적은 ‘일정한 신분’ 관계에 초점을 둔 반면, 경찰관서의 위치추적은 ‘특정한 상황’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위와 같은 이원화된 구조 요청은 긴급구조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국민 안전을 방치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일원화된 구조 요청 방법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둘째, ‘급박한 위험’ 상황의 명확화를 위한 조문상 예시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위치정보법」을 비롯한 타 법률에서 ‘급박한 위험’에 대한 기술이 없을 뿐 아니라, 그 개념 자체가 매우 추상적이어서 긴급한 상황에서 경찰 판단을 막는 장애가 되고 있어 명확성 부여를 위한 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급박한 위험’의 예시적인 상황을 조문에 추가하여 신속․정확하게 판단을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제3자 위치추적’의 구조 요청자 의사 확인 방법을 개정해야 한다. 「위치정보법」 제15조의 예외로 동법 제29조를 규정한 것은 위험 상황에 놓인 국민을 보다 실효적으로 구조하기 위함인데, 다시 제29조 제3항에서 구조 대상자 의사를 사전 확인토록 하는 것은 명백한 상위 조항 위반이다. 그러므로 ‘제3자 위치추적’ 시에 의사 확인은 ‘사전 확인’에서 ‘사후 통보’로 변경해야 한다. 넷째, ‘불완전 신고’의 위치추적을 위한 법제 개선이 필요하다. ‘불완전 신고’는 현재 법적근거가 없음에도 위치추적을 실시하고 있고, 이는 경찰의 매우 높은 업무 부담으로 작용한다. ‘불완전 신고’에 대한 경찰 대응이 위법성을 띠지 않고 정당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현실을 반영한 개념 정립과 법적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휴대전화 활용 실종자 찾기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이건수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4

        In the case of a missing person, police have been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they called in the range of 3 to 5 kilometers, after checking the data stored at the news agency to find the missing pers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find a missing person as they are often in urban areas or hilly areas afte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n modern society, most of them carry cell phones from elementary school to old age group. In case of a missing persons case,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ellular phone GPS receiver,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ere devices and people communicate, and lo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bout objects and people can be used to identify missing persons. When using a mobile phone using WiFi, if the location is a restaurant, movie theater, or caf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 IP of the access terminal, the time of use, etc. are displayed on the sharing device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of the missing person, and other data such as the address of the receiver (AP) are left on the missing person's mobile phone. In addition, these data can identify the movement, behavior analysis, criminal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complices us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s, and real-time tracking of missing persons based on accurate indoor location. The disappearance should be resolved by utilizing the latest convergence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phones. 실종사건이 발생하면 경찰은 실종자를 찾In the case of a missing person, police have been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they called in the range of 3 to 5 kilometers, after checking the data stored at the news agency to find the missing perso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find a missing person as they are often in urban areas or hilly areas afte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n modern society, most of them carry cell phones from elementary school to old age group. In case of a missing persons case,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cellular phone GPS receiver,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ere devices and people communicate, and lo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bout objects and people can be used to identify missing persons. When using a mobile phone using WiFi, if the location is a restaurant, movie theater, or cafe,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 IP of the access terminal, the time of use, etc. are displayed on the sharing device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of the missing person, and other data such as the address of the receiver (AP) are left on the missing person's mobile phone. In addition, these data can identify the movement, behavior analysis, criminal ide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complices using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issing persons, and real-time tracking of missing persons based on accurate indoor location. The disappearance should be resolved by utilizing the latest convergence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phones.기 위해 통신사에 보관된 자료를 확인하고 3-5km의 범위에 통화한 기지국 중심 위치추적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기지국 중심 위치추적 후에 직접 방문을 해보면 도심지역이거나 야산인 경우가 많아서 실종자를 발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대사회에서 초등학생부터 노년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다. 실종사건이 발생 할 경우에 휴대폰 GPS수신기, 기기와 사람 등이 소통하는 사물인터넷(IOT) 등 융복합기술, 사물과 사람에 대한 위치정보 기술 등은 실종자 발견에 적극 활용 할 수가 있다.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핸드폰을 사용 할 때, 그 장소가 식당, 영화관, 카페 등일 경우,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공유기에 실종자의 기기 정보, 접속단말기의 IP, 사용시간 등이 표시되고, 실종자의 핸드폰에도 공유기(AP)의 주소 등 자료가 남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료는 실종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활용한 동선 분석 및 행동 분석, 범죄성여부 파악, 공범자 파악 등을 파악하고 정확한 실내 위치에 기반하여 실시간 실종자 추적을 실행할 수 있다. 휴대폰과 연관된 최첨단 융복합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실종사건이 해결되어야 한다.

