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윤리에서 인간의 존엄 근거 고찰

        손보미(Son, Bo M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0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0 No.2

        이 글은 생명윤리 논쟁에서 인간의 존엄 의미가 분열되는 듯한 현상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생명윤리에서 인간의 존엄 근거를 고찰하고자 다음을 살펴보았다. 첫째, 인간의 존엄을 이해하는 방식을 도출하였다. 둘째, 인간의 존엄의 근원은 그리스도교이고, 이후 칸트가 인간의 존엄을 제안하였고, 양자의 영향으로 법적 가치로서 인간의 존엄이 파생하였다. 셋째, 생명윤리 논쟁에서 거론되는 자율성의 두 가지 근원을 살펴보았다. 하나는 인간의 존엄론과 명시적으로 관련된 자율성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의료윤리원칙의 하나인 ‘자율성 존중’원칙과 관련된 ‘사전동의’에서의 자기규율성이다. 그리고 양자는 맥락과 의미를 혼동한 채 사용될 가능성에 열려 있다. 넷째, 법적 가치로서 인간의 존엄과 생명윤리에서 인간의 존엄은 인간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생명윤리에서 인간의 존엄은 인간의 실존형식인 개인의 생명보호이다. 결론적으로, 생명윤리에서 인간의 존엄 근거는 개인의 생명보호에 있고, 인간의 존엄은 개인의 생명을 보호하는 실천을 통하여 구현됨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생명윤리 논쟁에서 인간의 존엄은 인간의 실존형식인 개인의 생명보호를 의미하므로, 문제해결의 논점은 개인의 생명보호 방안 모색에 집중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 지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 인격론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는데, 인간의 지성은 인간의 본질적 가치인 개인 생명의 실체성·개별성·자립성을 인식할 수 있고, 칸트에서 인간이 존엄함을 드러내는 윤리성은 생명윤리 논쟁에서 개인 생명의 실체성·개별성·자립성을 보호하는 것에서 발휘되어야 함을 전망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following to examine the grounds for human dignity in bioethics with a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phenomenon that human dignity seems to be divided in the bioethics debate. First, it draws a way to understand human dignity. Second, the source of human dignity is Christianity, and then Kant proposed human dignity, and human dignity as a legal value was derived from the influence of both. Third, two sources of autonomy discussed in the bioethics debate were examined. One is autonomy, which is explicitly related to human dignity, and the other is self-regulation in the ‘conformed consent’ related t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one of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both are likely to be used confused with context and meaning, in which case the human dignity can be compromised. Fourth, human dignity in bioethics and human dignity as a legal value aims to protect human beings, so human dignity in bioethics can be embodied as an individual s life protection practice.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basis of human dignity in bioethics lies in the individual s life, and that human dignity is realized through the practice of protecting the individual s life. And in the bioethics debate, the practice of human dignity is an act of protecting his life, which is the essential value of man and the existential form of the individual, so the issue of problem solving focuses on finding ways to protect the life of the individual. At this point, Thomas Aquinas persona theory gives us implications: human intelligence can recognize the life of an individual as an essential value of person as substantiality, individuality, and self-subsistencee, an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thics that reveal human dignity in Kant should be exercised in the bioethics debate in protecting the substantiality, individuality and self-subsistence of individual lives.

      • KCI등재

        고령 노인의 인간 존엄성 존중 - 자율성 정체성 취약성의 측면에서 -

        김도균 ( Kim Dokyu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대학교 法學 Vol.61 No.4

