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박수헌(Park, Soo Hu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6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3

        줄기세포기반치료는 줄기세포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제품을 사용하여 질병을 치료 및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해서는 환자에의 신속한 적용과 안전성 보장 간의 형량으로 인해 미국 FDA의 전통적 규제의 적용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있다. 연방법원의 입장은 줄기세포기반치료는 생물의약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FDA의 전통적 규제의 적용 대상이 된다는 것이지만, 자가줄기세포치료를 FDA의 품목허가를 받지 않은 채 환자들에게 적용하고 있는 영리 클릭닉들이 사실상 존재하고 그에 대한 FDA 규제의 불이행이 또한 존재한다. 이는 줄기세포기반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해야 하는 동시에 심각한 상태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신속한 적용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익실현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FDA는 입법을 통하여 특정 상황의 경우에는 전통적 품목허가 절차를 모두 거치지 않더라도 환자들에게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신속 프로그램을 오래 전부터 마련하여 시행해 오고 있다. 신속처리, 혁신치료지정, 신속승인은 최소한 임상 2상 종료 후 환자에의 적용 여부가 결정되고 확장된 접근 또는 동정적 사용은 생명이 얼마 남지 않은 말기환자에게 임상 1상을 마친 시험약에 대해 온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주 차원에서 인 정되고 있는 시험할 권리법도 임상 1상을 마친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해 적용할수 있도록 한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신속 프로그램의 마련과 운영이 모두 법률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의 경우, 대법원이 줄기세포치료를 의약품이라 고 결정하였고 세포치료제도 생물의약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아야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임상 3상을 거치지 않고 임상 2상의 자료만으로 품목허가를 해주는 신속심사허가제도도 인정되고 있다. 그렇지만 법 률 차원에서 이들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약사법에서 확장적 접근 또는 동정적 사용만을 규정해 두고 있다. 우리도 법률 차원에서 신속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약사와 환자의 이익을 모두 보장해 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Stem cell-based therapy is a method using biological products based on stem cell in order to treat and prevent diseases. When FDA tries to apply its traditional regulations of drug market approval to the stem cell-based therapy, there’re different views on it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tem cell-based therapy itself. The balancing test between expedited application to the patients and securing safety for them should be conducted properly. Even though the federal courts concluded that stem cell-based therapy should be the subject of FDA’s traditional regulation on drug market approval, the profit clinics that are conducting autologous stem cell therapy without getting market approval from FDA are increasing and FDA does not execute its regulatory power on them. This is because the commingling of public interest for expedited application to the serious condition or life threatening disease patients and securing safety and efficacy of stem cellbased therapy. To resolve these issues, FDA have conducted expedited programs for long time without going through all the procedures that the traditional FDA market approval required. The use of accelerated approval, fast track, 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 is decided after clinical trial phase II is completed. The use of expanded access or compassionate use can be decided to the terminally ill patients after clinical trial phase I is completed. The right to try laws in the State level can also decide the use of stem cell-based therapy after clinical trial phase I is completed. All the expedited programs in the U.S. are administered in the level of statutes. In Korea, the Supreme Court concluded that stem cell-based therapy is drug and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after MFDS’s traditional drug market permission. The same MFDS’s traditional drug market permission is required for cell therapy as biologics to the patients. The expedited program like fast track is also allowed. However, all these pathways are provided on the level of agency rules not the level of statutes. However, expanded access or compassionate use is only stipulated in the statute. We should prepare expedited programs like those of the U.S. on the level of statutes to guarantee both the pharmaceuticals and the patients all together.

      • KCI등재후보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ㆍ법적 논쟁의 변화

        백수진(Baik, Su-Ji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2 생명윤리 Vol.13 No.1

