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항 내 근로자의 안전 의식, 응급상황 인식 및 응급상황 대처 능력에 관한 연구 - I 공항 대상으로 -

        피혜영,김수태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7

        객실 내에서는 응급상황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서 객실 승무원들은 법적으로 응급처치 교육을 받아야 하고 의학적 상황에 대비하여 비치된 안내서에 따라 응급 상황 대처, 응급처치 및 지침 등에 대해 대처할 수 있다. 하지만 탑승객 외에도 공항 내 시설 이용자, 식사, 쇼핑 등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항 내에서는 응급 상황 시 공항 내 근로자 누구든지 그 상황을 대처해야 한다, 2020년 1월 이후에는 전 세계 팬더믹 상황인 COVID-19로 인해 객실 및 공항 내에서 감염관리에 대해 더욱 대처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공항 내 근로자들은 각 근무처(부서)마다 작성되어 있는 간단한 안전 매뉴얼로 다양한 환자 상황에 대해 대처하고는 있으나 관련 교육은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공항 내 근로자는 별도의 법정 교육 시간이 주어지지 않는다. 최초 반응자로서 현장에서 제일 처음 환자를 접할 수 있는 공항 내 근로자들의 안전의식과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능력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공항 내 근로자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설문 내용을 수정 개발하였으며 안전보건 교육, 응급 상황 인식 정도, 응급 상황 대처 능력으로 구성하여 대상자들의 응답을 ‘예’와 ‘아니요’로 간편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항 내 근로자에게 구글 설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속방법을 설명했으며 설문에 동의한 129명의 대상자가 응답하였다.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월까지의 설문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안전에 대한 인식 정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PSS/WIN 18.0을 이용한 빈도 분석하였다. 공항 내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있다’ 125명(96.9%)로 공항 측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응급처치 경험이 있는 경우는 118명(91.5%)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초 반응자로서 환자 발생 시 응급처치에 대한 경험들이 다수 있음을 나타냈다. 응급처치교육 내용으로는 54명(41.9%)이 기본소생술(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내용으로 교육을 많이 받았고, 내과적 상황, 외과적 상황 등에서도 교육 내용을 받았다라고 나타냈다. 응급상황 인식 정도로는 현장평가(현장안전)에 대한 4가지 질문에서 전체적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의식평가·기도평가·호흡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응급상황 대처 능력은 실제 실습을 적용할 수 없어서 총 7가지 환자 사례를 제시하고 각 사례별로 질문 문항을 작성하여 응답하도록 했다. 화상사례 · 내과사례 · 심정지사례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냈으나, 호흡응급사례 · 외상사례 · 환경응급사례 및 기타응급사례에서는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공항 내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응급상황 인식정도는 잘 인지하고 높게 나타났으나, 응급상황 대처 능력에서는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부분이 높지는 않음을 나타냈다. 즉, 공항 내 최초 반응자로서 공항 내 근로자들은 점점 증가하는 공항시설 사용자를 위해 공항 내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 응급상황별 인식에 따른 대처능력에 대한 교육 시 환자사례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항 내에서 발생하는 환자유형 및 처치내용은 알 수 없었으나 공항 내 근무자 특성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서 안전한 공항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응급상황에서 자동인증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의료정보플랫폼 연구

