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 개설현황 조사연구 - 4년제 작업치료학과를 중심으로

        김지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3

        목적 : 국내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의 개설현황을 조사하여, 작업치료사와 관련이 깊은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학의 대비 정도를 점검하고 향후 관련하여 교과과정 심의를 준비하거나 표준교과과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4년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의 교과과정 정보를 수집하여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관련 필수과목들 의 개설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결과 : 첫째, 공통필수 과목인 ‘장애아동의 이해’ 개설학교는 9개교(28%)였고, 전공필수 과목의 경우 ‘신경과학/신경해 부학’은 32개교 전부에, ‘감각처리장애와 중재/감각통합치료학’은 31개교(97%)에, ‘아동검사 및 평가’와 ‘감각재활현 장실습’은 각각 동일하게 7개교(22%)에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유사과목을 포함한 경우, ‘신경과학’과 ‘감각처리장애 와 중재’와 ‘아동검사 및 평가’는 32개교(100%) 전체에 개설되어 있었으나, 실습교과의 유사과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전국 4년제 작업치료학과의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도 점수의 경우, 7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4개교, 6점은 4개교, 5점은 2개교, 4점은 1개교, 3점은 2개교, 2점에 해당하는 대학은 19개교였다. 결론 : 감각발달재활사 자격기준 전공필수 교과들의 경우 실습을 제외한 다른 3 과목은 유사과목을 포함하여 전국 4년 제 작업치료학과 32개교에 전부 개설되어있어 전문성 측면의 대비는 잘 되어있는 편이지만, 공통필수인 ‘장애아동의 이해’와 실습교과인 ‘감각재활현장실습’의 개설현황은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현황이다. 상당수의 대학들이 발달재 활서비스 자격관리사업에 대한 대비를 시작한 것으로 보이지만, 교과과정 상에 보다 적극적인 의지와 정확성이 반 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각발달재활사 양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대학에서는 공통필수 교과와 필수 실습교과의 개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더불어 감각발달재활사 기준 지정명칭의 과목을 개설하고 제시되어 있는 교수요목을 고려하여 과목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stablishment status of the mandatory courses designa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for qualific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pecialist(SDRS), within curriculum of baccalaureate occupational therapy(BOT) programs in Korea Methods : This is a narrative study to investigate and analyze certain courses established in curriculums of all 4-years occupational therapy(OT) programs, which is 32 schools. Results : 1) The shared mandatory subject,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UDC)’, has been established at 9 schools. For the branch mandatory subjects, ‘Neuroscience(NS) or Neuroanatomy’ has been established at all 32 schools, ‘Sensory Processing Dysfunctions and Intervention(SPDI)’ or ‘Sensory Integration’ has been established at 31 schools, and each of ‘Assessment & Evaluation for Children(AEC)’ and ‘Practicum of Sensory Rehabilitation(PSR)’ has been established 7 schools for same. 2) For the mandatory courses, all 32 schools were offering designated- and alternative courses of NS, SPDI, AEC,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number of schools offering the practicum course since there was no case of alterative for it. 3) In terms of general provision score, there were 4 schools for score 7, 4 schools for score 6, 2 schools for score 5, 1 schools for score 4, 2 schools for score 3, and 19 schools for score 2. Conclusion : Establishment of the mandatory courses required to the qualification of SDRS among the BOT programs in nation were investigated. Including alternative courses, all the branch mandatory courses except practicum course are established in all the 32 schools. However, the shared mandatory subject, UDC and the practicum subject were established in only few schools. In the provision level evaluation of BOT programs for the SDRS qualification, it is shown that many schools has been started the provision already but still many schools’ curriculum did not reflect the willingness and accuracy well. For the schools planning successful accreditation in near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they prioritize the establishment of the shared mandatory course and the practicum course since these two subjects are recognized as critical factors for that. In addition, it is also needed of comparative inspections for course title and syllabi based on the guideline provid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CI등재

        언어치료를 위한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현황 및 지원금의 적정성 연구: 부모를 대상으로

