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시간에 진로독서 운영을 통한 교과수업 내 진로교육의 가능성 탐색
김명종(KIM MYUNG 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교과 수업시간에 진로 탐색을 하길 원하는 학생들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도입된 ‘한 학기 한 권 읽기’ 시간에 진로독서를 실시하여 학생들이 독서를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진로를 설정해 볼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방법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적용되는 2015 개정교육과정 『국어』 교과군에 포함된 중·고등학교 교과서들을 분석한 후 진로독서가 성취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목을 선정해 경기도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국어 수업 시간에 ‘진로독서’를 실시한 후 ‘진로독서’가 학생들의 진로 설정에 도움을 주었는가를 확인했다. 결과 학생들은 ‘한 학기 한 권 읽기’로 진로독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독서를 통해 자신의 진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해 ‘한 학기 한 권 읽기’ 시간을 통한 진로독서가 학생들의 진로설정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한 학기 한 권 읽기’에서 진로독서를 활성화해 학생들의 진로 설정에 도움을 줄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Objectives What students worry about the most in school is their future career path. Students want to explore their future careers in class, and there is actually a lot of information about careers in the curriculum. Methods As a way to address the needs of students who want to explore careers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ed to enable them to set their careers in the course of reading career-related books in th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class introduc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after analyzing the textbooks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selected 1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reguired to take career reading and conducted ‘career reading’ in Korean language class for 205 students of a high school in Gyeonggi-do to check whether ‘career reading’ helped students set their careers. Result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preferred career reading for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nd they said it helped them set their careers, confirming that career reading through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helped students set their careers. Conclusions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help students set their career path by activating career reading in the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program.
‘한 학기 한 권 읽기’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임현정(Lim, Hyun-jung),최지연(Jiyeon, Choi),이건남(Gun-Nam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이 연구의 목적은 ‘한 학기 한 권 읽기’ 방법으로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독서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련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진로독서 목록과 진로독서 방법을 기반으로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진로독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수정·보완한 후 진로독서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전체 하위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으로는 목표 선택, 직업 정보, 문제 해결, 미래 계획의 4요인으로 나뉜다. 이 네 영역이 향상되었다. 셋째, ‘한 학기 한 권 읽기’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선택도서(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 비전도서를 선택한 집단이 진로 탐색도서를 선택한 집단보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등장인물의 삶의 모습을 보며 꿈이나 비전을 찾을 수 있는 도서, 진로에 대한 내적인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도서인 진로 비전도서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더욱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습자 반응 질문지 결과를 보면 먼저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효과 반응에서는 진로목표 설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다시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을 많이 주었고, 다양한 직업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의견도 많았다. 그리고 진로독서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반응으로는 학습자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져서 좋았고,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개별 과제나 수준, 모의 토의의 수준이 적합했다고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진로독서 프로그램은 독서와 진로의 융합 프로그램의 사례로 학교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conducting a career-reading program through the Read one Semester method. A prior study was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nd we did expert verific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career reading program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 one Semester’ Career reading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Second, the ‘Read one Semester’ Career read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entire sub-area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Third, the ‘Read one Semester’ Career read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hoice of the group of experiments (type)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methodological improvement case for reading education at school sites.
자유수강제 상황에서의 진로독서 방안 연구 :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단계별 진로 심화 독서
김명종(Kim myung 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이 전면적으로 실행됨에 따라 도입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진로독서’와 연계하여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학생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진로독서’가 실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진로독서’의 단계를 변형하여 ‘학교 급별에 따른 진로독서 단계’를 설정해 학교 급별에 맞는 진로독서의 방향을 제시했다. ‘자유수강제’의 도입으로 인해 ‘진로독서’ 환경이 변함에 따라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확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자기선택적 독서’를 활용한 ‘단계별 진로 심화 독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2019학년도 2학기에 경기도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단계별 진로 심화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단계별 진로 심화 독서’ 프로그램이 독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면서도 인문계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의미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activate the ‘one semester/one book reading’ movement which was introduced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2015 revised educational course’ by linking it to ‘job career reading’ and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of making in-depth research on their future jobs. For the practica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job career reading’‘, the existing ’job career reading’ stage was changed to set up the ‘job career reading stage according to the school grading’ in order to propose the job career reading which is proper for the school grading. Due to the ‘free course selection system’, the environment for job career reading has changed. So, in order to give the assistance to the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searching for and confirming their own future job, the ‘self-selective reading’ was used to device the ‘stage-by-stage job career advanced reading’ program was devised. In 2nd semester of 2019 school year, the ‘stage-by-stage job career advanced reading’ program was implementted to 80 students in humanities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Korea. It was found that the ‘stage-by-stage job career advanced reading’ was a significantly meaningful program as it helps the humanities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and look for their future jobs.