        최근 의생명과학기술에서 의학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분야에서 가장 큰 화두는 유전의학과 유전체학의 발달에 근거한 ‘맞춤의료’와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등이 중심인 ‘재생의학’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이 두 분야의 도전들이 21세기 보건의료의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그 기대만큼이나 생명윤리적 문제들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는 재생의학의 중심에 있는 ‘줄기세포’에 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최근 다양한 인간줄기세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성장하면서 줄기세포의 확보를 위한 인간생명에 대한 윤리적 논란뿐 아니라 다른 윤리적 고민이 필요해졌다. 특히, 최근 다양한 유형의 줄기세포치료법 개발을 위한 시도 등 줄기세포의 임상적 적용에서 윤리적 논란은 안전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최근 인간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 논쟁의 흐름에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이와 관련한 윤리적 고려를 위한 우리나라의 법적 규제 환경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의 윤리적 논의와 줄기세포 관련 연구의 발달에 따른 생명윤리적 논의의 변화와 특징을 알아보고, 그로인해 야기되는 줄기세포에 관한 생명윤리적 논쟁들의 변화와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problem of ethical and legal arguments in using of Human Stem Cells. Stem cell research provides the charming promise for the hope for new treatments for diseases such as diabetes, spinal cord injury, and Parkinson’s disease etc. Currently, they are no known effective treatment.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has raised strong debates about the moral status and destroying human embryos. However, there are important ethical issues related to stem cell research that are unrelated th embryo destruction. For example, the reprogramming of somatic cell to produc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voids the ethical issues specific to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However, there are difficult dilemmas including informed consent, timing of consent, protecting privacy and right of donors. Especially, Fist-in-human experiments with cell-based interventions also raise important ethical questions. These include obligations to have adequate preclinical evidence regarding the safety. These ethical and legal issues need to be discussed along with scientific development to ensure that stem cell research is carried out in an ethically appropriate manner. It need to consider the ethical and legal issues that arise at different phase of stem cell research.

      • KCI등재후보

        비타민-C에 의한 줄기세포의 상처치료효과 촉진

        이준호,이채린,차상혁,이현서,정구보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7 과학영재교육 Vol.9 No.3

        When we have a simple abrasion, we have experience it heals naturally as time goes by. At this time, stem cells play a role in regenerating skin tissue. Stem cells are present in all parts of our body, and they are constantly regenerating in our bodies. In this study, we made two round wounds on the back of the mice, and injected adult stem cells isolated from the bone marrow. Then we examined whether the therapeutic effect was promot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vitamin-C. Stem cells have some limitation in wound healing because they can not survive long due to inflammatory conditions, reactive oxygen species environment, lack of nutrients and oxygen in damaged area. Therefore, shea butter and vitamin-C were considered as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substances to help stem cells in wound areas. In the first experiment, we found that concentration of shea butter to protect the wound was 10%. In the second experiment, we found effective concentration range of vitamin-C is 2.5 mg to 10 mg per mouse. In the 3rd and 4th experiments, 500,000 stem cells were injected to the wound area with oral administration of vitamin-C (2 times per week or everyday for 2 weeks) in order to examine the wound healing effect of the stem cell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ize of the wound was smaller when stem cells were injected to the wound than when the stem cells were not administered. In addition, the wound size was reduced to 15% of the initial wound when stem cells and vitamin-C (10 mg/mouse) were administered together. To examine whether vitamin-C has a direct effect on stem cells, colony forming assay of stem cells was performed. Vitamin-C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concentration of 0.5 to 50 ug/ml. As a result, when the cells were cultured at a concentration of 50 ug/ml of vitamin-C, the number of colonies was increased to more than 10 tim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vitamin-C can directly affect stem cells and then promote wound healing effects of stem cells. 우리는 간단한 찰과상이 생겼을 때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레 아무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피부조직을 재생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줄기세포이다. 줄기세포는 우리 몸 모든 곳에 존재하며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세포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우리 몸속에서는 끊임없이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등 부위에 원형상처 2개를 만들고, 골수로부터 분리한 성체줄기세포를 상처 부위에 주사하고 비타민-C를 경구투여로 병행투여한 후 치료 효과가 촉진되는지 확인하였다. 줄기세포는 손상부위에 들어가면 염증환경, 활성산소, 영양분과 산소의 부족 등 의 원인으로 오래 살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줄기세포가 상처부위에서 오래 살고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항염증, 항균, 항산화 물질이 필요하므로 강력한 항산화물질인 비타민-C를 이용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상처부위를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어버터의 농도가 10%라는 사실을 알아냈고, 2차 실험에서는 비타민-C의 투여량이 마리당 2.5 mg~10 mg일 때 투여용량에 비례하여 상처치료가 촉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3~4차실험에서는 줄기세포와 비타민-C의 병행투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줄기세포 50만개를 상처부위에 투여하고 동시에 비타민-C를 주2회 2.5 ~ 10 mg/마리씩 1주일간 경구 투여하거나 줄기세포만 단독투여한 후 상처크기변화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줄기세포만 상처부위에 투여하였을 때 보다 줄기세포와 비타민-C를 병행 투여하면 비타민-C의 투여용량이 2.5 mg ~ 10 mg범위일 때 7일 후 투여용량에 비례하여 첫날 상처크기의 15%까지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비타민-C가 줄기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줄기세포의 콜로니 증식실험을 실시하였다. 비타민-C를 0.5 ~ 5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10배 간격으로 배양중인 줄기세포에 투여해본 결과 콜로니수가 비타민-C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6.3개에 비해 50 μg/ml에서 65개로 10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실험결과들을 통해 비타민-C가 줄기세포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어 줄기세포의 상처치료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미연방 정부의 자금지원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규제