        함규성,강민구,주수종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3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i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patient‘s biometric data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accumulated into databas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atient’s emergency situations. Medical staff can easily access patient information after simple authentic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However, in accessing medical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it is necessary to study authenti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 situations and mobile terminal. In this paper, we studied o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s based on big data processing and edge computing for supporting automatic authent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The automatic authentication system that we had studied is an authentication system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nd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and grants upper-level access rights to certified medical staff and mobile terminal. Big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proposed platform in order to determine emergency situations in consideration of patient condition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To quickly determine the patient’s emergency situations, edge computing was placed in front of the medical information server so that the edge computing determine patient’s situations instead of the medical information server. The medical information server derived emergency situation decision values using the input patient’s information and accumulated biometric data, and transmit them to the edge computing to determine patient-customized emergency situation.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considers the patient's conditions and determine quick emergency situations through big data processing and edge computing, and enables rapid authent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through automatic authentication, and protects patient’s information by granting access rights according to the patient situations and the role of the medical staff. 최근 스마트기술의 발달로 의료정보플랫폼에서 환자의 생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인증 이후 환자정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에 있어 환자상황과 이동단말기를 고려한 인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에서의료진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허가를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자동인증지원 의료정보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 연구된 자동인증 시스템은 응급상황에서 사용자인증과 이동단말기인증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위 의료정보 접근권한을 인증된 의료진과 이동단말기에 부여하는 인증 시스템이다. 환자의 고혈압, 당뇨와 같은 환자상태를 고려한 응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기법을 제안한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또한 환자의 빠른 응급상황 판단을 위해 에지컴퓨팅을 의료정보서버 앞단에 두어 의료정보 서버 대신 에지컴퓨팅에서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의료정보 서버는 입력된 환자정보와 축적된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응급상황 판단수치를 도출하고, 에지컴퓨팅에 전달하여 환자 맞춤형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의료정보플랫폼은 빅데이터 처리와 에지컴퓨팅을 통해 환자상태를 고려하고 응급상황을 빠르게 판단하였으며, 자동인증을 통해 응급상황에서의 신속한 인증과, 환자상황과 의료진의 역할에 따른 접근권한 부여를 통해 환자정보를 보호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를 위한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의 효과: 일상생활 응급상황과 심폐소생술 중심으로

        최은주 한국아동간호학회 2013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9 No.3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제시된 응급상황별 아동의 사례를바탕으로 동료 교사와의 상호 작용적 토론과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는 소그룹 학습을 적용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자의응급상황 대처 지식,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의지,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전라남도 S시 소재 40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33명이 실험군이였으며,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2-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대상자들의 응급상황 대처 지식을 향상시키고 보육교사의 심폐소생술 태도와 심폐소생술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의 변화를 도모하여 심폐소생술 술기 능력을 유의하게증가시켜 응급상황 대처 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응급상황 대처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은 보육교사들에게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급상황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새로운 교수방법 제안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노인 응급상황 인식 및 대처에 관한 연구

        김순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This study identified the perception and coping ability of an emergency involving the elderly for facility directors in charge of servic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used it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y data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emergency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192 directors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home 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 to April 20, 2019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97.4% of emergency experience, 6.16 points of emergency perception, and 62% of correct answers, and coping ability of an emergency was 69.61 ± 13.537.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ergency experience and ability to cope with emergencies(r=-.202, p= .005) was the long-term care facility type(β = 8.253, p<.001). Overall, an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type of long-term care facility is needed when applying emergency education for facility directors.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서비스를 총괄하고 있는 시설장을 대상으로 노인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능력을 파악하여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자료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센터 시설장 192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15~4.20,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설장의 응급상황 경험은 97.4%로 높았고, 응급상황 인식도 6.16점, 정답률 62%로 중간정도 수준이였고, 응급상황 대처능력은 평균 69.61±13.537점 이었다.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상황 대처능력(r=-.202, p=.005)은 음의 상관관계, 응급상황 대처능력 영향 변수는 장기요양기관 유형(β=8.253, p<.001)이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시설장 대상 응급교육 적용 시 장기요양기관 유형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 KCI우수등재

        저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이영희,안혜영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education on emergency management using a low-fidelity simulator as related to clinical skill performance, self-confidence, knowledge, learning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ew nurses. Methods: A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applied. Fifty-five new nurses were recruited, 28 nur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nurses for the control group. A simulation education for emergency management comprising knowledge lecture, team learning, skill education, team simulation, and debriefing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Feb. 14 to 27, 2015.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and t-test using SPS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t=5.81, p<.001), clinical skill performance (t=10.08, p<.001), self-confidence (t=-6.24,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2.42, p=.019), and learning satisfaction (t=4.21, p<.001) for emergency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o had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low-fidelity simulator i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new nurses to deepen their clinical skill performance, self-confidence, knowledge, learning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learning emergency management. 본 연구는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여 응급상황관리에 대한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전통적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가 향상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과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응급상황 사례를 중심으로 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 간호사에게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양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임상현장에서 신규 간호사가 병원 입사 후 받는 신규 오리엔테이션 교육과정에 구조화된 교육 중재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신규 교육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국내에서 응급상황 시뮬레이션 교육에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시뮬레이션 교육의 횟수와 기간을 늘린 교육 중재 후 신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와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신규 간호사가 병원에 입사하여 실제 임상실무능력에 어떻게 반영되고 적용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환자상황 기반의 자동인증시스템 구축 및 성능평가

