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 및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후립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39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among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ography, finding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from various factors, confirming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life quality, and verifying the media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is study, the football players from Shandong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Beijing Sport University, Shanghai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and Guangzhou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were taken as the research object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non probability sampling, the questionnaire star was used to send online questionnaires to 600 people, and 54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60 questionnaires were considered missed questions or judged to be dishonest, a total of 485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ult analysis. Data proces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SPSS 26.0 and Amos 21.0. In order to realize th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ine optimal path hypotheses are set, such as the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self-management,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sports self-confidence, achievement goal tendency and life quality,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self-management and life quality,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self-management and media effect of sports self-confidence. The valid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 values of all factors show satisfactory suitability. The detailed hypothesis validation results are as follows. 1.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o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 management,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quality,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gender, grade and sports gra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2.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i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will be. 3.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confidence.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is, the higher the level of sports confidence will be. 4.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is,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5. The self-management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management is,the higher the level of sports self-confidence will be. 6. The self-management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self-management is,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7. The sports self-confid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 higher the sports self-confidence is , the higher the life quality will be. 8. The influ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the life quality has media effect of self-management. 9. The influ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achievement goal tendency on the life quality has media effect of sports self-confidence. As mentioned above, the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and sports self-confidence of Chinese college football players go hand in hand, which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ife quality and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life quality. Therefore, in certain coach and his or her teams, if we can improve athletes'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management level and sports self-confidence, as athletes, we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life in getting along with coaches and teammates, and we can highly evaluate our own life quality.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s not only as athletes themselves, but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growth of college students in our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며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산둥체육대학교, 베이징체육대학교, 상하이체육대학교, 광저우체육대학교 등 4개 중국 대학교의 축구 전공 대학생 선수를 대상으로 하고 2021년 6월에 연구설계를 진행하였고, 2022년 2~3월에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에 따른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채택하고 중국 리서치 전문 업체인 원쬔씽(問卷星)을 통하여 총 600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해 545건 수거하였다. 문항이 누락 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60건을 제외한 총 485건의 유효 질문지가 결과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AMOS 21.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모델의 가설 검증을 위해 일반적인 특성의 차이, 성취목표성향과 자기 관리,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 자신감, 성취목표성향과 삶의 질,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 자기 관리와 삶의 질,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 자기 관리와 운동 자신감의 매개 효과 등 9개의 최우선 경로 가설을 설정했다. 연구모델의 검증결과는 관련 관계 분석과 확인요인 분석결과에서 모든 요인의 결과 값이 만족스러운 적합도를 나타냈고 상세한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에 대해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 운동등급에 차이가 존재한다. 2.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자기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자기 관리의 수준이 높아진다. 3.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의 수준이 높아진다. 4.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취목표성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5.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들의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자신감의 수준이 높아진다. 6.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자기 관리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7.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스포츠 자신감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관리가 높을수록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진다. 8.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관리의 매개체 효과가 존재한다. 9.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체 효과가 존재한다. 이처럼 중국 대학생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을 병행하는 것은 삶의 질과 인과관계가 있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감독과 소속팀에서 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자기 관리수준, 스포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면 선수로서 팀과 감독, 동료들과 어울려 삶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고, 자신 삶의 질을 높이 평가할 수 있으며, 삶의 질 향상은 선수 자신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에 맞는 대학생의 성장에 중요한 요인이다.