        인간 존엄성에 관한 논의는 인간 존엄성의 토대인 인간 공통의 속성을 찾는 데 주력하지만, 이 글에서는 고령 노인의 인간 존엄성 유지에 주안점을 두고 인간 존엄성의 기반인 속성 및 능력의 보유와 그 실현에 주목할 것이다. 우선, 유의미한 삶을 영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서 인간 존엄성의 세 가지 측면과 요소를 ① 자율성/자기결정능력, ② 정체성 형성과 유지, ③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공통의 취약성으로 분해하여 설명한다. 그런 후에는 자율성의 요소를 관계적 자율성관의 입장에서 해명하고 관계적 자율성 능력을 보호하고 증진할 여건에 주목하여, 관계적 자율성 능력의 목록을 확장할 것이다. 그리고 고령 노인에 특유한 인간 존엄성 요소로서 취약성을 염두에 두고서 인간의 취약성을 세 차원으로 구분한다. 인간 본래의 존재론적 취약성, 각 개인들 또는 집단이 처한 상황적 맥락에서 생겨난 상황관련적 취약성, 사회적 편견 및 제도적 차별 또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이나 정치적 억압과 같이 사회전반에 뿌리 깊이 박혀 있고 만연한 사회구조적 부정의에서 기인하는 취약성으로 구분한 후,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게 된 배경조건으로서 취약성을 논할 것이다. 이런 배경하에서 고령 노인에 특유한 인간 존엄성의 문제를 의존성과 취약성의 맥락에서 고찰하여 고령 노인의 인간 존엄성 유지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과 인간 존엄성의 증진에 필요한 조건을 제시한다. Why does human dignity matter and what is human dignity? The concept of human dignity as an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has a complex structure, and therefore is difficult to define. Although the lack of a common definition led the different legal systems to give different and conflicting meanings to the concept, courts and citizens have invoked the notion of human dignity in many cases regarding the same-sex couples, patients, prisoners, detainee, asylum seekers, and people wishing to end their lives. Human dignity has a core meaning, which pertains to all human beings to the same extent. That is, human dignity refers to a kind of dignity that we all have just because we are all human beings. The question which this article deals with is: is there a dignity particularly to older people, which requires that special attention be paid to them? To approach and answer the question, i.e. a specific dignity that pertains to older people, we should take the trajectory of human life into account and incorporate this fact into the dignity of older people. Then, an account of the specific dignity of older people sh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ree aspects that human dignity has: personal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mutual relationship and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Especially, the aspects of dependence and vulnerability have a special significance to the dignity of older people in modern societies that place the highest value on features as independence, competence and productivity.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gnity of older people our legal system should take the dependence and situational vulnerability of older people seriously.

      • KCI등재

        칸트의 인간성 정식과 도덕적 자율성

        오근창(Oh, Keun-Ch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직관적으로 호소력이 있지만 상당히 모호하게 보이는 칸트의 인간성 정식(FH)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존재한다. 이 글에서 나는 현존하는 견해들과 다른 칸트의 인간성 정식에 대한 대안적 독해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중심으로 칸트의 인간성 정식을 재구성한다(2장). 아래에서 나는 센센, 코스가드, 딘에 의해 제안된 인간성 정식에 대한 여러 영향력 있는 해석들이 갖는 몇몇 결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센센과 달리, 내가 보기에 인간성 정식은 단지 보편법 정식을 보다 직관적이게 만드는 소극적인 역할만을 하고 있지 않다(3장). 또한 코스가드의 인간성 정식에 대한 독해는 너무 얇은 인간성 관념을 가짐으로써 칸트의 원래 의도와 달리 목적 수립 능력 일반이 비도덕적인 행위마저 허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4장). 최근에 딘은 인간성이 선의지와 등가적이라고 제안했지만, 나는 선의지 독해가 너무 두껍고 도덕주의적인 인간성 개념을 가정함으로써 인간성의 내용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5장). 마지막으로 이 글은 몇몇 유관한 문헌적, 철학적 이유들을 조명함으로써 인간성 정식의 핵심이 도덕적 자율성 개념에 있음을 보인다.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regarding how to make sense of Kant’s formula of humanity (hereafter, “FH”), which seems to be intuitively appealing but perplexingly obscure. In this paper, I aim to propose an lternative reading of FH against the existing views and hope to show what FH as an end itself refers to and how it could be coherently connected to other formulas. To this end, I first reconstruct Kant’s argument for FH by focusing on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hereafter, “Groundwork”) and briefly evaluate the validity of his regress argument (Section 2). In the following, I critically examine the flaws of several influential interpretations of FH proposed by Sensen, Korsgaard, and Dean. Unlike Sensen, my interpretation shows that FH plays a role that goes beyond that of merely bringing the formula of universal law (hereafter, “FU”) closer to intuition (Section 3). In addition, Korsgaard’s reading of FH is flawed since it has such a thin conception of humanity that the end?setting capacity in general even permits non-moral acts, contrary to Kant’s intention (Section 4). Although Dean has suggested that humanity is equivalent to a good will, I argue that a good will reading supposes a too thick and moralistic notion of humanity and thereby excessively limits the contents of humanity (Section 5). Finally, I conclude that FH should be interpreted as moral autonomy by elucidating some relevant textual support and philosophical reasons (Section 6).