        박수헌(Park, Soo-H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4 No.-

        인간배아줄기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 hES Cell)는 인류의 가장 두려운 질병(소아 당뇨, 알츠하이머, 파킨슨, 척수손상 등)을 치료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성을 가지기 때문에 불치병으로 절망에 빠진 수 많은 환자들에게 치유가능성을 열어주는 희망의 불빛이라 할 수 있겠다. 반면에, 인간배아줄기세포주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인간배아를 파괴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것이 생명체의 파괴가 아닌가 하는 심각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배아줄기세포는 병의 근원 치료 및 환자 맞춤 치료를 가능케 하므로 미래 의료산업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차원이든 민간차원이든 막대한 자금지원을 통하여 인간배아줄기세포에 관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연방정부의 자금지원 정책은 많은 변화를 겪었고, 올해 3월 오바마 대통령이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을 허용하는 대통령령을 전격적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한 해 약 30억 달러(한화 약 40조원)의 연구비를 집행하는 국립보건원이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발벗고 나서게 되어 전 세계 줄기세포 연구에 판도의 변화를 예고하였다.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은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성공에 핵심적 요소이다. 왜냐하면,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음으로써 연구자는 지속적 연구수행을 통하여 연구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정부의 자금지원 하에서 얻어진 연구업적은 이미 정부의 승인도장을 받아 대외적 신뢰도를 구축하여 단번에 기술(이전)의 선두그룹에 합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방정부는 자금지원을 통하여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적절한 통제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미연방 정부의 자금지원의 중요성과 그에 관한 정책 변화를 고찰하고,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있어서 ‘잃어버린 8년’을 만회하려는 오바마 행정부의 노력을 검토한다. 그럼으로써, 미연방 정부의 자금지원을 통한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규제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시사점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hES Cells”) has an enormous potential to develope medical treatments for the mankind's most abhorred diseases on one hand. At the same time, it could raise severe ethical concerns by destroying human embryo in the process of creating hES Cell lines on the other hand. Regardless of these contradictory arguments on hES Cells, however, huge amount of money is invested to the research of hES Cells worldwidely in order to get the initiatives in this area as it could be the source of change in the future medical industry. Most of all, federal funding is crucial to the success of hES Cell research in two ways, pragmatically and symbolically. In addition, the government could also increase its control over hES Cell research when in provides federal funding.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U.S. government has taken steps on funding hES Cell research by examining the policies of it. Part II of this article explains what a hES Cell is, examines the benefits of hES Cell research, and outlines the ethical issues surrounding hES Cell research. Part III explains the importance of federal funding in hES Cell research in three aspects - pragmatic, symbolic, and government's control aspects. Part IV explores the policies of the federal government before President Bush's TV address on August 9, 2001. The establishments and functions of EAB, HERP, and NIH guideline are described here. Part V examines President Bush's TV address on August 9, 2001. The meaning of it, the hES Cell lines that could be the objectives of federal funding, the contents of it, and the drawbacks of it would be considered here. Part VI explores the Executive Order issued by President Obama on March 9, 2009. The meaning of it, the contents of it, and the effects of it would be described here. Finally, Part VII concludes that the changed federal funding policy of the U.S. government by regarding hES Cell treatments as future gold mine of medical industry will also give enormous impacts on the world market of medical industry by funding federal money to hES Cell research. On top of that, I expect that the change of the U.S. policy could give positive effects on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hES Cell research as well.

