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 선교의 의학적ㆍ기독교적 고찰

        박상은(Sang Eu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생명 선교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생명이 무엇인지 확실히 깨달아야 할 것이며, 아울러 선교에 대해서도 분명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생명에는 분명 영적인 요소와 육적인 요소가 있는데, 실은 이 둘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합되어 있어 이를 나누어 설명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생명을 바라보는 의학적 견해와 성경적 견해 그리고 한민족의 견해를 살펴보고, 생명 기간 동안 어떻게 이 생명을 누리며 이를 지켜 나갈 수 있을지, 나아가 생명 선교를 어떻게 이룰 수 있을지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막연히 건강을 질병이 없는 상태로 생각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은 질병이 없는 상태를 넘어서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치유 역시, 질병을 치료하는 개념에서 개인의 다양한 필요를 충족시켜 주는 쪽으로 발전되고 있다. 인간이 갖고 있는 생리적 필요, 정신적 필요, 사회적 필요, 나아가 영적인 필요까지도 만족시키는 것이 온전한 치유인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단지 육체적인 존재일 뿐 아니라 정신적이고도 영적인 존재이며, 이러한 각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긴밀히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는 한 개체이기 때문이다. 치유 사역의 궁극적인 목표는 하나님 나라의 회복일 것이다. 모든 인간이 하나님께서 원래 만드셨던 아름다운 모습으로 되돌아갈 뿐 아니라 땅과 자연의 회복과 나아가 이 사회가 하나님 나라로 회복되는 것이다. 결국 전인 치유 사역이란 병들고 상처받은 인간을 치유함에 있어서 육체적, 정신적 치료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영적 치유를 통해 전 인간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며, 궁극적으로는 ‘질병으로부터의 자유’를 가져다 주며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한 모든 노력의 총화’이다. 다시 말하면 오늘날의 선교는 통합 선교이며 총체적 선교이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모든 영역에서 온갖 방법으로 선교하여야 하는 셈이다. 목사 선교사만 선교하는 것이 아니며 선교지에서만 선교하는 것이 아니라, 평신도와 전문인이 함께 하며 장기와 단기가 함께 하고, 선교지뿐 아니라 이 곳에서도 일상에서의 선교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총체적 치유 사역은 결코 목사나 의사 혼자의 힘으로 이룰 수 없다. 성직자와 평신도, 전문인과 일반인이 함께 어우러지며, 각종 은사를 받은 자들이 함께 공동체를 이룰 때 가능해질 것이다. 한국 교회가 가지고 있는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우리의 가까운 이웃뿐 아니라, 북한 그리고 멀리 아프리카 땅 끝까지 총체적 치유 사역을 펼칠 때 생명 선교의 꽃은 활짝 피어날 것으로 확신한다. To understand life mission thoroughly, we ne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s well as “mission.” Life consists mainly of spiritual and physical components, but it is not easy to divide these components because they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but rather organically intertwined. This author would like to analyze life from medical and biblical viewpoints and further contemplate how to enjoy fullness of life, and consequently, how to achieve life mission. We inadvertently presume health merely as a condition without disease, but WHO’s constitutional definition of health incorporates aspects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us, ways of treatment are being developed not only to cure disease but also to recover and fulfill the individual’s various needs. True healing is the fulfillment of phys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ven spiritual needs, for humans exist not only in physical but also in psychological and spiritual components. Each component is inseparable and intimately connected, interacting in unified motion. The ultimate goal of healing is the recovery of God’s kingdom: not only will all human beings be restored to the original image God had formed, but the earth, nature, and the whole society will also be restored to reconstruct God’s kingdom. Thus, wholistic healing is not merely a concentration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but rather a novel proposal of humane healing which includes even spiritual treatments. Ultimately it leads to freedom from disease, and it is a sum of all efforts toward eternal life. To reiterate, today’s mission should be both wholistic and integrated. In the process, everyone should apply every resource in every region with every method possible. Pastors are not the only ministers; missionaries are not the only messengers. Rather mission in daily life should be advanced both by the laymen and the professionals, both by the long-term and short-term workers, not only in mission fields, but also here. Wholistic healing cannot be done by a pastor or a doctor alone. Only when pastors and laymen, as well as experts and amateurs come together with their various gifts to form a mutual community does the healing become possible. Korean church must utilize all the resources to apply the ministry of healing not only toward our neighbors but for North Korea and even to the ends of the earth for a genuine blossoming of the mission of life.

