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言論의 强力 犯罪 報道 實態에 관한 硏究

        朴保羅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892

        Since the crime news attracts the people's curiosity, crime has been one of the main news resources. Although crime reporting has the positive functions like social integration, stabilization and accommodation of norms, it has side effects as well. This study aimed for the Korean press's crime reporting attitude, for the purpose, two newspapers - Josun Ilbo and Hangyeore Shinmun - are selected and compared the same crime reports with each other. Among the crime news, this study focused on serious crime, therefore, two serial killing cases and two arson cases that appeared in a series are selected. In many established studies, a tendency to sensational crime reporting, a violation of reported person's privacy and the right to get an impartial trial, a civil right's violation are indicated. Focusing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if the difference in political position of daily newspapers affects the crime reporting attitude.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is difference does not affect those problems indicated considerably, for that reason, what policy can be under consideration to improve these problems is inquired. The most important reason resulting these problems in crime reporting practice is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Korean press company to accomplish the pursuit of profits. Although the crime reporting satisfies with the right to know, gives the direction to criminal justice policy, offers the institutional equipment to control the criminal justice and contributes to making the legal and moral norm of society, crime reporting aimed chiefly at entertaining makes the obscure anxiety, affect the fear of crime, furthermore, distrusts the policing of investigative organizations. This tendency cannot be overlooked for its serious effects. Moral awareness of the journali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stigative organizations and the press can be indicated for further reasons. To improve this reporting practice and to incite an overall change in reporting system,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is needed. An recognition that problems resulted from crime reporting are our problems and they can damage us all is needed and arousing the public response and the support of the investigative organization and the press can improve the malpractice for decades.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슨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877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comprehend how general hospital nurses’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influences knowledge and attitude of incident reporting. Specific objectives are: First,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knowledge and attitude in incident reporting. Second, understand how general hospital nurses’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influences knowledge and attitude in incident reporting. Subjects of this study’s survey are senior nurses working at identical Senior General Hospital in Gangnam-gu, Seoul, Korea. The return rate of the survey was 95.6%, 260 copies of survey has been distributed and 239 copies has been collected in tota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influences knowledge and attitude. Lower factors analysis shows people who have much work experience and have faced a lot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ed to hospital and department during work had bette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cident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for hospitals to provide not only specific but also viable strategy to rais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high quality replication studies to revitalize utilization of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ing system so the whole staff could share and make the foundation for the patient safety related research. 이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세부적인 목표는 첫째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둘째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은 2004년 미국 AHRQ가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설문지를 김정은 등(2007)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는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하는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은 총 250부를 배포하여 그 중 239부가 회수되어 95.6%가 회수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은 경력이 높고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를 가진 간호사에게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환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는 간호사가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보고된 사고 횟수를 분석한 결과 환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는 경우환자를 직접 대면하지 않는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 특성에 따른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결혼 상태, 학력, 총 근무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이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은 사건 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병원의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과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병원의 노력이 필요하며 사건보고 시스템 이용을 활성화 시키고 전 직원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일제강점하의 한국에 관한 중국<신보>의 보도실태 연구 : 1919-45년간 기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무소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874

