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학전문직업성의 변화와 여성의사 : 역사적인 관점의 연구

        김신권(Shin Kwon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최근 의학전문직업성이 의학 교육과 임상적인 실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공적인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이 현실이며 이와 더불어 여성 의사들의 역사적인 정체성과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은 의학전문직업성에 대한 역사적인 논의를 통하여 근대 유럽과 미국의 남성 주도의 의학 영역에서 여성의 의사 되기와 여성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해 살펴보는 동시에 이것이 어떻게 한국이라는 상황 속에서 새롭게 구현되었는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의학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역사적인 이해, 의학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과 여성들의 의학전문직업성, 한국적인 상황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을 포함한다. 여성 의사들의 의학전문직업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의학에 대한 전인적인 접근, 예방의학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환자-의사의 평등한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영미권의 여성 의학전문직업성에 더해서 한국 초기의 상황의 여성 의사들은 주체적인 의학 지식과 술기, 그리고 직접적인 소통을 통한 전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하였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It is evident that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education and practice of medicine. However, it is also clear that the public consensus o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 identity of women doctors, which is related to the concept has not been fully made. Therefore, the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how women have challenged to the male-dominated realm of medicine to gain their own medical professionalism. 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larify how that the medical professionalism in Euro-America influenced the process of making women doctors in Korea. This paper illustrates the concepts of and historical changes i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role of women in medicine and their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American and Korean contexts. In addition to the holistic approaches to medical practices, emphasis on the preventive medicine, and eqaul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 and patient, it can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mong early Korean female missionary physicians that they pursued healing of body and soul as a whole on the basis of their medical knowledge, techniques,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patients.

      • KCI등재

        의학교육에서 덕윤리적 전문직업성 적용과 그 함의

        김정아,이화영,김수정 한국의료윤리학회 201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2 No.2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edical professionalism has been recognized for medical educators in Korea for several decades. However, the lack of a shared understand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hinders its adoption and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article introduces three mainstream understanding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tegrates a virtue-based and identity formation understanding into one virtue ethics understanding, and analyzes the concept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basic medical education of the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KAMC). In particular, we borrow the notion of “practice” and the three necessary virtues for all practices from MacIntyre’s virtue theory and then apply those concepts to the medical professionalism in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basic medical education of KAMC. We find that KAMC documents adopt an outcome-based approach that needs more elaboration in terms of virtue ethics in order to presen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edical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we propose three necessary virtues for medical professionalism and argue for their utilization in medical education as an effective means to bridge the learning outcomes and objectives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in KAMC documents.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와 의학교육에의 적용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해당 개념이 갖는 모호성과 분파성 때문에 실제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에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세 갈래의 담론을 분석하고, 이 중 덕 기반 전문직업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형성을 통합하여 덕윤리적 전문직업성의 개념과 이론을 제시한다. 한편, 현재 한국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협회(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KAMC)「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사람과 사회」 중 8. 전문직업성 영역이 존재한다는 점은 의학교육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저자들은 이 문헌이 의학교육 및 의료윤리교육에 갖는 영향력에 주목하여 명료하면서도 포괄적인 의학 전문직업성 교육을 위한 한 방편으로서 해당 의학교육표준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먼저 KAMC 8. 전문직업성 영역이 행동 기반 전문직업성 접근에 치중한 한계를 드러내고, 덕윤리적 전문직업성에 비추어 보완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보완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최종학습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실행학습목표에 덧붙여 교육될수 있는 덕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매킨타이어가 모든 실무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시한 세 가지 덕목, 즉, 정의, 용기, 정직을 예시로 들어 KAMC 각각의 실행학습목표와 어떻게 조응하는지 제시한다. 실제 교육방법의 적용으로는 지금까지 강조되어온 숨은 교육과정만이 아니라 교실에서의 명시적교육과정에서 덕목을 구체화하고 이야기를 통해 제시하는 것이 어떤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분석한다.

