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성모델을 이용한 여성화장품광고의 광고효과 연구 : 인쇄광고 중심으로

        안혜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6

        In women''s cosmetics advertising in Korea, the truth of the matter is that the use of a female spokesperson to promote a brand is seen as the most effective way of advertising, since through the visage of a beautiful spokeswoman, the consumer, in fact, a woman can reflect the ideal self-conscious vision. But in a world full of beautiful cosmetics spokeswomen,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m. Among these female spokesperson in women''s cosmetic advertising, the appearance of a male spokesperson can be enough to gain the attention of female consumers.This study started out as a question of whether using a male spokesperson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using a female. In this study, the following issues will be addressed ; First of all,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 male spokesperson in female cosmetics advertising will be analyzed, and then the type of advertising appeals to maximize the effect of a male spokesperson will be analyzed. Finally, a study on how the involvement of a product and the attitude towards spokesperson have an effect on the advertising will be analyzed.As for the main research, advertising samples that differed in the advertising appeal types (emotional appeal and rational appeal) and the gender of the spokesperson were produced. The advertising samples were separated into four types : emotional appealing ad with male spokesperson, emotional appealing ad with female spokesperson, rational appealing ad with male spokesperson, and rational appealing ad with female spokesperson. A survey group of 120 women in their twenties was taken, which were then divided into 4 subject groups and each groups were given respective advertising samples. The spokespersons used for the samples, Kang Dong-Won and Han Che-young, who have not currently appeared in cosmetics advertising, were chosen. The spokesperson and ad copy was used appropriately for respective advertising samples. The copy for the emotional appeal-based ad was used to appeal to the consumer''s emotional side instead of dependance on product information, while the rational appeal-based ad concentrated on the products information and attributes alone. The copy for the rational appeal-based ad was referred from a sample of related advertisements in magazine. A fictitious brand name had to be chosen that would feel new to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and so the brand ''april'' was decided upon. The survey included the following criteria;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based on attention, favor, and believability ;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product based on favor and believability ; purchase intent ; consumer''s attitude toward spokesperson ; consumer''s involvement of the product. The survey participant was rated each question on a 7-point scale. At the end of the survey,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through a T-test analysis.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n the analysis of the two emotional appealing ad, the advertising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featuring the male spokesperson was found to have better appeal than the advertising of the female spokesperson. As for the rational appealing a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dvertising attitude of either of the genders. None of the appeal types or genders had an influence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product or purchase intent.Second, in the female cosmetic advertising featuring the male spokesperson, the emotional appeal type rated higher than the rational appeal type in th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while th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and purchase inten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ough the advertising appeal types do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it does not seem to affect th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or purchase intent.Third, in female cosmetic advertising, the spokesperson''s gender and advertising appeal types are interrelated.Fourth,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group of the product and the low involvem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of the male spokesperson. Although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of the male spokesperson)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or