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최성은 ( Choi Seng-eu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8 여성경제연구 Vol.15 No.1

        건강보험제도의 설계에 있어서 적절한 본인부담금의 설정은 수요자 측면에서 불필요한 의료서비스 남용을 방지하여 건강보험에 따른 수요자 측면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인부담금 정책의 효과성은 의료서비스 수요의 본인부담금 탄력성에 의해 좌우 된다. 본 고에서는 본인부담금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의료서비스 이용량의 본인부담율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먼저 본인부담금 제도가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에 시행된 상급종합병원 외래진료 본인부담금 인상제도로 인한 시계열 및 횡단면 변이를 활용하여, 이러한 변화가 경증질환 외래이용을 경감시켰는지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2009년 상급종합병원 외래본인부담금의 인상은 경증질환으로 인한 상급병원 외래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료서비스 이용량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한 결과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이용량의 탄력성은 -0.295, 외래서비스 내원일수의 탄력성은 -0.151, 입원일수의 탄력성은 -0.072, 경증질환 외래서비스 이용의 탄력성은 -0.184로 분석되었다. 의료서비스 이용의 본인부담 탄력성은 외래가 입원보다 더 탄력적이고 일반적인 외래보다는 경증질환으로 인한 외래 이용량의 경우 보다 탄력적으로 추정되어, 경증외래 질환에 대한 본인부담금 정책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추정결과만 놓고 보면 경증외래서비스에 대한 본인부담금을 10% 인상시키게 되면 경증의료서비스 이용율은 약 18.4% 감소하고, 외래 본인부담금을 10% 인상하게 되면 외래 서비스 이용량은 약 15.1%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경증질환 외래진료에 대한 본인부담금 정책의 효과는 상당히 클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ncreases in health expenditure put financial burdens, but at the same time, it may promote national health, enhancing quality of human capital. Nevertheless, moral hazard in service utilization, especially for non-critical diseases, needs to be watched out, since the cost utilization may excel the benefit for such service utilization. This study focuses on demand side moral hazard in service utilization, examining the effect of cost-sharing on the service utilization. The empirical models in this study shows that the increases in cost-sharing do affect individual choice of service utilization, especially for the service utilization of non-critical diseases. The effect is larger for the lower income group than higher income group, suggesting that the lower income people is more keen to cost-sh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on cost-sharing needs to be delicately amended to reduce non-necessary hospital utilization, especially for non-critical diseases.