      • KCI등재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최숙희(Choi, Sook H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1

        현대의 의사들은 급속한 생명과학과 생의학의 발달, 상업화와 의료경영의 효율성 중시 등으로 생긴 윤리적인 문제점들에 직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보험 제도의 문제 및 의사에 대한 사회의 불신으로 위축되고 있다. 이 같은 복잡계로서의 사회적 맥락 아래서 의사들이 의학 전문직업성의 핵심 가치인 이타심, 봉사정신, 자율성 및 전문직 우위 같은 전통적인 덕목들을 지켜나가는 것이 힘들어지고 있다. 현대의 의학 전문직업성은 치료자와 전문직이라는 야누스적 면을 가지고 있지만 사실 그 뿌리는 덕 윤리이다.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목들을 살펴보면 이타심, 연민, 숙련됨, 책임감, 의무감, 공손함, 책무 및 인격적 통합성 등이 있다. 결국 덕이 있는 의사들의 성향이 이와 같은 요소를 지니고 있기에 의학 전문직업성이 덕에서 기원했음을 알 수 있다. 의료 행위의 본질인 의학 전문직업성에 내포된 덕(Virtue)은 그리스어로 아레테(Arete)인 탁월함, 완전함, 우수함, 훌륭함 및 뛰어남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이 이성과 사유의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해서 습관화시킨 것을 덕이라 불렀듯이 개별의사의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목들도 의사들이 꾸준히 노력한다면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현대는 의료제도가 사회와의 계약으로 존재하므로 미시적인 개별 의사의 의학 전문직업성은 거시적인 사회적 덕에 종속 될 수 밖 에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의사들은 자신의 덕을 함양시킴과 더불어서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를 발휘해서 사회와 정치 제도의 발전과 개혁에도 눈을 돌려야한다. Doctors living in modern society have to not only face ethical dilemmas arising from biomedicine and life science but also often deal with the flawed medical insurance system. In such social context of complexity, doctors struggle to maintain traditional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such as altruism, service, autonomy and professional priority. Even though medical professionalism mainly focuses on two different aspects of doctors, as healers and professionals, it is essentially rooted in virtue ethics. Some of the most crucial elements of medical professionalism are altruism, compassion, competence, excellence, responsibility and integrity.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are driven by one's virtue; it has been known that virtuous doctors posses such qualities as well. The word virtue stems from the word Arete in Greek, which means excellence, perfectness, outstanding, superiority and nobility. As Aristotle stated that virtues can be expressed by habitual patterns of behavior, the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can also be improved and sustained with practice. In today's society where medical system is bound by societal contract, the virtue of individual doctors is subordinate and interconnected to the virtue of society. Therefore, doctors must not only improve their own virtue but also strive to realize the virtue of society by utilizing their practical wisdom.

      • KCI등재

        기본의학교육 내에서의 토론을 통한 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타당성: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 의학전문직업성 척도의 활용을 통한 검토

        황혜영,김정아 한국의료윤리학회 2023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6 No.1

        This article reports on a study that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using debat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ethics courses within medical education programs. The design and execution of an ethics course for second-year students at one medical college are described in detail.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ology is evaluated by measur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problem-solving skill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efore and after the course. Debates, paired with exploratory group discussions and lecture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were provided as modules. Reflection and thinking were promoted through post-debate activities, avoiding overheated compet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tudents’ preand post-cour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Moreover,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fter the course between both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problem-solving skills as well as between thei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medical professionalism. Students' age and problem-solving skills were also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pre- and post-cour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that use debate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ave a positive effect on medical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and professionalism. 기본의학교육 내에서 윤리교육 프로그램과 토론이라는 교수학습 방법의 수용은 널리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별 학교에서 정당화해야 하는 상황과 교수학습 방법의 타당 성을 의학교육의 현실 속에서 증명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본의학교육 내의 윤리 교육 프로그램에서 토론이라는 교수학습 방법론이 얼마나 타당한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의예과 2학년 학생들에게 실제로 제공된 수업의 설계와 실행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 의학전문직업성 척도를 활용하여 수업 전후 학생들의 성향 및 역량을 측정함으로써 수업 의 효과를 평가한다. 이를 위해 토론과 이에 쌍을 이루는 탐색적 조별 토의, 이 과정을 지원하는 강의를 한 학기 동안 모듈 형식으로 제공하였으며, 토론 후 활동을 통해 과열된 경쟁이 아닌 성찰과 사고를 촉 진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수업 전후 비판적 사고 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업 후 비판적 사고 성향과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과 의학전문직업성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업 전에는 나이가, 수업 후에는 문제해결능력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토론을 활용한 본 수업의 효과가 향후 문제해결능력과 의학전문직업성 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덕 윤리와 의학전문직업성의 관련성