purchase intent did increase when the product involvement was made higher.Fifth,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 did increase when the attitude toward the male spokesperson was positive. But, the attitude toward the product was not effected by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pokesperson.As the result,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 male spokesperson on female cosmetic brand are affected by the advertising appeal type, by the attitude toward a male spokesperson and the involvement of the product. Through this study, if the advertising of cosmetic brand for 20-something females uses a male spokesperson and, at the same time, use emotional appeal type, the consumers will pay much more attention to the advertising. 여성화장품광고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이상적인 자아 이미지를 반영하는 아름다운 여성이 광고모델로 등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은 사실이다. 아름다운 여성모델 일색인 수많은 화장품 브랜드들 사이 차별화된 광고모델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름다운 여성모델이 등장하는 대부분의 여성화장품광고 중에서 눈에 띄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남성모델의 등장은 그 자체로서 여성소비자들의 시선을 잡기에 충분했다.본 연구는 과연 여성화장품광고에서 남성모델은 여성모델에 비해 효과적인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여성화장품광고에 남성모델 활용에 따른 광고효과는 어떠하며, 남성모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광고소구유형은 무엇이며,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모델에 대한 태도는 광고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문제로 삼았다.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화장품광고의 모델성별과 광고소구유형(감성이성)을 달리하여 실험광고물을 제작하여, 20대 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각 4(남성모델감성소구, 여성모델감성소구, 남성모델이성소구, 여성모델이성소구)개의 각기 다른 실험물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여성화장품광고에 등장하지 않았던 유명 연예인(강동원한채영)을 모델로 선정하였으며, 감성적소구와 이성적소구는 모델과 카피의 처리를 달리하여 광고물을 제작하였다. 감성소구광고의 카피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아닌 소비자의 감성에 어필하도록 하였으며, 이성소구광고의 카피는 제품의 기능을 기술함으로써 제품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잡지광고에 게재되었던 광고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제품명은 ''April''로 피험자들이 처음 경험하는 가상의 신규브랜드로 설정하였다. 설문은 광고에 대한 태도(주목성호감도신뢰도), 제품에 대한 태도(호감도신뢰도), 구매 의도, 모델에 대한 태도, 관여도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하고, 7점 척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후 실험결과에 대한 차이를 T-test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상호교차효과를 보기위해 변량분석을 하였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모델성별에 따른 여성화장품광고의 광고효과는, 감성소구광고에서는 광고에 대한 태도는 남성모델의 광고가 여성모델의 광고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이성소구광고에서는 남성모델과 여성모델의 광고는 광고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제품에 대한 태도는 감성소구광고와 이성소구광고 모두 광고모델의 성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모델의 성별은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둘째, 남성모델의 여성화장품광고의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에 대한 실험연구결과 광고에 대한 태도는 감성소구광고가 이성소구광고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모두 수치상으로 차이를 나타냈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여성모델의 여성화장품광고에스는 광고에 대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모델의 경우 광고소구유형이 광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셋째, 광고모델의 성별과 광고소구유형 간에는 상호교차효과가 나타났다.넷째,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관여도에 따른 남성모델의 여성화장품광고와 여성모델의 광고에 대한 태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 경우, 여성모델이 남성모델보다 제품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남성모델의 여성화장품광고에서 광고모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경우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경우에 비해 광고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는 높게 나타났지만, 제품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를 통해 여성화장품광고의 남성모델을 이용한 광고효과는 광고소구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성모델은 이성소구보다는 감성소구가 광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며, 이성소구의 경우 남녀모델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성별과 광고소구유형간의 상호교차효과로 알 수 있듯이 모델성별과 광고소구유형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광고에 대한 태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남성모델이든 여성모델이든 간에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남성모델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본 연구는 광고소구유형을 감성소구와 이성소구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 것만으로는 남성모델의 광고효과를 측정하기에 부족했으며, 연령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를 분석하지 못한 점 등 연구 상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지만 남성모델의 여성화장품의 효과적인 광고소구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Advertisement Spokesperson’s Negative News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crisis management