      •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과 정언 명령

        허유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6 철학·사상·문화 Vol.0 No.3

        This dissertation aims to show the meaning of the 'Formula of Humanity as End In Itself',which is the third formula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ant's ethics.The formula of Humanity as End In Itself is the third formula of Kant's categorical imperatives. It is as follows : "So act that you use Humanity, whether in your own person or that of another,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 never merely as a means."Now the question is: what this formula means. Namely, what does it mean that you use a person as an end? Moreover, what does it mean further that you use a person 'always at the same time' as an end?If the idea and uniqueness of Kant's deontological-practical ethics can be well conceived, we must acknowledge the view of his moral philosophy that human being itself is not a relative end but an absolute-highest end, and is also a moral agent of practical reason as an 'thing-in-itself'.Since human beings should not be a means, but must be an end in itself, we should not treat a person and his act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causation, but understand him and his act in the dignity of human beings. This means that a person is not only a means phenomenally but also an absolute end as a moral subject.But I don't think that Kant denied a person to be treated as a means in the real world. For example, when we go to a restaurant and want to order a dish, there is a waiter and we use him as a means in order to order and to be served. At this moment,he is a means of 'medium' to reach the common and same end which both of us have. In other words, it is an 'mediated' relationship through the common and same end. By this relationship, both of us as an absolute end itself take part in the absolute end autonomically in every action. 본 논문은 칸트의 정언 명령 중 세 번째 정식인 목적 자체의 정식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를 밝힌다.칸트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행위한다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지를 정언 명령 중 세 번째 정식인 ‘목적 자체’의 정식을 통해 설명한다.모든 인간은 이성을 가졌기 때문에 스스로 자기 행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자율적 존재이다. 인간은 스스로 자기 행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자기의 행위에 책임을 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인간은 어떤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내부에 도덕의 기준과 도덕적 존재로서의 소질을 지닌다. 이성적·자율적·도덕적 존재로서 인간은 최상의 가치인 존엄성을 지닌다. 인간은 사물에 가치를 부여하는, 사물의 가치에 대한 궁극적인 원천으로, 무조건적 가치를 갖는 존재이다. 이러한 이성적 존재가 인격이고, 인간성은 이성적 의지를 소유한 인간의 본질적 특성이다. 그래서 인격 안의 인간성은 목적 그 자체이다. 최상의 가치를 지니는 인간은 다른 가치 아래에 놓일 수 없으며, 최상의 목적인 목적 그 자체이다.이는 나뿐 아닌 모든 이성적 존재자 일반에게 적용되며 따라서 인격은 단순한 주관적인 목적이 아니라 객관적인 목적이다. 또한 수단은 경향성과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 인간을 수단으로 삼는 것은 경향성의 만족을 위해서, 혹은 그에 기초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도구로만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목적 자체의 정식은 이성적 존재자 일반을 경향성의 충족을 위한 수단으로 삼지 말 것을 명령한다. 인간은 자신을 비롯한 모든 인간을 언제나 상대적 목적인 수단으로만 대해서는 안 되며, 나아가 언제나 목적 자체인 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 인간을 목적 자체로 대한다는 것은 그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으로, 모든 인간의 자율적 의지 결정을 존중하고, 그의 행위를 방해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장려하는 것이다.그러나 목적 자체의 정식이 현실적인 이용 관계, 임의적 목적을 위해 자신을 비롯한 타인과 맺는 관계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절대적 목적인 인간이 자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조건들을 촉진하는 한에서, 자신과 관계하는 다른 행위자와 공통된 목적을 공유하며 행위할 때, 인간은 절대적 존재자로서 타자와의 접점을 갖는다. 절대적 존재자들의 자율적 행위가 자신과, 자신과 관계한 타인의 임의적 목적의 성취를 돕는 것이다.