황매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교육논총 Vol.33 No.2
이 연구에서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독서활동을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진로독서교육 활성화의 배경이 되는 진로교육 활성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독서교육의 내용이 구체적으 로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것인지를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 실시되는 진로교육의 목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모든 학교급별 교육목표의 근간이 되는 자기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디자인과 준비 등 네 가지 영역에서의 진로교육 목표를 성취하기 위 해 독서활동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교육 현장에서 실 시하고 있는 진로독서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앞으로 과제를 제안하였다.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연구
황금숙(Gum-Sook Hoang),김수경(Soo Kyoung Kim),김미선(Mi Sun Kim),이수영(Soo Young Lee)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4 No.1
2016년부터 전면 실시되는 자유학기제를 위해 도서관은 시설 및 장서, 인력,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도록 학생들에게 독서문화 활동을 통한 창의적이고 자율 학습의 기반이 되는 메타 인지능력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기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진로 독서프로그램을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과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시범 운영을 통해 사전/사후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서활동중심 진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서는 모든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활용중심 진로독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는 진로지식을 제외하고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vernment introduced a free semester in 2013, current targets middle as a core policy for nurturing creative talent, the year 2016 has been carried out in front of all middle school.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library-based career reading program for free semester. In this study, It arrived at a conclusion to b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reliminary/post inspection about career reading program.
범교과 학습주제를 적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송지애 한국비블리아학회 202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achievement criteria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that can be linked to curriculums, and developing and applying the career reading programs focusing on the school library. For these purposes, first, a class model was designed in connection with readi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of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the career reading classes in the areas of self-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have been held through a career reading class model for 137 middle school students in 5 classes for one semester. Third, the data to evaluate the career reading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was constructed, and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of anecdotal records, multilateral observation on checklists and the analysis of action research. Lastly but not least, the materials regarding the list of books focusing on the career reading storytelling and the career mentor in a type of interests were presented, and the career reading education activities at the school field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독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주제를 10개 주제로 범주화하고, 진로교육의 세부 내용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범교과 학습 활동을 통해 독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중학생 5개 반 13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범교과 기반의 진로독서 수업모형을 통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의 진로독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진로독서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일화기록과 체크리스트의 다각적인 관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독서 스토리텔링과 흥미유형의 진로 멘토 중심 도서목록 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독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임명남,이명우 한국독서치료학회 2019 독서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매체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을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 정체성 및 진로 준비 행동이 집단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연구 절차는 경기도 P시 소재 T대학교 J상담센터에서 2주 동안 온․오프라인을 통해 모집공고를 한 후,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진로집단상담은 2017년 3월 20일부터 2017년 5월 29일까지 센터 집단상담실에서 실시되었다. 분석 도구로는 진로정체감 척도(김봉환, 1997)와 진로준비행동 척도(김봉환, 1997). 활동내용과 경험보고서, 축어록 및 행동관찰 내용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 매체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원의 진로정체감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의 진로 준비 행동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회기별 활동내용과 경험보고서, 축어록 및 행동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집단원은 자기 자신을 탐색하고 이해하며 수용하게 되면서 진로정체감이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집단원은 진로집단상담 참여 후 자신에게 알맞은 방식을 찾아 진로 준비 행동을 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경기도 P시 T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례연구이다. 하지만 비교집단을 설정하지 않아 실험집단의 효과성 입증에 제한이 있으므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후검사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 본 연구 프로그램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성인이 진로전환 과정에서 경험하는 관계의 형태와 영향에 대한 질적메타분석
현영권,임지영,윤진선 한국독서치료학회 2024 독서치료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성인이 진로전환 과정에서 경험하는 관계들이 진로전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진로전환 관련 질적 연구물을 질적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진로전환 과정에서 관계 경험의 보완을 위한 상담이나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Noblit & Hare(1988)가 제시한 7단계 질적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선정 절차에 따라 분석 대상 연구물 7편을 선정하여 질적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진로전환 과정에 있는 참여자들이 관계를 맺는 대상은 가족, 동료, 지인, 미상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여기서 가족은 참여자가 전직을 결정하는 단계부터 진로전환 활동을 지속하는 과정까지 영향을 미쳤다. 동료는 진로전환 이전 직업을 그만두는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동료는 진로전환 과정에서 소속감, 지지 기반, 대인관계 확장, 정보 획득, 진로 방향성 구체화 등의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열등감, 위축감, 진로전환 결정 재고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주었다. 