        우요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775

        Celebrity endorsement has been now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of marketing. However, negative news of celebrities has been exposed to the public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which not only affects their own reputation but also brings a lot of pressure on their endorsements. An increasing number of scholars agree that the exposure of negative news of spokespersons will affect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products endorsed. Many scholars have already paid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negative information of advertising spokesperson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is phenomenon in China. From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ers mainly pay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the negative information on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negative news of a spokesperson will produc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products that he or she has endorsed. However, few scholars in China have done relevant research on the mechanism and logic of the negative news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strategy of dealing with the negative event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n consumers' willingness to purchase following the exposure of negative information of a spokesperson. So, how to handle the negative impact of a celebrity's negative news on products endorsed by him or her? The author studies if crisis management is a different way to mitig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information of the endorsement celebrity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this study,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moral negative information, competent negative information,endorser's credibility and crisis management are studied in combination. Through experiments, the influence of both competence and moral negative information of a spokesperson on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will be tested. It is found that a negative impact on the endorser's credibility is produced whether moral or competent negative information of a spokesperson is. Moreover, when the product spokesmen's competent negative information is exposed,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 on endorser's credibility by increasing crisis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also the same with that of moral negative information. This study is composed of five parts: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model framework, experimental exploration and research conclusion. Among them,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background and th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significance, research content and the research method. The second chapter is the literature review, which mainly introduces the spokesperson, competent negative information, the moral negative informati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the literature advertisement related to investment at home and abroad. The third chapter is the model framework, which details the research model designed by the author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nt. The fourth chapter selects the Chinese population as the research object and uses the questionnaire method to do the experiment. Finally,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3.0 and AMOS 22.0 are used to analyze the data of the effective questionnaires, so 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two kinds of negative informa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dvertisement investment in the entire process. The fifth chapter is the general discussion, which discusses the conclusion and the management reflection of this research, alongside the research limitation and the future research prospects. Keywords: spokesperson, incompetence,immorality, crisis management, endorser's credibility,purchase intentions. 연예인이 광고모델을 하는 것은 요즘 널리 인정받는 효과적 마케팅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미디어의 발전함에 따라, 연예인의 부정적인 뉴스도 많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뉴스는 자신의 명예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광고하는 제품들에도 많은 나쁜 영향을 줄 것이다. 연예인의 부정적인 뉴스가 노출되면 소비자의 구매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게 학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해외학자들은 일찍부터 광고 모델의 부정적인 뉴스가 초래된 문제에 주목했고, 우리나라에선 이 현상에 대한연구가 비교적 적었다. 과거의 연구문헌을 살펴보면, 학자들은 주로 광고 모델의 부정적인 뉴스가 나온 후 소비자들이 광고에 대한 태도, 브랜드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학계에서는 광고 모델의 부정적인 뉴스가 제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 중 메커니즘과 논리 국내의 일부 학자들이 관련 연구가 많이 없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부터 부정적인뉴스 사건을 대응 방안에 대한 연구도 드물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시각에서 연구의 출발점으로 제품 모델의 부정적인 뉴스가 노출된 후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대한부정적인 영향을 낮추기 위한 대응책을 찾아볼 것이다. 또한 연예인의 부정적인 뉴스가 광고제품에 미치는 악영향을 어떻게 해결하는지, 또한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대중의 반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모델의 부정적 영향을 약화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 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구매의향, 도덕형 부정적인 뉴스, 능력형 부정적인 뉴스, 모델의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모델에 대한 신뢰라는 다섯 가지를 통합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을 통해 모델의 능력형과 도덕적인 부정적인 뉴스가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연예인의 도덕형 부정적인 뉴스나 능력형 부정적인 뉴스는 모두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대한 나쁜 영향을 시킨 것으로 나왔다. 또 제품모델의 능력형 부정적인 뉴스가 노출된 후 위기 커뮤니케이션을 늘리는 것이 소비자의 구매 의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마찬가지로 위기 커뮤니케이션도 도덕형 부정적인 뉴스가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부정적인 미치는 영향을 주었다. 제품모델에 대한 신뢰의 증가로 소비자의 구매의향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론, 문헌 총, 연구 모형, 실험 진행과 연구결론을 총 5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그 중 첫 번째 부분은 서론이다. 주로 연구 배경, 연구문제, 연구의의 연구 내용과 연구방법으로 구성된다. 두 분째는 문헌 총론 이다.주로 광고 모델, 능력형 부정적인 뉴스, 도덕형 부정적인 뉴스, 소비자의 구매의향,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국내외 연구 문헌을 소개하는 것이다. 셋 번째 연구모델 부분은 연구내용을 대상으로 설계한 모델이다. 제4장에서는 중국 젊은 층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전체 배포하는 방식으로 실험하고, 마지막으로 통계 소프트웨어인 SPSS23.0 및 AMOS22.0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설문지 데이터 회수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두 가지 유형의 부정적인 뉴스가 소비자의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전 과정에 걸쳐 미치는 조절 효과를 검증한다. 제 5 장에서는 종합적으로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의 연구 전망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광고 모델, 능력형 부정적인뉴스, 도덕형 부정적인 뉴스, 위기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한 신뢰, 구매의향

      • 브랜드개성, 모델개성, 소비자개성의 일치여부가 광고태도 및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90

