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상돈(Kim Sang D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2

        황우석 사건은 우리 사회에 많은 교훈을 남겼다. 생명 공학자와 의학자의 연구 윤리도 중요하지만 일반 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가 그에 못지않게 심각하게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왜냐하면 논문조작과 연구 과정에서 있었던 지속적이고 거대한 기만의 배후에는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사건의 재발을 막는 데 일반시민들의 성숙된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 관련 가치와 덕목의 신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예비 시민들인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철저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 7차 교육과정과 시안이 개발된 8차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의료윤리교육은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교과서 서술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다루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양적, 질적으로 아직 미흡한 수준이며, 교과서 수술에 있어서 생명의료윤리를 직접 가르치기보다 우회적으로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This paper is on moral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special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Whang's scandal gave us a lot of lessons. Above all we learned that a rigid ethical standard should govern bio-medical researches. But Research Ethics may be not the essence of Whang's scandal, for many people of us still wait for junior Whang who willingly observes the rule about an egg donation procedure etc.. Therefore they do not think Whang's research itself has moral problems. Except Research Ethics, their bio-medical ethical consciousness has not changed. At this point something is wrong. We must rethink our moral beliefs about bio-medical situations such as life, death, pain and happiness. Our history of moral debates on bio-medical issues is not long, moreover it's density and extent too is not enough. From now we need to reorganize festina lente the program for our bio-medical consciousness' maturity.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a moral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about modern bio-medical issues is proposed. Our present level of it is not high. Particularly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f a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does not get out of traditional moral principle about bio-medical issues, and then does not touch the core of modern bio-medical ethical issues. Some problem in curriculum and text books are needed to resolve.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안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찾아보았다. ``의료해석학``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원용해서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탐구가 필요한 이유와 그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생명의료영역에 해석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이유는 우선 생명현상을 자연과학적 접근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탄생과 성장, 죽음에 대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명은 설명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이해와 해석의 대상이라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생명의 과학적 의미, 철학적 의미, 해석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의료해석학의 관점에서 인간이 내러티브 텍스트로서 간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의료영역에서 바른 진단은 과학적 자료 못지않게 환자와 의사의 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내러티브 텍스트가 갖는 비중을 고찰하였다. 생명의료영역은 순수과학으로서가 아니라 해석학적 기획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 레더(Drew Leder)의 주장을 논거로 삼고, 내러티브 텍스트가 의사와 환자의 지평융합의 중심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내러티브 해석은 의사와 환자를 주종관계로 서열지우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성을 토대로 자기이해와 행동으로 이전된다는 점에서 윤리학적 관점을 동반한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다음 장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모델로서 내러티브 탐구가 어떤 의의를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내러티브 해석을 하는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목적은 모든 인간은 흠이 있다는 점을 수용하고 타자의 고통에 공감하는 것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탐구와 해석을 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은 생명의료현장에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과정과 유비될 수 있다. 생명의료윤리교육에서 직접 환자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의사가 환자의 내러티브를 탐구하듯이 생명의료윤리 주제들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기존의 내러티브를 활용해서 탐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paper investigates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n the view of hermeneutics. I tried to explore the advantage of the narrative inquiry in biomedical ethics education. Hermeneutical approach to the biomedical area is helpful to understand human life phenomenon. We can``t understand fully the human birth, growth and death for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has its limits. Life and disease is not only the scientific object but also human life`s experience. Hermeneutics is an instrumental argument for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From the perspective of clinical hermeneutics and narrative inquir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of human life, the possibility of human life text, The role of narrative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hermeneutics and ethics in narrative inquiry, Narrative analysis in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courses. There is an ontological and ethical meeting point in narratives. Comprehension is both an epistemological as well as an ontological phenomenon. Physician and the pati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intersubjectivity in narratives. Teachers and students can meet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s experience and the truth in their narratives.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clinical field and the educational field as the similar narrative space, physicians are require to understand patients.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clinical field and the patient to make ethical judgments.