      • KCI등재

        실손의료보험의 본인부담금 상한액 초과금 면책사항에 관한 연구

        정원석,이한덕,강효선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홍익법학 Vol.23 No.3

        Out of Pocket Payment Limit Policy is a system in whic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ays the excess amount when the individual out of pocket payment of health insurance exceeds the limit to ease the burden on household economy due to excessive medical expense. Since the health insurance of the whole nation in 1989,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Act No. 5854) was enacted to improve public health and social security, and the coverage expansion policy has been continuously implemented, including introducing the out of pocket limit policy. On the other hand,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provided by private insurance companies is a private health insurance that guarantees the amount actually paid for medical expenses when members are hospitalized for illness or injury or outpatient treatment, and serves to ease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Since standardization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in October 2009, the matters that do not cover the excess of the out of pocket limit for patient care that can be refunded in advance or after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were included therein. The reason why private insurance companies include refunds in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exemption is because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is of personal insurance, but compensating cost at the same time, thu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gain and compensation of actual expense are considered to be applied.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practice with the exemption of refunds due to the out of pocket limit policy.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stance betwee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private insurance companies on nature of the refu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believes that it is a 'public coverage to enhance the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whose nature is different from patient care coverage as money and goods for income compensation.' On the other hand, as private insurance companies understand it as a 'nature of cost compensation', they believe that it may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gain or compensation of actual expense when the refunds are not compensated. Second, since income-based premium funding method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basis for calculating premium based on the risk rate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are different, in the case of low-income members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there is an unreasonable situation that they do not get paid of proper coverage from private insurance companies even after paying the same premium, raising distrust in the role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and insurance companies. Third, even though the refund was included in the exemption after the standardization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in October 2009, disputes are occurring as they do not compensate the previous members, and due to the structure where private insurance companies cannot accurately identify refunds according to income quintile of members, a lot of disputes with members have occurred after the revision of the standardized terms and conditions. Becaus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coverage and out of pocket limit policy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revision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concretely to propose to omit the exemption of pre- and post-refund of out of pocket limit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by revising Article 44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By omitting the exemption, disputes with members can be reduced, and by performing the complementing and subsidizing role of the public insurance that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has, trust of the fee for service health insurance that the majority are the members of will increase. This is expected to affect increase in profitability of insurance companies in the midꠓto long-term. Specifically, improvement of the structure of fourth-generat... 본인부담금 상한제란 과도한 의료비로 인한 국민가계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하여 환자가부담한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이 개인별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금액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이다. 국민건강보험은 1989년 전 국민 의료보험 이후 1999년 국민 보건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을 목적으로 국민건강보험법(법률 제5854호)을 제정하면서 본인부담금 상한제를 도입하는등 급여 확대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해 오고 있다. 반면에 민영보험회사의 실손의료보험은 보험가입자가 질병이나 상해로 입원 또는 통원치료 시 의료비로 실제 부담한 금액을보장해주는 사적 의료보험으로서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009년10월 실손의료보험 표준화 이후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요양급여의 본인부담금 중 사전또는 사후 환급이 가능한 본인부담금 상한액 초과금을 보상하지 않는 사항에 포함시켰다. 민영보험회사의 실손의료보험에서 환급금을 면책사항에 포함시키고 있는 이유는 실손의료보험이 인보험의 영역이지만 실비 보상적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득금지의 원칙 및 실손보상의 원칙이 적용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인부담금 상한제에 따른 환급금 면책사항은 실무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환급금을 어떤 성격의 금전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민영보험회사 간의 입장 차이가 존재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소득보전 성격의 금품으로서 요양급여와는 그 성격이 다르며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를 위한 공적급여’에 해당한다고 본다. 반면에 민영보험회사는 ‘실비 보상적 성격’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환급금을 보상하지 않아야 이득금지의 원칙 또는 실손보상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국민건강보험의 소득기준 보험료 재원 적립방식과 실손의료보험의 위험률 기준보험료 산출기초가 다르기 때문에 저소득 실손의료보험 가입자의 경우에는 같은 보험료를내고도 민영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의료비)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점이 발생되고 있어 실손의료보험의 역할 및 보험회사에 대한 불신이 심화되고 있다. 셋째, 환급금이 2009년 10월 실손의료보험 표준화 이후 면책사항에 포함되었음에도 그이전 가입자들에게까지 보상하지 않음으로써 분쟁이 발생하고 있고, 민영보험회사가 건강보험가입자의 소득분위에 따른 환급금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구조로 인해 표준화 약관 개정 이후의 가입자들과도 실무적으로 분쟁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보험급여 및 본인부담금 상한제와 실손의료보험 개정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실손의료보험의 본인부담금 상한액 사전 또는 사후환급금 면책사항은 삭제되어야 할 것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민건강보험법 제44조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면책사항에서의 삭제를 통해 보험가입자와의 분쟁을 줄일 수 있고 실손의료보험이 가진공영보험의 보완·보조적인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국민 대다수가 가입한 실손의료보험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보험회사의 수익성 증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현재 보험료 할인·할증제를 도입하고 있는 4세대 실손의료보험의 상품구조 개선은 보험가입자뿐만 아니라 보험...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 확대 전·후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형평성 분석

