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김슬기,박경희,박태홍,임희수,김슬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Occupational Therapy. Methods: The researchers identified 16 qualitative studies among 692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Therapy from the first issue in 1993 until 2018. The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COnsolidated criteria forREporting the Qualitative research(COREQ) developed by Tong et al(2007). Results: The first domain, “Research team and reflexivity”, properly maintained the notification items for researchpurposes, as well as the participants’ rights and the researchers’ duties, whereas the reported items of researcherexperience and training were insufficient. In the second domain, “study design”, phenomenology was the mostcommon research methodology, and most of th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sented in the paper, althoughinterview dropouts and interview environment reports were insufficient. Finally, in the third domain “Analysis andfindings”, the participants’ quotations and topic presentation items were generally well followed, but the participantchecking was no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OREQ can provide a systematic reporting framework for qualitative researchand can be a useful guideline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transparency of theresearch methods. Therefore, COREQ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qualitativeresearch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연구자들은 1993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692편 중 질적연구 16편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을 Tong 등(2007)이 개발한 질적 연구 보고 통합 기준(COnsolidated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연구팀과 성찰’영역에는 연구 목적 및 참여자 권리와 연구자 의무에대한 고지 항목은 잘 지켰으나 연구자의 경험과 훈련 보고 항목은 미흡했다. 두 번째 ‘연구 설계’ 영역에서 연구 방법론은 현상학이 가장 많았으며 면접 지침은 대부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하지만 면접 탈락자 및 면접 환경 보고는 미흡했다. 그리고 세 번째 ‘분석과 결과’ 영역에서 참여자 인용문과 주제 제시의항목은 대체로 잘 지켜졌으나 면접자 점검 항목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COREQ가 질적 연구 보고 분석에서 체계적인 보고 틀을 제공하여 연구 방법의 일관성과 연구 방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COREQ의 활용은 작업치료 질적 연구 보고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에너지전환 대응을 위한 MVDC배전망 기술

        김슬기 한국통신학회 2022 정보와 통신 Vol.39 No.8

        본고에서는 에너지 전환과정에서 재생에너지, 분산형 전원, 전기차 충전인프라 등의 확대에 따라 심각해지는 전력계통의 수용성 및 불안정성 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MVDC(Medium Voltage Direct Current, 특고압 직류) 배전 기술의 적용분야를 살펴보고 국내 전력계통에 도입하기 위한 관련 연구개발사업과 세부내용을 소개한다.

      • KCI등재

        High Level Production of human Protein Tyrosine Kinase-6 in Insect Cells Using Drosophila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LB as a fusion protein

        김슬기,김한이,우재성,조현수,정연진,이승택,하남출,Kim, Seul-Ki,Kim, Han-Ie,Woo, Jae-Sung,Cho, Hyun-Soo,Jung, Yun-Jin,Lee, Seung-Taek,Ha, Nam-Chul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2

        단백질 티로신 kinase인 PTK6는 대부분의 유방암에서 과발현되며, 암세포의 증식만을 촉진하는데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 PTK6의 활성도메인을 초파리의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PGRP) -LB 단백질을 퓨전파트너로 사용하여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을에서 과발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우리는 PGRP-LB가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에서 잠재적으로 퓨전 단백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정제된 PTK6단백질은 기존의 박테리아에서 발현된 단백질보다 1.5배 높은 활성을 지녔다. 이 단백질은 PTK6의 분자기전 및 그것의 저해제 개발에 필수적인 결정 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PTK6, an intracellular protein tyrosine kinase, i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a majority of breast cancers and has a role in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the cancer cells, but not of normal cells. Here, we report high-level production of the catalytic unit of PTK6 fused with Drosophila peptidoglycan recognition protein (PGRT)-LB, in the baculovirus system. We first found that the PGRP-LB was potentially useful as a fusion partner to increase the yield of heterologous protein in the baculovirus system.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exhibited a 1.5-fold activity with much higher yield than the bacterially-expressed protein. The protein expressed in the baculovirus system will be useful for the crystallization to determine its crystal structure helping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PTK6 and design its inhibitors.

