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의 의무화에 대한 소고

        김현우(Kim Hyunwoo)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2 No.-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보험산업의 유형도 이와 더불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상품의 종류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며, 변호사, 의사, 공인회계사 등 전문직종과 관련된 보험의 종류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문직업인들이 업무 중 과실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끼친 경우 고객과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대한 책임을 보상하기 위한 보험상품(이하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이라 한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물론 국내에서는 이러한 전문직업인과 관련된 책임보험이 뒤늦게 발전하게 되어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이에 대한 보험상품 개발이 많이 뒤쳐져 있는 상태이다. 또한 비대면시대의 급속한 도래로 인하여 전문직업인들의 업무형태가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이에 대한 보험의 구체적인 보상범위도 시급히 규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인공지능 시스템의 개발을 통한 인공지능 변호사가 이미 미국에 등장하였으며, 인공지능을 갖춘 의료전문가 시스템도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업무에 대한 보험회사의 보상규정에 대해서도 시급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최근들어 보험상품에 대한 가입의 형태가 임의보험에서 점차 의무보험으로 변화하고 있다. 물론 보험의 가입형태가 의무화되는 것이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세계 각국의 추세와 국민들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반드시 보험가입의 의무화가 필요한 분야도 있다. 대표적으로 항공기, 선박, 원자력 분야 등 국가의 재난과 관련된 보험은 단 한 번의 보험사고로 인하여 사회 전체적으로 끼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러한 분야는 의무보험이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다. 또한 사회재난과 관련되지 않더라도 전문직업인의 업무와 관련된 분야는 국내에서도 세계 각국의 흐름에 따라 보험의 의무화가 점차 광범위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은 이러한 보험가입의 의무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여전히 그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심지어 전문직업인 중 가장 대표적인 분야인 변호사와 의사의 배상책임보험은 아직도 의무보험이 아닌 임의보험의 형태로 시행되고 있다. 사실 이 분야의 의무보험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어왔지만 사회적인 공감대와 비용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입법화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의 의무화 현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여전히 의무화되지 않고 있는 변호사배상책임보험과 의사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세계 각국의 현황을 비교하여 국내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보험가입의 의무화 필요성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Our society is developing rapidly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type of insurance industry is changing rapidly along with it. Accordingly, the types of insurance product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and the types of insurance related to professional occupations such as lawyers, doctors, and public accountants are also increasing. Particularly, when these professional workers inflict damages to others due to negligence during work, there is a trend of frequent disputes with customers, Insurance products(referred to as professional reparations liability insurance) to compensate for this have begun to appear. Of course, in Korea, the development of liability insurance related to such professionals is belatedly developed, and the development of insurance products for this is far behind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due to the rapid advent of the non-face-to-face era, the type of work of professional professionals is rapidly changing from face-to-face to non-face-to-face, so there is a need to urgently define the specific coverage of insurance for this. In add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lawy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have already appeared in the United States, and medical professional system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being used. Therefore, urgent discussion is needed for insurance companies compensation regulations for these various types of work. Meanwhile, in recent years, the form of subscription to insurance products has gradually changed from discretionary insurance to compulsory insurance. Of cours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it is by no means a desirable phenomenon that the form of insurance is mandatory. However, there are areas in which insurance subscription must be mandatory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changes in the values of the people. Representatively, insurance related to national disasters such as aircraft, ships, and nuclear power is a field in which compulsory insurance is indispensable because the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due to a single insurance accident is very large.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related to social disasters, insurance is increasingly mandatory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the fields related to the work of professional workers. However, despite the trend of mandatory insurance subscription, the liability insurance for professional professionals is still not reaping its effectiveness, even the most representative field among professional professionals, the liability insurance for lawyers and doctors is still implemented in the form of discretionary insurance rather than compulsory insurance. In fact,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compulsory insurance in this field for a long time, but due to various issues such as social consensus and costs, legislation has not been proceeding.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in detail the types and status of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which is a professional occupation, recently implemented in Korea. In particular,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ach country on the lawyers reparations liability insurance and medical professional liability insurance, which are still not mandatory, and examine in detail whether there is a need to make insurance in this area in Korea.