        채지은,서영준 한국장기요양학회 2022 장기요양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duction policy in terms of horizontal equity by examining changes in service use equity by type of benefits before and after reductio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recipients. To this end, data from 2017 and 2019 of health insurance claims and long-term care insurance claims were used, and all long-term care servic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acility benefits and home care benefi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HIwv index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horizontal equity in the amount of use before and after the expansion of the co-payment reduction ec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age and co-payment expenses in both facility benefits and home care benefits in the 6th to 10th quintiles newly added as reduction targets. However, only some quinti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1st to 5th quartiles, which is interpreted as having a strong effect before and after the 6th to 10th quartiles, although 40% of their own contributions were newly reduced. As a result of horizontal equity analysis, both the number of days and number of days of use of facility benefits and home care benefits changed equity after the reduction was expanded, and the co-payment expenses also decreased and became equitable. Using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 in the direction of alleviating the "climb phenomenon" for reduction benefits among recipients to further subdivide the current self-burden reduction income section to improve equity in the use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 future.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at the study did not accurately conside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pplier attraction demand in equity analysis, and used insurance level as proxy indicators of income level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its data. Nevertheless as it analyzed changes in long-term care service usage before and after policies and suggested alternatives to improve equity in the use of long-term care services between income quintiles, it is very meaningful which can be used as a policy basis for the policy of guaranteeing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대상자를 대상으로 2018년 8월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 확대 전·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감경 확대 정책의 효과성을 수평적 형평성 측면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과 2019년의 건강보험 청구자료와 장기요양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장기요양서비스를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수평적 형평성 분석을 위해 HIwv 지수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감경 확대 후 새롭게 감경대상자로 추가된 소득분위 6~10분위에서 시설급여와 재가급여 모두 이용량과 본인부담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감경대상자인 1~5분위에서는 일부 분위만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6~10분위는 감경 확대 이후 본인부담금의 40%를 새롭게 감경받게 되었으나 1~5분위는 기존 50% 감경에서 10%만 증가한 60%의 감경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6~10분위에 비해 모든 분위에서 감경 확대 전·후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수평적 형평성 분석 결과, 시설급여와 재가급여의 이용일수와 횟수 모두 저소득층에 집중되어 있던 이용량이 감경 확대 후 형평적으로 변화하였고, 본인부담금 또한 고소득층의 부담이 감소하며 형평해진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증진을 위해 현재의 본인부담금 감경 소득 구간을 더욱 세분화함으로써 수급자 간 감경 혜택에 대한 ‘절벽현상’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소득수준별 본인부담률 차등책정, 상한액 차등 설정 등의 다양한 방안을 동시에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형평성 분석에 있어 주관적 건강상태와 공급자 유인수요를 정확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실제 소득수준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보험료를 대리지표로 사용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2018년 8월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감경 확대 전·후를 비교한 선행연구가 미미했던 상황에서 본인부담금 감경대상자를 대상으로 정책 전·후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량의 변화와 소득분위 간 이용의 수평적 형평성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 형평성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독일 의료보험의 본인부담 상한제도: 한국 의료보험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우경숙,신영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regarding out-of-pocket maximum in Korea by examining the operational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this policy that is stably implemented in Germany. Coverage: It applies to the benefits of insured persons registered in statutory health insurance. Two-Level Maximum Policy: It sets a maximum cap per item at the time of initial use of the benefit, and establishes the annual cap per household. Management and Operation: The sickness funds operates based on the co-payment ceiling regulations. Ceiling Calculation: The general cap is set at 2% of the annual household income, lowered to 1% for households with chronically ill members. Evaluation: Germany has improved practicality while securing equity between classes by considering household members, economic levels, diseases, and disabilities in co-payment ceiling. Conclusion: Out-of-Pocket Maximum operates as a medical safety net by precisely designing co-payment ceilings based on income. German co-payment system may be utilized for improving co-payment policies in Korea. 본인부담 상한제는 과도한 의료비로부터 개인과 가구를 보호하는 의료 안전망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보편적 의료보장 수준이 높은 독일의 본인부담 상한제를 고찰하여, 향후 한국의 본인부담 상한제의 실효성 제고와 의료보험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독일은 1989년 ‘의료보험개혁법’을 통해 전액 및 일부 본인부담면제, 2003년 ‘의료보험현대화법’ 현재의 본인부담 상한제로 개정되었다. 상한제 운영은 보험자인 질병금고가 상한제 규정 및 원칙에 근거하여 운영한다. 독일에서 환자는 서비스 이용 시점에 10%의 정률부담금을 지불하지만 항목별로 10유로의 고정 금액이 설정되어있고, 가구 단위로 본인부담금이 연간 상한액을 초과하면 면제해주는 이중 안전망으로 설계되어 있다. 본인부담 상한액은 연간 가구 총소득의 2%, 만성질환자 가구는 1%로 낮은 수준이며, 상한액 산정에 ‘가족에 대한 고려’, ‘저소득 가구 특별 규정’, ‘사회부조 한도액 대출’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등화하고 있다. 최근 보장 수준의 일부 후퇴에도 불구하고, 소득비례 상한기준 적용을 통한 형평성 제고와 개인 및 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교하게 설계된 본인부담 상한제라는 두터운 이중 의료 안전망을 운영함으로써 84.6%의 높은 보장 수준과 2.4%의 낮은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독일 본인부담금 제도의 특징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면서도 독일에 비해 내용과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 본인부담제도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득금지원칙과 실손의료보험 감면제도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맹수석,김준엽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61

