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정연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 차원에서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시도로서 대학 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8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에 재학중이며 신입생 기초필수 교과목 수강자 중 자발적 참여자 226명을 대상으로 의사 소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디지털 시민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차이검증, 상관분석,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라 디지털 시민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주목할만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모든 하위요인은 디지털 시 민성의 인지영역, 정의영역, 행동영역과 모두 정적이며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시민성 인지영역의 52%를 의사소통능력의 주도적 의사소 통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객관성이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영 역의 55%는 의사소통능력의 타인관점이해, 주도적 의사소통, 고정관념적 사고 극복 그 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지적공정성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시민성 행동영역의 51%는 의사소통능력의 주도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 그리고 비판적 사 고 성향의 객관성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 기 위해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교양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강조되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digit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as an attempt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s in digital citizenship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no remarkably huge differences. Second, all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Third, 52% of the cognitive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was explained by leading communi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objectiv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le 55% of the affective domain was explained by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 leading communication, and overcoming of stereotypical thinking of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llectual fairnes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lso, 51% of the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was explained by leading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skills, and objectiv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oviding implications about how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uld be emphasized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외국인의사의 국내 원격의료 허가 제도 연구 - 제주특별법과 미국 원격의료의사면허 규정을 중심으로 -

        최용전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1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Jejudo”) has made many efforts in establishing foreign hospitals, selecting the medical tourism as one of the policies for economy revi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ourism city.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are attempts to establish the hospitals of PIM-MD (Philadelphia International Medicine Management & Development, LLC), the Shaner Hospital & Health Care Center (China Stem Cell Health Group) and Greenland Group (Chinese: 绿地集团). In these Cases,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 and The Development of Free International C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t”) was a big part. The Act provides some special cases concerning establishing foreign medical institutions, accepting the practice by license holders as a foreign medical doctor. Furthermore, the Act provides the special case concerning permitting the telemedicine of foreign doctors together. Therefore, by 2017, it is expected that foreign doctors will be able to work in foreign hospitals in the island for remote medical care and, thus, the legal procedures to allow them to nationally practice a telemedicine are needed to be closely reviewed. In this context, by focusing on similarities of permission for foreign doctors’ telemedicine in the country and mutual permission for interstates’ tele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elemedicine system under the current Korean 「Medical Service Act」, reviews the statute of Act, municipal ordinance of Jejudo related with telemedicine system and foreign doctors’ telemedicine and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Code of Alabama 1975 Title 34 Chapter 24 Article 10’ about ‘Interstate Medical Licensure Compact’ of FSMB. In lieu of conclusion, the implications is derived from them. 제주도는 경제활성화와 관광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정책의 하나로 의료관광을 선택하며, 외국병원설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PIM-MD, 싼얼병원 그리고 녹지병원 등의 국제병원 설립시도이며, 여기에는 제주특별법이 큰 역할을 하였다. 제주특별법은 외국의료기관개설에 관한 특례 뿐 아니라 외국의사면허소지자의 제주도내 외국병원에 종사할 수 있는 인정제도에 관한 특례를 두고 있으며, 나아가 외국인의사의 원격의료에 관한 특례도 함께 두고 있다. 따라서 2017년 쯤이면, 외국인의사가 제주도의 외국병원에 취업하여 원격의료행위를 할 것이 예상되므로, 외국인의사가 국내에서 원격의료행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법적 절차를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은 외국인의사의 원격의료허용이 미국의 각 주간(州間)의 상호 원격의료허용여부와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우리나라 현행 의료법상의 원격의료제도를 소개하며, 제주특별법상의 원격의료와 외국인의사의 원격의료 허용 관련 법규정과 제주도조례를 검토하고, 미국의 주간 원격의료를 시행할 수 있는 의사면허제도에 대하여 일별한 후, 이로부터 시사점을 도출하면서 맺음말에 갈음하였다.

