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연구

        윤회정,박은미,김지영,이윤하,방담이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4

        과학적 창의성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ㆍ융합 인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학적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과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이해의 선행이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성과 관련된 변인들을 선정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모형으로 나타내어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과학적 창의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종합적인 관계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과학적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잠재변인으로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요인을 선정하고, 변인들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창의성, 과학의 정의적 요인, 환경적 요인, 인지적 요인 관련 검사를 실시하였고, 성실하게 검사에 응한 209명의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과학적 창의성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요인은 과학적 창의성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지적 요인을 매개로 하여 과학적 창의성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의 경로를 구체화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Scientific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ssential traits required for future human resources, and tremendou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enhance it.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efine variables that affect scientific creativity and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nd goodness of fit indices in the model.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hosen as latent variables affecting scientific creativity,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were tested.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scientific affective test, family environment test,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and scientific knowledge test were implemented. Two hundred and nine students' answ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gni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Affective factor didn't show direc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However, the mediation effects of affective factor were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factor and scientific creativit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overall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cientific creativity were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임성만,양일호,임재근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 과학적 창의성을 다룬 논문들을 내러티브 리뷰의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한 것이다. 창의성을 바라보는 2가지 입장 중에서 한 가지인 영역 특수적인 입장은 창의성에 대해 “그 아동이 얼마나 창의적인가?”라는 창의성의 일반적인 입장에서 “그 아동은 어느 영역에서 창의적인가”라는 영역 특수적인 접근방법으로 창의성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과학을 바라보았을 때, 과학적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될 수 있으며, 또 어떤 구성 요인들로 이루어졌는가를 탐색해 본 연구이다. 과학적 창의성 관련 논문들에 대한 리뷰를 통해 본 연구는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인은 정의적, 인지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차이를 보이는 과학적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은 과학 관련 지식, 과학 탐구과정, 문제 발견력, 문제 해결력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는 보다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 대한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domain-specificity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component of scientific creativity. Conducted from theoretical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a domain-specific view of creativity offers a more useful and constructive components of scientific creativity based on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component of scientific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has a domain-specific component and so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scientific creativity from creativity in general. As a result, scientific creativity is different from other creativity it is concerned with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 creativ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nd so on. And since scientific creativity is a kind of abil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rough a scientific creativity program.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과학영재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신명렬,서혜애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3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problem-based learning (PBL) lesson on scientific creativity of science gifted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summarized as the ability or output to contribute to scientific and social development by exploring and solving problems scientifically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regarded as three core elements: scientific knowledge, creative thinking,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PBL was selec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effectively extend these core elements and a science gifted lesson based on the PBL was designed. After selecting three favorite topics, a PBL lesson for each topic was developed as a four phase lesson for 10 classes: problem finding (2), strategy planning (2), problem solving (2), and presentation and evaluation (4). In this study, 22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from a Metropolitan City Science Museum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30 classes of the PBL lesson for three topics in series were implemented consecutively. In order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scientific creativity, the evaluation tools for scientific knowledge, creativity thinking,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were developed and changes of the final outputs of the three PBL lessons were assessed over time periods. The change in the score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evaluation tool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BL less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F=8.280, p=.001). For core el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tific knowledge (F=7.321, p=.001)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F=8.124, p=.001), however, creative thinking (F=1.894, p=.159)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For changes in individual students over time, students with low scores of scientific creativity exhibited more increases than students with high scores.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 기반으로 구안한 과학영재수업을 초등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고 그들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지식과 창의적 사고를 토대로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문제를 발견하여 해결함으로써 과학 및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산출물로 정리할 수 있다. 과학적 창의성은 과학지식, 창의적 사고, 과학탐구능력의 3가지를 핵심요소로 볼 수 있으며, 이들 핵심요소를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 교수학습방법으로 PBL을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과학영재수업을 구안하였다. 본 PBL 수업은 수업설계를 위한 주제탐색 과정을 통해 3가지 선호 주제를 선정한 후, 주제별 문제발견(2차시), 전략수립(2차시), 문제해결(2차시), 발표평가(4차시)의 4단계로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 소재 과학관의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 2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개발한 PBL 수업 3주제에 대한 총30차시를 적용하였다. PBL 수업이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지식, 창의적 사고,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초등과학영재가 수업활동에서 생산해낸 3주제에 대한 최종산출물들을 평가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창의성 평가도구 점수의 변화는 일원배치분석(One-way ANOVA)으로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 수업은 과학적 창의성(F=8.280, p=.001)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요소는 과학지식(F=7.321, p=.001), 과학탐구능력(F=8.124, p=.001)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적 사고(F=1.894, p=.159)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PBL 기반 과학영재수업이 개별학생의 과학적 창의성의 구성요소, 과학지식, 창의적 사고,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의 경우, 과학적 창의성 누적점수가 높은 학생들보다 점수가 낮은 학생들이 주제 1, 주제 2, 주제 3 수업에서 구성요소별 점수 향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