        When calculating medical expenses in the field, various reduction/exemption systems such as medical expense reduction/exemption system for meritorious persons and their families, reduction/exemption system for hospital staff, reduction/exemption system for acquaintances, and copay cap system, etc. are operated. Practical disputes are frequently found on whether the reduced/exempted amount by such reduction/exemption systems is subject to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profits. Especially, the copay cap system causes many disputes recently in relation to medical indemnity insurance. Nevertheless, such disputes and arguments, Financial Disputes Mediation Committee and Consumers Dispute Settlement Commission make conflicting decisions on similar issues because in-depth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on these issu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various reduction/exemption systems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profits and on how to reasonably solve such recent dispute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profits is not prescribed in the law but is recognized as a mandatory provision. In the case of medical indemnity insurance, reduction/exemption system for meritorious persons and reduction/exemption system for medical institutions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profits but are reflected in the agreement for acceptance. Cases of dispute mediation and judicial precedents related to the copay cap system state that refunds of the copay cap system is not exempted in case of medical indemnity insurance agreement before a standard agreement in 2009 and such statement is deemed reasonable. Therefore, refunds of the copay cap system would be deemed reasonable in case of the agreement after the standard agreement. However, as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terpretation may be violated if the processing method is different by insurance company, it would be required to unify the methods so that insurance money is paid in full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opay cap system when payment of insurance is requested and refund is done after the payment of refund money. Also, as insurance benefit belongs to main agreement and insurance non-benefit belongs to the special agreement in the 4th generation medical indemnity insurance, it would be required to basically solve the disputes related to the copay cap system by limiting the maximum insurance amount within the copay cap amount in case of main agreement to guarantee insurance benefit. 실무상 의료비 산정에 있어서 국가유공자 본인과 가족에 대한 의료비 감면제도, 병원 직원 감면제도, 지인 감면제도, 본인부담금상한제 등 다양한 감면제도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면제도에 따라 감면받은 금액이 이득금지원칙의 적용 대상인지에 대해 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본인부담금상한제는 최근에 실손의료보험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잦은 분쟁과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금융분쟁조정위원회와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가 유사한 사안에 대해 상반되는 결정을 내리고 있고, 법원의 판단도 일관성이 없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이득금지원칙을 바탕으로 다양한 감면제도에 관해 살펴보고, 최근의 논란들을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타당할지 연구해 보았다. 본인부담금상한제와 관련한 분쟁조정사례나 판례들은 2009년 표준약관 이전 본인부담금상한제 환급금이 면책사항으로 규정되지 않은 실손의료보험약관의 경우에는 본인부담금상한제 환급금을 면책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면책사항으로 반영된 2009년 개정 표준약관 이후 계약에 있어서는 본인부담금상한제 환급금은 면책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험회사별로 처리 방법이 다를 경우에는 객관적해석의 원칙에 위배될 수 있으므로, 보험금 청구 시 본인부담금상한제를 고려하지 않고 일단 보험금 전액을 지급하고, 환급금을 수령한 이후에 환수하는 방법으로 통일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4세대 실손의료보험에서는 급여를 주계약으로, 비급여를 특약으로 분리하고 있기 때문에 급여를 담보하는 주계약에서는 가입 한도를 본인부담금상한액 이내로 제한하여 본인부담금상한제와 관련한 논란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실손의료보험 관련 약관해석 및 법제도 정비방안에 관한 연구 - 본인부담 상한제도를 중심으로