        사람들은 자신을 알아주는 브랜드를 찾고 있으며, 카리스마를 가진 브랜드개성과 자신을 어떤 방식으로 연관시킬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려한다. 따라서 기업은 브랜드의 언어적, 시각적 스토리를 창조함으로서 개인적인 수준에서 브랜드와 소비자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찾고자 한다. 즉 실재인물로서의 캐릭터를 창조하고, 이를 낭만적으로 표현하거나 창조적으로 확장하면서 브랜드에 개성과 감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자산의 가치를 결정하는 선행요인들 중에서 브랜드개성, 소비자개성, 모델개성간의 일치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까지 이들 개성, 각각에 대한 개별 연구는 많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세요소간의 일치효과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진 않았다. 특히 모델개성의 연구는 주로 모델의 신뢰도와 유명세를 기준으로 한 광고효과 측면에만 치우쳐 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대로 현재 광고계의 추세는 모델의 실제 이미지를 빌어 효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고 궁극적으로 고객의 감성에 호소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브랜드개성, 모델개성, 소비자개성 이들 세 가지의 관계를 동시에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의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에 브랜드개성, 모델개성, 소비자개성 각각의 일치여부가 미치는 영항력 정도를 실증분석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개성과 소비자 개성이 일치할수록 소비자는 긍정적인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를 형성한다. 둘째, 모델개성과 소비자 개성이 일치할수록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는 높게 나타난다. 셋째, 소비자는 자신의 개성과 브랜드개성, 모델 개성의 일치여부를 판단 할 때 실제적 자아개성보다는 이상적 자아개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다. 넷째, 모델 개성과 소비자개성의 일치여부는 브랜드태도 형성보다는 광고태도형성에 더 유�賓鎌�영향을 미친다. Although spokesperson's image dominates advertising effect, little empirical work has been conducted on such study as considering consistendy between brand Personality, spokesperson's personality, andconsumer personality.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esents a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n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attitude of consistency between brand personality, spokesperson's personality, and consumer personality. The data are provided by actual advertising at the level of consumers' lived experiences. The result is a appreciation of the consistenc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s' ideal self personality, and spokesperson's personality and consumers' ideal self personality.

      • 브랜드 개성과 광고모델 이미지 및 소비자 자아 이미지의 상호조화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89

        기업들이 브랜드의 자산적 가치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으나 아직 확실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대한 한 가지 해답으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개성의 강화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결국 특정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동기는 그 브랜드를 소유하거나 사용함으로써 자신을 표현하거나 원하는 이미지를 추구하고 싶은 심리적 상징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를 소비함으로써 원하는 자아 이미지를 표현할 기회를 가지게 된다면, 그 브랜드는 독특하고 차별적인 개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 개성의 전략적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는 브랜드 개성을 중심으로 제품평가의 주체인 소비자의 실제적 자아 이미지와 이상적 자아 이미지 그리고 브랜드 개성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브랜드 개성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는 광고모델 이미지 사이의 상호조화 관계가 최종적인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서베이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제품평가 시 이미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감성제품인 화장품과 최근 들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화가 적어지는 기능적 혜택보다는 자사만의 독특한 이미지 구축에 주력하고 있는 실용제품인 신용카드를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브랜드 개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가 쉽고, 비교적 자아 표현적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신용카드에서는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 '신뢰적임'과 '활동적임'의 차원이 소비자의 제품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개성 차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적 자아 이미지와 브랜드 개성, 그리고 이상적 자아 이미지와 브랜드 개성 사이의 조화가 제품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특히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는 이상적 자아 이미지가 실제적 자아 이미지보다 영향력이 크고,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실제적 자아 이미지가 이상적 자아이미지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에서는 '활동적임'과 '순수함'이 중요한 브랜드 개성 차원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제품평가에 있어서는 종속변수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조화 관계가 다양하게 추출되었다. 특히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실제적 자아 이미지와 광고 모델 이미지 그리고 이상적 자아 이미지와 광고 모델 이미지 사이의 조화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적 자아 이미지와의 조화가 이상적 이미지와의 조화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결과를 비교해 보면 실용제품인 실용카드는 주로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와 브랜드 개성 자체의 조화가 전체적인 제품평가에 중요한 설명변수인 반면, 이미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감성제품인 화장품은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와 광고모델 이미지의 조화가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중요한 설명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들 제품의 브랜드를 재 포지셔닝 하거나 새로운 브랜드 개성을 구축하고자 할 때 강조해야 하는 개성 차원을 파악하게 해주며 이를 바탕으로 타겟 소비자에 대한 시장세분화 또는 효율적인 광고모델 선정에 있어 실무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것이다. As the value of the brand equity becomes more important, many companies try to build strong brands by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they have not found any definite way to get i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brand personality as a solution for this problem. The motivation of purchasing a certain brand is for the psychological symbols that consumers want to pursuit or express by using or possessing it. So, if companies build brand personality that is consistent with consumer's image(actual & ideal), they will stay predominant over any other competitors. Brand personality also could be affected by spokesperson's image,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consistency between brand personality, consumer's actual and ideal image and spokesperson's image would influence on a brand evalu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wo product categories, credit card and cosmetics. The result is that there are five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for each product. For a credit card, they are 'reliance','sophistication', 'activeness', 'competence', 'warm-heartedness' and for a cosmetic, they are 'sophistication', 'activeness', 'purity', 'elegance', 'rationality'. In the case of a credit card, it was prove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actual/ideal self-image and brand person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evaluation, especially in the dimension of 'reliance' and 'activeness'. For a cosmetics, the consistency between actual/ideal self-image and spokesperson's ima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especially in the dimension of 'purity' and 'activeness'. These findings would be used for segmentation on the base of the specific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or selection of spokesperson who is suited to the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 정부 PR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 국정홍보처를 중심으로