        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3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do this, 108 science-gifted students from grades 3 to 6 were selected. After conducting the tests on their science academic passion,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crea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exhibit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cience academic passion and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but their scientific creativity was not relatively high.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science academic pass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aspect of ‘obsessive passion’ of the five subcategories (‘importance’, ‘like’, ‘time/energy investment’,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Furthermore, the five subcategories, particularly ‘like’,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ientific creativity. However, the five subcategories of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science academic emotion’, ‘science-related self-concep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cientific creativity and did no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Additionally, neither the overall science academic passion nor the overall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ientific creativ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 및 과학 긍정 경험과 과학적 창의성의 관계를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3∼6학년 과학영재 학생 108명을 선정하여 과학 학업 열정 검사, 과학 긍정경험 검사, 과학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뒤,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학업 열정과 과학 긍정 경험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적 창의성은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과학 학업 열정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상관이 없었지만, 5가지 하위 영역(중요함, 좋아함, 시간/에너지 투자, 조화열정, 강박열정) 중 ‘강박열정’에서는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의5가지 하위 영역, 특히 ‘좋아함’, ‘조화열정’, ‘강박열정’은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 긍정 경험의 5가지 하위 영역(과학 학습 정서, 과학 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포부, 과학 관련 태도)은 과학적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없었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과학 학업 열정 전체와 과학 긍정 경험 전체는 과학적 창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살펴본 영재교육종합 데이터베이스(GED)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특징 분석

