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 번의 꿈

        김민정(Kim, Minjung)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3

        이 글은 한국 전쟁 시기에 필리핀 남성을 만나 결혼하고 필리핀에서 살아 온 한국 여성의 생애 이야기에 대한 것이다. 주인공인 1936년생 은희(가명) 할머니의 생애이야기를 같은 상황으로 필리핀에 온 다른 일곱 명의 사례와 함께 한국 사회의 변화과정을 따라 분석하며 이를 통해 근대사회에서 젠더가 결혼과 가족관계, 근대 국가 형성, 국제 질서의 위계관계 속에서 사용되어 온 방식을 돌아본다. 은희 할머니의 생애 이야기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국제결혼이 특정한 상황 속의 개인에게는 자연스러운 선택이었다는 점과 함께 한국의 사회 구조가 강제한 어떠한 측면이 있었다는 점을 드러낸다. 첫째, 근현대 한국 사회의 공적 담론 속에서 여성과 결혼, 국제이주라는 세 요소는 한국 전쟁을 기점으로 미군과 관련되는 특정한 방식으로 결합되며 여기서 국제결혼 여성에 대한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형성된다. 둘째, 1970년대 이후 한국의 경제발전으로 은희 할머니 세대의 생애 과정 중에서 한국과 필리핀 간의 국가 위계가 역전되면서 이들의 국제결혼은 설명이 필요한 특별한 사례가 되었다. 셋째 필리핀 한인사회에서 국제결혼 여성의 ‘한국인성’은 본인의 성별과 배우자 남성의 국적을 변별요소로 하여 규정되며 한인 수가 증가하는 과정 속에서 주변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은희 할머니의 꿈 속에서 계속 등장해 온 ‘엄마’와 ‘집’은 개인의 선택과 사회적 강제 사이에 놓인 여성 삶의 모순이 위치한, 그리고 이를 해결해야 하는 은유의 영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life story of Eunhee(alias), a Korean woman in her late 70s who married to Filipino man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Her life story and the stories of seven other intermarried Korean women are analyzed in light of Korean society’s changes to review how gender is involved in marriage, international hierarchy, and the forming of the family and modern nation. Eunhee’s life story reveals that marrying a Filipino man was a reasonable option given the conditions of her environment but it was simultaneously forced by certain aspects of the social structure. This can be brought forward as follows. First, women, marriage, and international migration have been characteristically combined in Korean public discourse since the Korean War as framing a negative image of intermarried women; secondly, Eunhee’s intermarriage turns into a compelling case for investigation because the economic hierarchy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has been reversed since the 1970s; thirdly, the ‘Korean-ness’ of intermarried women in the Korean-Filipino community tends to be judged by her sex and her husband’s nationality and it becomes marginalized as the number of Korean in the Philippines is growing. Lastly, the ‘mother’ and ‘house’ motives in Eunhee’s dreams could be interpreted as metaphoric areas where women must resolve the sometimes conflicting aspects of individual choice and social forces.