        김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1 생명윤리정책연구 Vol.5 No.2

        The goal of medical education depends on the end of the medicine. The end of medicine is to found in the process in which medical doctors seek for their identity. On the one hand, medical community accepts what their society asks for them and acts as one in order to protect its interest. One the other hand, it punishes those who violates moral code and insult the status of doctor in order to keep its integr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irtue ethics. First, it finds mo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expected from medical profession. Second, it discusses on the purpose of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irtue ethics. In order to discuss on virtues of medical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know its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activity. Virtues helps the medical profession to realize and accomplish its end whereas vices deter the realization of it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professionalism and virtue is defined through three characteristics. First, virtue ethics emphasizes the process in the moral agent interprets moral principles, choose the primary values, and makes good judgments. Second,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overlooks the possibility of extraordinarily good actions. But, altruism and compassion toward the sick is somewhat built in medical profession. Virtue ethics is proper to explain mor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profession. Third, virtue ethics promotes moral sensitivity and helps to built moral habits among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Good doctors who built moral characteristics easily identify what is morally good action and what is not.

      • KCI등재

        북미 의학교육 사례가 한의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홍지성,강연석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2

        Over the past 10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medical education system in the early 1900s, the results of extensive field research and practice in North American medical schools and professional education have led the flow of medical education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over the past 100 years were examined through major literature review, leading to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Korean medicine education. The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published by the Carnegie Educational Foundation in 1910, which is considere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 health care education, was reviewed. Next, 「Educating physician: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 published in 2010, which is known to have proposed a future-oriented goal for the training of medical professional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biomedical knowledge which is the basis of clinical competence, is a basic competency that should be provided to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2) Beyond education to cultivate clinical competence of individuals directly affecting the medical treatment, various professionalism education programs that capture the specificity of Korean Medicine doctors should be established and strengthened. 현대 의학교육 체계가 확립된 1900년대 초반 이후 지난 100여 년간 북미 의과대학 및 전문의료인 교육에 대한 광범위한 현장연구와 실행의 결과는 북미지역을 포함한 전 세계 의학교육의 흐름을 주도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문헌 분석을 통해 지난 100여 년간 북미 의학교육의 발전방향을 고찰하여 한의학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대의 보건의료인 교육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받는 1910년 카네기교육진흥재단에서 발간한「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와 그로부터 100년 후 전문의료인 양성을 위한 미래지향적 목표를 제안한 「Educating physician: A Call for Reform of Medical School and Residency」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1)임상역량의 기초가 되는 의생명과학 지식의 습득과 활용은 전문 의료인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기초역량이며 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2)진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임상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넘어, 한의사 직군의 특수성을 담아낼 수 있는 전문직업성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시대에서 의료전문직으로서의 품위 유지

        김정아,반유화 한국의료윤리학회 2018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1 No.4

        Although the use of social media by doctors raises important issues concerning medical professionalism, the relevant professional bodies in South Korea have failed to issue clear guidelines on social media usage.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s newly revised ethics guidelines do require members to maintain dignity while using social media, but the idea of “maintaining dignity” is far from clear, and its premodern con- notation prevents it from being reliably used in professional codes of conduct. The authors of this article examine the concept of maintaining dignity and conclude that once it is clarified and redefined it can and should be used as a viable ethical standard in a variety of contexts, including the use of social media. Social media’s unpredictability and uncontrollability, and the blurred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public and personal/private can be a threat to medical professionalism. In order to deal with this threat, the concept of dignity is important. We present three examples in which the dignity of medical professionals is under- mined and explain why these jeopardize public trust. We conclude that in order to maintain public trust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should provide more detailed guidelines on the use of social media by itsmembers. 의사들의 소셜미디어의 활용은 의학전문직업성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전문직 단체에서는 이에 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아직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관련된 규정으로 새로 개정된대한의사협회 의사윤리지침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할 때 품위를 유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전부이다. ‘품위 유지’라는 개념은 전문직의 의무로서 제시되어 왔지만, 이 개념이 갖는 모호함이나 전근대적 어감 등이 품위 유지의 의무가 전문직의 자율 규제의 규준으로서 쓰이는 데에 장애물이 되어 왔다. 저자들은 의료전문직의 품위 유지 개념을 검토하고 만일 이 개념을 명료하고 정당화 가능하게 재정의할 경우, 이 개념은 소셜미디어와 같은 여러 맥락에서 작동가능한 규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소셜미디어의 예측불가성과 통제 불가능한 영향력, 공적, 직업적 영역과 사적, 개인적 영역의 구분이 모호해진다는 특성은 의학전문직업성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문직의 품위가 손상될수 있는 세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왜 이러한 행위들이 공공의 신뢰를 저하시고 전문직의 품위를 손상하게 되는지 논증한다. 저자들은 공공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대한의사협회가 소셜미디어 활용에 관한보다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결론 내린다.