      • KCI등재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와 고기능자폐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차이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사회적의사소통장애란 구어적·비구어적 수단을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자폐와는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한국의 사회적의사소통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들을 고기능자폐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 고기능자폐, 일반 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언어문제해결력검사, 교실환경을 구조화 한 상황에서 행동관찰, 마음이해 과제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문제해결력검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셋째, 교실환경을 구조화한 환경에서 행동관찰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SCDSCD, TD)·독단적(HFA>TD) 개시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 반응하기 측면에서는 친사회적(TD>SCD, HFA)·소극적(SCD>HFA, TD)·이탈적(HFA>SCD, TD)·독단적(HFA>SCD, TD) 반응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음이해 점수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HFA<SCD, TD).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와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의 차이를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현장에서 평가 및 중재 방향에 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certain the profiles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ol-aged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SCD) an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forty-five school-aged children with SCD, HFA, and TD. This present study used the Korean Test of Problem Solving, which is a behavior observation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small group classroom setting, as well as the test of theory of mind (ToM).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on the Korean Test of Problem Solving. Second, in the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classroom set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SCDSCD, TD), and assertive (HFA>TD) behavior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responsive among groups; prosocial (TD>SCD, HFA), passive (SCD>HFA, TD), irrelevant (HFA>SCD, TD), and assertive (HFA>SCD, TD) behaviors. Finall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eory of mind among groups (HFA<SCD, TD).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ildren with SCD showed similar communicative behaviors in initiations with TD children except prosocial behaviors. Interestingly enough the children with SCD seem to be very passive in responsivenes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guide the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CD. The findings of this paper wil lsupport the guideline of the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지휘관 의사결정시 인지적 편향의 감소와 휴리스틱의 활용