      • KCI등재

        전문대졸 직업적응을 위한 직업인성 척도개발 및 적용 연구

        박해미,이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이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지속시킬 수 있는 직업적응을 위한 직업인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대학의 진로 및 취업교육과 기업의 인재 선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 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직업인성 측정도구의 예비문항을 일차적으로 구성하였고, 2차 예비 문항 구성을 위하여 기업체 경력직 총 105명이 참여하였다. 최종 문항 구성에는 전문대학 졸업생 555 명이 참여하였고, 문항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취업한 졸업생 156명이 참여하였다. SPSS 22.0과 AMOS 22.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직업인성 척도는 가치체계, 능력요건, 능력, 보상체계 4가지 요인 14개 문항 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구성된 직업인성 척도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직업인성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α는 .763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측정도구가 직업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직업적응을 위한 직업인성 요인은 가치체계, 능력요건, 능력, 보상체계로 구성하여 전문대학 학생들이 직업인성 척도를 활용하여 졸업이후 직업에 적응할 수 있는 취업상담과 진로지도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vocational personality for vocational adaptation that enables vocational college students to sustain a successful work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corporate talent selection and college career and employment education. To this e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for the professional character measurement tool was initially formulated for experts, and a total of 105 experienced workers at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second preliminary questionnaire. 555 of the junior college 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final question composition, and 156 graduates who were employed to verify the question valid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verified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personality scale was composed of 14 items of 4 factors: value system, competency requirement, ability, and reward system. Second, the configured professional personality scal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scale was Cronbach's α of .763, which proved to be highly reliable in measuring occupational personality. Finally,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proved its validit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adaptation were the internal competence of the value system, competency requirements, competence, and compensation system,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measure professional personality for juni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서 보험사고(claim)의 개수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7다294202 판결 -

        황현영 (사)한국보험법학회 2022 보험법연구 Vol.16 No.1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은 피보험자인 회계사가 회계업무를 수행하던 중 과실로 인하여 법률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함으로써 입게 되는 손해를 보상하는 전문직 배상책임보험이다. 전문직 서비스의 증가와 더불어 의뢰인의 권리의식은 향상되면서 전문직업인들의 업무 중 과실로 인해 의뢰인과 분쟁이 발생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고, 이로 인해 배상책임보험의 수요도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의 대부분이 영문약관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어, 약관의 해석과 관련한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의미있는 대법원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이 선고되어, 본 논문에서는 이를 살펴보았다. 대상판결은 회계법인인 원고와 보험회사인 피고 사이의 분쟁으로,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서 보험사고(이하 ‘클레임’이라 한다)의 개수를 몇 개로 보아 자기부담금을 몇 회 공제할 것인지가 쟁점이었다. 이 사건 보험의 ‘클레임’이 회계법인인 원고의 회계감사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이라는 점은 명확하나, 보상한도와 자기부담금 공제를 위한 ‘클레임의 개수’를 어떻게 인정할 것인지가 문제 되었다. 이에 대해 1심, 항소심, 상고심은 모두 2개 사업연도에 행해진 원고의 회계감사행위의 과실을 기준으로 2개의 클레임으로 본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상판결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를 살펴보고, 공인회계사 전문직업인 배상책임보험에서 ‘클레임’과 ‘자기부담금’의 의의에 대해 살펴본 후, 이 사건 보험의 ‘클레임 개수’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을 차례로 검토하였다.

      • KCI등재

        전문인 선교 전략과 신학의 관계성 고찰

        김광성(KIM Kwangseong),최용준(CHOI Yongjoo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1