      • KCI등재후보

        줄기세포의 윤리적, 경제적 그리고 특허법적 문제

        박영규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5

        Die Forschung an Stammzellen ist noch sehr mit Problemen behaftet. Insbesondere die zielgerichtete Ausdifferenzierung von Stammzellen ist noch nicht möglich. Ein weiteres Hindernis stellen die rechtlichen und ethischen Probleme dar, die sich aus der Gewinnung von ES-Zellen, ihrer Patentierung usw. ergeben können. Doch auch die weniger umstrittene Forschung an adulten Stammzellen steckt aufgrund des noch ungelösten Problems der Reprogrammierung in den Kinderschuhen. Im Hinblick auf die derzeit zugelassene Patentierbarkeit auf diesem Gebiet scheint eine Amortisation der Investitionen in die Stammzellforschung über die Erlangung von gewerblichen Schutzrechten insbesondere in England und den USA möglich. Deren Rechtslage erlaubt die umfassendste Patentierung von Stammzellen und Verfahren. So gestattet England nicht nur die Forschung an bis zu 14 Tage alten Embryonen und das therapeutische Klonen, vielmehr lässt es selbst die Patentierbarkeit von ES-Zellen zu, auch wenn ihre Herstellung die Zerstörung von Embryonen zur Folge hatte. Noch investitionsfreundlicher gestaltet sich die Rechtslage in den USA, wo mangels bundesweiter einschränkender Reglementierung die Patentierung derzeit fast uneingeschränkt möglich ist. Dies bestätigt die Praxis des USPTO, das bereits mehrere ES-Patente erließ. Die verschiedenen beschränkenden Gesetzesentwürfe sind bei dieser Bewertung jedoch nicht zu unterschätzen. Die Rechtslage in den übrigen betrachteten europäischen Staaten hingegen ist im Hinblick auf mögliche Patente auf Stammzellen und Verfahren als wenig forschungsfreundlich einzuschätzen. 생명공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줄기세포까지도 특허의 대상이 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법적․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시점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동물․인간복제 등을 둘러싼 산업적, 윤리적 관점뿐만 아니라 특허법적 보호의 문제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줄기세포 연구와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현재 영국은 배아의 개념을 좁게 해석하여 줄기세포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의 여부, 즉 배아가 수정을 통해 혹은 체세포핵이식을 통해 창출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배아줄기세포와 관련된 발명의 특허성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미국에서도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민간부분의 연구는 허용되고 있고 실제로 분리된 인간배아줄기세포에 대해 특허가 부여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도 배아의 개념, 잔여배아뿐만 아니라 수정을 통한 배아, 체세포핵이식 혹은 단성생식을 통한 배아에 대해서도 연구가 허용되는지의 여부, 복제 개념에 핵치환 방법에 의한 복제 배아, 치료용 복제가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진행 중이다. 현행 생명윤리법상 배아의 보존기간이 경과된 잔여배아에 대해서 발생학적으로 원시선이 나타나기 전까지에 한하여 체외에서 희귀․난치병의 치료를 위한 연구 등에 연구가 허용되고 있다는 점과 생명윤리법 상에 관련 규정은 없지만 배아줄기세포의 생성이나 수립이 어려워 외국에서 생성된 배아줄기세포를 수입하여 연구하는 것도 원칙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의 특허성도 부정되 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태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역분화 배아줄기세포 및 이러한 배아줄기세포의 분화 단계로 인도하는 역분화 방법에 대해서도 특허법적 보호가 부정되지 않을 것이다. 다만 하나의 완전한 개체로 발생해 나갈 수 있는 만능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생산물로서의 만능 줄기세포, 직접적으로 만능 줄기세포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허법적 보호가 부정되는 것으로 해석 된다.