      • KCI등재후보

        의학전문직업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의학드라마 속의 의사상

        강석훈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3 No.1

        Background: TV dramas can affect the identity of a person or group that the public perceives by presenting virtualized characters and events. The image of a doctor in the medical drama can influence the identity of a contemporary physician group. The authors analyze several medical dramas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ry to contribute to the enlightment of the image of the doctor. Method: Among the medical dramas that have been broadcast since medical professions began to appear, 5 drama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uthor reviewed them by four major areas of medical professionalism: contribution to society, compliance with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professional autonomy, and recognition from society and scored an upper-middle-lower grade. Results: ‘Contribution to society’ and ‘recognition from society’ were well-founded in all dramas, except ‘Doctor Stranger’. In the case of ‘compliance with the four principles of medical ethics’, ‘Golden Time’ and ‘Romantic doctors Kim’ most frequently violated it. The ‘medical ethics principle’ was frequently infringed on ‘Doctor Strangers’, In the case of ‘Doctors’, the violation of the ethics principle was reduced as the conflict between the drama characters were emphasized. ‘Professional autonomy’ is best demonstrated by stubborn doctors appearing in ‘Golden Time’ and ‘Romantic Doctors Ki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riticize the doctors image in the current drama from the view point of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to continue to teach the drama writer about medical professionalism.

      • KCI등재

        의학전문직업성과 자율규제 관점에서 살펴본 외국 의사면허 관리제도의 동향과 시사점

        이평수,김민경,이얼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4

        A series of recent medical scandals in South Korea has led to calls for stricter regulation of medical licensing in this country.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revised its regulations, disagreements remain among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article explores the regulatory systems in Japan, the USA, the UK, and Canada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principles for self-regulation based o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Japanese Medical Association has been working to improve its certificate system for specialists since 2011. The USA, the UK, and Canada have independent regulatory bodies to protect patients and improve medical professionalism and practice. This article explains how the licensing system for Korean physicians should be regulated. 최근 일회용주사기 재사용으로 C형간염 집단감염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한국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 다. 이번 사건이 지금까지 발생한 사건과 달리 파장이 컸던 까닭은 도박이나 음주운전과 같은 개인의 사 적 영역에서 벌어진 도덕적 일탈행위가 아니라, 질병으로 인해 의사로서 진료행위 수행능력 상실, 보수 교육 대리출석, 무분별한 의료행위 위임 등의 정황이 알려지면서 면허관리제도의 허점이 드러났다는 데에 있다. 사건발생 직후 정부는 면허관리제도 개선안을 발표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으나, 추진방향과 진행방식은 여전히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율규제를 통해 의사로서 의학전문직업성 을 유지하고 발전시켜가고 있는 외국의 면허관리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대안을 모 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의료제도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일본과 미국, 그리고 모범적인 면허관 리 사례로 자주 인용되는 영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이들 국가의 의사 면허 취득과정과 면허유지를 위 한 조건, 면허관리기구의 특성과 운영현황을 살펴보았다. 외국의 경우도 의사의 의료행위에 문제가 발 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면허관리제도가 발전하였다. 외국의 면허관리 동향은 정부의 개입은 줄이면서 의사의 전문성에 의한 자율규제를 확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도 장기적으로는 의사의 전문성에 의한 자율규제 방안을 추구하되, 관련 당사자들의 인식 변화와 제도마 련 등을 감안한 점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의과대학과 대학병원에서의 의학전문직업성의 의미

        권복규 대한의사협회 2011 대한의사협회지 Vol.54 No.11

        The medical professionalism for faculty members of medical schools has some different implication from other medical professions. They have to work as educator, researcher, and manager as well as clinician. The professionalism of each duties has its own uniqueness, which sometimes causes a conflict between them. Therefore, the faculty members of medical schools have to harmonize their different tasks and duties each other, looking afte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profession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