        임현명,강용관,노명화 육군군사연구소 2016 군사연구 Vol.- No.142

        Military commander’s decision making has been considered as a key element of deciding the destiny of nations. To help the right decision making of commanders,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which are classified into scientific approach and artistic approach. However, the two approaches are much limited in helping commanders to carry out the right decisions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 human cognitive limitation and they provoke fantasy about the commander's ability. Several researches on human cognitive biases and heuristics in cognitive psychology illuminate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limitations of human decision making, which had been ignored in traditional studies, and suggested mechanism to make efficient decisions in bounded rationality. To find out the substitutes for the limited traditional approaches about military commander’s decision mak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matters. First, it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scientific approach and the artistic approach. Second, it illustrates human cognitive bias and suggests possibilities of manifestation of human cognitive bias in a commander's decision making. Third, it suggests two representative heuristic skills and reviews their usefulness. This study will not only suggest profound understanding and insight of military commanders' decision making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alternative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ir decision making. 군 지휘관의 의사결정은 전투의 승패는 물론 부대원들의 생명을 결정하고,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지휘관의 올바른 의사결정을 담보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는데 이는 크게 과학(science)적 접근과 술(art)적 접근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접근을 기초로 한 지휘관 의사결정에 대한 논의는 인간 인지능력의 한계를 간과하고 비범한 지휘관에 대한 환상을 유발함으로써 올바른 의사결정을 제한하는 맹점이 있다. 의사결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확인된 인간의 인지적 편향과 휴리스틱은 기존의 전통적 논의들이 간과한 의사결정의 내재적 한계와 외재적 제약을 조명하고 제한된 합리성 안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지휘관 의사결정에 관한 전통적 접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써 인지적 편향과 휴리스틱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갖는다. 첫째, 지휘관 의사결정에 대한 전통적 관점인 과학적 접근과 술적 접근을 정리하고 각각이 가진 한계를 제시하였다. 둘째, 인간이 가진 인지적 편향을 설명하고 지휘관 의사결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인지적 편향과 이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의사결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두 가지 대표적인 휴리스틱을 기술하고 각각이 가진 효용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지휘관 의사결정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통찰을 제시할 뿐 아니라 지휘관들의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을 발전시키는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원효의 화쟁회통 담론범례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윤리교육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며, 오늘날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관건이 되고 있다. 매체기술의 발전이 미약한 과거에는 의사소통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근대이후 과학기술의 발달로 시공의 제약을 극복하고 언제 어디서나 매체에의 접근이 가능해짐으로 의사소통이 보다 다양하게 되었다. 이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있는 타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여론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윤리교육에서도 청자와 화자의 상통, 주관과 객관의 상화를 통하여 차이를 아우르는 의사소통 범례가 중시되고 있다. 인터넷 글쓰기에 나타난 의사소통 방안의 개선도 윤리교육 현장에서 고려할 문제이다. 바른 언어를 파괴하면서 새로운 인터넷 언어를 창조하는 과정에서 계층 간, 세대간, 가족 간의 갈등을 더욱 조장하기에 의사불통이 심화되고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의사소통을 파편적이고 왜곡되고 단절적이며 자기중심적으로 바꾸어 놓아 타자지향의 윤리교육이 요청된다. 의사소통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족 간, 지역 간, 계층 간, 민족 간, 국가 간, 세대 간의 갈등과 간격을 더욱 역설적으로 멀어지게 하기에, 다툼의 여지를 인정하는 새로운 담론범례가 요청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 매체의 발달을 감안하면서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멀리 느껴지는 한자문화권의 의사소통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원효(607-676)의 화쟁회통의 담론범례를 오늘의 윤리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때, 청화상통(聽話相通), 주객상화(主客相和), 일심상달(一心相達)의 의사소통의 범례를 마련할 수 있다. 서구중심의 이항 대립적 사유체계가 지난 세기 동안 세계를 지배한 결과 갈등과 대립이 화해되지 못한 채, 의사불통이 누적되었다. 이러한 대립구도가 한자문화권에서도 계속 유지되기에, 상생범례 관점에서 담론범례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 화쟁회통 의사소통 범례는 이항대립의 한계를 넘어선 사유체계이다. 원효가 제시한 화쟁회통의 의사소통 범례는 매체기술이 발전된 오늘날에도 청자와 화자, 주관과 객관, 일심상달의 범례를 통하여 다문화사회에서 갈등을 대화, 협력, 개신의 방안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원효의 화쟁회통의 의사소통 범례를 통해 전통윤리가 살아 숨 쉬는 한자문화권에서의 심층적 담론범례를 모색하고자 한다. The technology of modernized society has deepen the conflicts of sinosphere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onhyo`s discourses, because he is not telling us materially the contents of whatever a certain Buddhistic doctrine is, but formally the way of thinking to view simultaneously the various contents of Buddha`s doctrines. This way of thinking is close to the method of inter-twining Buddhistic doctrines. The reason of inter-twining is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world as it is. This method is useful to develope the communication of sinosphere communication. In twining the facts in the world, we can see the world in a form of complete combination. Such a world is called Mahayana. And the way of thinking in this form is called by him Hwajaeng of which the significance is interpreted as twining strifes. He names this way of twining as completely combining all kinds of doctrines. The principle of perfect combination is succinctly expressed as accomplished by the taste of them. They had pursued to European city women so that the new women who educated and westernized women had been born in those countries. They tried to show their advancement of their country to western countries. In this situation of resistance of imperialism, the discourse of women was easy to be used for the ideology of nation. So the modernistic adoration of motherhood was began by the new intellectuals. This ideology of maternity contributed to divide the women to dual status such as wise and good mother/prostitute, saint/devil. The trial of new women which pursued to new sexuality was excluded completely. The repressive situation of women has been continued in the Sinosphere communication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The patriarchy system has been represented itself in the different way but it can be widespread communicated by paradigms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교육의 주요 내용 및 방법과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

        안태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교육의 주요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및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 첫째, 의사소통 수준 측면의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개방 및 자기표현 능력 증진, 둘째, 의사소통 유형 측면의 개방적, 상보적, 일치적 의사소통 유형의 증진, 셋째, 의사소통 방식 측면의 공감대화, 비폭력대화 훈련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의사소통 교육의 주요 방법론으로는 집단상담, 역할극 등의 체험적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앞서 살펴본 의사소통 교육 내용 및 방법론을 적절히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급별, 수준별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주요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 정리하여 어울림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major content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major contents and methods of the Aulim Communication Program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major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o enhance self - understanding, self - acceptance, self - opening and self - expression ability in communication level; Second, the promotion of open,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styles in terms of communication types; Third, empathy dialogue and nonviolent conversation train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style. And the main methodology of communication education was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group counseling and role pla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ulim Communication Program appropriately includes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major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of the Aulim Communication Program,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y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program.