      • 개혁주의생명신학적 목회를 위한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

        박희봉 ( Park Hee Bo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9 No.-

        본 논문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본 교회음악의 치유효과를 실증적으로 다룬다. 장종현 박사가 주창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실천운동에는 교회와 사람을 살리자는 영적생명운동이 있다. 그렇다면 예배 안에서 행해지는 음악인 교회음악을 통해 사람의 영혼과 정신, 육체의 질병과 고통을 치유하는 것도 영적 생명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계기는 예배에서 교회음악이 은혜의 수단으로 적절하게 활용하는 일이 부족하다는 성찰에 있다. 특히 예배의 중요한 요소인 교회음악에서의 성경적, 신학적 기능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교회음악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이 부족하고 목회와 음악의 상호 교류가 충분하지 못하다. 무엇보다 교회음악을 통한 치유효과를 영적생명운동과 연결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교회음악을 통한 치유효과의 신학적 토대를 제시하면서, 그 활용방안을 개혁주의생명신학 관점에서 제시함으로서 한국교회에 영적생명을 불어넣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교회음악 이해를 다룬 후에, 치유를 위한 교회음악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련성을 살핀다. 그 후 교회음악목회의 필요성과 성경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치유사역효과로서 교회음악을 치유사역으로 목회에 적용할 수 있는 점들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교회음악을 통한 치유효과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사랑의교회를 중심으로 실시하여, 치유효과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끝으로, 교회음악을 치유사역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안과 그것으로써 목회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을 마무리한다. This dissertation has attempted to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the church music with respect to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Reformed Life Theology was proclaimed in May 2010 by Rev. Dr. Jong Hyun Chang, founder of the Baekseok Schools (4 Undergraduate and 7 Graduate Schools), which is composed of 7 Practical Movements of, such as Faith, Theological Restoration, Repentance-Forgiveness, Spiritual Life, the Kingdom of God, Sharing, and Prayer-the Holy Spirit. This sevenfold Practical Movement aims to revitalize the church and christian lives. This movement must be faithful to all sevenfold essential functions to restore them.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to give life to them should come through worship. In particular, the church music performed in worship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healing soul, mind and body from diseases and suffering. This study was motivated by my recognition that the proper use of church music lacks as a means of grace in worship, and it starts with presenting the grounds and possibilities that human healing through praise can occur sufficiently. While the Korean churches are used to prioritize the preaching, the theological studies about church music are still insufficient. In addition,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healing effects through church music as a test case of SaRang Church where I have servied as director of the SaRang Praise Teams for 10 years, and analyzed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healing effects. Finally, I proposed a plan for revitalizing the healing ministry through church music and concluded the paper by suggesting some practical guides. As a way to revitalize the church, we divided into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music itself.