      • 수학게임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 교수-학습자료 개발

        김슬기,김용구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1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Plans for Demonstration and Operation of Free Semester’ for middle school. Duri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one semester will be spent for activities to explore career options and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activities such as variou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debate, experiments, practice and projects during classes. Starting 2016, all middle schools to be officially starting the Free Semester system. When the Free Semester system begins selective programs will start to operat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change the negative attitudes students have about mathematics into positive attitudes by selective programs. We wish to develop a selective program with academic resources which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s in mathematics and grow their creativity. The development of program is for students to become in contact with math games outside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o research the winning strategies of that game. We wish to obtain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through this process. Based on literature or resources, I selected as my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of winning strategies in mathematic games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 game as teacher-student resource for selective program activities during Free Semester.

      • KCI등재

        A New Record of the Genus and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Neuroptera:Hemerobiidae:Drepanepteryginae) from Korea

        김슬기,조수원,Kim, Seulki,Cho, Soowo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3

        그 동안 국내 Drepanepteryginae 아과(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아과; 신칭)에는 오직 Neuronema albostigma만이 기록되어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Drepanepteryx와 이 속에 포함되는 미기록종 Drepanepteryx phalaenoides (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 신칭)를 새롭게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속내 분류키, COI 바코드 염기서열, 그리고 성충 및 수컷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In the subfamily Drepanepteryginae of Hemerobiidae, Neuronema albostigma has been the only species known in Korea. Here we report that the genus Drepanepteryx Leach, 1815 and its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acute{e}}$), 1758 are newly reported as a member of Drepanepteryginae in Korea. Together with a key for the species of Korean Drepanepteryginae, a brief description, COI barcoding sequence, and photos of adult and male genitalia for the species are provided.

      • KCI등재

        군부대 내 부적응 병사에서 충동성과 혈청 지질과의 상관성

        김슬기,강석훈,임명호,최종혁,이병용,Kim, Seul Ki,Kang, Suk-Hoon,Lim, Myung Ho,Choi, Jong hyuk,Lee, Byung yong 대한불안의학회 2012 대한불안의학회지 Vol.8 No.2

        Objective : Previous studies reported a correlation between the low serum cholesterol level and impulsive behavi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lipid levels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in maladaptive soldiers in the Korean Army. Methods : A total of ninety-six maladaptive subjects and thirty-six normal controls in the Korean army were evalu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Barratt Impulsiveness Scale (K-BIS), Korean version of Beck Suicidal Ideation Scale (K- BSIS),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and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K-BAI). Serum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level were measured by overnight fasting blood sampling.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t=-2.209, p=0.032), triglyceride levels (t=-4.593, p<0.001), and LDL levels (t=-3.753, p=0.001) of maladaptiv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and maladaptive subjects had higher K-BIS scores than normal controls (t=7.542, p<0.001).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DL level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in the maladaptive subjects (r=-0.253, p=0.013). LDL levels (${\beta}=-0.258$, p=0.008) and K-BDI scores (${\beta}=0.266$, p=0.043)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non-planning impulsivenes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DL level was associated with non-planning impulsivenes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erum cholesterol levels might be available as a biological marker of impulsiveness. However, more large samples, longitudinal biological study and psychiatric evaluations should be needed to develop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n the Korean army.

      • KCI등재

        Taxonomic Notes on the Species of Hemerobiidae (Neuroptera) of Korea

        김슬기,조수원,Kim, Seul-Ki,Cho, Soo-Won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1

        Micromus variegatus (풀잠자리목: 뱀잠자리붙이과)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와 함께 국외에 채집기록만 보고된 Hemerobius harmandinus, Sympherobius tessellatus 및 S. domesticus, 에 대한 간략한 기재, 성충 및 날개의 사진, 그리고 국명을 제시한다. 이로써 과거 보고된 4종과 함께 국내 뱀잠자리붙이과는 모두 8종으로 기록된다. Micromus variegatus (Neuroptera: Hemerobiidae) is reported here as new to South Korea. In addition, three other hemerobiid species recorded only the collection data, Hemerobius harmandinus, Sympherobius tessellatus and S. domesticus are also reported with a brief description, images of the adult and wings, and its Korean common name. With four previously reported species in Korea, there are eight species of the family Hemerobiidae from Korea.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와 법제화 방안에 대한 소고

