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적 회계에서 지출 항목의 정당성의 역할

        임혜빈,윤진헌,이병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expenditure category itself's justification on the consumer's willingness to spend. Results indicated that when expenditure cannot be justified with the remaining budget of the expenditure account, justificableness of expenditure category affected consumer's willingness to spend. It was also shown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frugality are more willing to spend for expenditure that are related to more justifiable category. Finally, when a expenditure could be interpreted to two expenditure categories, consumers showed willingness to spend to interpret the expenditure as a more related to justifiable expenditure category. Implications, limitations, possibl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심적 회계에서 지출 정당성이 지불 의사에 미치는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소비자는 본인의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지출 항목과 각 항목에 해당하는 예산을 미리 정해두는 인지적 처리 방식에 의존한다. 이를 심적 회계라고 하는데 심적 회계는 개인이 할당해둔 예산의 범위를 초과하는 소비를 하지 못하게 억제하는 자기 통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리 설정해 둔 지출 항목의 남은 예산의 영향력이 아닌 지출 항목 자체의 정당성이 소비자의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3개의 개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미리 설정한 지출 항목의 예산을 초과하든 초과하지 않던 상관없이 해당 지출이 얼마나 정당한지에 대한 평가가 지불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개인의 절약성향이 높을수록 지출 항목의 정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소비가 두 개의 지출 항목으로 해석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지출을 더 정당한 지출 항목으로 해석할수록 더 높은 지불의사를 보이는 것을 밝혀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제품 구매 시 거래 효용과 획득 효용 추구에 극대화 성향이 미치는 영향

        임혜빈,이병관,한승훈,양덕모 한국광고PR실학회 2020 광고PR실학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maximizing tendencies on product evaluations in terms of types of product utilities. Focusing on two different types of utilities, an acquisition utility and a transaction utility,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people with strong maximizing tendencies would prefer a product which endorsed both types of utilities over a product which provides only a transaction utility. Total of 141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conditions, a multi-utility condition or a single-utility condition. They answered an online questionnaire including online purchasing scenarios, the maximization scale and the value consciousness scale.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maximizing tendenc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 utilities of products and attractiveness of products (purchase intentions). Implications and possible future research were discuseed as well. 본 연구는 제품 구매 상황에서 최고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가진 극대화자가 제품의 효용을 평가하고 구매에 반영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품 구매 시 얻어지는 획득 효용과 거래 효용을 나누어 극대화 성향이 강한 소비자일수록 두 효용 모두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선호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획득 효용과 거래 효용의 수준을 조절한 다중 효용 조건과 단일 효용조건에 141 명의 성인 남녀 참가자를 무선 할당하였다. 참가자들은 가상의 온라인 구매상황에서 제시된 제품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를 활용한 Boostrapping 기반의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낮은 획득 효용과 높은 거래 효용을 가진 제품에 비해 높은 획득 효용과 높은 거래 효용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제품을 선호하는 정도는 극대화 성향이 높아질수록 강해질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과 추후 연구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호남지역 중국제 도자의 등장과 전개

        임혜빈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2 No.-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중국제 도자기는 기년 자료와 비교가 용이하여 교차편년의 대상으로 꾸준히 언급되어 왔다. 최근에서는 특히 영암, 함평 지역을 중심으로 한 호남지역에서 중국제 청자완의 출토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영암 내동리에서 출토된 청자완을 시작으로 익산 왕궁리 출토 청자첩화문준까지 약 200여 년에 걸친 기간에 해당하는 자료들이 확인되었다. 5세기 대에 고창, 익산, 나주 지역에서 출토되는 중국제 도자기는 백제계 금동식리, 금동관모 등의 위세품이 함께 확인된다. 동시기 부안 죽막동이나 남원 월산리에서 출토되는 중국제 도자기는 당시 백제의 확장성을 시사한다. 반면 이 시기 영암, 함평 등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방대형분 등의 재지 무덤에서도 중국제 도자기가 확인되는데, 6세기로 접어들면서 그 사례가 감소한다. 이와 같은 호남지역 출토 중국제 도자기의 출토 맥락과 양상이 의미하는 바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중국제 도자기가 마한 재지무덤에서 마한계 유물 및 외래계 유물과 공반하여 집단의 정치적, 외교적, 문화적 다양성을 시사하는 사례이다. 두 번째는 백제의 직접 영향을 받은 결과물로써의 중국제 도자기이다. 고창 봉덕리, 익산 입점리, 나주 복암리 정촌 유적 출토품이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해양과 내륙으로의 확장성을 의미하는 자료로써의중국제 도자기로, 백제를 포함한 주변 국가들의 다원적 외교관계를 보여준다. 마지막은 백제 중앙의 정치적, 외교적 목적에 기반한 남북조 문화의 수용의 측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익산 왕궁리 출토 청자첩화문준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호남지역 출토 중국제 도자기는 출토 맥락에 있어서 다양성을 띠고 있지만 동시기 백제 중앙과 비교했을 때 다소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대적인 수량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호남지역에서도 특히 영산강 유역 일대의 세력과 중국의 직교역을 통해 도자기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영산강 유역의 방대형분에서 중국제 도자기가 출토되는 현상은 당시 백제 사회 내에 형성되어 있었던 국제적이고 다원적인 분위기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해석에 있어서 당시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보다 유연하게 받아들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국내 변호사의 매몰비용 종류에 따른 매몰비용 민감성 차이 검증