      • KCI등재

        의사의 치료행위에 대한 형법적 이해

        박흥식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Many complications of criminal law can be brought up in doctor’s medical treatment. One of them is to judge whether doctor’s medical treatment is an act composing Elements of Crime or to consider it as an act of precluding wrongfulness.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considering doctor’s treatment as an act of precluding wrongfulness that it is to be viewed as measure of doctor’s career or act under patient’s approval. But it is improper to uniformly categorize an act of medical treatment to a Circumstances Precluding Wrongfulness or to consider that it is not applicable to the Elements of Crime. It is because doctor’s treatment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types: some of them are not applicable to the Elements of Crime, some satisfy Circumstances Precluding Wrongfulness, and some cases are unable to castigate even when illegality is acknowledged for the Consciousness of Illegality being absent. When doctor mistakenly misdiagnose that one misidentify the disease to conduct unnecessarily treatment and harm patient, problem of error in premise of Circumstances Precluding Wrongfulness occurs which is difficult to evaluate in terms of criminal law. However these dilemma does not confine its area in theory, but it is actual problem in real life as a result of a frequently occurring doctor’s failure in their treatment. And therefore there have been copious analysis about these problems. Most of the analysis has been limited to parts of the judicial dilemma regarding treatments, but not many of them compensates overall doctor’s medical treatment uniformly. Therefore, this paper will proceed thesis broad and even but focusing its topic to doctor’s treatment in terms of conditions such as its applicability of the Elements of Crime, Wrongfulness, and Responsibility. It is hoped that such discussion would aid granting logical uniformity in carrying specific resolution on whether or not to deprecating actual misdiagnose of failed doctor. 의사의 치료행위에 대하여는 형법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제기된다. 의사의 치료행위를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고 볼 것인가 아니면 위법성을 조각하는 행위로 볼 것인가의 문제가 그것이다. 위법성을 조각하는 행위로 보는 경우에도 그것이 업무로 인한 행위로서 위법성을 조각하는 것인가 아니면 피해자의 승낙에 의한 행위로서 위법성을 조각할 것인가에 대하여도 견해가 다르다. 그러나 의사의 치료행위를 일률적으로 구성요건해당성이 없다거나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한다고 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의사의 치료행위는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그러한 유형별 각각의 치료행위는 어떤 경우에는 구성요건을 조각하고 어떠한 행위는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되어 위법성이 인정되지 아니하고, 또 어떠한 치료행위는 위법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도 위법성인식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결국 범죄로서 처벌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의사가 착오로 인하여 병명의 진단을 잘못하였고 그로 인하여 불필요한 치료행위를 함으로써 환자에게 결국 상해를 가한 경우에는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형법적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어려운 문제가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이론적인 영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빈번히 발생하는 의사의 실패한 치료행위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는 그동안 많은 논의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논의들은 치료행위의 일부분에만 국한되어 왔으며, 의사의 치료행위 전반을 통일적ㆍ종합적으로 고찰한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사의 치료행위를 구성요건해당성, 위법성, 책임 등 범죄체계 전반으로 확대하여 통일적ㆍ종합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실제 의사의 실패한 치료행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법을 적용하여 처벌하거나 처벌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과 논리적 일관성을 부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진원(Han, Jin-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및 인천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25명이었으며 2019년 7월 30일부터 8월 6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 유형, 결혼 및 자녀 유무에 따른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고, 유치원 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 유형, 자녀 유무에 따라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중 ‘사려형’의 교사들이 ‘지원형’ 교사들에 비하여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중 교사 관련 어려움이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 성향 중 ‘사교성’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에서 교사와 관련된 어려움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교사 관련 어려움이 높아질수록 부모 관련 어려움과 기관 관련 어려움 역시 높아졌다. 이에,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인식의 중요성과 이를 보완하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paring efficient training plan for teacher-parent communication by looking at the difficulty of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kindergarten teacher. A total of 225 teachers from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on and Gyeonggi are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July 30 to August 6,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 depending on background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ifficulties of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al type, and having their own children of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the teachers of ‘reflective style’ felt more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than the teachers of ‘supportive style’. Third, the higher sociability among the communication tendencies, the lowe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 appeared with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nd as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 appeared with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get highe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parent and institute also got higher. Finally, the import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communication type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한국형 의사결정유형 척도 타당화 연구