      • KCI등재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을 활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의 모색

        백지연,이은애,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2005년 10월 19일 프랑스 파리 제33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은 의학, 생명과학 및 관련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 제들을 그 사회적, 법적, 환경적 측면에서 다룬다. 유네스코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실천을 위해 전 세계 의과대학생들을 위한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 프로그램(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이 번역, 출판되어 있지 않으 며 이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필자들은 국제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한 유네스코 생명윤리교육 과정을 한국의 의대, 약대, 간호대를 비롯한 보건의료 관련 대학 학생들의 도덕에 관한 비판적 사고력 향 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먼저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가 되 는 생명윤리와 보편적 인권선언과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목적 및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해 소개한다. 다음으로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및 사례집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본다. 마지막으로 유네스코 생명윤리 핵심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 사례집을 활용한 생명의 료윤리교육의 구체적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안(교수학습방법으로 콜버그[L. Kohlberg]의 딜레마 토 론법[Dilemmas for Moral Reasoning]을, 학습평가방법으로 레스트[J. Rest]의 도덕 판단력 검사법[DITDefining Issues Test])을 제안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module that is us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Many universities across several countries have not yet incorporated bioethics into their curriculums. We believe that introducing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Casebook Series in universities will provide an incentive to include such a module in study programs, thus offering a strong foundatio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iomedical ethics.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escribe how they introduced teachers and students to the UNESCO-Bioethics Core Curriculum, based on the 2005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and then examined the model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provided in the UNESCO Bioethics Core Curriculum Casebook Series. As per the curriculum,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teaching module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four elements: objective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 KCI등재

        병원간호사 서비스 교육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한상애(Han, Sang A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2

        오늘날 의료 환경의 변화는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경쟁력 강화와 성과 달성을 목표로 고객만족을 위한 경영전략을 필수적으로 적용하게 만들었다. 이에 따라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교육이 최근에는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를 포함하여 전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병원간호사는 1983년부터 이미 서비스 능력교육인 전문직 보수교육을 받아오고 있었으며, 1990년대부터는 의료기관의 경영전략과 맞물려 서비스 성향교육이 추가되었고, 최근에는 간호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전략의 하나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에 생명윤리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윤리교육은 매우 미미하여, 병원간호사들이 환자들의 "자율성과 권리가 침해당하지 않도록 돕는 권리 옹호자이자 대리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생명윤리는 현대의 과학 기술이 초래한 여러 문제들에 맞서서 인간의 생명과 인격의 자유와 존엄에 대한 위험이 내재하는 학문과 연구 분야라면 어디서나 요구되는 것이다. 특히 병원간호사들은 간호현장에서 '죽음'과 관련되어 많은 생명윤리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사회적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생명윤리적 문제들의 요소들과 생명윤리적 논거들에 대하여 병원간호사들은 올바르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환자라는 한 인격체의 전체적 균형과 조화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동시에, 신체적 차원에서의 간호만 아니라 영적 차원에서의 돌봄에도 초점을 맞추는 '전인 돌봄'을 지향하는 간호야말로 오늘의 의료현장에서 일어나는 생명윤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적 요소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병원간호사에 대한 생명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의 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간호윤리 교육에 기본적으로 생명윤리가 포함되지만, 생애 주기별로도 생명윤리 교육을 접목시켜야 한다. 둘째, 병원현장에서의 생명윤리 교육이 사례중심의 보수교육으로 정기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셋째, 병원간호사들이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Nowadays, changes in health care environments have made hospitals to adjust business strategy in order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to accomplish customer satisfaction. This has led most hospitals offer service education program to their employees including nurses. Hospital nurses already have been tak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ir qualities of nursing service since 1983. By the 1990s, hospitals have started to add some kinds of service education courses for customers to their in-service programs for nurses according to business strategy. Now, service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a higher level of health care service. However, nurses often tend to fail to play their roles as 'a representative and a supporter who can help protect patient's autonomy and right' due to the lack of education on bioethics and professional ethics. Bioethics should be considered in any field where human life, free expression of personality, and human dignity might be threatened by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Since hospital nurses face a large number of bioethical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death' while on duty, they should have correct understanding regarding bioethical issues: the criteria or affecting factors to make a decision such as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or euthanasia. In addition, nurses should be able to respect and take a good care of patient both physically and spiritually. By doing this, nurses will be able to accomplish 'holistic care', and 'holistic care' will be the key factor to solve bioethical problems rising in health care fields. In conclusion, to build the nurse's proper attitude toward bioethical issues, following thre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bioethical education class should be offered in the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s. Second, bioethical education based on clinical cases should be offered as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which nurses can enhance their abilities to take care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are facing death.