        김재옥(Jaeock Kim),김태우(Taewoo Kim),이조영(Jo-Young Lee),정경희(Kyunghee J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은 물가나 최저임금 등의 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채 1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어 질 높은 재활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국내 발달재 활서비스 지원금에 대한 인식 및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현황, 특히 언어치료서비스의 이용 현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발달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 인식,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현황과 언어치료 발달재활서 비스 이용 현황에 관한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성실하게 응답된 27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발달재활서비스 현황에서 현행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이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85%였고, 31-40만 원이 가장 적정한 지원금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발달재활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적정하다고 인식하는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의 액수가 높아졌다. 아동이 현재 발달재활서비스로 제공받는 치료의 개수는 2개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필요하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치료 유형은 언어치료였다. 발달재 활서비스를 이용한 월평균 언어치료 횟수는 4회가 가장 많았으나 적정하다고 인식하는 언어치료 횟수는 8회가 가장 많았다. 발달재활 서비스 지원금 외 추가로 부담하는 자부담금은 응답자의 약 74%가 80,000원 이상을 지불한다고 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약 94%가 아동이 성인이 된 후에도 정부로부터의 치료지원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아동의 치료지원을 위해 마련된 발달재활서비 스는 현행 제공되는 지원금이 이용 아동의 부모들이 인식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지원금의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Objectives: The subsidy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voucher) has gone unchanged for more than 10 years without consideration of rising prices or minimum wages, and thus they do not provide high quality rehabilitation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using vouchers in regards to the use status and subsidy appropriateness of vouchers, in particular, vouchers for speech-language therapy (ST) services.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 questions about the use status and subsidy appropriateness of vouchers and vouchers for ST was distributed to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ho were currently using vouchers. Two hundred seventy-six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Eighty-five percen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subsidy of voucher was not appropriate, with the most frequent response being that KRW 310,000-400,000 would be the appropriate amount. Most children were receiving two types of therapy using vouchers, and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herapy was ST. The number of ST sessions per month using vouchers was 4 times, however the number of ST session believed to be necessary was 8 times. Seventy-four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paid more than KRW 80,000 in addition to voucher. Conclusio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voucher has been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functioning of disabled children and alleviating the burden of their family, however there is not enough voucher support to achieve t purpose,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voucher subsidy.

      • KCI등재

        발달장애인 고용에 관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윤정란,조원일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직접 고용하고 있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현행 발달장애인 고용과 직업재활을 둘러싼 정책과 실천현장의 괴리를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 10명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발달장애인 고용 및 직업재활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였고, 질적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4개의 개념, 14개의 하위범주, 4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주요 범주는 ‘혼돈의 발달장애인 고용에 대한 노동의 신패러다임 필요’,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의 유용성’, ‘미비한 정책으로 혼란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기능의 재정립’,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정체성 확립’이다. 제언으로는 발달장애인만을 위한 장애인고용제도 마련과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소득보장제도 개선, 발달장애인 보호고용이 아니 사회적 고용으로의 전환, 최중증 발달장애인 고용 및 직업재활을 위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을 기능 변화, 종사자의 정체성 확립과 더불어 발달장애인의 노동에 관한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에 대한 인식도 조사

        성라윤,장문영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3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21 No.2