      • KCI등재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실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류동훈 한국의료법학회 2015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3 No.1

        2005.경 황우석 박사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결과 발표에 대한 논란을 계기로 자연스레 우리나라 국민들의 줄기세포 연구 및 관련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이는 최근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등의 ‘재생의학’에 대한 의생명과학기술에서의 거대한 관심과 맞물려, 현재(2015. 6.경)에는 전 세계에서 허가된 줄기세포 치료제 총 6개 중 4개가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제조판매품목허가를 받은 제품들일 정도로, 국내 바이오산업 특히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와 관련한 분야는 국민들과의 접근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성체줄기세포 치료제는 약사법의 의약품에 해당하므로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업(業)허가를, 안전성·유효성의 입증을 위한 임상시험을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승인을, 그 판매를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제조판매품목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약사법 및 관련 규정의 적용을 받는다 할 것인데, 일부 국내 줄기세포 관련 업체들은 위 접근성 등을 기화로 위 규정들을 잠탈함으로써 불법적인 치료제 시술을 자행하고 있다. 국내법인 약사법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그에 대한 처벌이 용이하지 아니한 해외 소재 의료기관 등으로 하여금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승인 없이 안전성·유효성이 입증되지 아니한 줄기세포 치료제를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시술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한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약사법 위반 등의 형사적 책임 성부를 검토하여 봄으로써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보건 당국의 규제 현황을 짚어보고, 그로부터 도출되는 규제 불완전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적 제안에 이르고자 하였는바, 차후 이에 대한 더욱 심도있는 논의와 연구가 필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의 민사법적 의미

        김민중(KIM Min-Joong) 한국법학원 2008 저스티스 Vol.- No.103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뜨겁다.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가 척수장애, 파킨슨, 알츠하이머, 뇌졸중, 당뇨와 같은 난치병을 퇴치할 수 있다고 하는 의미에서는 이보다 인류에 더 공헌할 수 있는 일을 찾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가 사회적, 윤리적,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점도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나 이용과 관련하여 선결하여야 할 과제도 적지 않고,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는 과학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해결하여야 할 윤리적, 법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 현재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나 이용에 관한 생명윤리의 문제는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대단한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가 야기하는 문제는 생명윤리의 문제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법적으로도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가 제기된다.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 관한 근본적인 법적 문제로서는 인간의 존엄성와 관련한 인권문제가 제기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인간배아 줄기세포연구를 형법적으로 금지하여야 하는가 하는 형법상의 문제도 제기된다. 역시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서의 법적 문제에 관한 핵심적인 내용의 하나는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를 둘러싼 민사법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민사법적 과제는 매우 다양하리라고 예상되며, 계약법적 문제를 비롯하여 책임법적 문제, 가족법적 문제에까지 민법 전반에 걸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우선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계약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를 위하여는 배아, 특히 난자가 필요하므로, 배아나 난자를 제공받기 위하여는 배아제공자 및 난자 제공자와의 사이에 배아제공계약 또는 난자제공계약이 성립한다. 또한 줄기세포를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세포치료의 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와의 사이에 첨단의료행위로서의 임상실험이나 줄기세포치료를 실시하기 위한 임상실험계약 또는 의료계약이 성립한다.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와 관련한 임상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나 제3자가 손해를 입을 수 있다. 만약 줄기세포연구를 적용한 임상실험에서 피실험자나 제3자에게 손해가 발생하면 손해배상책임이 문제되고, 보통 임상실험으로 생긴 손해에 따른 피실험자에 대한 책임은 계약책임이 되고, 제3자에 대한 책임은 불법행위책임으로 된다. The debate over the treatment of human stem cell is new. Ever since human stem cells were first isolated,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stem cell research and the moral and legal issues surrounding human stem cell research have created much controversy. Now human stem cell research is a controversial and divisive topic. Research on embryonic stem cells has generated great intrigue in the scientific community. Many medical researchers consider stem cell-based therapies to have the potential of treating a host of human illnesses and yielding a number of medical benefits. However,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raises numerous ethical and legal concerns.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destroys the human embryo. This has generated a storm of debate about if this research can be legally and ethically justified. Human embryonic stem cell is 'master cell', able to develop into almost any cell in the human body. The research with human embryonic stem cells raises complex and sensitive legal ques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nd discussed widely. The civil legal debate surrounding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will be the focus of this paper.