        전문인 선교는 21세기의 중요한 선교 패러다임이다. 그러나 국내 선교학계는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가치는 인정하지만 전문인 선교 용어와 개념 불일치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는 국내 선교계의 전문인 선교 연구에 미해결 과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용어 혼용의 문제, 전략적 가치와 신학적 근거, 직업적 전문성과 직업의 선교실천적 의미의 관계 규명은 전문인 선교의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한 선결 과제이다. 전문인 선교에 내재된 선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둘 사이의 창조적 긴장관계는 전문인 선교가 현대 선교의 신학적 대세인지 아니면 전략적 대안인지를 규명할 준거 틀이 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전문인 선교가 21세기 한국 교회의 선교전략이라는 명제의 당위성을 입증함으로써 전문인 선교 연구의 미해결 과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전문인 선교가 현대 선교의 보편적 대세가 되었다는 연구 결과는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가치를 인정하고 이에 대한 선교신학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CK의 사례를 보면 교단 차원에서의 전문인 선교 이해는 여전히 전략적 차원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인 선교에 내재된 선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면서 전문인 선교가 전략적 대안으로 출발하여 선교신학적 근거를 확보한 선교실천적 대세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교회가 전문인 선교의 전략적 가치와 선교신학 이론근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선교 현장과 지역 교회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서 남은 과제를 풀어내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tentmaker mission is an important mission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However, although the domestic missionary academia recognizes the strategic value of the tentmaker mission, the problem of inconsistency between tentmaker mission terminology and concept still exists. This study starts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unsolved tasks still exist in missionary research, especially in the domestic mission field. The problem of mixed terms, strategic values and theological basi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expertise and the practical meaning of vocation are the prerequisites to redefine the concept of tentmaker mission.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ission inherent in professional mission, and the creative tension between the two, serve as a framework for clarifying whether the tentmaker mission is the theological trend of modern mission or a strategic alternative. Through this, this study suggests a new direction to solve the unsolved task of the study of the tentmaker mission by proving the justification of the proposition that the tentmaker mission be the mission strategy of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The findings that the tentmaker mission has become a universal trend in modern mission imply that the strategic value of tentmaker mission has been acknowledged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mission theology has been established. Nevertheless, from the case of the PCK, it can be seen that the understanding of tentmaker missions at the denomination level remains at the strategic level.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issions inherent in professional missions, and the creative tension between the two, began as a strategic alternative and became a practical trend in missions that secured the theological basis for missions. However, the task of presenting concrete plans for the Korean Church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strategic value of missionary expertise and the basis of mission theology and to put it into practice in the field of missions and local churches remains. I look forward to solving the remaining tasks through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최숙희(Choi, Sook H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1

        현대의 의사들은 급속한 생명과학과 생의학의 발달, 상업화와 의료경영의 효율성 중시 등으로 생긴 윤리적인 문제점들에 직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보험 제도의 문제 및 의사에 대한 사회의 불신으로 위축되고 있다. 이 같은 복잡계로서의 사회적 맥락 아래서 의사들이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 가치인 이타심, 봉사정신, 자율성 및 전문직 우위 같은 전통적인 덕목들을 지켜나가는 것이 힘들어지고 있다. 현대의 의학 전문직업성은 치료자와 전문직이라는 야누스적 면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그 뿌리는 덕 윤리이다.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목들을 살펴보면 이타심, 연민, 숙련됨, 책임감, 의무감, 공손함, 책무 및 인격적 통합성 등이 있다. 결국 덕이 있는 의사들의 성향이 이와 같은 요소를 지니고 있기에 의학 전문직업성이 덕에서 기원했음을 알 수 있다. 의료 행위의 본질인 의학 전문직업성에 내포된 덕(Virtue)은 그리스어로 아레테(Arete)인 탁월함, 완전함, 우수함, 훌륭함 및 뛰어남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이 이성과 사유의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해서 습관화시킨 것을 덕이라 불렀듯이 개별의사의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목들도 의사들이 꾸준히 노력한다면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대는 의료제도가 사회와의 계약으로 존재하므로 미시적인 개별 의사의 의학 전문직업성은 거시적인 사회적 덕에 종속 될 수 밖 에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의사들은 자신의 덕을 함양시킴과 더불어서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를 발휘해서 사회와 정치 제도의 발전과 개혁에도 눈을 돌려야한다. Doctors living in modern society have to not only face ethical dilemmas arising from biomedicine and life science but also often deal with the flawed medical insurance system. In such social context of complexity, doctors struggle to maintain traditional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such as altruism, service, autonomy and professional priority. Even though medical professionalism mainly focuses on two different aspects of doctors, as healers and professionals, it is essentially rooted in virtue ethics. Some of the most crucial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re altruism, compassion, competence, excellence, responsibility and integrity.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are driven by one's virtue; it has been known that virtuous doctors posses such qualities as well. The word virtue stems from the word Arete in Greek, which means excellence, perfectness, outstanding, superiority and nobility. As Aristotle stated that virtues can be expressed by habitual patterns of behavior, the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can also be improved and sustained with practice. In today's society where medical system is bound by societal contract, the virtue of individual doctors is subordinate and interconnected to the virtue of society. Therefore, doctors must not only improve their own virtue but also strive to realize the virtue of society by utilizing their practical wisdom.