        임혜빈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DMI). The DMI is a 45-item, self-report measure, composed of three subscales, designed to measure an individual’s propensity towards three distinct decision making styles: analytical, intuitive, and regret-based. With a sample of 808 participants, factor analyses confirm that the K-DMI measures three separate latent constructs.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DMI scale scores and theoretically relevant scales’ score provide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of the K-DMI. Furthermore, results show K-DMI scale relates to the use of specific decision making strategies: compensatory decision rules or non-compensatory decision r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K-DMI provides reliabld and valid measurements of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employ analytical, intuitive, and regret-based decision making styles. 본 연구는 Nygren과 White(2000)가 개발한 45문항 의사결정 유형 척도(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 DMI)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의사결정 유형 척도(Korean 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 K-DMI)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MI는 이중정보처리 이론과 후회 이론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의 유형을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 직관적 의사결정 유형 그리고 후회기반 의사결정 유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총 808 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K-DMI 역시 DMI와 마찬가지로 3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임이 지지되었다. 이어 K-DMI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상관 연구 결과, 하위 척도인 분석적, 직관적, 후회기반 의사결정 유형 척도가 예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합리적 사고 유형, 경험적 사고 유형,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아효능감, 낙관성, 충동성 수준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DMI를 통해 구분되는 의사결정 유형이 특정 의사결정 전략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분석적 의사결정자와 후회기반 의사결정자들은 선형 모형과 같은 보완적 의사결정 전략이 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전략과 유사하다고 보고한 반면, 직관적 의사결정자들은 결합 모형이나 속성별 제거 전략과 같은 비보완적 의사결정 전략을 주로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 소개된바 없는 새로운 의사결정 유형 척도를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대한 향후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고홍월,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1

        The research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advisable decision-making process and strived to investigate career indecision variables. However, as revealed through Kim & Kim(1997), Jang(2003), Wanberg & Muchinsky(1992), considerable problematic decisions such as unadvisable decision-making process and non-concrete and/or unrealistic career goals have been made by many college students who declared that they have decided their future careers. Furthermore, some measurement limitations exist because most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measurements depended on self-report methods. We defined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as the advisable career decision-making state in terms of both content and process. In order to measure a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we developed a 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and the rating criteria.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composed of decision-making contents and processes. Through 347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cided and the undecided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and between the decided-comfortable group and the decided-uncomfortable group. Analyz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maturity level of the 347 college students, it was clear that a premature decision-making phenomenon well exists in their career deci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aturely decided are as follows. ① They were unaware of their own characteristics, ② They were lack of related occupational information, ③ They were low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④ They had obscure career goals and plans, ⑤ They had biased career values. Through this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진로의사결정 영역의 연구는 주로 바람직한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이론연구 및 진로미결정의 원인을 파악하려는 경험연구에 주력해왔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대학생 대상의 연구들에 의하면(김봉환·김계현, 1997; 장선철, 2003; Jones, 1989; Wanberg & Muchinsky, 1992 등) 의사결정의 과정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의사결정을 한 내용 역시 구체적이거나 현실적이지 못한 진로결정자가 상당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측정도 자기보고식 검사에 주로 의존하기 때문에 실제 결정상태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진로의사결정의 바람직하고 현명한 정도를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라고 정의하여 347명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구조화된 면담질문도구와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는데, 면담질문은 진로의사결정의 내용차원과 진로의사결정의 과정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 중에는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매우 낮은 사람이 상당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로를 결정했다고 응답하는 결정자가 미결정자보다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진로결정자 중에서도 자신의 결정에 대해서 편안해하는 대학생의 성숙수준이 그렇지 못한 대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진로결정 성숙수준이 심하게 낮다고 판단되는 대학생 14명을 선발하여(결정자 중 5.7%) 특성을 분석해본 결과, 이들은 (1) 개인의 직업적 특성 이해 부족, (2) 관련 직업정보의 부족, (3) 진로준비행동의 부재, (4) 목표와 미래계획의 부재, (5) 편파적 직업가치 등 특성을 보인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제적 의의를 분석하고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면담질문도구의 타당성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