      • KCI등재

        건 재생을 위한 중간엽줄기세포 치료법의 비임상 및 임상연구의 최신 동향

        윤영주(Young-Joo Yun),조현철(Chris Hyunchul J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건의 근본적인 재생을 도모하고자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치료 중심의 비임상 및 임상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특히 중간엽줄기세포는 타 줄기세포에 비하여 분리가 쉽고, 생명윤리의 심각성 및 발암가능성 문제가 적기 때문에 재생의학연구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 종설에서는 건 재생을 위한 중간엽줄기세포치료에 대하여, PubMed 데이터 베이스에 최근 3년 내 발표된 비임상 및 임상연구의 효능을 비교 분석하여 그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비임상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체내이식 후 소실문제를 개선하고 재생능을 향상시키고자 1) 줄기세포시트 2) 인체유래 세포 외 기질 또는 제대 와튼젤리와 같이 면역원성이 낮은 생체소재나 삼차원 프린팅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로 제작된 지지체 활용 3)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직접 이식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단순복원술에 비하여 이들을 병행하여 복원술이 시행된 경우 건 재생이 개선되는 것이 다양한 회전근개 질환동물모델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건 재생에 대한 임상연구연구동향은 크게 배양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의약품으로서의 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stem cell drug)를 투여하는 방법과 배양과정 없이 중간엽줄기세포가 포함되었으리라 예상되는 생체재료를 수술 중 획득하여 이식하는 술식(stem cell procedure) 두 가지의 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중간엽줄기세포치료는 해결해야 할 심각한 문제점들이 여전히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 재생에 대한 효능은 비임상 및 임상연구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 다른 공학분야의 발전과 함께 세포나 생체재료의 획득 및 이식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들이 제시되면서 그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Stem cell-based biological treatments are steadily progressing as an approach to promote the fundamental regeneration of tendons. In particular, mesenchymal stem cells (MSCs), which have the least severity of bioethics and carcinogenicity and can be separated relatively easily, have been applied widely. In this review, the efficacy of MSC therapy for tendon regener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non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published in PubMed data base within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possibility was considered. In light of nonclinical study trends, to improve loss problems after cell transplantation and regeneration, 1) stem cell sheets, 2) use of scaffolds made with biomaterials of low immunogenicity, such as human-derived extracellular matrix and umbilical cord Wharton jelly, or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three-dimensional printing, 3) stem cell-derived exosomes were directly injected into the body. Various animal models of rotator cuff tear have shown that tendon regeneration was improved when repair combined with these methods compared to a simple repair. In light of clinical study trends, efficacy, and safety evaluation were conducted by administering MSCs obtained through an expansion culture process (stem cell drug) or directly transplanting fresh biomaterials containing MSCs obtained during surgery without an expansion culture process (stem cell procedure). Although MSC therapy has many unresolved problems, the efficacy of MSCs for tendon regeneration has been reported repeatedly through numerous non-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In addition, as new alternatives for the acquisition and transplantation of cells or biological materials have been proposed with the developments in other engineering fields, the possibilities are further increasing.