        김영창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359

        본 연구는 인터넷의 확산 등 홍보환경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음에도 정부 홍보를 총괄하고 있는 국정홍보처의 조직과 기능이 신설이후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점에 주목해 국정홍보처의 조직과 기능에 어떤 문제점이 있고 개선할 사항은 무엇인지를 국정홍보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방이후 한국의 정권별 공보조직과 기능을 분석하고, 외국 주요국의 홍보조직과 기능을 비교했으며, 국정홍보처에 재직하고 있는 전문공무원과 국정홍보를 연구해온 대학교수, 국정홍보처의 조직과 기능에 관련된 신문기사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비교분석의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규정된 국정홍보처의 직무기능을 평가의 대상으로 선정, ① 대변인 기능 ② 홍보업무 조정기능 ③ 홍보기능 ④ 여론수렴기능 등 4가지 직무기능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비교분석의 결과, 첫째 국정홍보처의 대변인 기능은 국민의 정부기간동안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국정홍보처의 직제가 차관급으로 편제되어 적극적인 대변인기능을 발현하는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둘째, 홍보업무 조정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공보관회의 및 민간컨설팅 등의 사업도 양적으로 풍부했지만 해당업무를 맡고 있는 인력의 부족으로 결과에 대한 피이드백이 이뤄지지 않았다. 셋째, 정부 PR을 위해 국정홍보처가 수행하고 있는 홍보방안은 예산의 부족에 따라 각각의 사업이 양적 빈곤상태에 있었고, 홍보방안도 지극히 단순한 상황에 머물러있었다. 넷째, 국정홍보처의 여론수렴기능은 조직별로 사업이 분산되어있고 인터넷의 확산 등 새로운 여론형성매체의 출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었다. 국정홍보처가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정부 PR을 위해 개선해 나가야할 사항으로는 ① 능동적인 대변인 기능을 위한 국정홍보처의 장관급직제로의 상향 ② 인력과 예산의 확대 ③ 홍보방안의 다양화와 기존 홍보수단의 양적 확대 ④ 여론수렴기능을 위한 미디어국 등 필요조직의 신설 등이다.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apparent lack of changes in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the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GIA) of the Republic of Korea despite rapid changes in the PR environment, including expansion of the Internet. The study discusses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GIA from the standpoint of effective government PR, identifies problem areas and presents measures for improving the system of GIA.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the past Korean Administrations since the Republic was liberated from colonial rule in 1945. It also compares the Korean Government PR system with those in other countries. GIA employees with expertise in government PR as well as college PR professors were interviewed. Newspaper articles pertaining to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GIA were reviewed. Comparisons and analyses were made in the findings of the four major functions of GIA as stipulated in the presidential decree on the establishment of GIA. The first has to do with its function as the spokesperson for the Government. The second is its function as acoordinator in the PR affairs of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The third is its function as publicist for government affairs. The fourth is its function as a gatherer of public opinion. Problems evidenced in each of the four functions were discuss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first function mentioned above, GIA's role as the spokesperson seems to have been revitalized by and large under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dubbe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which created the independent government information agency. However, since the top administrator of GIA is filled with a vice minister instead of a minister, his/her role seems to be rather limited in terms of speaking for other ministries headed by ministers. Second, in an effort to coordinate government-wide PR efforts, GIA has routinely called a meeting of public information officers of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sector consultants and reaped considerable results. But, due to a shortage of staff workers, useful ideas and data have not been fully evaluated and utilized. Third, the government's publicity work remains constrained by a lack of the budget. Naturally, publicity programs are largely simplistic. Fourth, public opinion gathering function of GIA is splintered, inconsistent and is being performed by several divisions. The current system fails to take advantageof the Internet, which is a major medium for collecting feedback from the general public. For the problems identified in each of the GIA's major functions, this study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o assure wider access and a more effective role in the government PR affairs, the position of the GIA top administrator needs be upgraded to minister rank. Second, the GIA staff and budget need to be increased substantially to reap optimum results. Third, the government's publicity programs and projects as well as the means for executing them need to be diversified and expanded. Fourth, in order to take the full advantage of the new media in accommodating public opinion in particular, a new Media Bureau needs to be created within GIA.