      •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관계

        김형철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395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포츠 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SSCQ(Sports Confidence), CDMSES-SF(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먼저 SPSS 프로그램 버전 23.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T-검정, 요인 분석, 상관 관계 및 영향 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첫째.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스포츠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스포츠자신감의 코치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목에 따라서는 스포츠자신감의 신체정신사회, 코치사회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체종목이 개인종목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체종목이 개인종목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진로성숙도에서는 목적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체종목에 비해 개인종목에서 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입상실적에 따라서는 진로성숙의 목적성에서만 입상실적이 없는 선수들이 부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성숙에서는 독립성에서 3학년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목적성에서는 1학년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수경력에 따라서는 스포츠자신감의 신체정신사회에서 5년 이상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포츠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의 하위요인 중 확신준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을 제외한 모든요인에서 상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성은 스포츠자신감의 능력입증에서 상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목표, 미래계획은 상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은 하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성은 스포츠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상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성은 스포츠자신감의 신체정신사회에서 상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치능력은 하집단이 가장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직업목표에서 상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계획은 하집단이 가장 높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의 하위요인중 확신준비는 모든 요인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성은 코치사회능력, 직업목표에서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성은 신체정신사회, 능력입증, 직업선택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적성은 미래계획과 결정성은 부적상관관계, 확신준비와 독립성은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자신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확신준비에 스포츠자신감은 신체정신사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모든요인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성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목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정성과 목적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대학선수의 경기력에만 치중하기보다는 대학 관계자와 스포츠계, 사회에서도 미래를 대비할 제도적 장치 마련을 통해 제도를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onfid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mong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Sports Confidence (SSCQ),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DMSES-SF), and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3.0, first.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ports confid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der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aching ability of sports confidence according to gender, and males were higher than fem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mental and social skills according to the sports, and the team sports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individual spor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group sports showed a higher level than individual sports. In career matur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urpose. The individual events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group events, and according to the winning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hletes who did not win awards only for purpose. According to the standing army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the physical and mental society of sports confidence, and the group without the purpose of career matu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sports confid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confidence prepar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have a correlation in all factors, and independence was determined by coach social ability, vocational goal was found to be correlated only with Determinism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physical and mental society, ability verification, and career choice, and preparedness for assurance and purposefulness were found to have a correlation with future planning and determinism independence. Third, sports confid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ation sub-factor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confidence preparation, sports confidence, physical and mental society, and all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Occupational goals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independence, and determinism and purposefulnes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future plans. Taken together, this suggests that university officials, the sports world, and society also need to apply the system through the preparation of institutional devices to prepare for the future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performance for university athletes.

      • 레슬링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황원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3950

        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은 자신감 향상과 경기력 향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슬링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78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내적일관성검사, 일원다변량분산분석(one-way M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은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수준을 보였다.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은 전반적으로 일반부, 대학부, 고등부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둘째, 일반적으로 우수 선수는 비우수 선수에 비해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도 우수 선수는 비우수 선수보다 높은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이 수준을 보였다. 셋째, 레슬링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은 스포츠자신감 수준을 향상시킨다.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포츠자신감에 대한 모든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이 레슬링선수의 실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elf-management of athletes relates with improvement of sport confidence and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sport confid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by high school, university, and adult athletes. 278 elite wrestling athletes were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 internal validity test, a one-way MANO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levels of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got higher, as career got higher with the order of adult, university, and high-school levels. Second, It is kn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between elite and non-elite athletes. As expected in this study, the levels of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in elite athlete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elite athletes. Third, the self-management of wrestling athletes improved the level of sport confidence.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ll regression formulas of sport confidence. This means that self-management of athlete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sport confidence. Finally,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wrestler's performance.

      •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스포츠자신감과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수용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3949

        본 연구는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스포츠자신감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21회 백운기 전국 고등학교 축구 대회에 참가하는 32개 팀과 제55회 춘계 한국고등학교 축구연맹전 57개 팀 33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5 문항과 김병준(2003)과 이승목(2010), 박준모(2011)의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에 관한 문항, 스포츠 자신감은 김원배(1999), 박준모(2011)에 관한 문항 및 운동 몰입은 권성호(2007), 이승목(2010)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 하게 수정·보완하여 구성 하였다. 통계처리는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30명의 자료는 제외하고 유의미한 300명 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측정도구 항목들의 타당도 검사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구성요인별로 Cronbach′s α 검사를 , 각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차이분석(t-test, F-검증)을 각 변인 간의 상관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이에 따른 각 변인의 영향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관리가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훈련 관리(t=3.824), 생활 관리에서(t=6.87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자기관리가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훈련 관리(t=2.450), 생활 관리(t=3.37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스포츠 자신감이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스포츠 자신감의 하위요인 코치지도력(t=3.436), 사회적 지지(t=4.363), 능력입증(t=2.47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자기관리를 통해 스포츠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운동 몰입도 높일 뿐 아니라 스포츠 자신감이 높을수록 운동 몰입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은 높은 자신감을 갖고 운동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자기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이를 통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도자들도 이러한 내용들을 기초하여 고등학교 축구선수를 지도하는데 자료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 sport confidence and sport flow of high school soccer players. For this, total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high school soccer players who participated in soccer competitions from 89 teams in South Korea. In addition, questionnaires consi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f self-management, sport confidence as well as sport flow. total 3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using the SPSS 23.0 for the data analysi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 sport confidence, training management and life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have influence on sport confidence. Second, when it comes to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the sport flow, training management and life management have influence on sport flow. Third, regarding the effects of sport confidence on sport flow, sport confidence has influence on coaching, social support as well as proving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port confidence. In summary, self-management for high school soccer players is very crucial factors in order for them to cultivate sport confidence and improve their sport flow. Therefore, self-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high school soccer coaches as top priority to be in a strong position.

