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보개념의 경합성과 왜곡: 탈냉전시대의 개념 확대에 대한 평가

        민병원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8 No.1

        This research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extension of the concept of security in the post-Cold War era in terms of its conceptual dimension. The concept of security suggested by the Copenhagen school based upon the European experience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which investigates its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Many social scientists have given warnings on the over-extension of the concept of security. This has led to uncompromising arguments over the essential nature of security. This study seeks to find its meaning through two puzzles. First, does the extended concept of security lead to a stretching of concept away from its essential nature? Second, is the concept of security a kind of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among many perspectives? Answering these two puzzles requires the evaluation of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e theoretical works regarding the extended concept of security. As such,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frameworks of conceptual stretching and essentially contested concept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social sciences, and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the extended concept of security upon these theoretical framework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the extended concept of security in the post-Cold War era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ny conceptual stretching, under the condition that we take a radial category rather than a conventional category of concepts which reflects the ambiguous boundaries among different levels of concepts. Another conclusion is that the extended concept of security does not cause a contention over the essentially contested nature of the concept, upon the same condition. The condition in these results pushes us to acknowledge that the core contents of any universal concept may change over periods and contexts. In other words, the core of a concept is not fixed at all. This leads us to learn the significance of dimensions that we underline among many social phenomena we study. 본 연구에서는 탈냉전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안보개념의 확대가 국제정치이론의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개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유럽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코펜하겐 학파의 확대된 안보개념은 이러한 논의를 이끌어가는 견인차의 역할을 맡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어떤 이론적 의미를 지니며 또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많은 학자들은 안보개념의 지나친 확대를 경고해왔다. 그리하여 과연 “안보”의 개념이 본질적으로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들이 점차 커지게 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민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는 안보개념을 확대함으로써 그 고유의 의미가 원래 의미하는 바로부터 “왜곡”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둘째로 “안보”라는 개념 자체가 그 핵심적인 내용에 있어 서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다양한 주장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경합적”인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이러한 두 질문에 대답한다는 것은 곧 오늘날의 확대된 안보개념이 과연 국제정치이론의 맥락에서 바람직한 것인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겠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개념의 확대와 그 부작용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 그리고 개념이 본질적으로 경합적인가에 관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가 갖는 사회과학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탈냉전 시기의 안보개념 확대는 무리한 개념 왜곡이라고 볼 수 없다. 다만 이 경우에 우리는 전통적인 카테고리가 아닌 방사형 카테고리의 모델을 상정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개념의 수준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불명확성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탈냉전기의 확대된 안보개념으로 인하여 안보개념 자체에 본질적인 경합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고 볼 수 없다. 이러한 판단 역시 개념의 사다리 꼭대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사형 카테고리 모델을 도입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모델 하에서 우리는 보편적 개념의 핵심내용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개념의 서로 다른 속성이 항상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중요한 점은 바로 우리가 특정한 사회현상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고자 하는가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과학적 개념의 방법론적 경직성: 국소성과 맥락성의 의도적 훼손