      • SCIESCOPUSKCI등재

        A Tracking System Using Location Prediction and Dynamic Threshold for Minimizing SMS Delivery

        Lai, Yuan-Cheng,Lin, Jian-Wei,Yeh, Yi-Hsuan,Lai, Ching-Neng,Weng, Hui-Chuan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13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ol.15 No.1

        In this paper, a novel method called location-based delivery (LBD), which combines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global position system (GPS), is proposed, and further, a realistic system for tracking a target's movement is developed. LBD reduces the number of short message transmissions while maintaining the location tracking accuracy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 proposed approach, LBD, consists of three primary features: Short message format, location prediction, and dynamic threshold. The defined short message format is proprietary. Location predic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current location, moving speed, and bearing of the target to predict its next loc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redicted location and the actual location exceeds a certain threshold, the target transmits a short message to the tracker to update its current location. The threshold is dynamically adjusted to maintain the location tracking accuracy and the number of short messages on the basis of the moving speed of the targe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LBD, indeed, outperforms other methods because it satisfactorily maintains the location tracking accuracy with relatively fewer messages.

      • KCI등재

        A Tracking System Using Location Prediction and Dynamic Threshold for Minimizing SMS Delivery

        Yuan-Cheng Lai,Jian-Wei Lin,Yi-Hsuan Yeh,Ching-Neng Lai,Hui-Chuan Weng 한국통신학회 2013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ol.15 No.1

        In this paper, a novel method called location-based delivery (LBD), which combines the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global position system (GPS), is proposed, and further, a realistic system for tracking a target’s movement is developed. LBD reduces the number of short message transmissions while maintaining the location tracking accuracy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 proposed approach, LBD, consists of three primary features: Short message format, location prediction, and dynamic threshold. The defined short message format is proprietary. Location predic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current location, moving speed, and bearing of the target to predict its next loc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redicted location and the actual location exceeds a certain threshold, the target transmits a short message to the tracker to update its current location. The threshold is dynamically adjusted to maintain the location tracking accuracy and the number of shortmessages on the basis of themoving speed of the targe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LBD, indeed, outperforms other methods because it satisfactorily maintains the location tracking accuracy with relatively fewer messages.

      • KCI등재후보

        Three Dimensional Indoor Location Tracking Viewer

        ( Chi-shian Yang ),( Sang-joong Jung ),( Wan-young Chu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 Vol.3 No.1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its 3D tracking monitoring viewer, viz., 3D Navigation Viewer (3DNV). We focus on the integration of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with the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 to facilitate a representation of the user`s spatial information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s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physical location environment. The developed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employs beacons as active transmitters, and a listener as a passive receiver.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speeds of RF and Ultrasonic signals is exploited, to determine the user`s physical location. This is essential in supporting third parties like doctors and caregivers in identifying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a particular individual via 3DNV. 3DNV serves as a unified user interface for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showing the viewpoint and position of the target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s. It was implemented using VRML, to provide an actual real time visualization of the target`s spatial information

      • KCI등재

        스마트폰 위치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張校湜(Jang, Kyo-Sik),趙廷恩(Cho, Jung-Eun) 韓國土地公法學會 2011 土地公法硏究 Vol.54 No.-

        최근 들어 IT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스마트폰 위치정보 및 추적이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 단말기에 컴퓨터의 기능이 부가된 것으로 이를 통해 이용자는 기존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보에 무제한으로 접근해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위치정보에 기반한 서비스는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적극적으로 이를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하여 위치정보에 포함된 개인정보의 오 · 남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개인정보가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불법적으로 수집 및 이용하는 부분에 대한 기준이 필요함에도 이에 대한 규정이 미비하다. 따라서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위치정보의 활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현행 위치정보 관련법의 한계를 분석 · 고찰함으로써 현행 법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개인위치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정보 침해여부와 관계없이 개인위치정보를 취급하지 않는 위치정보사업자에게도 동일한 기준으로 허가 · 신고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경미한 위반사항에도 높은 수준의 처벌을 부과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침해와 무관한 위치정보 사업에 대해서는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 개인정보 침해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위치정보사업자들이 함부로 개인위치정보를 수집 및 이용해서는 안 되며,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위치정보를 저장해야만 할 때에는 반드시 암호화를 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삭제하도록 하여야 한다. Nowadays, the use of smart phones has become pop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so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tracking of smart phones are becoming the big problem. Smart phone is the cell phone terminal added the computer’s functionality. Through this, users have been overcome the existing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are able to access to information without any restriction. Especially, serv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e the various convenience so the users are actively utilizing them. However, the possibility of misu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location-based service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Nevertheless, studies concerning this issue are still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 standard related to illegal collection and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by compan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re needed, but the provision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law should be suggested by analyzing and considering the present condition of collection and u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problems of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law. And the way for protecting privacy safely and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should be sought ultimately. In case of Korea, even service providers do not handle the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must get permission and declare under the same standard like the service providers who handle the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regardless of violation of privacy. Also, even if minor violations, the heavy penalties are imposed. Therefore, restrictions about location information business unrelated to privacy are needed to relax. However, restrictions about location information business related to privacy should be tightened. In particular, service providers should not misuse the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and smart phone users should be able to delete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lso,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should be stored, it must be encrypted and dele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영상 내 목표물 추적 및 목표물의 위치 추정 기법의 온보드 구현