지인으로부터 참여자들이 받는 영향의 형태는 정보 획득, 동기 강화, 진로전환 기회 획득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미상으로 분류된 불특정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참여자들은 진로전환 결정을 하고 이들을 돕는 과정에서 자존감 향상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로전환 과정에서 관계가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전환에 대한 상담이나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했다. The study identified how the relationships adults experience during their career transitions affect their career transition process.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lucidat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transitions using qualitative meta-analysis and explore the need for counseling or bibliotherapy programs to complement relationship experiences in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To achieve this, a qualitative me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seven studies to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procedure using the seven-step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proposed by Noblit and Hare(1988).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during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family, colleagues, acquaintances, and unknown. Family members influenced participants from when they decided to make career transitions to when they continued their career transition activities.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the process of leaving their previous jobs. They had a positive impact on participants’ sense of belonging, support, expan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aining information, and refining their career direction; however, they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participants’ sense of inferiority and embarrassment and on reconsideration of their career choice. The types of influence participants experienced from acquaintances included obtaining information, strengthening motivation, and obtaining opportunities for career transition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unspecified strangers, categorized as unknown, the participants’ self-esteem was enhanced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a career change decision and supporting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act of relationships on career adaptability during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and the need to develop various psychological programs such as counseling or bibliotherapy for career transition a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김영미(Young-Mi Kim),임은미(Eun-Mi L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을 위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J지역 남녀 중학생 46명에게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학교의 동급생인 남녀 학생 46명이었다.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내용은 2015 교육과정의 중학교 진로발달 목표의 대영역에 따라 자아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탐색, 진로디자인과 준비, 삶의 가치관 찾기로 구성하였다. SPSS V.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검사의 집단간 차이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진로성숙도에 있어 동질집단이었고,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진로성숙도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시행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read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on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a read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organized and conducted for 46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J regio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he contents of the read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were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work and the world of work, career exploration,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and finding value of life according to the 2015 curriculum. Using the SPSS V.21 program, t-test was performed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e-post test. As a result of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in career maturity, an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areer matur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reading program for career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독서활동을 통한 진로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존감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이혜경,이윤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iblio-activ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iblio-activity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considered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These 30 middle school student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n=15), a comparative group(n=15). And 15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n=15), too.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iblio-activit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xisting career exploration counseling program was offered to the comparative group 12times for 60minutes each session. However,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Biblio-activity was helpful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decreas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barriers.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를 통한 진로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존감과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연구를 리뷰하고 대상연령의 학 생들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독서활동을 통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D시 소재 A중학교 2 학년 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30명을 실험집단인 독서를 통한 진로집단상담집단, 비교집단인 진로탐색 집단상담집단에 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으며, 동질적인 15명의 학생을 선발하여 통제집단을 구 성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해서 12회기에 걸쳐 60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과 후에 자존감과 진로장벽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처리하였다. 연 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존감, 진로장벽의 사전-사후 평균 차이는 비교집단과 통제집단 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독서를 통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진로집 단프로그램에 비해 중학생의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진로장벽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