      • KCI등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오승민(Seung Min Oh),김평만(Pyung Man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6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필수적이고 통상적인 치료 행위를 거부하는 경우, 그리고 그 결과로 죽음이 예상되어 있는 상황에서 환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은 어디까지 존중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수혈을 하지 못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는 상황은 단순하게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 시대적인 흐름이기 때문에 이 환자의 결정대로 의료진은 선행의 원칙을 버리고서 무력하게 따라가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한 인간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그가 갖고 있는 종교적 신념과 가치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존에 앞서서 위치 시킨다는 의미이며 종교적 자유와 신념을 보장해 주는 것은 인간 존엄성과 가치를 지키기 위한 행동임을 선포하는 것이다. 선행의 원칙보다 환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을 우선시하는 것에는 종교적 자유와 신념과 같은 인간 존엄성과 가치를 더 존중하는 것이라는 분명하고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 현장에서 선행의 원칙 적용은 환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낫게 하는 것에만, 그래서 생존하게 하는 것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환자를 온전한 한 인간으로 바라보고 인간으로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이유를 제시해주는 방향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단순하게 자율성 존중 원칙이 적용된 것이 아니라 광의의 선행 원칙이 적용된 사례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의학이 존재하는 이유는 환자의 고통에 응답하여 돕고자 하는 의무를 실천하는 선행에 있다는 사실은 어느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다. Controversy has abounded regarding respect for patients’ autonomy when death is expected, specifically as it relates to their refusal of essential and standard treatments on the grounds of religious beliefs. If a patient refuses a blood transfusion and subsequently die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medical staff have abandoned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rather, they have respected the autonomy of the patient and prioritized his/her religious beliefs and values. The guarantee of religious freedom and beliefs preserves human dignity and value. Therefore, there must be clear grounds for prioritizing respect for patients’ autonomy over beneficence. Beneficence in the medical field is not merely interested in treating disease and survival; it should be interpreted as viewing the patient as a human being who has convictions and reasons for leading a certain life. This is a broadened application of beneficence rather than merely respect for autonomy. The existence and purpose of medicine lie in doing good and responding to the suffering of the patient, which does not change under any circumstances.

      • KCI등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종교적 이유로 인한 수혈 거부를 중심으로 ―

        오승민,김평만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6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필수적이고 통상적인 치료 행위를 거부하는 경우, 그리고 그 결과로 죽음이 예상되어 있는 상황에서 환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은 어디까지 존중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수혈을 하지 못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는 상황은 단순하게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것이 시대적인 흐름이기 때문에 이 환자의 결정대로 의료진은 선행의 원칙을 버리고서 무력하게 따라가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한 인간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그가 갖고 있는 종교적 신념과 가치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존에 앞서서 위치시킨다는 의미이며 종교적 자유와 신념을 보장해 주는 것은 인간 존엄성과 가치를 지키기 위한 행동임을 선포하는 것이다. 선행의 원칙보다 환자의 자율성 존중 원칙을 우선시하는 것에는 종교적 자유와 신념과 같은 인간 존엄성과 가치를 더 존중하는 것이라는 분명하고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 현장에서 선행의 원칙 적용은 환자가 겪고 있는 질병을 낫게 하는 것에만, 그래서 생존하게 하는 것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환자를 온전한 한 인간으로 바라보고 인간으로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이유를 제시해주는 방향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단순하게 자율성 존중 원칙이 적용된 것이 아니라 광의의 선행 원칙이 적용된 사례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의학이 존재하는 이유는 환자의 고통에 응답하여 돕고자 하는 의무를 실천하는 선행에 있다는 사실은 어느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다. There has been much controversy o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patients' autonomy when death is expected by refusing essential and standard treatment on the ground of religious beliefs. The situation that the patient cannot be transfused and eventually leads to death is not that medical staff abandons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and follows the patient's decision forcefully because respecting the autonomy of the patient is a current trend. This means that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his religious beliefs and values ​​in the definition of a human being prior to survival. To guarantee religious freedom and belief is to proclaim human dignity and action to preserve value. There must be clear grounds to prioritize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patients' autonomy rather than to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to respect human dignity and value, such as religious freedom and belief.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in the medical field is not merely interested in treating the disease, and thus surviving.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patient as a whole human-being and suggesting fundamental and essential reasons for leading the life. This can be called an example of the broadene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rather than merely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The fact that reason for the existence of medicine lies in doing good in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help in response to the suffering of the patient does not change under any circumstances.