        전병일,김영주,방효충,김용호,백일현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본 논문에서는 무인 항공기에 장착되는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영상 내 목표물 추적 및 목표물의 실제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온보드로 구현한다. 영상 내 목표물 추적 기법은 커널 정보를 이용한 목표물추적 기법을 사용하며, 영상 내 목표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그리고 영상 내 목표물 추적을 통해 알아낸 영상 내 목표물의 위치와 항공기의 위치, 자세 정보, 김발의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물의 실제 위치를 추정한다. 이러한 기법들을 실제 비행에 적용할 수 있는 온보드 시스템으로 구현한 뒤, 모의 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 하였다. This paper realizes an on-board system tracking the Target on camera frames and estimating inertial locations of the Target. It tracks moving objects on camera frames that Kernel-based Target Tracking algorithm. Then, we know pixel locations of the target. With this information, we can estimate its inertial location. It is called the Geo-location. In the Geo-location process, the inertial location is estimated using positions and attitudes of the UAV, poses of the gimbal system and pixel locations of the target. We realize these algorithms on on-board computer and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indoor experiments.

      • KCI등재

        GPS 위치정보와 영장주의

        이윤제(Lee, Yun-Je)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1

        현재 수사기관이 GPS 위치정보수집을 범인 검거에 이용하여야 할 필요성은 증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하여 국내외에 적절한 선례가 없는 상황이다. GPS 위치정보는 휴대폰 기지국 위치정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정확도가 높다. 스마트 폰이 광범위하게 유통됨에 따라 시민사회와 학계는 이러한 GPS 위치정보수집이 과도한 프라이버시 침해로 발전할까 두려워하고 있는 반면, 수사기관은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이 GPS 위치정보를 수집하려고 시도하다가 여론에 의하여 비난을 받을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이 범죄인에게만 유리하게 작용하고 오히려 수사기관은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 의한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다고 한다면 이는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다. 강제처분법정주의만을 강조하여 새로운 기술을 완전히 포섭하는 규범이 없는 경우에 이러한 규정이 만들어 질 때까지 수사기관이 이러한 기술을 수사에 전혀 이용할 수 없다고 하기 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기술의 성질에 부합하는 법원의 적절한 통제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적용하게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해석론으로는 GPS 위치정보의 수집에 필요한 법원의 통제의 정도는 통신사실확인자료제공보다는 높고, 통신제한조치 보다는 낮은 것이 적절하며, 따라서 형사소송법상의 압수수색영장 발부 정도에 필요한 요건을 구비하였는지를 법원이 심사하여 할 것이다. 입법론적으로는 GPS 위치정보수집을 정보통신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일종으로 파악하여 통신비밀보호법에 규정하되, 그 허가의 기준은 압수수색영장의 발부 요건에 준하도록 하고, 미국의 위치추적에 관한 연방형사소송규칙을 참고하여 자세한 영장 집행 절차를 규정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통신비밀보호법상의 전기통신의 개념을 기술의 발전에 부합하도록 보완하는 작업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a space-based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at provides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in all weather conditions, anywhere on or near the Earth where there is an unobstructed line of sight to four or more GPS satellites. GPS location information is much more accurate than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In Korea, while law enforcement can obtain Cell site location information after they get a permission from the court according Telecommunication Secrets Protection Act, there is no regulation regarding obtain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It is rare to find a judgement of GPS location tracing cas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S. Recently, in the United States v. Skinner case, the Sixth Circuit Court of Appeals ruled that the defendant Skinner did not have a reasonable expectation of privacy in the GPS data emanating from his cell phone that showed its location. Skinner argued that the use of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emitted from his cell phone was a warrantless search that violated the Fourth Amendment. However, the court explained that when criminals use modern technological devices to carry out criminal acts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etection, they can hardly complain when the police take advantage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ose very devices to catch them. I think it is unfair that while the criminals can benefit from the technology, the law enforcement cannot. However, it is legitimate for law enforcement to get a GPS location tracing warrant even under the present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we should amend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Secrets Protection Act to provide the detailed regulation on the standard for the courts to issue a GPS location tracing warrant and the concrete process of issuing the warr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