      • KCI등재

        한국개신교 교육과정에서의 한국사교육

        손원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07 宗敎敎育學硏究 Vol.24 No.-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의 교육과정에서 한국사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개신교가 민족교회를 지향한다고 할 때, 교회에서 한국사교육에 대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개신교 교육과정은 한국사교육에 대하여 거의 침묵하고 있다. 특히 기독교가 전래된 조선후기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거의 예외 없이 영교육과정화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게 교회 교육과정에서 한국사교육이 영교육과정화된 결정적인 배경에는 신학적 보수주의와 교회성장제일주의라는 왜곡된 한국교회의 이데올로기가 자리 잡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현상은 민족교회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한국교회에게 상당한 도전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한국의 역사와 성서 내 이스라엘 역사 사이의 대화라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한국사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한국과 성서 이스라엘 역사 사이의 역동적 유비성에 근가하여, 연구자는 종교신학적 해석학적 모델과 사회과학적 해석학적 모델을 각각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한 외국인의 한국음식 선호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영향 요인 간 상호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설원식 ( Won Sik Sul ),이동훈 ( Dong Hun Lee ),고경일 ( Kyung Il Khoe ),주규희 ( Gyu Hee Choo ) 국제지역학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중국인과 영어권 외국인을 대상으로 거주기간, 한류문화의 인지도, 한국음식 특성에 대한 이해도가 어떻게 한국음식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공변량 구조분석을 시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중국인과 영어권 외국인 모두 거주기간과 한류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할수록 한국음식의 특성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함을 발견하였고, 2) 중국인과 영어권 외국인 모두 한국음식의 기본적 특성에 대한 지식이 증가할수록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질병치료 효과와 같은 한국음식의 효능은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 거주기간이 한류문화 및 한국음식의 효능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인 그룹과 영어권 외국인 그룹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외국인에게 한국음식을 직ㆍ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보다 많은 기회를 갖게 만드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외국인에게 한국음식을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에는 한국음식의 효능을 보다 강조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s how length of stay in Korea, the amount of knowledge concerning Korean culture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efficacy of Korean food influence the preference of foreigners for Korean food by using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This study aimed at two groups; Chinese people and English-speaking foreigners. As a result, 1) both groups had a better knowledg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as their length of stay and knowledge in Korean culture expanded. 2) The more they learn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their preference for Korean food increased. 3) Korean food as an effective medical remedy did not influence on the preference for Korean food. 4)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food depending on the length of stay in Korea showed differently for both groups. This shows that more direct and indirect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foreigners to experience and be exposed to Korean food in order to globalize Korean food. Also, the effect of Korean food like medical remedy should be emphasized more while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o promote Korean food.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윤초롱 ( Chorong Youn ),문희강 ( Hee-kang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 KCI등재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 연구 - <미감리회>를 중심으로 -

        박새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해 고찰하고자 <미감리회> 한국 선교회의 연회록인 『Official Minutes』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미감리회> 선교회에서는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학습자 평가와 관리가 주된 임무였던 <한국어 학습 위원회>를 적어도 1893년부터 1916년까지 선교회 내에 두었으며, 이 위원회를 중심으로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과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인 ‘학습과정’을 개발하여 수정 · 보완하며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연합선교공의회> 주도의 공식적인 한국어교육이 실시되기 이전 초기 선교사들의 한국어 학습이 단순히 선교사 개인의 경험과 개인교사를 통한 개인적 학습이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통념과는 달리 선교회 차원의 적극적인 통제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left by the missionaries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MEC), who were sent to Korea in the early days of the Protestant Mission. “Official Minutes”, the annual meeting minutes of the Korea Mission of the MEC, are a record of meetings and reports of the Committee on Study of Korean Language. This makes clear that the Korea Mission of the MEC operated the Committee on Study of Korean Language from 1888 to 1916.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missionaries controlled and managed missionaries’ Korean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urse of Study” featuring learner evaluation and promotion management. This study is the first discussion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of missionaries in the early Protestant Mission, as this issue was not mention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t is meaningful that the missionaries’ Korean learning occurred through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missions department, not the learning of the individual missionary.

      • KCI등재

        한국어 원어민과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 간의 일어나는 의사소통 실패를 예방하는 데 있어 화용 교육의 역할

        모졸따지아나 ( Tatiana Mozol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상이한 문화권에 속한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원어민 화자 간에 일어나는 의사소통 실패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은 아직까지도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는 러시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 자료들을 통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교재 개발자나 교사들은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러시아인 학습자를 돕기 위해서는 러시아 문화와 러시아어의 영향 관계에 기반을 둔 비교문화적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어 원어민 화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실패의 양상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우선 Hall(1976)에서 제시한 고맥락과 저맥락, 또한 Hofstede(1980)에서 제기한 문화차원 기준에 따라 러시아 문화와 한국문화를 비교해보았다.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러시아인이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러시아인 학습자들이 가장 자주 겪는 러시아인과 한국인의 문화적인 차이와 상이한 의사소통 방식에 따른 의사소통 실패와 장애의 양상과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의사소통 실패를 예방하기 위하여 한국 문화와 의사소통 방식의 특징을 한국어 학습 자료에 반영할 것을 제안한다. No systematic studies so far have examined the way how Korean native speakers and Russ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n reduce the extent of communication problems arising as a result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Korean teachers, as well as Korean textbook authors, are encountering great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of their teaching materials, the need for preliminary cross-cultural education that would highlight the influence of the Russian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 on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s eminent.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Russian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from th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I compare the Russian and Korean cultures based on the low and high context communication criteria suggested by Hall(1976), and on four main cultural dimensions proposed by Hofstede(1980).