        김유성 사법발전재단 2024 사법 Vol.1 No.67

        실손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의 보완형으로 도입되어 국민의 사적 사회 안전망 역할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대표보험으로 성장하였다. 2004년 국민건강보험에서 본인부담 상한제도가 시행되어 온 이래 본인부담 상한제도와 실손의료보험 사이의 제도적 정합성을 둘러싼 여러 분쟁이 계속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본인부담 상한제도에 따라 발생하는 본인부담금상한액 초과금 상당액이 실손의료보험의 부보대상이 되는 것인지가 핵심적인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2015다246957 판결, 대법원 2022다304332 판결, 대법원 2022다215814 판결, 금융분쟁조정위원회 2010-69호 조정결정, 감사원 2022. 7. 통보 등 공적기관의 다양한 판단이 있었으나, 이후에도 위 판단들과 상반된 판결(부산지방법원 2022나54634 판결 등)이 선고되기도 하는 등 그 혼란은 계속되었고, 대법원 2024. 1. 25. 선고 2023다283913 판결을 통해 법리가 정비되었다. 1세대 실손의료보험 약관의 문언은 평균적 고객의 이해가능성과 보험단체 전체의 이해관계라는 판례의 객관해석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본인부담금 상한제도에 따른 상한액 초과부분은 실손의료보험을 통해 보호하지 않는 의미임을 확정할 수 있다. 본인부담 상한제도와 실손의료보험 상품이 병존함으로써 실손보험 피보험자에게 진료를 받을 때마다 돈을 버는 인센티브가 존재하고 있다.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입법론적, 법해석론적 해결방식이 강구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우리 현실에 맞는 이득금지 원칙이 실손의료보험을 둘러싼 제반 문제에 적용되어야 하고, 사후환급금을 요양급여비용의 사후정산, 즉 초과지급한 본인부담금 상당액을 반환한 것이라고 본 대법원의 해석론에 입각한 합리적인 정산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중수령 방지를 위해 보험자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환급금을 직접 지급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법령 및 표준약관의 정비가 필요하다. The question arises whether the Medical indemnity insurance company can claim the customer to pay reimbursement based on the co-payment ceiling system. Since there are 40 million policyholders, this problem is a big problem in Korea.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policyholder has the duty to pay reimbursement based on the co-payment ceiling system.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the subject clause(the customer has to pay reimbursement based on the co-payment ceiling system to insurer) is valid. Because the reimbursement system based on the co-payment ceiling system cannot be view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income. Insurance contracts without the subject clause should be interpreted the same way because the principle of indemnity should be applied to Medical Indemnity Insurance. According to the cas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considerable debate is expect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Indemnity Insurance and Social Security System. A reasonable compromise must be sought. In the process, consumer convenience should be emphasized above all else.

      • KCI등재후보

        최저생계비를 반영한 본인부담금 설계 모형 탐색 -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이승기,심창호,류소영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6

        This article discusses the necessity of the change of current user fee's charging systems regard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The current system charges user fees on the basis of the roughly classified income levels,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capacity of people's disposable income. Thus, the irrationality occurs like people with lower income pay more fees relatively than people with higher income.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article suggests a new model in which user fees should be charged on the basis of the disposable income with reflecting paying capacities of people compared to those of people with the highest income. The comparison between the current model and the new one about the amount of user fee shows that, under the current system, the majority of people with lower income expenses the fee above their paying capacities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is result says that the current system needs to be changed to the system considering their paying capacity based on disposable income. 본 연구는 2011년 10월 5일부터 시행된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의 활동지원에 관한 본인부담금 부과체계를 현행의 단순한 소득구간 별 그리고 서비스 량 별 임의적 차등부과체계에서 최저생계비가 반영된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한 본인부담금 부과체계가 적용될 경우 현행의 활동보조서비스의 본인부담액이 상당부분 과다부과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과소 부과된 경우는 전국 가구평균 소득의 150%~200%소득구간이면서 1등급인 구간과 200%초과 소득구간이면서 4등급, 3등급, 2등급, 1등급인 구간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현행 활동보조서비스의 본인부담금이 저소득계층일수록 그리고 활동보조서비스의 제공시간이 적을수록 많이 부담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본인부담금의 부과체계 검토 시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한 부과체계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면제 정책 효과성 분석 : 6세 미만 아동 입원을 중심으로