        윤지현,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영재교육종합 데이터베이스(GED)에서 제공하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중 활용도가 높은 경진대회 수상작 프로그램을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잘 된 점은 참고하고, 부족한 점을 개선한다면 과학영재교육의 수준을 높이고, 내실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GED에서 제공되는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수상작을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분석틀에 따라 55개 수상작 프로그램에 포함된 총 840개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 과학적 창의성 요소 중 ‘과학적 탐구기능’이 활동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학 지식 내용’과 ‘창의적 사고’도 자주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문제 해결력’과 ‘공통 요소’는 비교적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의 측면에서는 5가지 유형을 가진 2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과 8가지 유형을 가진 3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이 자주 발견되었다. 앞의 통합 유형보다 적지만 통합이 없는 유형도 자주 나타났다. 4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이나 5가지 구성 요소 간 통합은 적게 발견되었다. 각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과학 지식 내용’, ‘과학적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등이 다른 요소들과 함께 통합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공통 요인’ 또는 ‘문제 해결력’이 다른 요소와 통합되는 경우는 적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과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GED를 통해 제공되는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 수상작의 실태와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향후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향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과학적 창의성의 관점에서 개발한 분석 기준과 사례는 추후 과학 영재 프로그램 분석 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H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남: 16명, 여:14명)으로서 실험집단 15명(남: 8명, 여:7명), 통제집단 15명(남: 8명, 여: 7명)이었다. 대상 유아의 연령 분포는 5년 4개월에서 6년 3개월 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년 9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창의성 검사」와「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창의성 검사는 Torrance(1990)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 Form A, B'를 김영채(2004)가 편역한 <한국판 TTCT(도형)검사> A형과 B형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각 각 사용하였다.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는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 척도를 기초로 이경민(2000)이 제작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서윤희(200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는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과학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점수는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following research aims in analyzing the effect of scientific activity for creativity enhancement has in the child’s creativity and scientific inquiring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0 children (16 males, 14 females) attending H kindergarten in C city of Kyung Sam Nam province, with experiment group of 15 children (8 males, 7 females), and control group of 15 children (8 males, 7 females). The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ranged between 5 years and 4 months old to 6 years and 3 months old. The average age was 5 years and 9 months old.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carry out the 「creativity test」and the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est」. For the creativity test,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 Form A, B’ a test Torrance (1990) developed, then translated by Young Chae Kim(2004) 「Korean TTCT(figure)Test」 was utilized, form A and B as test before and after respectively. For the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est,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est’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Youn Hee Suh(2003) from the original developed by Kyung Min Lee(2000) with the foundations from scientific inquiry ability evaluation by Martin(1997) was utili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ly, the scientific activity for enhancement in creativity executed by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a higher creativ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there was a mindful difference. Analyzing creativity by components show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of title, delicacy , resistance to impatient end and in all aspect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tatistically mindful difference. Secondly, the scientific activity for enhancement in creativity executed by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a higher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there was a mindful difference. Analyzing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by components show predicting , observing, categorizing, measuring, debating, and in all aspect the experiment group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showing a statistically mindful difference.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서혜애 한국영재학회 2004 영재교육연구 Vol.14 No.1

        과학교육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문제 해결력 등을 함양하여 21세기의 격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과학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 적자원의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 에서는 과학교육 목표에서 제시된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적 소양을 논의하고 21세기 현대 과학의 특징을 고찰한 후, 미래 첨단과학기술 사회 발전의 핵심 이 되는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 다. 논의한 바와 같이 과학적 소양에 기반을 과학적 창의성을 추구하는 과학 교육의 방향은, 첫째, 과학기술의 내용을 도입하며, 둘째, 통합적 과학 개념을 도입하고, 셋째, 개인․사회적 관점을 강조하고 넷째, 사회 문제 해결 중심의 탐구과정을 강조한다. 특히 과학영재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탁월한 과학적 창의성은 첫째, 구체화된 자료를 전체적 관점에서 상상력을 적용하여 해석하 고, 둘째, 과학적 과정에 예술적 관점을 적용하며, 셋째, 직관적 관점에서 과 학의 현상을 해석하고 넷째, 개인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데서 발휘된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이상과 같은 요소들을 경험할 수 있을 때 과학적 창의성 신장 과학교육과학영재교육이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The article attempts to suggest s a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based on discussion about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reativity. Students are supposed to develop scientific attitude, inquiry skills,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cience learning, and be prepared for the 21st century of rapidly developing age. The paper introduces definitions of scientific literacy and scientific creativity and discuss their meanings within science education in general as well as for the gifted. To enhance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science education should strengthen content of science related to technology, integrated science content, personal and social views, social inquiry for problem solving. In particular,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should emphasize students' holistic views in interpreting data, ability to connect artistic aspects to science process, intuitions to explain scientific phenomena and pursue of personal satisfaction. It may be said that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s realized whe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uch elements in their science learning.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의 이해와 지도