      • KCI등재

        한국창작춤의 시대적 경향 분석을 통한 한국성 수용의 성과와 새로운 패러다임

        이민채 ( Min Chae Lee ),윤미라 ( Mi Ra Yoon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4

        본 연구는 정보 전달의 속도와 공유가 방대해진 다문화 세계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시대상황 속에 문화를 주도하며, 발전하고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성장한 한국창작춤의 현 시대적 조류의 흐름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 우선 과제이다. 이를 위해 한국창작춤의 지난 30년간 시대적 경향 분석을 통해 한국성 수용의 성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성공요인과 발전방안을 도출함으로써 한국창작춤의 국가브랜드화는 물론, 그것을 통하여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 열광하는 세계적 추세에 맞춰 동양적 정서가 깃든 독특한 민족의 색채를 낼 수 있는 한국성과 그것이 내재되어 있는 창작활동이 갖는 예술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창작춤의 시대적 경향 분석을 위해 ``서울무용제``, ``전국무용제``, ``춤작가 12인전``의 주제별 작품 분석을 통하여 한국창작춤의 한국성 수용을 고찰하였다. 또한 2000년 월간미술에서 특별기획으로 47명의 문화예술인들에게 실시한 「한국미의 본질」의 통계 조사결과 그들이 제시한 24가지를 바탕으로 한국창작춤 한국성 수용의 성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52작품이 분석된 한국미의 근원에 대한 분석에서도 한국창작춤의 한국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곡선미와 대칭미 152작품(100%), 기운생동 150작품(98%), 여백의 미 148작품(97%), 대범함과 역동성 140작품(92%), 샤머니즘적 정서 123작품(80%), 자연미 118작품(77%), 순수성 115작품(75%), 순박함과 소박함 111작품(73%), 은근함 105작품(69%), 자연과의 합일정신 86작품(56%), 인간미 84작품(55%)등 한국창작춤에 있어서 이와 같이 깊이 내재된 한국성이 주를 이루며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창작춤은 문화예술의 글로벌 브랜드 가치로서 자리매김 확립의 필요성을 뛰어 넘어 세계에서 한국의 문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문적인 문화예술분야의 하나로서 그 가치가 인정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창작춤이 새로운 한국성을 지닌 미적 범주로 새로운 자각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과거와 미래의 통시성을 지닌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creative dance (KCD), a genre of contemporary Korean dance used by South Koreans, has led, developed and influenced rapidly changing society in a multi-cultural world where information delivery and sharing are extensiv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cultural identity is represented in KCD. This paper aims to seek a new paradigm of artistic value of creative activity and Korean beauty which shows special national colors of Asian emotion by focusing on international trends, which people are enthusiastic about Orientalism as well as a national brand of KCD. To this end, I investigate how KCD has been developed in the past thirty years, how Korean beauty is explored, and what its success factors and future directions are. I also analyze KCD works performed at ``Seoul Dance Festival,`` ``National Dance Festival,`` and ``12 Dance Performers`` in terms of dance subjects and 24 types of Korean beauty, which were suggested by 47 cultural artists at the 2000 Art Magazine Wolganmisool event.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52 works showed remarkable Korean beauty and had great influences. Both curvilineal and symmetrical beauties were represented in 152 works, vivid energy in 150 works, beauty of space in 148 works, generosity and activeness in 140 works, shamanism in 123 works, the beauty of nature in 118 works, purity in 115 works, simplicity and honesty in 111 works, courtesy in 105 works, spiritual union with nature in 86 works, and humanity in 84 works.Korean creative dance should be evaluated as one of professional art genres which has cultur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a global brand in cultural arts. Moreover, KCD will lead new cultural contents which have diachronic creative arts if further researches on KCD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연구 현황과 전망

        응우옌응옥뚜이옌 ( Nguyen Ngoc Tuyen ),황판탄아 ( Hoang Phan Thanh Nga )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3