        목적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감각발달재활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99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4일부터 2022년 11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추가문항은 빈도분석,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와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 문항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one 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는 4.50±2.40점,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는 4.22±2.55점으로 나타났다. 발달재활서비스 인식도는 학년, 아동 관련 실습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 인식도는 학제, 학년, 관련학과 인정 여부, 아동관련 실습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지역사회에서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의향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자격인정을 받을 의향은 높으나 관련 인식도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문성 있는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양성을 위해 학교에서는 발달재활서비스 및 감각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과관련된 교육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DRSs) and the certification of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SDRSPs). Moreover, it also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warenes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were intend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research on sensory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99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nationwide from October 4 to November 5, 2022.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dditional items.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students’ awareness of DRSs and SDRSP certification. Any differences in the students’ awareness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sing t-tests and an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 The students’ awareness of DRSs was moderate (4.50 ± 2.40), while their awareness of SDRSP certification was also moderate (4.22 ± 2.55). The awareness of DRSs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year and child-related practice experience. Similarly, the awareness of SDRSP certific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the students’ academic program, academic year, recognition by the related department, and child-related practice experience. Conclusion :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expressed a strong intention to provide DRSs and become certified as SDRSPs. However, their awareness levels were moderate.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efforts and the provision of relevant information about DRSs and SDRSP certification in universities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competent SDRSPs.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을 재활체육 보조지도자로 양성하기 위한 요인들 간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이용화,정기천 한국발달장애학회 2019 발달장애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core factors for teacher assistants, which influenced the work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ranked from the most to the least important,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nual development and vocational models for related field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for teacher assistants who particularly instructed physical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Delphi method and hierarchical analysis(AHP) were used to rank the factors from the most to the least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ere programs, leaders, educational materials(manuals), systems, and public relations. Second, in order of importance of the factors, education materials (manuals), programs, leaders, institutions, and public relations were determined.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에 재능과 능력이 있는 발달장애인을 재활체육 현장에 보조지도자로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그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매뉴얼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발달장애인 재활체육 보조지도자 직업 모델 개발과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연구보고서 등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 재활체육보조지도자 양성요인을 검토하였으며, 발달장애인 재활체육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Delphi) 조사와 계층분석(AHP)을 실시하여 발달장애인 재활체육보조지도자 양성을 위한 요인들의 우선순위 및 상대적 중요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향후 발달장애인을 재활체육보조지도자로 양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은 프로그램, 지도자, 교육자료(매뉴얼), 제도, 홍보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을 재활체육보조지도자로 양성하기 위한 상대적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교육자료(매뉴얼), 프로그램, 지도자, 제도, 홍보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한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 요구 분석

        김영준,권량희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needs for the convergence of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which is one of the measure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restructure the majoring cour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an organizational level. FGI was used for the research method, targeting exper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The study contents and results were presented in three main aspects. First, based on the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composed by the current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the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IDD, the study examined whether it is reasonable for the current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 restructured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th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Second, the plan required to train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was suggested for the restructure of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 plan required for the plac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was suggested for the restructure of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f the majoring courses for the current developmental disability are converged with the training and plac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in order to be restructured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linkage and advancement of the current majoring courses curriculum into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the qualification of coordinator type professionals through counseling-based curriculum planning,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s centered on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realization of standards for training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major courses possible could be analy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manpower exchange project through linkage between majoring courses-led regional institutions can be promoted.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공과가 조직적인 차원에서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되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한 가지 방안에 해당하는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에 대한 요구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가 사용되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크게 세 가지의 측면으로 제시되었다. 첫 번째는 현행의 발달장애 전공과가 구성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와 갖는 정합성,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간 정합성 등을 근거로 하여 현행의 발달장애 전공과과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을 통해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되는 것이 타당한가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는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에 요구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는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배치에 요구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현행의 발달장애 전공과가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되기 위하여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및 배치와 융합될 경우 현행 전공과 교육과정의 평생교육과정으로의 연계 및 고도화, 상담 기반의 교육과정 기획을 통한 코디네이터 유형 전문인력 자격, 교육과정 운영 중심의 전문인력 자격, 대학-전공과 간 협력을 통한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기준의 구체화, 전공과 주도의 지역 유관기관 간 연계를 통한 평생교육 전문인력 교류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다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의 서비스 및 인력 현황과 개선방안