      • KCI등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요양보호사에 미치는 효과

        정은영,박지경 한국의료윤리학회 2015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caregivers’ understanding of biomedical ethic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dop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8 caregivers who work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with 29 caregivers in each group, and the effects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test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9.0K statistical pack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positive changes were detected in their understanding of biomedical ethics and their attitudes to the elderl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more positiv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right to life of fetuses, artificial abortion, artificial insemination, prenatal diagnosis of fetuses, brain death and human biotechnology as well as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ccordingly,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that was provided to caregivers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givers’ understanding of biomedical ethic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ㆍ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S시 소재의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으로 총 58명을 대상으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K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χ2-test,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군은 생명윤리 교육 후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는 교육 전과 비교하여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실험군의 생명윤리 교육 후 생명의료윤리의식 중 태아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인공수정, 태아진단, 뇌사, 인간생명공학과 노인에 대한 태도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요양보호사에게 실시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은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실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장기기증 지식에 미치는 영향

        주세진,강균영,박정희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과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1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7명에게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 장 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관한 지식이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F=35.21, p=.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of nonequivalent groups and is design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f 2 group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one group who received the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and the other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education – regarding biomedical ethic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We conducted this research for the 76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f a certain university located in “C”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ischer’s exact test and t-test, ANCOVA using SPSS 23.0 program. As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f brain-death organ donation between the above 2 groups (t=35.21, p=.000).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영향요인

        강현희,강복희,원선애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concern an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ight be influencing or correlated with nursing students’ level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Participants were 435 nursing students in one nursing college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 way ANOVA, a Scheffé test, a Pearson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concern of bioethics (β=.517, p<.000), followed by teaching methods (β=.129, p=0.02), age (β=.115, p=.004), desire to study ethics (β=.103, p=.011),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β=.096, p=.016), effective teaching methods (β=.090, p=.016) and information source (β=.079, p=.026).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4.9% of the variance in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F=158.279, p=.000).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can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생명의료윤리 교 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1개 대학 간호 대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생명 윤리관심, 윤리교육방법, 연령, 윤리교육 참석여부, 흥미 있는 학습법, 효과적인 교육방법, 정보 습득처 였다. 이들 요인들은 생명윤리의식에 대해 34.9%의 설명력을 보였다. 간호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은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과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강조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김선영(Seon 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 교육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개 4년제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45명, 대조군 63명이다. 실험집단에는 10개 영역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강의가 16주 동안 제공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26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1주차와 16주차에 사전-사후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생명의료윤리의식이 3.07점에서 3.31점으로 향상되었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태아생명권 3.20점에서 3.55점, 인공임신중절 3.08점에서 3.69점, 인공수정 2.99점에서 3.57점, 태아진단 3.10점에서 3.45점, 신생아권리 3.39점에서 3.55점, 장기이식 3.26점에서 3.53점으로 향상되었다(P<.001). 반면 안락사, 뇌사, 인간생명공학 영역의 점수는 변화가 없었다(p>.05). 영화를 이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유발, 그리고 교육만족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영화콘텐츠가 강의주제와 부합된다면 간호교육에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movies. This study selected the first-year 45 students and 63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t two 4-year-course nursing college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n, this study provid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lecture on biomedical ethics for 16 weeks using the movie related to the ethical issues covering 10 areas. Data collection was done for 5 days from August 26, 2013 until December 5, 2013, and conducted pre-post questionnaire survey on the 1st week session and 16th session after explaining there search purpose and getting a written agreement from the subjec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Statistics 18, it was found that students’ average point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improved to 3.31 from 3.07; additionally, in the analysis of the data by sub-area, the point in artificial abortion improved to 3.69 from 3.08; artificial insemination from 2.99 to 3.57; fetal diagnosis from 3.10 to 3.45; a newborn’s right to life from 3.39 to 3.55 and organ transplant from 3.26 to 3.53, respectively(P<.001). On the contrar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point of the mercy-killing, brain death, and human biotechnology areas, respectively(p>.05). Conclusively, movie-aided education could be diversely used for nursing education provided movie contents should be in accord with a lecture subject in a way that can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and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 KCI등재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 I - 에리히 프롬의 입장을 중심으로