        본 논문에서는 1919년 1월 1일부터 1945년 12월 31일까지 27년간에 중국 상하이에서 발행된 <신보>(申報)에 게재된 한국관련 보도기사를 구조적(양적)으로 그리고 평가적(질적)으로 내용분석하여 한·중 양국이 공동적으로 일제에 저항하였던 그 특정적인 역사 환경 하에 중국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서 어떤 관심을 지녀 왔던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중국 신문에 어떻게 나타나 있었던가 살펴보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를 밝히기 위하여 연구문제 3개를 설정하였으며 그들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의 일제 강점 하 당시 중국신문은 한국에 대하여 무엇을 얼마나 보도했는가? 당시 중국신문이 한국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데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보다는 역시 한국과 중국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 특별사건에 관심이 제일 컸다고 볼 수 있다. <신보>의 예를 들자면 1919년의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해에서의 설립, 1920년의 훈춘사건, 1921년의 워싱턴회의, 1922년의 신관부두 암살사건, 그리고 1931년의 9.18사변과 만보산사건 등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해 추적 보도를 하였다. <연구문제 2> 당시 중국신문은 한국에 대하여 어떠한 보도태도를 취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가? 당시 중국신문이 한국에 대한 보도태도가 아주 애매하였다. 한국 관련기사를 보도하는 데 제목 없거나 그 제목의 길이, 그리고 기사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하면서 보다 중요한 위치에 실린 사실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중국신문은 한국기사를 눈에 띠게 보도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졌다. 또한 한국관련 뉴스를 보도하면서 섣부른 시각의 개입을 가급적 배제하고자 했던 보도태도를 택하였다. 한국관계 기사를 취급함에 있어서 온건하고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으로 높았다. 특히 한국 독립운동 등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런데 특별사건으로 분류된 만보산사건이나 훈춘사건이 중국과 중국 국민에게 피해를 주었기 때문에 중국 신문은 다소 부정적인 태도로 그들을 보도하였다. <연구문제 3> 당시 중국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는 어떠했는가? 중국신문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본에 의해 합병된 비교적 약한 나라라고 평가되지만, 한국국민이 독립운동을 전개하며 일본의 잔혹한 진압에 저항하는 항일투쟁을 전개하는 면에서는 일본의 침략을 당하는 중국과 동맹국 같은 이웃 나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id a research on the reports about Korea that appeared on <Sin-bo>, which was published in Shanghai, us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The reports chosen were those reported from 1st Jan, 1919 to 31st Dec. 1945, altogether 27 yea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n the particular background of Japanese Imperialism when Korean and Chinese people both rose in resistance to Japanese invasion, which aspects Chinese people were interested in about the nation of Korea, and what kind of image Korea was reported as through the Chinese newspapers. Three research problems, and their results of the analyses respectively are as follows. <Problem 1> What and how much did Chinese newspapers report about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f Korea? In the particular period, when Chinese newspapers reporting about Korea, compared with the nation itself, they put much more focus on the special accidents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nfluenced a lo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nations. Taking <Sin-bo> as an example, there were many news and articles published about 3.1 Movement and the Founding of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1919, Hun-chun Accident in 1920, and Washington Conference in 1921, etc. <Problem 2> On what kind of attitudes did Chinese newspapers report about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of Korea? And what was the reason? The attitudes on which Chinese newspapers reported about Korea were a little ambiguous. It was reported without title or with a short and small title, and the news or the articles were relatively short. Meanwhile, the reports were usually put on a comparatively important place. In another word, reports about Korea were not made so distinctive that readers could notice at the first sight, but they were relatively importantly carried. Moreover, when reporting about Korea, objective and neutral attitudes were chosen. Especially, Chinese newspapers showed their affirmative support and prais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people. On the contrary, as to the particular accidents like Wan-baoshan Accident and Hun-chun Accident in which Chinese people were hurt, as newspapers published by Chinese, they expressed a negative attitude. <Problem 3> As what kind of image did the nation of Korea appear on Chinese newspapers?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appeared on Chinese newspapers as a small and weak country, under the conquer of Japan. In the aspect of fighting against Japanese army for independence, it was considered as the ally of China.