        김정희,조윤경,박주영,이의정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status of centers and of personnel by service types as the basic sources to control the quality of service,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based on data collected. The surveys were implemented on 1,448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centers during August-October, 2013. The 1,156 centers(79.8%) were responded to the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on the general information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centers, the number of centers showed the differences by region. Individual business workers as service type, big cities as location, establishment since 2006 and operation on small scales were main current. Second, on the presen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status of centers, the rate of non-voucher showed the higher than of voucher. Individual business workers as service typ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for the disabled as service providing numbers were the higher rate than others. The big cities as location and the speech therapy as therapy type showed the high in the number of centers and customers. The cost per session of individual or group therapy was different from therapy type and location(center or home visits). Third, on the present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status of personnel, the rate of non-voucher showed the higher than of voucher. Th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s as center type and big cities as location on service providing numbers were the higher rate than others. The speech therapy as therapy type also showed the high in the number of centers and personnels. The understanding level on the qualification criteria was low, and the wages of personnel showed the differences among monthly pay, timely pay and therapy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politic improvement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질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서비스 제공 기관의 서비스 제공 현황과 치료유형별 제공인력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근거하여 발달재활서비스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국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1,448개소에 2013년 8월-10월에 걸쳐 서비스 제공현황과 제공 인력의 실태 관련 설문을 실시하였다. 1,156개 기관이 응답하여서 79.8%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통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재활서비스 기관 정보 측면에서, 지역별 기관 수에서 편차가 많았고, 유형별로는 개인사업자가 많았으며, 입지별로는 대도시 집중 현상이 있었다. 설립은 2006년 이후가 많았고, 운영방식 면에서는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바우처 보다는 비바우처 서비스 제공률이 높았으며, 유형별은 개인사업자가 기관 수에서 많으나 서비스 제공 수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이 많았다. 입지 면에서는 대도시가 기관 수와 이용자 수에서 높았다. 치료 유형별 기관 수와 이용자 수 모두 언어치료가 가장 많았고, 발달재활서비스의 개인치료, 집단치료 1회당 단가는 치료유형이나 치료 장소(기관방문/재가방문)에 따라 차이가 났다. 셋째,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인력 측면에서, 바우처보다 비바우처 인력이 많았으며, 제공인력 수에서 기관유형별로는 종합사회복지관이 높았고, 입지별에서는 대도시가 높았다. 기관 수와 치료사 모두 언어치료가 가장 많았고, 제공인력의 자격조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적었으며, 제공인력의 급여는 월급제, 시간제, 치료유형별로 격차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정책적인 보완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장애아동 재활서비스 지원 사업 실태 및 개선방안

        김정희 ( Jung Hee Kim ),김경란 ( Kyoung Ran Kim ),강정배 ( Jung Bae K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 재활서비스 지원사업의 일환인 발달재활서비스와 치료지원 의 지원실태 및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 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에서 결제가 이루어진 500만 건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전국의 1,535개의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과 8,901명의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55,556명 의 이용자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교육부의 치료지원 서비스의 경우 치료지 원 대상자 6,483명, 치료지원 이용자 40,401명, 659개의 치료실 현황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 유형은 언어재활이 1,359개소로 가장 많았고, 바우처 1회 평균 결제금액은 26,465원으로 이용자 1인당 연 평균 이용 금액 은 1,649,210원, 서비스 이용은 지적장애유형이 55.6%를 차지하고 있었다. 치료지원을 받는 대상자는 물리치료 3,535명(54.5%), 작업치료 2,948명(45.5%), 치료지원 외 서비 스의 경우 언어치료가 17,491명(44.8%)으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지원 이용자 총 40,401명 중 약 80% 정도인 32,415명이 1개의 영역에서 치료지원을 받고 있으며, 나 머지 20%는 중복수혜를 받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발달재활서비스-치료지원 수혜자격 의 불일치,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의 자격강화, 발달재활서비스-치료지원 서비스의 이원화된 전달체계 문제, 각 시도에 따른 치료지원 제공방식의 상이함 등이 관련쟁 점으로 부각되었다. 향후 두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발달재활서비스와 치료지 원의 유사·중복서비스 대상·영역 관련 업무조정 방안 강구, 발달재활서비스와 치 료지원의 통합에 따른 대상자, 제공명칭, 제공인력, 제공영역 차원에서의 법령개정, 발달재활서비스와 치료지원 전달체계의 일원화 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problem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is a part of supporting status of rehabilit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usage status and supporting status and to suggest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1,535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ing organizations, 8,901 development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55,556 service users throughout the nation were targeted based on 5 millions of payment data made on the social service electronic voucher system of Korea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status data of 6,483 service applicants, 40,401 treatment support users as well as 659 treatment roo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rganizations providing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the most common rehabilitation service was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was provided from 1,359 organizations. Average payment amount per voucher was 26,465 while annual payment amount per person was 1,649,21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used the service the most taking 55.6% and physical treatment was used by 3,535 people (54.5%) while work treatment was used by 2,948 people (45.5%). It was shown that 80% of people which is 32,415 out of 40,401 only received the treatment support in 1 area and the rest 20% received the support in more than 2 areas. It was indicated that main issues were disagreement betwee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treatment eligibility, qualifications of service providers, dual delivery system of development rehabilitation service and treatment supporting service and difference between delivering methods of treatment support in each province. For effective operation of two systems, the improvement of coordinating methods for duplicated/similar service applicant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treatment support, applicants of consolidated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treatment support, provision title, provision resource, law establishment for defining provision area and unification of delivery service betwee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treatment support we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 혼합설계