        김슬기 (사)한국언론법학회 2023 언론과 법 Vol.22 No.1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equal and free participation in the online space as they have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hysical isolation caused by blockade policies. Subsequently, with the rapid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across the economy and society, strengthening citizens' digital an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has become the top priority policy task.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is being used interchangeably with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news literacy, internet literacy, AI literacy, etc.,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m are unclear, leading to confusion. Media literacy i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literacy capabilities in digital technologies, as well as information and content provided through media. It is considered valid to view media literacy a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se capabilities. Media education can be defined as “media education that aim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access, understand, utilize, communicate safely and ethically with media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and content) circulated through media.”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e of the basic rights most closely related to media literacy is the right to information. Access to media is a concrete foundation for realizing personality rights, freedom of expression, political and economic basic rights, and the right to education in specific areas of life. Guaranteeing access to media alone for access to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ing, information disparity resolution, and enjoyment of information culture rights is not effective. Therefore, the state needs to actively support capacity-building education programs and provide the necessary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obtain quality information required in a digital media environment filled with exaggeration, explicit distortions, and fake news, one need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media, the ability to verify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judge the credibility of the information based on evidence. Therefore,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aim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in individuals. It is believ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requires the relevant media department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support policies in order to quickly reflect media technology and industry environments, policy issues, etc. into the educational content. When enacting the “Media Education Support Ac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llowing contents: ①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media education, ② the dut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③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guardians, ④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media education plan, ⑤ the operation of a media education committee and local unit consultative council, ⑥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institutions, ⑦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local media education facilities, ⑧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media education in schools, ⑨ the basis and role of support for lifelong media education, and ⑩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 세계 주요국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봉쇄정책으로 인한 물리적 단절 속에서 온라인 영역에의 동등하고 자유로운 참여 보장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기술이 급속하게 도입되는 것을 목도하면서 시민들의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최우선 정책 과제로 두게 되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디지털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인터넷 리터러시, AI 리터러시 등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경계가 불분명하여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의된 미디어교육 관련 법안을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은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넘어 접근, 소통, 참여능력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이후 미디어 역기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보호능력 및 미디어 생태계의 구성원으로서 시민의식까지 포괄하는 매우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내용으로서의 정보와 미디어가 제공되는 기술방식인 디지털에 대한 리터러시 역량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며,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콘텐츠(정보 및 내용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여 올바르게 이해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소통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의 가능하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헌법적 의의를 살펴보면,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기본권 중 하나는 정보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미디어 접근 능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으로 미디어에 대한 접근 보장은 구체적인 생활 영역에서 인격권, 표현의 자유, 정치적 및 경제적 기본권, 교육받을 권리 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된다. 정보에의 접근, 수집, 처리, 정보격차 해소 및 정보문화 향유권 보장은 디지털 기기 및 정보에의 접근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것에 그쳐서는 실효성이 없으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국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및 교육에 필요한 인적・물적 기반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어떠한 사상과 견해가 옳고 그른지, 가치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에 맡겨져 있으며, 이를 판단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므로, 과장이나 명백한 왜곡, 허위조작정보가 넘쳐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양질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국가는 국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 이해, 평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기술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문화 변동, 생애주기별 특성이 지속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교육 주제임에 비추어 평생교육이 필요성이 큰 분야라 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 기술 및 산업 환경, 정책 이슈 등을 빠르게 교육 내용에 반영할 수 있도록 미디어 소관 부처에서 관련 교육 및 지원 정책을 수립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특히 인터넷 영역에서 이용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해지고 있어 정부와 학계, 산업계가 연계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향후 「미디어교육 지원법」 제정 시 ① 미디어교육의 정의와 목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