      • KCI등재

        『주역』의 생명공동체적 선(善)과 치유의 생명미학 - 경계의 구분이 없는 통합적 경계 -

        김연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고에서는 현대사회의 병폐로서 파편화된 자아의 강박관념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논점은 치유의 생명미학에 있다. 생명미학은 인간의 존재와 가치를 생명공동체의 연속 선상에 놓는 통합적 경계에 대한 심미의식의 차원을 지닌다. 『주역』의 세계에서 생명공동체는 천지의 틀 속에서 생명의 자생적 연결망, 그 유기적 흐름 및 변화의 양상에서 체득한 의식의 결정체이다. 그 속에서 인간은 생명의 존재론적 토대위에 생명의 율동이 자연스레 발현하는 본성의 가치론적 의미를 갖는다. 그는 자신의 본성이 자연스레 발현되지 못할 때 인생관의 왜곡, 세계관의 굴절, 가치관의 붕괴 등과 같은 본질적인 병폐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치유는 인간본성의 자연스러운 발현 속에서 생명의 이치를 도덕의 가치로 고양하는 내면적 의식의 세계와 관련된다. 이는 낙천지명(樂天知命)과 안토돈인(安土敦仁)의 변주(變奏)로 특징지을 수 있다. 치유의 생명미학은 생명공동체적 선(善)의 연속선상에서 인간 본성의 자연스러운 발현을 지속적으로 회복하는 방법론적 성격을 지닌다. 이는 인간의 존재론적 열망과 가치론적 목표가 합치되는, ‘경계의 구분이 없는 통합적 경계’를 추구하는 것이다. 여기에 생명의 본성의 자연스러운 발현 속에 선(善)과 미(美)가 일체가 되는 자아실현의 지속가능한 과정이 있다. This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he life-aesthetic argument of healing in the context of the consciousness of life-community in the Book of Changes. The reality of actual world in the Book of Changes is most concretely and most symbolically expressed in the frame of heaven and earth. Under the premise that a human being is perfect, the life where he recognizes and awakens his human nature is the ecological one. In this life he has the mature humanity and, therefore, orients toward the aim of subjective and rational life, namely, self-realization, which is characteristic of a variation of Le-tian-zhi-ming(樂天知命) and An-tu-dun-yen(安土敦仁). If a healing depends upon restoring the perfection of human existence, and then its method has to be based upon an awareness of the community of life. The community of life is an idealistic world that the pursuit of personal and social ideal is in accordance with the orientation of value. The idealistic world, filling up our emotional satisfaction, is to live the life of healing and a given condition of happy life. It is a way of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ur destiny. The experience of healing is possible in the realization of our perfect character. Particularly, it is consequent that moral emotions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their cann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ife happiness. This is because the cultivation of human characters is elevated into an extension of healing. Here is a mechanism of healing.

      • KCI등재

        융합학문논문 : 반야심경의 생명치유 명상원리 연구

        김용환 ( Yong Hwan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2

        반야심경을 통한 명상은 생명치유를 하는데 활용된다. 반야심경 진언을 고요히 반복적으로 읊조리다 보면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 들을 거리를 두고 지켜보게 되고 생명실상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반야심경 은 독송의 경전으로서, 종교의례 염송절차의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한다. 먼저 반야심경은 청정회복의 생명치유로서 발보리심 원리에 주목한다. 이 원리는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의 고통을 벗어나게 하는 책임을 스스로 떠맡는 책임원리이다. 이러한 책임원리는 중생들에 다가서서 친밀감을 느끼고 공감의식을 확산시키는 의식이다. 또한 중생들과 더불어 행복한 공공행복을 열망하면서 중생에 대한 강한 자비심을 마음의 자세로 갖추게 된다.또한 반야심경의 광명환희의 생명치유로서 반야통찰 원리에 주목한다. 이 원리는 ‘연기(緣起)와 공(空)’의 상관연동(相關聯動)에 관한 통찰로서, 개체로서의 실체를 부정하고 생명이 상호 의존의 광명환희 그물망으로 이어짐을 통찰하는 원리이다. 이는 ‘지관(止觀, samatha)’을 바탕으로 ‘선정(禪定, dhyana) 을 닦고 ‘등지(等至, samapati)’에 이르러, 마침내 반야 실상을 여실하게 관 조(觀照, vipassana)함으로 존재실상을 통찰할 수 있다. 그리고 반야심경은 자유자재(自由自在)의 생명치유로서 활용되는 진언지송 원리에 주목한다. 진언지송은 진언반복의 성현(聖顯)으로, 육도(六道: 천 상, 아수라, 인간, 아귀, 축생, 지옥의 여섯 세계)의 문을 닫고 불보살의 가피 력(加被力)을 받아서 ‘육도’에 자유자재하는 원리이다. 반야심경 말미에는 진언을 염송(念誦)하는 진언지송(眞言持誦)이 밀법으로 제시되어 불타의 명 호를 부르는 염불(念佛)과 함께 마음을 일심(一心)으로 통일시키는 효과를 낳을 뿐만 아니라 원만구족(圓滿具足)의 공덕(功德)을 이룬다. 이처럼 반야심경의 생명치유 명상원리는 청정회복의 발보리심 원리, 광명 환희의 반야통찰 원리, 자유자재의 진언지송 원리로서 ‘대승일심(大乘一心)’ 의 신심(信心)을 유지한다. 이는 곧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보살실천으로 이어진다. 일상생활에서 반야심경을 통한 생명치유는 상구보리(上求菩提)ㆍ 하화중생(下化衆生)’의 발보리심을 기반으로, 공사공매(公私共媒)의 공공작 용을 일으키는 반야통찰(般若洞察)을 매개하여 반야바라밀 진언(眞言),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지송(持誦)함으로 생명치유의 공덕(功德)을 모든 중생에게 회향回向)한다. The meditation principles of life healing in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can be summarized as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principle is the restoration of purity in nature as a new innocence by way of the awakening of bodhi-citta. This principle is to have responsibility for the suffering of sentient beings from the having compassion for others. It can be called undertaking responsibility principle to be happy together with others. The second principle of life healing in the Heart Sutra is blessing with light as healing power in prajna insight principle. This principle is the correlation linkage of insight into the interdependent arising and sunyata. We can practice the dhyana by the samatha, and we can contemplate the reality of wisdom through vipassana with the accomplishment of samapati. The third principle of life healing in the Heart Sutra isbe free from sufferings by way of mantra recitation. Absorbed in the single-minded by the chanting mantra, we can be free from six secret teachings such as heavenly, asura, human, angler-fish, animal and world of hell. The practicing such merits of bodhisattva can be transferred to sentient beings.