        김웅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6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주로 교차사례연구의 형식을 취한 사회과학적 담론에서 탐지되는 개념의 변용은 원형적 개념이 상정하고 있는 파생적 지칭성과 연구대상이 노정하는 특정 국면간의 부분적 상응성을 근거로 본질적 지칭성의 적용가능성을 강변하는 양상을 취한다. 이러한 변용은 ①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 통칙들의 상호축적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용 개념의 체계적 함의(systematic import)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는 방법론적 협약의 습성적 수용과, ②연구자(개념사용자)가 연구전통의 패권적 위계질서 속에서 확보한 상대적 위상에 따른 유리스틱(heuristic)의 교조화가 야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주어진 유리스틱에 대한 획일적 순응과 추종이 연구전통의 유지・재생산에 있어서 불가피한 지식사회학적 요건이자 ‘과학정치’의 전형적 징후라면, 기존의 분석규준을 존중하는 가운데 개념의 변용을 피할 수 있는 한 가지 전략은 개념지형(conceptual map)을 새롭게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원형적 개념의 적용한계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원형적 개념의 지칭성으로부터 일탈하는 ‘비정상성’을 탐색하여 그러한 일탈속성을 새로운 집합개념으로 지칭할 수 있는 독립적 군락속성으로 분류해야 한다. 이처럼 새로운 개념지형의 구축작업은 인증된 분석규준과 개념의 무의식적 관용(慣用)에 대한 자기 파괴적이자 창조적인 성찰을 유발함으로써 사회과학의 개념적 진보를 추동할 것으로 기대된다. Distortion of conceptual indications frequently detected in the social science discourses, especially those of cross-case research, takes the form of arguing the applicability of a certain concept on the ground of partial congruence between the specific aspects of empirical phenomenon under study and the derivate indications of original concept. This ‘conceptual twist’ is an outcome of (a) the methodological habits of mind, i.e., habitual adherence to analytic canons calling for the ‘systematic import’ of scientific concepts to secure mutual accumulation of produced generalizations, and (b) the dynamics of ‘politics of science’ which induces collective conformity to a specific heuristic. If conformity to research tradi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any scientific enterprise, one of the viable options available for evading conceptual distortion, while ‘staying inside the given heuristic’, is to redraw a conceptual map; a map which allows the application of newly-built collective concepts dictating those idiosyncrasies deviating from the indicative boundaries of conventionally adopted concepts. Reconstruction of a new conceptual map is expected to inspire the Kuhnian notion of “the essential tension” within a research tradition, prompting the conceptual progress in social research.

      • KCI등재후보

        개념의 의미: 철학사적 고찰

        이상명 서양근대철학회 2013 근대철학 Vol.8 No.1

        In this paper the theme of research is how the term 'concept' is formed and how it is used by any means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Use of the concept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s divided into an ancient, medieval, modern, and each period's important sense and employment is examined. It is revealed that the equivalent of 'concept' in the ancient philosophy of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means the common essence of the individual things and the concept is an scientific expression, which has definition as the essence, in the theory of science and the logic of Aristotle.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s and language began to discuss in the logic of Aristotle and the medieval Ockahm's logic took over this discussion. Ockahm showed the distinction of concepts and words, which is a linguistic expres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s and language, distinguishing between terminus conceptus, terminus scriptus and terminus prolatus. According to him the concept is a mental sign. While language is secondary and conventional, concept is a mental sign, which signify naturally and primarily a mental image. Also in the understanding of Locke about the concept the Occam's influence was remarkable. Locke used the concept is something like 'idea in mind' and so concept was hard to distinguish with idea. After Kant distinguished intuitive idea and concept from the reason of the generality of concept. After modern increased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in the formation of concept and the concept is solidified it's place in the topics of the logic by Mill, Bolzano and Frege. 이 논문은 서양 철학사에서 ‘개념’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고찰한다. 서양 철학사에서 개념의 사용을 알아보기 위해 고대, 중세, 근대로 구분해 각 시기의 중요한 의미와 용법을 검토한다. 고대에서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중심으로 개념의 등가물에 해당하는 것이 ‘개별 사물의 공통 본질’을 의미한다는 것,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이론과 논리학에서 개념이 정의를 본질로 하는 학술적 표현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개념과 언어와 관계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에서부터이고 중세 오캄의 논리학으로 이어진다. 오캄은 개념 명사와 글말 명사, 입말 명사의 구별을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이론을 진척시켰고, 여기서 개념은 언어적 표현인 단어와 구별된다는 것뿐만 아니라 개념이 언어와 어떻게 관계되는지도 나타난다. 오캄의 견해에 따르면 개념은 일종의 정신적 기호이다. 언어가 이차적이고 관습적인 반면, 개념은 자연적으로, 일차적으로 정신적 상을 표기하는 기호이다. 근대에 로크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서도 오캄의 영향은 두드러진다. 로크는 개념을 정신에 있는 관념과 같은 것으로 사용했고 따라서 개념과 관념은 구별하기 어려워졌다. 이후 칸트는 개념의 일반성을 이유로 직관적 관념과 개념을 구분한다. 근대 이후 개념 사용의 특징은 개념 형성에서 언어적 관점이 증가했다는 것이고, 개념이 밀, 볼차노, 프레게에 의해서 논리학의 주제로 자리가 굳어졌다는 것이다.