      • 칸트철학에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관점

        정태일 ( Tae Il Chung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서석사회과학논총 Vol.3 No.2

        본 연구는 인간성의 상실로 말미암아 인간 존엄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시대에 살고 우리에게 인간존엄성을 강조한 칸트 철학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칸트철학에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논의는 인간 존엄성에 바탕을 둔 보편적 평등주의와 자유권적 인권까지 전개된다. 칸트철학에서 인간성은 목적 자체로 존엄성을 가지는 동시에 스스로 목적을 설정하는 능력으로 도덕성, 이성, 자율성 등이 상호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칸트철학에서 인간은 이성을 통하여 자신을 대상화 하며, 자율성은 타인에 의해 자유가 침해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도덕성은 인간만이 가진 특성으로 책임에 대한 이행이 요구된다. 이러한 칸트철학에서 인간성은 보편적 평등주의와 자유권적 인권을 강조한다. 칸트에 있어 자유는 자연권으로 인간의 선험적인 평등성에 기초하고 있는 내재적 성격과 실천적 성격으로 보편법칙의 범위 안에서 이념적 원리로 법적 제도를 주장하였다. Discussion about human dignity need in kant`s philosophy in circumstance that human dignity is considered importantly by loss and alienation of humanity. The humanity in kant`s philosophy consists of autonomy, morality, reason. First, reason can be understood a quality of objectifying and a quality of self-consciousness. Second, autonomy means that freedom is not infringed by another person. Third, morality is the capability to act in good will according to a universal principle. Humanity emphasizes human rights that is based in personal liberty and universal equalitarianism in kant`s philosophy. Freedom is based on a priori empirical equity of human and emphasizes legal system inside extent of universality rule in kant`s philosophy.

      • KCI등재

        수치심과 인간다움의 이해 -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중심으로

        신은화 ( Shin Eun-hwa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8

        수치심은 우리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슬픔의 감정이기도 하지만, 그 부족함을 반성하고 고치도록 우리 자신을 이끄는 감정일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수치심의 이러한 양가성을 흥미롭게 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맹자와 누스바움의 수치심 개념을 적극 참조하고자 한다. 누스바움에 따르면, 수치심은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정상과 비정상의 이분법에 따라 사회의 특정한 사람들을 낙인찍는 데 활용되는 감정이다. 따라서 수치심은 매우 비합리적이고 신뢰하기 어려운 감정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누스바움에 따르면, 인간이 수치심을 느낀다는 것은 곧 자신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신처럼 완전해지기를 바라는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이와 달리 맹자는 수치심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밖에 없는 심성으로서 타인의 고통을 차마 지켜보기 힘들어하는 감정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인간은 수치심을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하고 인간의 도리를 성실하게 지키고자 노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치심은 인간성을 반영하는 감정이자 동시에 인간다움을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추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감정이다. 누스바움과 맹자가 수치심에 대해 매우 다른 의견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누스바움이 지적한 ‘생산적인 수치심’은 맹자의 수치심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 점에서 양쪽의 소통가능성이 발견될 수 있다. 누스바움은 생산적인 수치심이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기 위해 도덕적인 가치를 지향함으로써 나르시시즘적 경향성을 차단하고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해 겸허하게 인정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필자는 맹자의 수치심 개념이 누스바움의 이러한 전제와 결코 충동하지 않으며, 바로 그점에서 두 철학자의 견해가 양립할 수 있는 공통지대가 발견된다고 본다. 우리는 먼저 누스바움과 맹자의 수치심 개념을 살펴본 후 양자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볼 것이다. 그런 후에 두 철학자가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점을 살펴보면서 그들 견해의 접목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수치심을 이해하는 것이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간다움을 향한 우리의 내적 성장을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Shame is an emotion of sorrow for our own shortcomings, but it may be also an emotion that awakens ourselves to reflect on our mistakes. This article considers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shame to be an interesting theme and refers to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According to Nussbaum, shame is an emotion that is used to brand a certain group of people in a society to overcome anxiety about human imperfection. This kind of stigma is based on a dichotomy that arbitrarily determines normal and abnormal. Therefore, Nussbaum thinks that shame is very irrational and difficult to trust. She explains that shame reflects a human desire to become perfect like God without accepting imperfectness. Mencius, on the other hand, regards shame as an emotion that is one of four clues to four virtues. According to Mencius’s concept, shame is helpful for us to reflect on ourselves and to develop personality in harmony with human natur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in Mencius that sham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in the growth of humanity. Although Nussbaum and Mencius have very different opinions about shame, this article considers that Nussbaum’s concept of ‘productive shame’ is not much different from Mencius’s concept of shame, and at this point there may be found a compatibility between them. Nussbaum emphasizes a necessity for overcoming narcissistic tendencies by orienting moral values and an attitude of humbly acknowledging human imperfection so that productive shame could be positively realized. We may agree that Mencius’s concept of shame is not in an opposition to these conditions of Nussbaum, and this may be regarded as a common point of two different views. In this article, we will deal with Nussbaum’s and Mencius’ concept of shame, and subsequently compare them and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n, we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ir views by analyzing what the two philosophers have in common. In conclusion, we may see that the understanding of shame can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be helpful for our inner growth toward humanity.