      • KCI등재

        예수의 복음 선포에 나타난 치유와 생명 회복

        배재욱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7 영산신학저널 Vol.0 No.40

        Healing in the Bible appears to be an important way for recovery of human nature. Jesus accomplished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through the healing ministry. The kingdom of God that Jesus has brought down is a complete model of recovery of human nature. In that sense, the healing is an important way to experience perception of life through the kingdom of God. Healing is to heal destroyed humanity. Its inevitable task is to properly understand the theology of life. Healing is referred to following words in the Bible: ap’r’, qerapei,a, qerapeu,w, i;ama), iva,omai, i;asij. In order to understand healing and life, both the biblical definition and general common understanding of the word are required. Healing is related to its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God’s healing touch is the light of salvation for those who are committed as His touches can be felt through His presence to those with broken hearts by curing and comforting.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not only casts out demons and exercises power, it also provides recovery to those lived in the darkness of sickness. Many Jesus’ healing ministry incidences in the book of Mark have prevailed in the presence Jesus’ Words (Mk 1:23-26).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is compassionate to a Lamb without shepherd wandering haplessly (cf. Mt 9:36; Mk 6:34) and is forgiving to sinners (cf. 1 Tm 1:15). Acknowledging and accepting it are referred to as the area of belief.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rose again from the dead, as is the case of Jesus as a miracle achiev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shows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the miracles demonstrated by Jesus like in the case of raising a person from dead. Healing has no meaning without Christ’s presence. Jesus is life itself (cf. Jn 6:35, 53; 8:12; 11:25; 14:6), so the life associated with Christ is in the life within life. 성경에서 치유를 통해 삶이 회복되는 것을 보게 된다. 예수는 치유 사역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이루셨다. 예수가 가져오신 하나님 나라는 인간성 회복의 완전한 모형이다. 그런 의미에서 치유는 하나님 나라를 통해 경험하는 생명 사상의 중요한길이다. 치유는 파괴된 인간성을 회복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치유는 생명 신학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필연의 과제이다. ‘치유와 생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치유’의 성경적인 정의(定義)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치유’ 이해도 필요하다. 치유는 “타자에 의해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는 정신적 영역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치유는 타자(他者)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 것과도 관련되어 있다. 상실한 마음자리에 찾아오셔서 싸매어 주시고 고치시며, 위로하시고 이끄시는 하나님의 치유의 손길은 치유가 절실한 자들에게 구원의 빛이다. 예수는 치유 사역을 통해 귀신을 쫓아내고 능력을 행사함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병으로 짓눌려 어둠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새롭게 회복하셨다. 마가에서 치유 사역은 예수의 말씀 선포와 함께 이루어졌다(막 1:23-26). 예수는 ‘목자 없는 양같이 방황하는 사람들을 불쌍히’(참조. 마 9:36; 막 6:34) 보시고 그들의 죄를 용서하시고 그들에게 치유를 베푸셨다. 치유는 죽은 자가 다시 살아나는 것과 같은 기적 사건처럼 예수를 통해 성취되는 하나님 나라의 실현으로 믿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경험하게 된다. 치유 사역을 통해 새롭게 예수는 생명을 회복하셨다. 예수는 생명 자체(참조. 요6:35, 53; 8:12; 11:25; 14:6)이기 때문에, 그리스도와 연결된 인생을 사는 자는 생명 안에 있다. 그런 점에서 치유는 그리스도의 종말론적인 사역으로 미래적인 구원 사건을 ‘지금 여기에서’ 경험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과 치유성 연구