        함규성,주수종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4

        In the curr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 a system environment is constructed in which Biometric data generated by using IoT or medical equipment connected to a patient can be stored in a medical information server and monitored at the same time. Also, the patient's biometric data, med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after simple authentication using only the ID / PW via the mobile terminal of the medical staff are easily accessible. However, the method of accessing these medical information needs to be improved in the dimension of protecting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es a quick authentication system for first aid.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automatic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the patient's situation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Patient‘s situation was graded into normal and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ituation of the patient was determined in real time using incoming patient biometric data from the ward. If the patient's situation is an emergency,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an emergency code is sen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medical staff, and they attempted automatic authentication to access the upper med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 Automatic authentication is a combination of user authentication(ID/PW, emergency code) and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medical staff’s role, working hours, work location). After user authentication,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is proceeded automatically without additional intervention by medical staff. After completing all authentications, medical staffs get authorization according to the role of medical staffs and patient's situations, and can access to the patient's graded medical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We protected th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through limited medical information access by the medical staff according to the patient's situation, and provided an automatic authentication without additional interven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We performed performance evaluation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automatic authentication system. 현 의료정보시스템에서는 환자에게 부착된 IoT 또는 의료기기를 통해 생성된 생체데이터를 의료정보서버에 저장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또한 의료진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ID/PW만을 이용한 간단한 인증 후 환자의 생체데이터및 의료정보, 개인정보에 쉽게 접근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정보 접근방법은 환자 개인정보보호차원에서 개선되어야하며, 응급처치를 위한 신속한 인증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환자상황기반의 자동인증시스템을 구축 및 성능평가 하였다. 환자상황을 정상상황과 응급상황으로 분류하고, 병동으로부터 들어오는 환자 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상황을 실시간으로 판별하였다. 환자상황이 응급상황일 경우 의료진의 이동단말기에 응급코드를 포함한 응급메시지가 수신되고, 의료진은 환자 상위의료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인증을 시도한다. 자동인증은 사용자인증(ID/PW, 응급코드)과 이동단말기인증(의료진역할, 근무시간, 근무위치)이 결합된 인증방법으로써 사용자인증 이후 의료진의 추가개입 없이 자동으로 이동단말기인증이 진행된다. 모든인증을 마친 의료진은 의료진 역할과 환자상황에 따라 접근권한을 부여받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의 등급화 된 의료정보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환자상황에 따른 의료진의 제한적 의료정보접근을 통해 환자의 의료정보를 보호하고, 응급상황 시 추가개입 없는 자동인증을 구현하여 신속한 인증을 제공하였다. 구현된 자동인증시스템의 수행성 검증을 위해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정도

        김신정,이정은,강경아,김성희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4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정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교육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생이 경험할 수 있는 응급상황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대책으로 우리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각종위험한 환경요인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우리생활 주변에서 일어날 수있는 위험요소를 잘 구별하고 올바른 판단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능력을길러주는 교육이 중요하며 필요하다 하겠다. 즉, 학교에서 실시하는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교육이나 정보제공 등이 이에 대한지식, 가치관, 태도에 직접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생각된다. 그러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교육은 단순히 지식이나 정보 전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생활화하고 습관화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며 체계적이고아동의 발달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대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시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실제로 대처교육을 실시한 후에 효과를 검증하는 절차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 국가적으로도 응급상황시의 대처에대한 교육과 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처교육을 지속적으로실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령기 아동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교육이 시급함을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둘째, 학령기 아동의 수준에 적합하며 흥미와 관심을 유도할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학령기 아동의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그러한 요인을 강화시켜 주는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교육을실시한 후, 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 대학병원 응급실 내원환자의 방사선촬영 실태