      • KCI등재

        변호사 배상책임보험에 관한 소고

        배기석(Bae, Ki Suk),배소민(Bae, So Mi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1

        최근 우리나라 법률시장에서는 변호과오소송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배상액도 고액화되어 가고 있다. 이는 사회가 복잡다단해지면서 전문가라 할지라도 필요한 전문지식을 완벽하게 갖출 수는 없는 반면 의뢰인은 전문가에게 점점 더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과 주의의무를 요구하는 것에 기인하는 현상이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에 따른 변호사 수의 증가로 변호사간의 연대의식이 약화되면서 변호과오소송은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변호사 수의 증가로 인한 소득구조의 양극화로 과거와 달리 변호사의 경제적 자력도 예전에 비하여 취약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변호사는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되어 그 재산을 위험에 노출시키게 되고 변호사의 재산만으로는 배상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에 의뢰인이 고스란히 손해를 입게 된다. 법률시장에서 이와 같은 잠재적 위험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의 변호사 배상책임보험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으며 그 필요성도 부각되지 않고 있고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보험상품은 미개발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전문가 위험의 개념과 변호사가 범할 수 있는 전문가 위험인 일반적인 변호과오의 유형 및 변호과오소송에 대하여 살펴보고 제외국의 변호사 배상책임보험의 운영사례를 검토한 뒤 우리나라의 변호사 배상책임보험의 구체적인 내용과 잠재적인 문제점, 개선점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추후 우리 실정에 맞는 전문가 보험상품 개발과 정책수립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legal malpractice lawsuit is increased in Korea, and the compensation for legal malpractice also become a large amount of money. This situation is caused by the complicated society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even by the profession and the client who demand more high-qualified profession and higher duty to take care to the lawyer. Moreover the number of legal malpractice lawsuit will be increased rapidly because of the growth of the lawyer due to the law school and the weakening of conscience solidaire between lawyers. Contrarily, the rapid growth of the lawyer will cause the income polarization between lawyers and the financial of lawyers will be weakened. The lawyer without professional liability insurance will pay the expenses by his own property therefore he will take high risks, and if he can’t compensate whole damages, the risk will be delegated to clients. The potential risk of legal market grows every year however the awareness for lawyers’ liability insurance and its necessity is extremely low in Korea. Furthermore, there are no appropriate insurance for Korean lawyers without the insurance which provided by foreign insurance company.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for the lawyers’ liability insurance before, I will review the general concept of legal malpractice and the legal malpractice lawsuit. After that I will discuss about the foreign lawyers’ liability insurance and the specific Korean lawyers’ liability insurance and its points of disputes. I hope this article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wyers" liability insurance and policy making for it.

      • KCI등재

        창의적 유능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발휘하는 훌륭한 전문직업인의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년 ‘뉴욕 허드슨 강의 기적’ Chesely Sullenberger 기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종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유능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발휘하는 훌륭한 전문 직업인의 개인적 특성을 탐색하는데있다. 이를 위해 탁월한 역량과 올바른 가치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서 2009년 뉴욕 허드슨 강의 기적의 주인공인Chesley Sullenberger 기장의 사례를 토대로 그의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내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Sully 기장의 개인적 특성, 그리고 교육·훈련·경험, 올바른 가치와 직업 전문성을 실현하게 된 계기와주요 내용이 무엇인가이다. 연구를 위해 2022년 8월 중에 국내·외 주요 사이트에서 ‘Chesely Sullenberger’에 관한키워드로 관련 기사를 검색하여 도출한 국문 및 영문 결과와 그가 2009년도에 출판한 도서를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조사 자료를 정리,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 여러 차례에 걸친 코딩 등의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최종 자료를 확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개인적 특성, 교육·훈련·경험, 올바른 가치와 직업 전문성의 실현이라는 3개 주제에 따른 총 9개 범주와32개 개념이 도출, 제시되었다. 이를 볼 때, Sully 기장은 성장 과정에서 비행기 조종에 대한 흥미와 열정, 직업 적성을발견하여 자신에게 맞는 분야를 찾아 이에 주력했다. 또한 지속적인 성장과 헌신을 추구하고 실천한 결과로 허드슨강의 기적을 만들어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흥미와 열정, 그리고 적성을 고려하여 전문 분야를 찾고 이를 일로연계하도록 돕는 것이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기여에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 ADEA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박보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1