      • KCI등재

        교육의 자율성에 대한 교육철학적 접근

        김철 ( Cheol Kim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현 정부는 "자율과 경쟁"의 기치아래 교육을 개혁함에 그 이념으로써 교육의 자율성, 교육의 수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중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담론은 어제 오늘의 논쟁거리가 아닌 만큼 전혀 낯설거나 어렵지 않게 느껴진다. 더욱이 지방분권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교육의 자치적 운영이 화두로 떠올랐고, 교육적 상황 속에서 자율성의 보장만이 21세기의 다원화된 사회에 걸맞은 교육의 효율성을 창출해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교육 행정가들은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를 "교육에 관한 일을 그 일을 맡은 사람들이 남에 의존하지 않고 또 남의 간섭과 지배를 받는 일이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일의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자율성은 단지 교육에 관한 행정적 효율성을 위한 외부의 간섭을 배제한 자율적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육적 상황의 전제로서 교육 자율성 의미가 파악되어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교육적 행위 속에 더욱 강조되고 있는 교육 자율성의 의미에 대한 한계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교육사상가인 Herman Nohl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의 자율성은 교육학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영역임을 증명해주는 필수 불가결한 전제 조건으로서 아동이나 학습자의 권리가 외부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성인의 힘으로부터 보호되어져야함을 의미한다. Currently, the educational policy has pursued both the autonomy and the excellency in educational reform. In particular, the term of "the autonomy in education" means that it is free from government control only for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autonomy of education underscores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training of human being with the free will. A discussion on the autonomy of education has always appeared in general educational phenomenon. Now, it is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autonomy in education only means the excellenc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policy impli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approach of the educational idea, "the autonomy of education" in Lee`s government. Specifically, I seeked to examine `the autonomy of education` in the current educational reform through the Herman Nohl`s theory of education in order to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inciples and situations. Nohl highlights that the autonomy of education is the core of education. Furthermore, the autonomy i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educational history itself, especially in the thoughts of education. He stressed the autonom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rights of children and learners. In other words, the autonomy in education may be accomplished when it should be protected from institutional enforcement and social control. In conclusion, it may be noted that the autonomy of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undamental rights of children as well as learners who is not subject to control from outside.

      • KCI등재

        도덕적 인간상으로서 정(情)있는 인간 탐구

        고미숙 ( Mi Suk K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2

        정(情)은 한국인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심성이며, 한국인이 추구해 온 이상적인 가치이기도 하다. 예로부터 정이 없으면 인간답지 못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정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막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정의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정의 장점은 퇴색되었다. 우리는 정의 소중함을 되살려서 삭막해진 인간관계와 사회를 바꿀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의 개념을 분석하여, 도덕적 인간상으로서 정있는 인간이 가능한 것인지를 탐구하였다. 정은 대상과의 지속적인 접촉과 경험을 통해서 생겨나는 서로를 아껴주는 마음과 애착의 감정이다. 이러한 정은 도덕적 행위의 동기로서의 역할을 하며, 공감, 동정, 배려, 연민 등 도덕적 정서들과 관련된다. 도덕적 인간상으로서 정있는 인간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인간이라기보다는 관계적이며 과정적이며 체현된 인간이고, 관계적 앎과 우리 의식에 근거한다. 또한 정있는 인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불공정성과 비합리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리(情理)의 회복을 제시하였다. Cheong is the major Shim-Sung and the ideal value of Korean people. We do not accept that someone is humane without Cheong. But at present times, people say that Cheong is an obstacle of impartial and rational judgment. The problems of Cheong are emphasized but merits of Cheong are missed. We should recover the importance of Cheong and change the desolated human relation and societ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oncept of Cheong and the possibility of human being with Cheong as the ideal of moral person. Cheong is the feelings of attachments and loving heart forming through the continuous contacts and experiences with other subject. Cheong has a role as the motivation of moral behavior and is related to moral emotions like sympathy, compassion, pity, and caring. Human being with Cheong is the relational, processing, and embodied human being rather than the independent and autonomous human being. The person is based on the connected knowing and we-ness. Also I proposed the recovery of Cheong-Li to overcome the problems of partiality and irra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