      •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 스포츠 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조상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394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탁구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하는 선행변수를 찾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경기력의 선행요인으로서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수행전략,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자기관리와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를 스포츠 수행전략 및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역할을 탐색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탁구선수들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2일부터 12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50부를 배포하여 523부가 회수되어,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8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수행전략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탁구선수의 스포츠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탁구선수의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인지된 경기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수행전략이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탁구선수의 스포츠 수행전략이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섯째, 탁구선수의 스포츠 자신감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곱째, 스포츠 수행전략 및 스포츠 자신감은 자기관리와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과 스포츠 자신감을 통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체육 및 운동선수들이 자기관리를 통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s confidence as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s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from March 3 to March 23, 2023.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23 were returned, of which 48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40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SPSS 26.0 and the Amos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self-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cond, higher levels of self-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port confidence among table tennis players. Third, the higher th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ir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port confidence. Fifth, table tennis players'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can promote perceived performance. Sixth, table tennis players' sport self-confidence can promote perceived performance. Sevent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 self-confid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self-management influences perceived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can enhance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 confidence. This provide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better explain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uidance to help athletes and athletes improve their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self-management. 本研究的目的是探讨中国乒乓球运动员感知到的成绩的前因.具体来说,本研究分析了中国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作为感知表现的前因是如何影响感知到的成绩,并探讨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在自我管理和感知到的成绩之间的中介作用. 为了实现这些研究目标,我于2022年12月2日至12月23日对中国乒乓球运动员进行了问卷调查.共发放了550份问卷,收回了523份,在排除了40份回答不真实的问卷后,有483份被用于最终分析.我们还是用了SPSS26.0和Amos26.0软件来分析收集的数据. 分析的结果如下:首先,我们发现,在中国乒乓球运动员中,较高的自我管理水平与较高的运动表现策略水平有关.第二,较高的自我管理水平与乒乓球运动员较高的运动信心水平有关.第三,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水平越高,他们感知到的成绩就越高.第四,运动表现策略被发现对运动信心有积极影响.第五,乒乓球运动员的运动表现策略可以促进感知到的成绩.第六,乒乓球运动员的运动自信心可以促进感知到的成绩.第七,运动表现策略和运动自信心在自我管理和感知到的成绩之间起到中介效果. 基于这些结果,本研究的意义如下.首先,本研究有助于我们理解自我管理对感知到的成绩的影响机制.具体来说,本研究表明,自我管理可以通过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来提高感知到的成绩..这为更好地解释自我管理对感知到的成绩的影响提供了一个重要的理论基础.其次,本研究的结果可以为帮助运动员和选手通过自我管理提高感知到的成绩提供指导.

      • 대학생 태권도 겨루기선수의 셀프리더십이 스포츠자신감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이정용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393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use of imvesegery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self-leadership 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to propose the methods for enhancing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provide the baseline data for the enhancement of the players’ sports confidence in the matches. Thus, this study analyzed that of 236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registered in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 2019.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material according to the purpose, using SPSS/WIN Statistics Software 22.0,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turned out that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confidence. To examine this closely, it turned out that it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including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behavior-focused strategies and that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and natural reward strategies had significant impacts on social support and coaching leadership. Overall, all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 impacts on sports confidence. Second, it turned out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performance. To examine this closely, only natural reward strategies affected competition performance, a sub-factor of perceived performance, and only natural reward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n competition. Overall, only behavior-focuse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of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 impacts on perceived performance. In sum, college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should promote confidence and self-leadership as well as exercise to maximize their ability and go up to a higher rank, and the players can get positive impacts more through these processes. Also, it is judged that players’ enhancement of the self-leadership ability that can resolve various problems that occur in the environment, such as athletic training and college life would have good results in the player life and competition and would increase the players’ satisfaction with exercise.