        김지연(Kim, Ji-yeo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5

        본 연구에서는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을 탐색하여 그 치유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러한 이 연구의 방향성은 일반적 시론과 동양의 음양오행을 융합해 통찰하고, 시 치료의 시야를 전위적으로 확대해 보려는 시도였다. 동양에서는 우주・자연의 생명이 음양오행이 生剋하는 원리를 통해 변화와 순환의 과정을 거쳐 조화를 이룬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양오행에 관한 기존 학설을 검토하여 ‘음양오행 체계’ 분류표를 만들어 이성선 시 해석의 토대를 세웠다. 이성선은 시, 우주, 삶이 합일되는 세계를 꿈꾸며 치열하게 시 창작에 몰입했다. 이성선은 전 詩作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광대한 우주와 모두 하나로 꿰어진 생명이라고 역설했다. 우주의 신비를 생명의 언어로 시화하려는 이성선의 시적 동경은 그의 시를 음양오행의 시각으로 해석하게 하는 단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木・火・土・金・水의 오행이 生剋하는 이성선의 시를 오행 상징 ‘나무’・‘달’・‘산’・‘별’・‘물’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생명의 우주율이 형상화된 오행생극의 자연시로 조명해 분석했다.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과 치유의 힘은 ‘나무’―생명의 우주율을 꿈꾸는 영원의 꽃, ‘달’―원초적 생명에의 동경과 열정, ‘산’―생명의 조화를 주재하는 터전, ‘별’―견고하고 의로운 생명의 빛, ‘물’―생명의 원천과 정화 등으로 해석되었다.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은 시적 자아와 우주와의 교감을 통해 치유의 연금술을 보여주었다. 음양오행의 생명관과 가치에 대한 연구는 자아와 우주의 교감, 몸과 자연의 경계를 해체하고 통합시켜, 역동적 치유성을 탐구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주었다.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이성선 시의 생명의 우주율을 탐구한 이 연구가 시 치료에 있어서 하나의 방법론으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Lee Sung-sun’s poetry imagination in his figurative descriptions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shown in his poetry, and its healing effect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combine common poetic theory with the Easter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o widen the view on the poetry therapy. Lee Sung-sun has been aspiring to create a world that combines poetry, universe and life. He expresses the combination of the universe and motions of the poetic-self through dance in his poetry. Lee Sung-sun’s poetry depicts an image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gracefully joined in unison and yet in opposition of one another. He depicts universe of life through nature poetry with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e East, people found the truth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rough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is study systematize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by considering existing theories. Image of the wood, fire, earth, metal and water in his poetry are analyzed and he explains how these elements have the capacities of therapy. Imagery depicted in the imagina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Lee Sung-sun’s poetry shows capacities to heal through communion of poetic-self and universe. Through the perspective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 hope that this study, which explored universe of life, will be considered as one methodology in poetry therapy.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용서

        손철우 ( Chul Woo S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3 생명과 말씀 Vol.8 No.-