        안병주(Byeoungju Ahn)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2

        응급상황에서 방사선 촬영 분포 분석 및 문헌을 토대로 응급상황 대처 및 서비스 효율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연구를 하였다. 2010년 12월, 광주 광역시 한 대학병원에 응급실을 내원한 1270명 응급 외래환자를 분석하여 방사선 촬영분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급 방사선 촬영은 56.6% 일반 방사선 촬영, 2.5% 특수 촬영, CT 34.2%, 초음파 6.7%였으며, 일반 방사선 촬영에서 남성은 51.7%, 흉부외과의 촬영률 90.0%, 입원환자 77.9% 및 응급실에서 머무르는 시간이긴 환자에게서 촬영하였다. 특수 촬영의 비율은 , 비뇨기계 28.6%, CT에서는 신경외과 49.2%, 신경과 36.7%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초음파의 경우 여성이 8.8%, 내과가 15.9% 비율을 나타냈다. 방사선 촬영의 분포도를 분석하면, 일반 방사선 촬영에서 흉부촬영 55.3%, 특수 촬영에서는 1.2%의 비뇨기계, CT에서는 두부 검사가 40.0%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일반 촬영의 진료과의 분포도에 따르면, 두부가 64.6% 신경외과, 흉부검사는 흉부외과는 90.0%, 복부가 58.0% 일반외과, 척추는 신경외과 40.0%, 골반 및 상하지는 정형외과가 15.9% 20.5%, 31.8%를 차지하였다. 일반 촬영의 환자 1인당 평균검수는 전체 인원을 고려하여 성별, 연령별, 전원 여부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촬영만을 고려한 경우에는 성별에서 남자가 2.2건 높았으며, 연령대에서는 30대에서 2.7건이, 진단부분에서는 신경외과가 3.4건이 더 높게 차지하였다. 전체 촬영 부위 건수에서는 흉부가 998건으로 가장 많았다. 결과를 고려해보면, 응급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는 응급 촬영에서 노년층을 돌봐야 하며, 촬영동안에 가능한 2차 손상을 특수 촬영인 비뇨기계 계통이 기구와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줄이기 위한 부상응급 환자를 검사하는 모든 방사선사는 방사선 촬영하는 동안에 긴급 상황에 대처해야 한다. 방지 대처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특히 야간에 CT 촬영하는 두부 손상 환자는 환자 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담당 의사는 언제나 CT실에 상주하여 환자를 지켜 봐야 한다. 응급실에서 방사선 촬영은 여러 진료과에서 관여 한다. 일반 방사선 촬영의 높은 비율, 응급 방사선 촬영에 대한 특수 촬영실이 응급실 내에 설치하여만 하고, 능력이 있는 응급환자 처치를 할 수 있는 방사선사가 필요로 하고 응급환자 증가로 적절한 인원배치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service efficiency and to cope with a emergency situation in emergency radiography, through analysis of the radiographic distriution and literature cited about emergency care. Data collection of radiographic distribution was surveyed for 1270 emergency outpatients who visit during JAN, 2009at ER of the general hospital in Gwang city. The results is as follows : Emergency radiography rate of simple radiography was 56.6%, special radiography 2. 5%, CT 34.2%, and ultrasonography 6.7%, In simple radiography rate. a high rate was distributed on male(63.6%), thoracicsurgery part(90.0%), admission patient(77.9%), and long stayed patient at ER. In special raiography rate, a high rate was obsurved in urologic part(28.6%), and in CT rate, observed neurosurgerty part(49.2%) and neurologic part(36.7%). Ultrasonography rate was high for female(8.8%) and internal medicine part(15.9%). There are distributed regional radiography rate in radio-graphic type that chest(55.3%) is high in the simple radiography, urinary system(1.2%) in the special study, and brain(40.0%) in the CT. Regional radiography rate according to diagnostic department also was showed highly for head(64.6%) in neuro surgery, chest(90.0%) in thoracic surgery, abdomen(58.0%) in general surgery, spine(40.0%) in neuro surgery, and pelvis(15.9%), upper extrimity(20.5%), and lower extrimity(31.8%) in orthopedic surgery each. Mean radiographic case number per patient of simple radiography was sinificant on sex, age, transfer relation in both total and radiopraphic patients(p<0.05). Mean radiographic case number was highly distributed on male(2.2 case number) in sex, on thirties(2.7) in age, transferred patient(2.7) in patient type, and on nurosurgery(3.4) in diagnostic charged part. Total radiographic case number in regional party was highly distributed on chest(998 case number.)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emergency radiographer should take care of the elder patient in emergency radiography and get hold of injury mechanism to decrease possible secondary injury during radiography. Because of high radiography rate of urinary system in special study, related instrument. All radiographer who take charge emergency patient should cope with a emergency situation during radiography. Because head trauma patients is very important in patient care, especilly in CT at night, charged doctor should be always sitted with CT room and monitoring patient. Radiography was reqested by many diagnostic department in ER. Considering that rate of simple radiography is high, special room for emergency radiopraphy should be established in ER area, and the radioprapher of this room should be stationed radiologic technician who is career and can implement emergency patient care and The disposition of men which is appropriate with emergency patient increase is necessary.