        본고는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연구 업적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한국어학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필자는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기관 및 교수진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국제교류재단 지원 아래 이루어진 한국학 학술대회 자료집들과 베트남 내 언어학 또는 한국학에 관련된 학술지에 등재된 한국어에 관한 논문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25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분야의 교수진이자 연구 인력은 200여 명 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의 한국어학 연구 논문은 수십 편에 불과하다. 이렇듯 연구 업적이 저조한 이유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1) 해당 분야 연구자들이 한국어학보다 한국어 교육에 더 집중적으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 한국어학에 관해서 연구하는 베트남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한국학 전공 출신이어서 언어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3) 베트남에 한국어학 연구 데이터베이스가 없다. (4) 강사의 숫자가 제한적이며 급여가 낮다.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ing staffs related to Korean linguistics studies in Vietnam. Besides, the study also takes a look on researches on Korean language which a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Vietnam. Korean and Korean linguistics education in Vietnam has been developed for over 25 years. The teaching staffs who are also researcher resource in this field have reached to the number of 200. However, research achievements on Korean linguistics is limited with only dozens of paper. The reasons for this are (1) Vietnamese researchers are focusing more on Korean language teaching than Korean linguistics; (2) most of researchers do not have fundamental knowledge on linguistics; (3) the absence of researches data base; and (4) the lack of teaching staffs.

      • KCI등재

        한국은행법상 한국은행의 공공성 · 투명성 등에 관한 연구

        노철우(Rho, Chul Woo)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과기업연구 Vol.8 No.1

        1997년 12월 31일 전면개정된 제6차 한국은행법 개정법률(1998. 4. 1 시행)은 제1장 (총칙)을 신설하여 한국은행의 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바, 총칙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 중 다음의 다섯 가지 사항은 한국은행법의 기본정신이라 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은 중립적으로 수립되고 자율적으로 집행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신설하였다(제3조 전단). 둘째, 한국은행의 자주성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신설하였다(재3조 후단). 셋째,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은 물가안정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정부의 경제정책과 조화를 이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신설하였다(제4조제1항). 넷째, 한국은행은 그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시장기능을 중시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신설하였다(제4조제2항). 다섯째, 한국은행은 그 업무수행과 기관운영에 있어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제5조). 이 논문은 위에서 서술한 한국은행법의 기본정신 중 다섯 번째인 한국은행의 공공성 · 투명성 확보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즉 공공성 · 투명성확보의 의의 및 내용을 고찰하고 공공성․투명성 확보와 관련된 한국은행법상의 규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다음, 이들과 관련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공직자윤리법, 한국은행 임직원 행동강령, 전지 등 발행과 한국은행의 공공성 등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자 한다. 한국은행의 공공성 · 투명성 확보는 한 나라의 발권력을 독점적으로 보유하여 통화신용정책을 수행하고 금융제도의 안정성 보장을 위해 지급결제제도의 운영 및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업무 등을 수행하는 중앙은행으로서의 한국은행이 국민전체의 이익을 위해 그 업무수행과 기관운영을 객관적 · 합리적 · 개방적으로 하여야 함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한국은행법 뿐만 아니라 위에서 살펴본 여러 가지 법률 등은 구체적이고 다양한 수단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에게 봉사하고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중앙은행 임직원이 되겠다는 마음가짐과 실천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방안으로 한국은행은 과감하고 선제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행, 조사연구기능 강화 및 경제전망 등 예측능력 향상, 국민 · 언론과의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기할 만한 사례로, 한국은행은 2016년 12월 29일 한국은행법 제6조에 따른 “2017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공표하면서 동 운영방향 내용 중에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발표하였다. 매우 바람직한 조치라고 판단되며, 앞으로도 국민 · 언론 등과의 소통 원활화를 위해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6th revised Act of the Bank of Korea Act in 1997 stipulates five basic spirits on chapter 1(general provisions) of the Act. First, the monetary and credit policy of the Bank of Korea shall be neutrally established and independently executed(front of article 3). Secondly, the autonomy of the Bank of Korea shall be respected(back of article 3). Third, the monetary and credit policy of the Bank of Korea shall be in harmony with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y to the extent of not impeding the price stability(paragraph (1) of Article 4). Fourth, the Bank of Korea shall value the market mechanism in carrying out the monetary and credit policy(paragraph (2) of article 4). Fifth, the Bank of Korea shall make efforts to secure the publicness and transparency in the execution of its business and the operation of its machinery(article 5). Among them, this paper studies precisely contents of securing publicness and transparency in the execution of business and the operation of machinery of the Bank of Korea.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deals with the purpose and scope with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considers the definitions and contents of securing publicness and transparency of the Bank of Korea. In the third chapter, I inquire into provisions securing publicness and transparency in the Bank of Korea Act. In the fourth chapter, I investigate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d the Public Service Ethics Act, etc. in relations with securing publicness and transparency of the Bank of Korea. The fifth chapter forms conclusions of this thesis. In order to secure publicness and transparency of the Bank of Korea, the Bank should execute its business and operate its machinery objectively, reasonably, and openly for the benefit of all citizens.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security of publicness and transparency, the Bank of Korea Act and above- mentioned Acts provide many kinds of provisions.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he mental attitude and implementation to become officers and employees of central bank who are respected and trusted by the people of Korea. And the Bank of Korea should perform preemptive monetary policy, intensify function of research and study, and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people and the press.