        임혜빈 한국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7 No.3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eople tend to pay irrational attentions to irrecoverable past investments, called as sunk costs, while making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ulnerability of Korean lawyers to sunk costs including both sunk money and sunk time. Fifty five Korean lawyers and sixty lay people completed a survey consisting of a measure of the vulnerability to sunk costs and a regret-based decision making style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lawyers exhibited the vulnerability to both sunk money and sunk time whereas lay people showed greater sunk money effects than sunk time effects. Additionally, lawyers with greater regret-based decision making styles were more vulnerable to both sunk money and sunk time compared to those who with weaker regret-based decision making tendenc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possible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매몰비용은 이미 투자하여 다시는 회수할 수 없는 자원을 의미한다. 진행 중인 소송을 강행할 것이냐 아니면 조정 과정을 거쳐 합의로 마무리 할 것인가 하는 선택 상황에서 변호사들은 의뢰인들이 소송에 투자한 매몰비용에 영향을 받아 의뢰인의 의사결정을 대리하거나 조언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변호사의 매몰비용 민감성에 초점을 맞추어, 변호사와 일반 직장인의 매몰비용 종류에 따른 매몰비용 민감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55명의 국내 변호사와 60 명의 일반 대기업 직장인이 참가하였으며 참가자들은 모두 돈과 시간에 대한 매몰비용 민감성 문항과 후회기반 의사결정 성향 문항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직장인의 경우에는 투자한 돈에 비해 투자한 시간에 대해서는 덜 민감하였지만 변호사의 경우에는 돈에 대한 매몰비용과 시간에 대한 매몰비용에 유사한 수준의 민감성을 보였다. 나아가 후회를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성향이 강한 변호사일수록 돈과 시간에 대한 매몰비용 모두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 직장인과 구분되는 변호사의 인지적 오류의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는 데에 실질적 의의가 있다. 추가적인 함의와 추후 연구들 역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 종합병원 외래간호단위의 효율성 평가 -자료포락분석법(Data Envelopment Analysis)의 적용

        임혜빈,임지영,Im, Hye-Bin,Lim, Ji-Yo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12 가정간호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a hospital, using D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activity-based costing system,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annual reports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team of a general hospital in a city. The inpu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doctors, the number of nurses, and the number of staffs. The outpu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treatment times,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patients, the total profits from outpatient clinic, the patient's satisfaction score, and the number of re-visit appointments. EMS Window version 3.1 was used to measure the efficiency score and benchmarking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efficiency score of 24 outpatient clinics was about 82.01%. Thirteen outpatient clinics had 100% efficiency score among them. The lowest efficiency score was 57.56%.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found that, generally, outpatient clinics were operated very efficiently. However, some outpatient clinics had low efficiency and they needed specialized outcome improvement strateg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efficient outpatient clinics, we will recommend using results of DEA, as a benchmark point of the most efficient outpatient clinics.

      • KCI등재

        한국형 의사결정유형 척도 타당화 연구

        임혜빈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DMI). The DMI is a 45-item, self-report measure, composed of three subscales, designed to measure an individual’s propensity towards three distinct decision making styles: analytical, intuitive, and regret-based. With a sample of 808 participants, factor analyses confirm that the K-DMI measures three separate latent constructs.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K-DMI scale scores and theoretically relevant scales’ score provide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of the K-DMI. Furthermore, results show K-DMI scale relates to the use of specific decision making strategies: compensatory decision rules or non-compensatory decision r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K-DMI provides reliabld and valid measurements of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employ analytical, intuitive, and regret-based decision making styles. 본 연구는 Nygren과 White(2000)가 개발한 45문항 의사결정 유형 척도(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 DMI)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의사결정 유형 척도(Korean Decision Making style Inventory: K-DMI)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MI는 이중정보처리 이론과 후회 이론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의 유형을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 직관적 의사결정 유형 그리고 후회기반 의사결정 유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총 808 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K-DMI 역시 DMI와 마찬가지로 3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임이 지지되었다. 이어 K-DMI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상관 연구 결과, 하위 척도인 분석적, 직관적, 후회기반 의사결정 유형 척도가 예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합리적 사고 유형, 경험적 사고 유형,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아효능감, 낙관성, 충동성 수준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K-DMI를 통해 구분되는 의사결정 유형이 특정 의사결정 전략의 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분석적 의사결정자와 후회기반 의사결정자들은 선형 모형과 같은 보완적 의사결정 전략이 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전략과 유사하다고 보고한 반면, 직관적 의사결정자들은 결합 모형이나 속성별 제거 전략과 같은 비보완적 의사결정 전략을 주로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 소개된바 없는 새로운 의사결정 유형 척도를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대한 향후 연구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