        주유미(Yumi Ju),김영근(Young-geun Kim),이희령(Hee-Ryoung Lee),홍승표(Seung-Pyo Hong),한대성(Dse Sung H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론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인지재활에 대한 부모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아울러 Python을 사용하여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하였고, 출현 빈도 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5명의 연구자가 의미 단위와 주제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의 현상에 대한 의미 단위 43개 및 구성요소 9개를 도출하였고, 이로부터 총 3개의 주제를 최종 도출하였다. 도출된 중심 주제는 인지재활의 정의, 인지재활의 문제점,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이었다. 인지재활은 발달장애 아동의 학습, 일상생활 기능, 인지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치료라는 인식이 있었다. 인지재활의 문제점으로는 치료방식, 치료사의 전문성, 치료비용에 관한 문제인식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치료사의 전문성, 입소문, 비용과 시간의 적정성이 있었다. 결론 :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는 인지재활을 통해 아동의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기대하고 있었고, 이와 더불어 임상에는 현실적인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보다 나은 인지재활 서비스로 발전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al perspectives on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a combinati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word cloud analysis. Methods :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d clou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ython, and five researchers analyzed the meaning units and theme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considered as a heuristic tool. Results : A total of 43 meaning units and nine component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derived, and three themes were finalized. The main themes encompassed the definition of cognitive rehabilitation, challenges associated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a cognitive rehabilitation institute. Cognitive rehabilitation emerged as a treatment focused on improving learning, daily functioning, and cognitive abiliti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erceived issues with cognitive rehabilitation pertained to treatment methods, therapist expertise, and associated costs. In addition, paren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rapist expertise, humane personality, and affordability of cost and schedule when choos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institute. Conclusion : Parents expressed expectations for substantial improvements in their children's daily functioning through cognitive rehabilitation. However, challenges were identified in clinical practices. Going forward, we expect that cognitive rehabilitation will evolve into a better therapeutic support service addressing the concerns raised by parents.

      • KCI등재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방향 모색: 미국의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황주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4

        발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정책은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노력을 통해 발달장애인이 더 이상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근로를 통해 자립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타 장애유형에 비해 취업률이 낮고 직업유지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의 특성상 직업재활정책은 돌봄과 주거 등 다른 복지서비스와의 적절한 관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지만, 직업을 통한 의미 있는 삶을 달성하는 데에 보다 강점을 두고 관련 정책들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현행 직업재활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국의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의 역사와 정책 방향성을 파악하여 이제 시작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정책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화서비스 및 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가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의미 있는 삶을 목표로 하는 돌봄과 평생교육, 직업재활서비스와의 연계, 직업재활(서비스)의 개념 확대, 발달장애인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서비스 전달체계의 구축이 직업재활정책의 방향으로 제시되었다. A proper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truly begin once society perceiv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elf-sufficient and independent individuals rather than passive objects of care, with the ability to work, through vigorous national-driven interventions and efforts. Although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ord lower employment rates and job retention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ies, they must consider the appropriate relationships with other welfare services, including care and housing and their ultimate focus must be on achieving a meaningful life through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To achieve this goal, the status quo of the current vocational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supporting policies in the U.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pecialized services and their install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the biggest priority, followed by care and life long education for meaningful lives. Additionally, linkage with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an expanded concep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services) and the construction of a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