        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4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7 No.2

        This article examines some of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authoritarianism in the Korean medical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Erich Fromm. The article first describes the authoritarianism inthe Korean medical community using Fromm’s concepts of “alientation” and “escape.” The article thenintroduces Fromm’s concept of “activity” as a means of overcoming some of the problems with authoritarianism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교육이 사회를 반영하듯이, 의료도 사회를 비춘다. 본 논문은 우리 사회의 권위주의적 경향이 교육과 의료의 영역에 만연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프롬의 자본주의비판과 관련된 입장들이 한국 의료 사회를 대상으로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이려고 한다. 이 목표를 위해 먼저 에리히 프롬의 사상을 개관해 보고, 사례를 통해 한국 의료계를권위주의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인지에 관해 다루어 본다. 이후 에리히 프롬의 여러 사상적 개념들 중에서 특히 소외와 도피의 개념에 주목하여, 한국 의료계의 여러 현상들에 상식적으로 적용한다. 이때 상식적이라 함은 특별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동원하지 않고,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었을 의료 경험을 통해 수긍할 만한 수준을 뜻한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필자는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을 극복하기 위해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프롬의 입장에서 제안하려고 한다. 프롬은 현대인들이 활동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있다고 비판한다. 필자는 프롬이강조한 활동의 회복이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김정아,오승민,김평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Biomedical ethics education as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has crucial role in medical education for student, interns, and residents. It helps clinical faculties to educate their trainees about the importance of medical ethics in clinical situation, and to encourage the trainees to integr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ey have been taught in formal 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with the new clinical context they are dealing with. However,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is area has been neglected. This article introduces an attempt for faculty development on medical ethics education which is provided to new faculty members in one medical center. We developed workshop program for two days and also wrote a book on medical ethics for clinicians. We found changed perception on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received positive feedbacks. New faculty members came to have more self-efficacy on medical ethics and perceive more need on medical ethics education. This would help them to be a good role model for their trainees as well as a good doctor for patients.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 교육, 특히 의학교육 내에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중 필수적 부분인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의 분야를 다룬다. 생명의료윤리 교육이 의학교육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이를 의(醫)의 실무 속에서 행함으로써 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롤모델이 되어 줄 의학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지금까지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개 의료원에서 신임교원을 대상으로 제공한 생명의료윤리 교육을 교수개발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한다. 새로운 구성원에게 기관의 윤리적 사명을 명시적으로 표명하는 것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그들이 받고 있는 기대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진료 현장과 교육의 현장에서 윤리적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재 개발과 워크숍으로 이루어진 본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습자들은 생명의료윤리 지식에 관한 자기평가와 필요성 인식 모두 증가한 양상을 보였고,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만족도 결과와 더불어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교수개발의 차원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당위와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