      • KCI등재

        응급처치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들의 응급상황 대처 의지 및 지식에 미치는 효과

        이승훈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응급처치 프로그램이 응급상황 대처 지식 및 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응급처치교육 요구 내용을 분석하여 보육교사들의 효과적인 응급처치 교육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승급교육을 받는 보육교사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응급처치교육 이수와 관계없이 응급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의지를 가지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교사들은 법적책임에 대한 부담과 응급처치 기술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원인이었다. 둘째, 응급처치교육을 받은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응급처치지식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들이 희망하는 응급처치교육의 형태는 실습형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들이 희망하는 응급처치 교육내용은 심폐소생술과 기도폐쇄, 화상처치와 체온 관련 증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응급처치교육이 필요하고, 응급처치교육은 실습위주의 교육이어야 하며, 응급처치 교육 내용은 보육교사들의 요구를 기초로 구조화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irst aid programs(FAP) on the knowledge and will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FAP for child care teachers by analyzing the needs of FA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child care teachers who received upgrad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have a willingness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child care teachers who were not able to do were caused by the burden of legal liability and lack of confidence in first aid techniques. Second, teachers who received FAP showed higher knowledge about first aid knowledge. Third, the type of FAP desired by the child care teachers showed the most favored type of whole practice. Fourth, the contents of FAP desired by child care teachers were CPR, airway obstruction, burn treatment and temperature related symptoms. In this study, FAP is needed in the process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FAP should be practice-oriented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FAP should be structured based on the needs of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CCTV 카메라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다수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

        성동수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5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1 No.6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인 신고자가 응급 상황에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신고 서비스를 요청하면신고자 주변의 CCTV 카메라들이 신고자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자신이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신고할 수 있으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전달 할 수 있으므로 구조자의 빠른 도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CCTV 카메라에 의하여 자신이 처한 상황이 계속 촬영되므로 용의자가 도주하더라도 검거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기존의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는 다수의 신고자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나, 개선된 응급 상황 신고 서비스는 다수의 신고자가 동일 영역에 있는 경우에도 많은 경우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Emergency situation call service supports that the CCTV cameras around reporter automatically take pictures to chase the reporter when user requests a call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in emergency situations. He can simply send a service request using a smart device in a dangerous situation, then helper or rescuer's fast arrival can be expected because reporter's location information is offered consistently. And, the stored video can be an important clue to arrest a fleeing suspect because the CCTV cameras around reporter continuously take pictures. Previous emergency situation call service can't provide simultaneous services to multiple reporters, but the refined emergency situation call service can support simultaneous services in many cases even if reporters are in same z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