      • Effects of exposure to foreign celebrities on the attitudes of Korean TV viewers toward foreign products

        Klessa, Agnieszka Maria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354

        최근 한국의 TV 채널, 특히 종합편성 케이블 채널에 외국인들이 주요 등장인물로 출연하는 프로그램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들이 국내 시청자들 사이에서 유명세와 호감을 얻게 됨에 따라 국내에서 시판되는 국내 외 제품들의 광고모델로 등장하는 사례 역시 빈번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외국인 TV 프로그램 출연자들이 자국 제품의 모델로 등장할 경우 한국 시청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비정상회담’과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를 시청하는 대학생 시청자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들에 대한 시청량이 출연자들이 광고에 등장하는 외산제품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국인 모델과 제품은 중국과 일본에서 선정하였으며, 제품은 식품과 전자제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식품의 경우에만 외국인 출연자가 등장하는 프로그램의 시청이 외산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다만, 일본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외국인 모델에 대한 태도를 조절변인으로 투입할 때 프로그램 시청량이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TV프로그램에 출연중인 일본인 출연자를 좋아할 때에만 해당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할수록 일본 전자제품에 대한 태도가 좋아짐이 확인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 효과, 원산지 효과, 모델 효과가 혼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raise in the number of programs featuring foreigners on Korean television, especially on various cable channels. Following the favorable impressions and popularity the attractive foreigners featured in those programs gained among Korean viewers, they started to appear in advertisements as models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uch TV programs on Korean viewers, when the foreigners featured in the programs appear in the advertisement for the products made in their countries. Specifically,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assuming that viewing TV programs, such as Non Summit and Where Is My Friend's Home, can significantly alter the viewers'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products endorsed by the foreigners featured in these program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70 university students. For the models, Japanese and Chinese models featured on Non Summit and Where Is My Friend's Home were selected, and for the products, food and electronic products were chosen. The results confirmed the effect of viewing TV programs featuring attractive foreign celebrities on South Korean viewers' attitudes toward foreign products only when the endorsed products were foods. In the case of electronic produ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when the attitude toward the foreign model was add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titudes toward the Japanese electronic product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viewing.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the viewing of TV programs featuring foreigners on the attitudes toward Japanese electronic products were significant only when the viewers liked the Japanese mode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hich suggest a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cultivation hypothesis, country of origin effects and spokesperson effects, are discussed.

      • Research on the impact of social media influencers of Ganzi on travel intention: focused on the AIDA model

        유원성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21

        In the tourism industry, advertisers are increasingly exploring support from social media influencers (SMIs) as a strategy to drive positive consumer response. Social media influencers are emerging as central players in media marketing, enhancing destination marketing effectiveness through their own generated messages or message distribution capabilitie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SMI, there is still limited understanding of how SMI influences consumers' travel intentions and the value of its marketing.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an extended AIDA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influencer characteristics, destination perceived trust, destination perceived attractiveness and tourist travel intentions. A total of 416 respondents who had watched the Ganzi and Liu Hong short vide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Using SPSS and Smart PL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media influencers' similarity, expertise, attractiveness, and authenti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destination perceived trust, destination perceived attractiveness, and perceived trust and perceived attractiveness are important antecedents of tourists' travel intentions. This paper provides detailed theoretical and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