      • KCI등재후보

        근대 초기 서양인들의 “한국문학의 기원” 논의 연구: 존스(G. H. Jones)의 설총·최치원 논의를 중심으로

        송민규 (재)한국연구원 2023 한국연구 Vol.- No.14

        근대 초기 한국에서는 개신교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많은 서양인들이 활동했다. 이들은 처음에 성경 번역을 목적으로 한국어 연구를 시작했지만, 곧 한국문학으로까지 연구주제가 확대되었다. 특히 서양인들의 연구는 한국 문학의 고유성과 기원을 찾는데 집중되었다. 처음 이들은 한글로 써진 문학만을 진정한 한국문학으로 여겼지만, 이후 이러한 견해는 조금씩 변했고 다양한 의견으로 갈라졌다. 게일(J. S. Gale, 1863~1937)과헐버트(H. B. Hulbert, 1863~1949) 그리고 존스(G. H. Jones, 1867~1919)는 설총(薛聰, 655~?)과 최치원(崔致遠, 857~?)에게서 한국 문학이 유래했다고 주장하였지만, 이들업적에 대한 평가는 각각 달랐다. 이후 전개된 한국 문학가들의 한국문학 기원에 대한연구는 근대 초기 서양인들의 한국 문학 기원에 대한 연구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광수(李光洙, 1892~1950)는 한글로 써진 문학만을 한국의 고유한 문학으로 여긴 반면, 정만조(鄭萬朝, 1858~1936)는 존스의 한국 문학론과 같이 최치원을 한국 문학의 시조로보았고, 안확(安廓, 1886~1946)은 한국어 문학과 한문 문학을 모두 포용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의견의 차이는 고유성에 기반한 한국 문학의 전통을 세우려는 노력이기도 했지만, 국가, 언어, 문화적 경계를 넘어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학관계를 보여주기도한다. In the early modern Korea, many Westerners, led by Protestant missionaries, were active. Th ey initially began researching the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translating the Bible, but soon their research topics expanded to include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their research focused on searching for the uniqueness and origins of Korean literature. At fi rst, they considered only literature written in Hangul to be true Korean literature, but later this view changed gradually and diverged into various opinions. For example, J. S. Gale (1863~1937), H. B. Hulbert (1863~1949), and G. H. Jones (1867~1919) argued that Korean literature originated from Seol Chong (薛 聰, 655~?) and Choi Chi Won (崔致遠, 857~?), although their evaluations of each of the two scholars were diff erent. Th e subsequent research on the origins of Korean literature by Korean writers was somewhat diff erent from the research by Westerners. For example, Lee Gwang-su (李 光洙, 1892-1950) considered only literature written in Korean to be Korea’s unique literature, while Jeong Man-jo (鄭萬朝, 1858~1936), like Jones’ theory of Korean literature, viewed Choi Chi-won as the founder of Korean literature, and An Hwak (安廓, 1886-1946) sought to embrace both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Th ese diff erences in opinion were an eff ort to establish a Korean literary tradition based on uniqueness, but they also showed the dynamics of East Asian countries beyond national, linguistic, and cultural bound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