      • KCI등재

        신경줄기세포의 냉동보관법 확립

        권광원(Kwang Won Kwon),김미란(Mi Ran Kim),서해영(Haeyoung Suh-Kim),이영돈(Young Don Lee),김성수(Sung Soo Kim)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6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s)는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로서 발생중인 중추신경계뿐만 아니라 성인 뇌조직의 제한된 부위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신경줄기세포의 장기간 보존을 위하여 냉동보관 방법을 확립하였다. 또한 냉동보관된 태아 뇌조직으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신경줄기세포의 표지자로 알려진 nestin의 발현과 함께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를 이용하여 신경구의 형태로 증식된 세포가 신경줄기세포임을 GFP 발현을 통해 확인하였다. 태아의 신경줄기세포는 신경구에서 nestin의 발현을 통해 확인하였고, 분화조건에서 신경세포, 별아교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미루어 이들이 다분화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경구를 냉동보관하고 해동시킨 후 다시 증식시켜 얻은 신경구의 분화능력은 냉동 전의 신경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 임신 10~15주의 태아의 대뇌조직을 잘게 부수어 신경구와 동일한 방법으로 냉동보관한 후 이를 해동시켜 신경구의 형성을 유도한 경우에도 신경세포와 별아교세포로의 분화능력이 유지됨을 관찰하였다. 이는 조직에 남아있던 신경줄기세포가 생존하여 증식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조직이나 대량 배양된 신경구를 장기간 냉동보관하여 필요한 시기에 해동, 배양하여 신경줄기세포의 이식에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Neural stem cells are multipotent stem cells that can differentiate into neurons and glial cells. Neural stem cells are found in not only developing nervous system but some restricted regions in adult brain. Here, we presented an effective method that allows a long-term preservation of neural stem cells without losing multipotency. First, we isolated neural stem cells from the developing forebrain of nestin-EGFP transgenic mice carrying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 driven by nestin promoter and enhancer. Primary neurospheres isolated from these mice highly expressed GFP. The expression of GFP in neurospheres was sustained for several passag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ezing on the stem cell properties, we cryopreserved the primary neurospheres for 2 wks in liquid nitrogen. GFP expression pattern as well as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the secondary neurosphere formed after cryopreservation were not t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imary neurosphere formed before cryopreservation. When the same cryopreservation method was applied to neural stem cells isolated from human fetal brain (gestation 13~15 wks), the expression of nestin, a stem cell marker, and differentiation patterns were not changed after cryopreservation. We also performed isolation of neural stem cells from long-term cryopreserved human fetal brain tissues. The neurospheres were successfully formed and showed similar differention properties with neurospheres isolated from fresh brain tissue. In addition, we demonstrated multipotentiality of neural stem cells was not changed with the duration of cryopreservation of brain tissue, suggesting the self renewality and multipotentiality of neural stem cells were not affected by long-term cryopreservation, The present results provide an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em cell expansion which is essential factor in clinical application of stem cells.

      • 개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의 면역관용능 평가를 위한 백혈구 항원타입 동정

        위하연,김영임,노진구,이란,우제석,이승훈,허태영,옥선아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18 한국수정란이식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일반적으로 세포·조직 및 장기이식 성공 예측은 수여자와 공여자간의 백혈구항원 일치도이고, 불일치 시 심각한 거부 반응을 유발함으로 세포치료제로 사용할 때 우선적으로 백혈구 항원일치도가 고려된다. 그러나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는 다른 체세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MHC I 항원발현과, 극히 낮은 MHC II 항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종세포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 모델에서 MSCs 의 동종세포치료제로서 효능을 예측하기 위해 선행연구로 백혈구 항원(Dog Leukocyte Antigen, DLA)형 및 가계도내 일치도와 유전적다형성(Polymorphism) 을 분석하였다. DLA 분석을 위해 한가계도의 비글(Covance Beagles) 4 두(모견 1 두, 자견 3 두)로 부터 전혈을 채취하고, 밀도구배를 이용하여 백혈구만을 분리 후 DNA들을 각각 추출하였다. DLA 분석은 ClassII 유전자(DLA-DQA, DLA-DQB, DLA-DRB)에서 엑손 2 영역(약 300bp)을 증폭하고 Direct Sequencing 을 통해 밝혀진 염기서열을 NCBI Blast 와 IPD(Immuno Polymorphism Database)를 기반으로 하여 Universal nomenclature 에 따라 유전자형을 판독 하였다. 그 결과 DLA-DQA(022:01/022:01)와 DLA-DQB(107:01/102:01)는 4마리 모두 유전자형이 동일하였으나, DLA-DQB 는 각각 046:01/022:02, 03701/022:02, 00201/022:02, 03701/022:02 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모견과 자견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일배체형(Haplotype)은 DLA–DQA*022:01, DLA-DQB*022:02, DLA-DRB*102:01 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부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99% 유사도를 보이는 후보군들이 4 개씩 검색되었는데 이는 단일염기다형성(SNP)에 기인한 유전적다형성(Polymorphism)이 매우 높다는 선행보고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는 향후 DLA 의 일치군과 비 일치군의 개중간엽줄기세포와 말초혈액단핵구세포(PBMC)들의 공배양을 통해 동종세포치료제 연구에 사용될 예정이다. * 본 성과물은 농촌진흥청 반려동물 연구사업(세부과제명 : 반려견에서 DLA 일치하는 줄기세포의 체외 치료능 평가, 세부과제 번호 : PJ013957022018)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