      • 오보 대응에 있어서 정부 해명기사의 효과 연구 : 형식, 해명수위, 이슈관여도 중심으로

        최선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57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 for a false report in an online experiment on user's policy attitudes. The focus was especially on changes to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s according to their forms, the organizational method of explanatory level, and issue involvement.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in a factor design of 2(form: text-centric report articles vs. image-centric card news) x 2(explanatory level: strong denial vs. weak denial) x 2(issue involvement: high vs. low). Results were compared among total nine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N = 337) the test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s.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in their policy attitudes before and after reading a false report and then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 for i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users that read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 had a more positive policy attitude than those who did not. Users had a more positive policy attitude when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 was an image-centric card news than a text-centric report article. It was interesting that the core message accompanied by images was effective since the card news in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s aim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In addition, users had a more positive policy attitude to the explanatory level of weak denial such as "Here is our explanation for the false report" than that of strong denial such as "The false report is not true at a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judgment result of the same content can have different impacts on us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nial in the explanatory level of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to demonstrate whether issue involvement would regulate interactions among the form of an explanatory article, level of explanation, and user's policy attitude.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government's explanatory articles for false reports. 본 논문에서는 오보기사를 읽은 후 정부 해명기사를 접한 수용자의 정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정부 해명기사의 형식, 해명수위의 구성방식과 이슈관여도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는지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형식: 텍스트 중심 보도기사 vs. 이미지 중심 카드뉴스) × 2(해명수위: 강한 부정 vs. 약한 부정) × 2(이슈관여도: 고 vs. 저)의 요인 설계를 통해 실험연구를 진행하였고, 정부 해명기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통제그룹까지 총 9그룹 간의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다(N = 337). 실험 참가자는 사전정책 태도를 측정하는 질문에 답하고 오보 기사와 이에 대한 정부 해명기사를 순차적으로 읽은 후 정책 태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 해명기사를 읽은 수용자는 읽지 않은 수용자에 비해 긍정적인 정책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 해명기사의 형식이 텍스트 중심인 보도기사일 때보다 이미지 중심인 카드뉴스일 때 수용자는 긍정적인 정책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정부 해명기사의 카드뉴스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기 때문에 이미지와 함께 핵심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보도는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라는 강한 부정의 해명수위보다 ‘보도에 대한 설명입니다’라는 약한 부정의 해명수위를 접한 수용자는 긍정적인 정책 태도의 모습을 보였다. 이는 정부의 해명기사의 해명수위가 어느 정도로 부정하느냐에 따라 같은 내용의 판정결과라도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명기사의 형식과 해명수위, 수용자의 정책 태도 간의 상호작용이 이슈관여도에 따라 조절되는지에 대해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오보대응에 있어 정부 해명기사가 어떠한 학술적·실무적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했다.