      •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가 지각한 코치 신뢰와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운동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양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393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들의 감독에 대한 신뢰,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변수들 사이에 직접과 간접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더 검증하는 것이다.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훈련 방법과 운동 성적의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 배드민턴 스포츠에 참고할 수 있는 경험 모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여러 대학교의 468명의 배드민턴 학생선수를 선정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45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코치 신뢰를 독립변수로,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SPSS 25.0과 Amos 24.0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Bonferroni 사후검정(post-hoc), 탐색적 요인분석, Amos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코치에 대한 신뢰의 차이는 연령, 학년 및 운동경력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았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운동에 대한 자신감은 연령, 학년, 주당 운동 횟수 및 운동 경험에서 모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어린 집단이, 고학년 집단보다 저학년 집단이, 주중 운동 횟수가 적은 집단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많았다. 운동몰입에 대한 결론에 의하면 연령, 학년, 운동 경력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학년이 높은 집단보다, 운동 경력이 많은 집단이 연령이 적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만족도 역시 연령, 학년, 운동 경험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을 많이 한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하위요인 인지몰입, 행위몰입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은 코치 신뢰와 운동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중개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between coach trust, sports confidence, sports engagement and sports satisfaction. Specifically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trust and sports confidence, sports flow, and sports satisfaction in Chinese badminton player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the training method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Chinese college badminton play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empirical model for Chinese badminton sports. To this end, 468 badminton players from many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fter data verification, 450 sample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oach trust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exercise confidence, exercise engage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5.0 and Amos 24.0 software,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verification.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coach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Groups with more sports experience ar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e conclusions on sports confidence and confidence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upper-grade group, the group with less weekly exercis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more,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less. The conclusion of sports investmen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higher grade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younger group. The conclusion of sports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For groups with little sports experience. Secon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ir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the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Fourth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Fif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Six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Seventhly, it shows that cognitive investment and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badminton players' sports investment sub-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Eighthly, Sports confidence, athletic immersi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immersion have a partial intermediation effect between coach trust and athletic satisfaction.

      • 중·고등학교 씨름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박현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3919

        The self-management of athletes shows improvement in sport confidence and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sport confid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wrestling athletes. Total 230 elite korean wrestling athlete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 internal validity test, a one-way MANA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by grad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t. Generally, high school students that were successful and had more experiences did bett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it showed that the levels of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rose, as success rose. Third, the levels of self-management, and sport concentration in elite athlete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elite athletes. It is kn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psychological skills, and concentration between elite and non-elite athletes. Elite athletes have a positive affect such as, such vitality, and it is known that anxiety levels about games are lower. Finally, self-management influenced sport confidence significantly. A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ll the regression formulas of sport confidence. 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은 스포츠 자신감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씨름선수와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등부, 고등부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30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탐색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내적일관성검사, 일원다변량분산분석 (one-way M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에 따른 자기관리행동 및 스포츠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중학생 보다 경력과 경험이 풍부한 고등학생들이 더 높은 자기관리행동 수준과 스포츠자신감을 보였다. 둘째,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은 전반적으로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우수선수의 자기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은 비우수선수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간에는 일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우수 선수는 활력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경기에 대한 불안수준이 낮다고 알려진다. 마지막으로, 운동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은 스포츠자신감 수준을 향상시킨다. 자기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스포츠자신감에 대한 모든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중국 대학 농구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스포츠 자신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택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3900

        중국 대학 농구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스포츠 자신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조택붕 지도교수 최덕환 본 연구는 중국 대학 농구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스포 츠 자신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 산시성의 대학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집 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대학 농구선수 총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과 반응고정화 현상을 보이는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410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25. 0과 AMOS24. 0을 이용하고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사후분석, 상관관계분 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연구문제들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 리더십 유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수 스포츠 자신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수 생활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리더십 유형은 선수 스포츠 자신감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도자 리더십 유형은 선수 생활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 자신감은 생활 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 types of Chinese university basketball coaches on athletes' sports self-confidence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university basketball players from Shaanxi Province, China as the subjects. The voting method used convenience sampling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n a total of 430 college basketball players. In addition to the data of 20 individuals who reported dishonest answers and fixed reactions, a total of 410 individuals were used for practical analysi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s SPSS25. 0 and AMOS 24. After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one-way anova, t-test,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 effect analysis, individual hypotheses were validated using 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ype of leadership of leaders. Secondly, gener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thletes' sports self-confidence. Thirdly, general characteristic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thletes. Fourthly, the type of coach leadership has a close impact on athletes' sports self-confidence. Fifth, the type of leadership style has a close impact on athlete life satisfaction. Sixth, sports confidence has a clos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