        김지혜 한국응용경제학회 2017 응용경제 Vol.19 No.2

        본 연구는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면제 정책의 효과성 분석을 2006년부터 시행된 6세 미만 아동 입원 정책을 통해 분석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연구DB를 이용하여 개인의 의료이용 및 건강에 대한 효과를 정책 시행전후와 정책혜택 연령대 여부로 나누어 이중차분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입원과 외래 모두 의료이용 일수가 증가하였고, 입원은 의료이용 증가에도 본인부담금이 감소하였다. 입원시 여아보다는 남아가, 고소득층보다는 저소득층에서 본인부담금의 감소가 더 컸다. 재입원으로 본 건강에 대한 결과는 불분명하고, 2008년 본인부담금을 다시 부과하는 정책으로 변경된 후에는 의료이용은 입원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총요양급여와 본인부담금 모두 증가하였다. 입원에 대한 보험자부담금은 감소하지만 유의하지 않아 2006년 면제 정책에 대한 분석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건강보험 보장 확대 등의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Cost Exemption Policy for Hospitalized Children under 6 years old on their medical use and health. We use a difference-in-difference model with controlling for several observabl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policy increases the medical use, but the policy effect on health is inconclusive. We also find that the policy reform in 2008 increases medical use even though the amount of the subsidy decreases due to the reform. We expect that the results in this paper provide evidence which is useful for designing new policies on the health insurance.

      • KCI등재

        중증화상 보장성 강화 정책이 본인부담금에 미친 영향

        김관옥(Kim, Kwan-ok),전윤희(Jeon, Yun-Hee),신영전(Shin, Young-j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9

        이 연구는 중증화상의 보장성 강화 정책 시행 전ㆍ후에 나타난 중증화상 환자의 본인부담금 변화를 파악하여, 2010년에 시행된 중증화상 보장성 강화 정책의 효과를 살펴보고, 소득수준별 정책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한국의료패널 4차 년도(2010년 1월-6월)와 5차 년도(2010년 7월-12월) 자료를 이용하여, 이중차이분석(Difference-in- Differences)과 삼중차이분석(Difference-in-Difference-in-Differences)을 시행하였다. 다중이중차이분석 결과, 입원과 외래에서의 ‘총지출비용(본인부담금+처방약값+교통비+간병비)’,‘TOTAL(입원+외래)본인부담금’, ‘외래본인부담금’은 감소하였으나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고(p> 0.05), 다중 삼중차이분석 결과, 소득수준별 정책 효과의 영향 차이도 일부 나타났으나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05).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중증화상의 고액 의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보장성 확대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 in out-of-pocket payment of major burn patient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major burn coverage reinforcement policy with a view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evere burn coverage reinforcement policy that was implemented in 2010 while evaluating the difference of policy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e 4th year data(between January to June, 2010) and 5th year data (between July to December, 2010) of Korea health Care Panel Study were utilized to implement the DID and DD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formal analysis, ‘total medical expense (out-of-pocket payment + prescription drug price + transportation cost + nursing care cost)’, ‘TOTAL (inpatient + outpatient) out-of-pocket payment’, and ‘outpatient out-of-pocket payment’ decreased, but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p>0.05). As a result of the DDD, the gap among policy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s was also found in some parts but not significant(p>0.05).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policy should be more active in expanding its coverage to ease the financial burden on households to pay for the expensive medical cost for severe burn cases.

      • KCI등재후보

        실손형 의료보험에 대한 본인부담금 보장 금지가 도덕적 해이에 미치는 영향

        김광호 ( Kwang Ho Kim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1 延世經濟硏究 Vol.18 No.2

        본 논문은 실손형 의료보험에 대한 법정본인부담금 보장 금지가 가입자의 사후적 도덕적 해이, 즉 의료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표준적인 소비자 효용극대화 이론을 이용하여 상품공간에서 실손형 의료보험에 가입한 소비자의 예산선을 파악한 후 본인부담금 보장 금지에 따른 의료 이용량 변화를 살펴본다. 분석에 따르면 본인부담금 보 장 금지는 의료 서비스의 상대가격이 일정 수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 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이에 따른 의료 이용량 변화는 일의적으로 정해 지지 않는다. 한편 공제액이나 본인부담률 등 다른 장치의 조정을 통해 본 인부담금 보장 금지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본인부담금 보장 금지를 고집할 논리적 근거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how the banning of the coverage of patient`s responsibility payment by private health insurance affects the ex-post moral hazard of consumers. For this purpose, we use a standard consumer utility maximization model by adopting a commodity space that consists of medical service and expenditures on other go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such banning effectively sets a lower bound on the relative price of the medical service. However, its effect on the quantity demanded of medical service is ambiguous. It is also shown that adjusting the level of deductibles or coinsurance rate may have a similar effect. Therefore,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it seems hard to make a strong case for such b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