        박종원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10

        Even though creativity has been emphasized in the science curriculum in Korea and abroad, teaching creativity in schools is not yet active. Moreover, creativity is necessary not only for great discovery, but also for authentic science learning and inquiry. Therefore, in this article, I discus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creativit compar to ordinary creativity, and showed how creativ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fter introducing a model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mak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for 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I discuss how this model and operational definition can act as a practical guide for teaching creativity while learning physics. Scientific creativity is not a special thought proces for special students, but should be taught to ordinary students in an ordinary science curriculum. In this article, based on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scientific creativity, I introduc a practical model of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and give concrete examples of activities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Studies of applications of these activities are also introduced. Finally, I discuss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on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in ordinary school contexts. 국내외적으로 과학교육과정에서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물리교육에서는 아직 창의성 지도가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창의성은 위대한 과학적 발견을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과학을 과학답게 학습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논문에서는 먼저 일반적 창의성과 달리 과학적 창의성이 어떠한 특성을가지고 있으며, 창의적 사고가 과학적 사고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논의하였다. 그리고 과학적 창의성 모델을 소개하고, 창의적인 사고요소들을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이러한 조작적 정의가 물리학습과정에서창의성을 지도하는데 어떻게 구체적인 안내역할을 할 수 있는 지를논의하였다. 과학 창의성은 특별한 학생을 위한 특별한 사고가 아니라,일반 과학교육과정 속에서 일반학생을 위해 지도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과학 창의성 지도모형을 소개하고, 이를이용하여 개발한 활동자료의 예와 특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활동자료를 적용한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 창의성지도가 물리교육 분야에서 보다 활발해지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연구와앞으로 필요한 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의 창의성에 대한 철학적 접근 ― 창의성 연구와 과학적 발견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현승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2

        Creativit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psychology, in a direct relation with human cognitive thoughts or abilities. Besides, the creativity research has been one of the main research sections in psychology. Creativity of science is no exception as well. However, science is conducted through particular activities called 'scientific discovery'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f a scientific discovery could be a topic of the creativity research, science would be able to obtain a position of creativity unlike other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ree courses, such as 'The Process of Forming the Creativity Research Focusing on Psychology', 'Approaches and Limits of the Creativity Research on Science' and 'The Category of Scientific Discoveries and Discussions on Creativity of Science'. Thus, the writer is attempting to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the fact that creativity of science acquires an important meaning from the analysis of a scientific discovery. 창의성은 인간의 인지적 사고 또는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휘된다는 점에서 심리학의 연구주제로 여겨져 왔다. 과학의 창의성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하지만 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구별되는 과학적 발견이라는 특수한 활동을 통해 진행된다. 만일 과학적 발견이 창의성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면, 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상이한 방식으로 창의성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이 글은 ‘심리학 중심의 창의성 연구의 형성과정’, ‘과학에서 창의성 연구의 접근과 한계’, ‘과학적 발견의 범주와 과학의 창의성의 논의점’의 세 과정을 살펴 볼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과학의 창의성이 과학적 발견에 대한 철학적 분석으로부터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Nam, Ki-Won),정다원(Jeong, Da-Won),임정희(Im, Jung-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S시에 위치한 B유치원 만 5세 유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이다. 총 6주 동안 실험집단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과학연극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 척도를 기초로 하여 이경민(2000)이 제작하고 서윤희(2003)가 수정 · 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창의성을 검사하기 위해 Torrance(1990)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Torrance Tests of Creative Torrence; TTCT)를 김영채(2010)가 수정 · 제작한 창의성 검사 〈한국판 TTCT(도형)검사〉를 사용하였다.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연극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전체 및 하위개념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토의하기’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 전체 및 하위개념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이 비교집단의 활동에 비해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만 5세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연극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ce drama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reativity. The subjects were 36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B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of 18 and a comparison group of 18.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the early childhood science drama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for 6 weeks. The checking tool used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produced by Lee Kyung Min (2000) based on Martin(1997)’s scientific inquiry ability evaluation scale. and Creativity inspection based on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orrence(TTCT)’ developed by Torrance(1990)‘s ‘inspection of Korean version TTCT (figure)’ was us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 and pos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entific drama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such as predic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and communication. Second, creativities including fluency, originality, sophistication and hasty termination resistance ar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ast group activities. This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scientific drama activities are educational values as effective activities to improve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cientific drama activitie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attempt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5-year-ol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