        'Competency' has become a substantial and a global key-word for redefining and reforming the professional education, so it's very urgent to understand the concept, viewpoint, and peculiarit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So the researcher tried to review the basic discussions on the 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 based on the competency profile of ADEA. Competency-based education starts with the definition of the profession and competencies which the profession must have. In view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 general dentist must have the competency of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skills, Practice management and informatics, and patient care. In order to implement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goal, the contents, the way, the evaluation of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and reformed. 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 has the educational meaning because it can make a person realize their professional potentiality fully and make him/her contribute to the society through the self-realization. 본 연구는 ADEA(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하여 역량기반 치의학교육(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기초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역량기반교육이란 전문직업인의 본질적 역할을 정의하고, 그 역할을 실제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을 규정하고, 규정된 역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통하여 학습자를 교육하고, 역량 평가에 적합한 평가 방식을 통하여 교육의 결과를 평가하는 교육이다. 역량 있는 전문직업인의 양성을 위하여 치과대학이나 치의학전문대학원은 졸업생들이 비판적 사고, 전문직업정신, 의사소통능력, 정보의 수집과 관리능력, 진단과 치료계획, 진료의 기술과 같은 치과의사의 역량을 갖추도록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쇄신할 필요가 있다.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이 지닌 교육철학적 의미는 한 개인의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과 사회에 대한 기여 사이의 연결고리를 형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Good Work’의 관점에서 본 훌륭한 전문직업인 연구 : 2009년 뉴욕 ‘허드슨 강의 기적’ Chesley Sullenberger 기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종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professionals from the point of view of 'Good Work'.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case of Chesley Sullenberger, the captain of Flight 1549, who made the “Miracle on the Hudson River” in New York, USA in 2009. Based on his 42 years of flying experience, he led all 154 people to survival as a result of solving problems in innovative ways by demonstrating creative compete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a sudden and extreme crisis situation. His competence as a captain, his respect for and devotion to human beings, gave hope and emotion to the world.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the time after the accident, and it was intended to focus on the perception and response patterns he showed at the decisive moment. For this study, all articles from the past to the latest were investigated in domestic and foreign representative websites (Naver, Google) during August 2022,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autobiography of Captain Chesley Sullenberger. After that, in the process of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content analysis for qualitative data was carried out, and codes and topics were selected and confirmed through several reviews. The study results were presented at the time of the accident (2 topics, 10 codes) and after the accident (2 topics, 7 code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requirements and roles of professionals applicable to any field as well as aviation. 본 연구는 ‘Good Work’의 관점에서 훌륭한 전문직업인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년 미국 뉴욕 ‘허드슨 강의 기적’을 만든 1549편 비행기 기장인 Chesley Sullenberger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는 42년의 비행 경력을 토대로갑작스러운 극한의 위기 상황에서 창의적 유능성과 사회적 책임감을 발휘하여 혁신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 결과로 154명 전원을 생존으로 이끌었다. 기장으로서 보여준 그의 역량, 인간에 대한 존중과 헌신은 전 세계에 희망과 감동을 주었다. 이와 관련하여 사고 당시와 이후 시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결정적인 순간에 그가 보여준 인식과 대응 양상 등을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8 월 중에 국내·외 대표 사이트(Naver, Google)에서 과거부터 최신까지의 기사를 전수조사하고 Chesley Sullenberger 기장의 자서전 등을 토대로 관련 자료 수집을 하였다. 이후, 자료 처리 및 분석 과정에서 질적 자료를 위한 내용 분석이 이루어졌고 수차례의검토를 거쳐 코드와 주제를 선별, 확정해 나갔다. 연구 결과는 사고 당시(2주제, 10코드)와 이후 시점(2주제, 7코드)으로 나누어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뿐만 아니라 어느 분야에서건 적용 가능한 전문직업인의 요건과 역할에 관한 교육적인 함의를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