      • KCI등재

        포퍼 철학과 사회과 개념학습

        정호범(Cheong Ho-bh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Popper의 철학 이론과 사회과 개념학습 이론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Popper 철학이 사회과 개념학습에 줄 수 있는 함의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방법 이런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opper의 가설-연역법, 반증 이론, 대응론, 상식적 실재론, 명목론과 사회과 개념학습 이론의 관련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Popper의 이론들이 개념학습의 귀납의 문제, 사례 찾기, 개념의 진위/객관성/실재/정의 문제 등과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론 Popper의 철학이 사회과 개념학습에 주는 함의는 사회적 개념에 대한 형성 과정에 있어서 과학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과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과 접근을 통해 학생들은 개념의 진위와 의미를 보다 객관적⋅과학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per s theory of philosophy and theory of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and to reinterpret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based on thi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pper s hypothesis-deduction method, falsification theory, correspondence theory, common sense realism, nominal theory and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theory was investigated. Results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Popper s theories can be related to the problem of induction of concept learning, case finding, and the problem of authenticity/objectivity/reality/definition of the concept.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Popper s philosophy on social studies concept learning are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scientific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social concepts and that a logical and critical approach is required. And through this process and approach, students can grasp the authenticity and meaning of the concept more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 KCI등재

        `작품서사`개념의 분화, 확대와 오용 양상

        범효춘 ( Beom Hyo-cho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의 `작품서사`개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문학치료연구 에 발표된 글을 중심으로 문학치료학의 발전과 함께 생성된 신 용어개념 중, `작품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그 분화와 오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란 줄거리 개념보다 더 근원적인 것으로, 작품의 저변에서 구조화되어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작품으로 형상화된 서사”, “문학작품의 바탕에서 작품을 운영하는 서사”이며, 문학치료의 치료와 진단의 도구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다양한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 용어들은 문학치료학에서 정립해가고 있는 개념과 대비하여 종종 다소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작품서사`개념의 확대와 분화 생성의 양상이며, 또 하나는 `작품서사`개념의 오용의 양상이다. 먼저 문학치료 연구자들의 새로운 연구에는`이미지서사` `수업서사` `무용서사`와 같은, 문학작품의 `작품서사`와 동급의 위치에 해당하는 새로운 서사개념을 생성하여 `작품서사`의 의미를 기존의 `작품서사`, 즉 문학작품의 `작품서사`보다 더 큰, 포괄적인 개념으로 상향 확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작품서사가 가진 성격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하여 `단주서사`와 `서번트 리더십서사` `미래민족사관서사`와 같은 `작품서사의 하위개념`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서사개념과 서사용어들이 분화되어 파생되고 있다 문학치료연구자들의 연구에서 `작품서사`의 개념이 오용되고 있는 사례의 대부분은 `작품서사`를 그 개념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거나. `텍스트`나 `작품` 또는 `핵심내용`등의 의미로 혼돈한데서 비롯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changing pattern of using terms of LiteraryTherapeut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term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As Literary Therapeutics has been developed, the terms and idea of the Literary Therapeutics are adapted to other various areas. I tried to find out the changed or wrong term use in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the papers of 『Journal of Literary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atternof changed term`the epic of literary work` could be categorized by three types. First,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extended to the higher level,`the epic of the work` by using the terms of the same level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such as `the epic of a film`, `the epic of dance work` and `the epic of classroom lesson`. Second, the concept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specialized to the lower levelby using the terms, such as `Dan-Joo epic`, `leadership epic` and `the nationalistic view of history for the future and the epic`. Third, in several studies, there are some confusions in using term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I think they derive misunderstanding from the original meaning of`the epic of literary work` as `text`, `core idea` or `narrative`.

      • KCI등재

        선개념 중심의 교통안내표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김동녕(Kim Dong Nyong),이석기(Lee Suk Ki)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3D