        우리는 용서를 너무 쉽게 다루려고 한다. 특히 한국인들에게 용서는 보복하든지, 아니면 잘못을 덮고 화해하려고 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용서를 올바로 이해하지 않으면 개인적, 사회적, 공동체적으로 심한 피해를 입게 된다. 이 논문은 용서에 대한 좀 더 균형 잡힌 올바른 신학이 무엇인지 고민을 다룬다. 먼저 개혁주의생명신학이 무엇인지 다루고,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토대 위에 진정한 의미의 용서가 무엇인지, 잘못된 용서는 어떤 것인지, 기독교 신학은 용서에 대해서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를 다룬다. 우리가 용서에 대한 올바른 신학을 갖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용서는 단순히 개인적인 내적 평안을 추구하는 행위가 아니고, 개인의 양심에 입각한 도덕적 의무도 아니고, 자신의 구원을 보장하는 선한 행위도 아니다. 우리는 용서를 너무 성급하게 다루어서는 안된다. 용서의 진정한 목표는 인격과 인격이 만나고, 그 안에 진정한 연결과 화해가 일어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의 희생과 부활을 통하여 우리와 새로운 의의 관계로 초청하셨듯이, 우리도 용서를 통해서 자신의 상처를 인정하고,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올바른 관계를 세우기로 결정하는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단순히 지적으로 용서를 바라보지 않고, 그 안에 진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나고, 그 분의 음성에 순종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지식이 인간을 변화시키고 새롭게 하여 우리 무너진 관계 속에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게 된다. 개혁주의생명 신학은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일이 구체적으로 삶에서 나타나야 함을 강조한다. 목회자들과 목회상담학자들은 화해와 연결의 역할을 감당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용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신학을 가진다면 그들을 찾아오는 내담자로 하여금 올바른 용서를 통한 더 풍성한 삶으로 인도하게 될 것이다. 목회자와 목회상담자들은 용서에 대한 다양한 조망을 가져야 한다.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전체적으로 끝까지 들어주어야 한다. 성령의 능력을 의지하고, 아무리 용서가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이라도, 하나님의 치유와 소망을 가지고 기도로 성령의 도우심을 구할 수 있다. 목회자와 목회상담학자들은 용서를 하는 과정에서 가해자와 피해자가서로 만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Even though we believe that the matter of forgiveness is at the heart of one’s spiritual life, we have a tendency to overlook the issue of forgiveness. Often, the need to reconcile takes precedence over forgiveness, and this especially rings true in the Korean community. If forgiveness is not understood correctly, it could potentially bring much pain and harm to a person, society, and community. This paper seeks to discuss a balanced theological view on forgiveness on the basi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It explains the true meaning of forgiveness, “false forgiveness,” and what the Christian theology teaches about forgiveness.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firmly grasp the theological concept on forgiveness. Forgiveness simply is not about seeking an inner peace, not a moral responsibility that grows out of personal conscience, nor is it a deposit assuring one’s salvation. We should not overlook the issue of forgiveness but seriously consider its significance. The true purpose of forgiveness is on reconnecting and reconciling person to person. As Jesus Christ invited us into a new relationship of righteousness through his sacrifice and resurrection on the cross, we too, through forgiveness, could acknowledge our hurts, confess our sins, make a decision to restore relationships. The Reformed Life Theology does not only look at the issue of forgiveness on an intellectual level, but it emphasizes the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 Christ, a true obedience to His Word that is firmly carried out in the life of a believer. That is where the true change and transformation begin, allowing us to move toward a new future from damaged pasts and relationships.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are those who serve as liasons for reconciliation and re-connection. Having a keen theological awareness on the issue of forgiveness would help them guide their counselees to live a more spiritually fulfilled life.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should recognize that there are different views and stages in forgiveness. Also, the importance of listening cannot be overstated. Even in the midst of circumstances where forgiveness seems impossible,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orks to bring God’s healing and hope through prayer. Pastors and pastoral counselors should make an effort to help bring both the victim and the offender to meet in the process of forgiving.

      •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과 교육철학적 함의

        장수복,윤보숙 전국상담복지학회 2018 전국상담복지연구 Vol.2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철학적인 관점에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육적인 함의들을 발견하려는 데에 있다. 이정연에 의해 개발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동양적인 사고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는 우주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함께 더불어 사는 대긍정의 세계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푸드아트테라피는 전일적인 치유을 추구한다. 둘째, 푸드아트테라피는 통합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셋째, 푸드아트테라피는 사회구성주의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이와 같은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내담자와 상담자는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회복과 치유를 향해 나아갈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us today by analyzing the life-centered thoughts in F ood Art Therapy from an educational philosophical perspective. The life-centered thoughts of Food Art Therapy developed by Lee Jung-yeon is based on oriental thinking and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Its ultimate goal is to restore cosmic sensitivity and move on to a world of great affirmation that lives together. Therefore, The life-centered thoughts of Food Art Therap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Food Art Therapy seeks holistic healing. Second, Food Art Therapy seeks an integrated healing. Third, Food Art Therapy seeks social constructivist healing. This life-centered thoughts of Food Art Therapy suggests that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will move toward recovery and healing together through interaction.