        가로체계 중심의 교통안내체계의 선 개념을 위주로 한 안내표지를 소개하고 기존의 단순지명표기의 교통안내체계의 점 개념과 비교함으로서 두 가지 방법의 특성과 장단점을 명시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교통안내체계의 근본적인 속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점 개념과 선 개념의 특성을 비교하고 두 가지 안내체계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존의 국내외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점 개념인 지명과 선 개념인 가로명의 속성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정보의 질적인 차이를 연구자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가지 방식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조사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과정에 포함된 주요내용은 첫째, 교통안내체의 구성요소를 파악, 둘째, 국내외 교통안내지도의 특성 비교, 셋째, 점 개념과 선 개념의 특성을 비교하고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지명중심의 점 개념이 가지는 속성과 한계점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였고 선 개념이 가지는 장점을 논리적으로 증명하였다. 교통안내지도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안내지도 제작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를 보면 위치 탐색의 정확성에서 가로명을 이용할 경우 지명보다 약 3배정도 위치를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현 위치 탐색시간에서는 지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 가로명위주 보다 약 3배정도로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위치탐색의 난이도는 지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는 ‘보통’으로, 가로명위주 방향표지의 경우 ‘아주 쉬움’으로 평가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river in the use of guide sign in urban areas. The good and bad points about guide sign based on landmark point and guide sign based on street name are demonstrated, and driver's preference between them are studied. The questionnaires given to general persons deal with general guide signs and road maps, and are designed to see if they can find out current location on the road map with guide 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drivers prefer guide sign based on street name to guide sign based on landmark. And guide sign based on street name took less time to find current location than with guide sign based on landmark.

      • KCI등재

        중국, 미국, 독일의 생물전공자와 비교한 한국 생물예비교사의 자연선택개념 이해 수준 분석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5

        자연선택개념은 진화론의 핵심개념으로 다양한 생물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해해야 될 필수 개념이다. 이 연구는 한국예비생물 교사들의 자연선택개념의 이해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중국, 미국, 독일의 생물전공자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자연선택개념의 두 개념요소인 생태개념과 유전개념으로 구분하여 예비생물교사의 자연선택개념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예비생물교사 376명을 포함하여 1226명의 한국, 중국, 미국, 독일의 생물전공 예비교사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검사도구는 생태개념과 유전개념문항 각 10개씩을 포함하고 있는 Conceptual Inventory of Natural Selection의 20문항을 라쉬모델, 다변량분산분석, 일변량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예비생물교사의 자연선택개념 수준은 중국과 비슷하고 미국, 독일에 비하여 낮았다. 생태개념과 유전개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우리나라 예비생물교사 1학년의 경우 중국과 독일에 비하여 유전개념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4학년의 경우 미국과 독일에 비하여 생태개념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3년간의 예비생물교사 교육과정 동안 유전개념에 대한 교육은 성공적이었으나, 생태개념의 교육은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연선택개념의 이해를 위한 예비생물 교사교육에 대해서 논의한다. Natural selection is the core idea of evolution that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o solve diverse biological proble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orea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natural selection by comparing their knowledge with their Chinese, American, and German biology major undergraduate counterpar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wo conceptual components of natural selection (i.e., ecology and genetics). This study used a total 1226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nd biology majors` data. The instrument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natural selection concepts was Conceptual Inventory of Natural Selection, which consists of ten ecology concept items and ten genetics concept items. The Rasch model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tests. The result reveals that the level of Korea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natural selection were similar with Chinese undergraduates` understanding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American and German undergraduates.` In the first year student data, the level of genetics concept of Korea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hinese and German students. In the fourth year student data, the level of ecology concept of Korea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American and Germa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cology concept education and balanced natural selection concept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동향과 전망 : 한국 개념사 연구의 향방과 시좌 -학술지 『개념과 소통』의 모색을 중심으로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림과학원 2014 개념과 소통 Vol.0 No.13

        한국 개념사 연구는 개념사의 이론적 공리를 적용하면서 발견되는 적용 불가 능한 문제들의 해법을 모색하는 동시에 우리의 근대 경험 속에 응축된 개념 을 연구하며, 여기에서 추출한 가설들을 다시 개념사 이론에 비추어 검증함 으로써 연구 방법론 모델을 구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선행 연구는 대체로 근대적 개념의 수용과 그 영향에 초점을 두었다. 여기에 서 간과된 동아시아의 문화적 특성과 전통적 관념에 주목하여 축소되고 왜곡 된 ‘경험공간’과 ‘전통 요소’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한국의 근대는 비동시적 인 것들의 동시대적 존재가 커지는 한편, 전통적인 가치와 관념들에 대한 가 지치기를 통해 비동시적인 것들의 동시대적 수렴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개념의 기원으로 재귀하다 보면 서양을 보편화하고 스스로를 주변화는 인식 틀에 고착하기 쉽고, 개념의 역동적 수행성 규명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중국 과 일본을 경유한 개념 수용 과정의 특성과 개념의 통시적 의미 변화를 추적 하는 가운데 공시적 활용에 주목해야 한다. 공시적 활용은 통시적 접근에서 분절되기 쉬운 텍스트 내외부의 개념 사용 주체를 부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를 특징짓는 다양한 사회적 체계들의 발생은 개념 운동을 특정 개념 하 나만의 연구보다 그와 상호작용하는 연관 개념과 함께 분석할 것을 요구한다. 상위·하위·병렬 개념들 속에서 개념의 논의되는 담론의 층위를 고찰하 고, 대립·보완 개념들과 함께 그 의미의 연결망을 구축하면 개념의 역사의미 론이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중화권에서 진행되고 있는 관념사 연구는 어휘통계학적 연구 방법뿐만 아니 라 중국 근대사회 변동의 근저에 지속되고 있는 정신적 가치와 서양에서 흡 수한 근대적 가치를 근대의 새로운 전통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시사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진정으로 주목해야 할 지점은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수사 이 면에 감추어진 역사 해석과 관련된 그들의 실천적 지향이다. This study of the conceptual history of Korea examines the concepts into which our experience of the modern has been condensed, and seeks solutions to some problems which are not easily reconciled with the theoretical axioms of conceptual history. Moreover, a recursive research methodology is utilized, in which the hypotheses thus obtained are reviewed, once again, through the theories of conceptual history. Conceptual history research as practiced so far has focused mainly on the acceptance of modern concepts and the effects resulting therefrom. There has been a general failure to take account of Asia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conceptions, which makes it necessary to integrate the ‘space of experience’ and ‘traditional elements’ which have been previously been neglected or distorted. Korean modernity shows how the contemporary was expanded to incorporate the non-contemporary through the ramificat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concepts. In looking back to trace the origin of concepts, it is easy for Koreans to universalize the West and become fixated on a perceptual viewpoint which marginalizes local identity, thus making it difficult to investigate the dynamic performance of concepts. For this reason, while we are tracking down the specific character of our conceptual accommodations by way of China and Japan, and the corresponding diachronic semantic changes in the concepts, it would be better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ynchronic aspects. The synchronic approach can shed useful light upon conceptual usage inside and outside texts, which avoids the fragmentation typical of the diachronic approa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 in which a variety of social systems have arisen in modern times we need to analyze an array of interrelated concepts reacting with each other, rather than focusing on single isolated concepts. By examining layers of discourse with higher, lower, and parallel concepts being discussed in an interconnected fashion, the historical semantics of concepts will develop more clarity, allowing the construction of a network of meaning which incorporates both contradictory and complementary concepts. Conceptual history as pursued in China can provide some interesting indications: it embraces lexicostatistics, and also identifies a new vision of a modern China in which spiritual values endure despite the modern social transformation of China and the modern values imported from the West. We should not, however, ignore the practical aims which underlie the Chinese rhetoric of ‘digital humanities’.