      • KCI등재

        생명, 아이의 마음[童心], 그리고 놀이

        정갑임(Jung, Gap-Yim)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0

        ‘어떻게 생명력을 회복할 수 있을까?’하는 질문에 대한 하나의 탐색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왕양명과 그의 제자들이 말하는 ‘아이의 마음’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본다. 양명학에서 ‘아이의 마음’은 생명체로서의 본연성과 활동성을 잘 드러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그것을 통해 생명의 회복에 관한 유의미하고 생산적인 양명학의 철학적 통찰을 찾아낼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탐색은 실행을 중시하는 양명학을 공부하는 양명학도로서 생명과 성장에 대한 우리의 감각을 키우고 확장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이자 인생을 즐겁게 사는 방법으로써 어른에게도 놀이가 필요하다는 실천적인 제안을 포함한다. 우리 안의 아이다움을 회복하는 것은 우리의 본래적인 생명력을 되찾는 것과 다르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생명력을 회복하는 방법으로 제안하는 것이 바로 놀이인 것이다. 이러한 취지의 연구는 펄스가 창시한 게슈탈트 치료 및 게슈탈트 표현예술치료와 왕양명 철학의 만남이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연구방법이 왕양명의 철학이 가진 치유적 성격을 보다 잘 부각시킬 뿐만 아니라 아이의 마음을 치유적 차원에서 설명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In this research ‘the heart of a child’ of which Wang Yang-ming and his disciples speak is to be examined and ruminated on its meaning as a way of approaching the question, ‘How can we restore life force?’ With the idea of ‘the heart of Child’ of Wang’s philosophy, the nature and action of living organism is well expressed. Thus it is to be expected to find a meaningful and productive philosophical insight into how to restore the life force. As a researcher of Wang’s philosophy who highly values practice, I include this exploration as a workable suggestion that adults also need play as a way to lead a happy life and develope our ability to expand our senses on our life and growth. It is as good as regaining one’s innate life force to recover ‘the Heart of a child’ in us. And play is suggested here as a method to do so, which includes regaining playing nature of life. In pursu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intend to introduce the meeting of Gestalt Therapy founded by Fritz Perls and Gestalt Expressive Art Therapy and Wang’s philosophy, regarding this as a very effective way to explain Wang’s life view and its idea of ‘the Heart of a child’ on the perspective of healing.

      • KCI등재

        4·16 생명안전공원의 공간적 의미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50 No.-

        본 연구는 세월호를 어떻게 기억하고 상처를 회복할 것인가에 대해 4·16 생명안전공원이 갖는 공간적 의미를 통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우선 생명안전공원의 조성을 위한 과정을 살펴본 뒤, 공간으로서 생명안전공원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첫째, 기억공간으로서의 생명안전공원은 희생자 가족에게 애도와 추모의 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회적 참사에 대한 애도와 추모의 공간이기도 하다. 둘째, 추모와 애도의 공간, 치유와 화해의 공간, 기억의 영토화가 이뤄지는 공간이다. 또한, 갈등과 합의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 가는 공간이며 도심의 공원에위치하여 도시 재생을 비롯한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곳이기도 하다. 끝으로4·16 생명안전공원이 사회적 참사로 인한 아픔과 슬픔에 대한 애도와 추모를넘어 안전과 생명을 중시하는 사회로 가는 미래의 희망을 만들어 가는 상징적이고 실질적인 공간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patial meaning of the 4·16 Life-Safety Park on how to remember the Sewol ferry and recover the wounds. After examining the proc- ess for the creation of the 4·16 Life-Safety Park, the spatial meaning of the 4·16 Life-Safety Parka space is examined with concept of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and ‘therapeutic landscaping. First, the 4·16 Life-Safety Park as a memory space not only provides a space for mourning and remembrance to the victims’ families, but also a space for mourning and remembrance for social disasters. Second, it is a space for healing and reconciliation, and a space for territorialization of memories. In addition, it is a space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conflict and consensus, and is located in a park in the city center and has various possibilities including urban regeneration. Finally, this article offer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4·16 Life-Safety Park to become a symbolic and practical space that goes be- yond mourning and commemoration for the pain and sorrow caused by social disasters and creates hope for the future toward a society that values safety and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