      • KCI등재

        槪念隱喩視角下的溫庭筠詞

        변성규 ( Byun Sunggyu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0 No.-

        溫庭筠是晩唐大力作詞的第一人,他開創了五代、宋詞的盛況,后人都尊他爲花間鼻祖。 我們在讀溫庭筠的詞的時候,可以發現他的詞中大多是一些意象的羅列,他的詞在給讀者一種强烈的感官印象的同時,又能讓讀者産生豊富的聯想,體會到詞內部豊富的情感世界。之所以能有這樣的效果,槪念隱喩起了?大的作用。這些槪念隱喩讓讀者産生了豊富的聯想,而且讓詞的情感世界變得豊富,是構建溫庭筠詞的情感內容的重要手段。 槪念隱喩理論是Lakoff和Johnson提出的,該理論認爲隱喩不僅是一種普遍的語言現象,更是一種人們認知社會和世界的方式和手段,卽用一個認知域的經驗來理解?一個認知域的經驗。本文運用槪念隱喩理論,以后蜀趙崇祚編的≪花間集≫收錄的溫庭筠詞66首爲硏究對象,選取對溫庭筠詞情感內容構建有重要作用的槪念隱喩幷結合作品進行了分析。 通過分析,我們可以發現溫詞中在詞人是女子這一槪念隱喩主線下,還主要包括人的情感是自然景物,人是植物,分離和阻斷是簾,絶望是夢等基本槪念隱喩,?們共同作用,構建了溫庭筠詞的情感內容。以此爲基礎,詞人通過拓展對應關系、整合多個隱喩、增加細節描述 、質疑常規隱喩這四種方法對基本槪念隱喩進行了拓展創新,構建出詩性隱喩,從而使其詞具有了文學性。 詞人用槪念隱喩使內心的感受和抽象的槪念圖像化和具體化,從而幇助讀者更容易理解詞人在作品中要表現的深層意蘊,同時源域和目標域之間的張力使讀者産生了豊富的聯想,增强了作品的藝術感染力,使作品更具有趣味性和可讀性。 Wen Ting-Yun is a lyricist of the late Tang Dynasty, He led the development of Song and Wudai lyrics, was later revered as the originator of Huajian. Reading Wen Ting-Yun`s lyrics, we can find that most of Wen`s words are lists of images. These images give a strong impression of the senses while giving rich associations and make readers feel the rich emotional world in the work. Why it is possible to have such an effect is because Wen Ting-Yun use a lot of conceptual metaphors. And these conceptual metaphors which allow readers a wealth of association enrich emotional world of lyrics and these are an important means to build the emotional content of the lyrical poems.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is proposed by Lakoff and Johnson, which argues that metaphor is not only a general language phenomenon, but also a way of recognizing society and the world, that is, using an experience of one cognitive domain to understand an experience of another cognitive domai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domain are projected to the target domain, which is partially understood by the former. This paper uses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to analyze 66 poems of Wen Ting-Yun collected by HouZuozhang`s “HuajianJi”. And the conceptual metaphors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emotional content of Wen Ting-Yun`s poems, a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we can find the main axis of conceptual metaphor of Wen Ting-Yun `s poems, that is to say women are poet himself. Under this big conceptual metaphor, there are some small conceptual metaphors which together build the emotional content of Wen Ting-Yun`s poems. So we can find four basic conceptual metaphors that the natural scenery is the human emotion, plants are people, the curtain is separated and blocked, the dream is despair. Based on this, the poet has expanded and innovated the basic conceptual metaphor through these four methods of expanding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elaborating description, composing multiple metaphors and questioning the conventional metaphor, and constructed the poetic metaphor, so that the work gains literary value. The conceptual metaphor of the poet makes the inner feelings and abstract concepts visualized and embodied, which helps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deeper implication of the poet in his works, and the tension between the source domain and the target domain enables the reader to produce rich association, and enhance the artistic appeal of the work, so that make the work more interesting and readable.

      • KCI등재후보

        유아의 위상학적 공간 개념의 발달적 경향 : 위상개념 이해와 위상어휘 사용, 지시듣고 이해하기 비교

        서현순,진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 4, 5세 유아의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연령에 따른 위상학적 개념의 습득정도를 비교하고, 개념이해와 위상어휘 사용, 지시듣고 이행하기에서 위상학적 개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제시된 그림자료와 모형자료에 따라 유아의 위상개념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구성요소 비교 결과, 위상적 개념은 4세경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5세에 거의 완성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상학적 공간개념의 하위영역간 비교결과, 3, 4, 5세 유아 모두 지시듣고 위상개념을 사물로 나타내게 할 때 가장 높은 공간개념을 나타냈고, 위상어휘사용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릴수록 모형자료가 그림자료보다 위상공간개념 습득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of topological space concept of 3, 4 and 5 year old children by their age and sex. The differences among subgroup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topological concept, The-use of topological vocabulary, and 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with manipulatives were also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effect between pictorial and artifact material in topological space concept was identified As the result, compared children's topological concept by age, four year old children showed rapidly increased ability in the topological concept and five year old children attained most of topological space concept except right and left. In relation to the age and sex of children in topological concep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pological concept by the age of childre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opological concept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comparison of subgroup of topological concept, all age of children showed highest level of topological concept in the subgroup of 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with manipulatives and revealed lower level in the use of topological vocabulary than other subgroup, In addition, the result presented that the use of artifact material was more effective than pictorial material in representing topological concept of three-and four year old children compared to five year old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