      • 직접 지시 이론과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

        박다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649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은 대체 실패 현상 때문에 철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주목받아왔다. 대체 실패 현상이란 같은 지시체를 갖는 표현들의 대체가 발생했을 때 문장의 진릿값이 보존되지 않는 현상이다.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에서의 대체 실패 현상은 이름의 의미가 지시체일 뿐이라는 직접 지시 이론의 문제로 여겨졌다. 비판자들은 직접 지시 이론을 받아들인다면 대체 실패 현상을 설명하는 것에 실패하고 이에 따라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을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런 비판은 온당한가? 본 논문의 목표는 이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이름에 대한 직접 지시 이론을 소개한다. 철학적으로 주류였던 이름에 대한 의미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은 이름에 대한 기술 이론과 이름에 대한 직접 지시 이론이다. II장에서는 먼저 이름에 대한 기술 이론과 그 이론이 갖는 문제들을 살펴본다. 그 뒤에 이름에 대한 직접 지시 이론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 이론을 받아들인다면 기술 이론이 갖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직접 지시 이론을 받아들이는 동기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는 직접 지시 이론에 제기되는 대체 실패 반론을 정식화하며 직접 지시 이론을 받아들이는 철학자들이 이 반론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III장과 IV장에서는 직접 지시 이론을 받아들이며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을 설명하고자 하는 철학자들의 이론들을 검토한다. 먼저, III장에서는 소박한 러셀주의 이론들을 다룬다. 샐먼과 브라운으로 대표되는 소박한 러셀주의자들은 대체 실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체 실패 반론에 대응한다. 이들은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에서 같은 지시체를 갖는 표현들의 진릿값 보존적 대체는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대체에 실패한다는 사람들의 직관이 잘못된 것이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이런 잘못된 직관을 갖는가? 샐먼은 화용론적 설명을 제시하고, 브라운은 심리학적 설명을 제시한다. 이들은 어떻게 합리적인 주체가 한 명제를 믿으면서도 동시에 그 명제의 부정을 믿을 수 있는지를 잘 설명해주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이들은 여러 문제들에 직면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박한 러셀주의자들이 공통적으로 설명의 문제와 합리성의 문제에 직면한다는 것을 보인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소박한 러셀주의 이론이 불만족스럽다고 주장한다. IV장에서는 맥락주의 이론들을 다룬다. 소박한 러셀주의자들과 다르게 맥락주의자들은 대체 실패 현상이 실제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대체 실패와 관련된 사람들의 진릿값 직관을 반영하는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에 대한 의미 이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맥락주의자들은 맥락에 따라 하나의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의 진릿값이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들은 맥락에 따른 특성 역시 반영하는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맥락주의 이론으로 두 가지 이론을 살펴본다. 첫 번째는 크리민슨과 페리의 이론이다. 크리민슨과 페리는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이 주체와 명제 사이에 이항 관계가 성립함을 보고하는 문장이라는 것을 부정한다. 이들에 따르면 명제가 제시되는 방식이 태도 동사의 세 번째 논항이 된다.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은 맥락에 따라 다른 제시 방식을 세 번째 논항으로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이를 통해 대체 실패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리처드의 이론이다. 리처드는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의 종속절이 러셀적 명제를 나타낸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는 언어적 표현을 포함하는 RAM이라는 새로운 명제를 도입한다. 그리고 이 명제가 맥락에 따라 다른 것을 표상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체 실패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크리민슨과 페리의 이론은 태도 동사가 삼항 관계라는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주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개념이 구체화되지 않는 맥락에서 문제를 가진다. 리처드의 이론은 여전히 태도 동사를 이항관계로 다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관 함수를 제약하지 않음으로써 개념이 구체화되지 않는 맥락에서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을 더 잘 다룰 수 있다. 이를 근거로, 본 논문에서는 직접 지시 이론을 받아들인다면, 리처드의 방식으로 명제적 태도 보고 문장을 다루는 것이 가장 낫다고 주장한다. 물론 리처드의 이론에도 문제들이 제기된다. 리처드는 하나의 언어적 표현이 하나의 개념만을 표상할 수 있는 문제와 상충하는 제약의 문제에 직면한다. 특히 상충하는 제약의 문제는 리처드의 이론에 큰 어려움으로 남는다. 그의 이론이 성공적이기 위해서 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으로 상관 함수에 제시 방식을 추가하는 방식을 고려한다. 이를 통해 상충하는 제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살펴볼 것이다.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have garnered attention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inquiry due to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failure. Substitution failure refers to instances where the truth value of a sentence is not preserved upon replacing expressions with the same referent. This phenomenon poses a challenge to the theory of direct reference, which asserts that the meaning of a name is solely its reference. Critics argue that the theory of direct reference fails to adequately account for substitution failure and, consequently, does not provide a satisfactory explanation for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is criticism. Chapter II introduces the theory of direct reference. Philosophically mainstream theories regarding names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approaches: the descriptive theory of names and the theory of direct reference for names. Chapter II examines the descriptive theory of names, highlighting its associated problems, before introducing the direct reference theory of names. The motivations for accepting the theory of direct reference are presented, demonstrating how it resolves the issues faced by the descriptive theory. Finally, the paper formulates the objection of substitution failure raised against the direct reference theory and explores possible responses from philosophers who adhere to the direct reference theory. Chapters III and IV scrutinize the theories put forth by philosophers who accept the theory of direct reference and seek to explain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Chapter III focuses on naive Russellian theories. Naive Russellians, represented by Salmon and Braun, counter the substitution failure objection by claiming that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failure does not occur. They argue that truth-value-preserving substitution of expressions with the same referent is possible in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suggesting that the prevailing intuition regarding substitution failure is erroneous. Salmon offers a pragmatic explanation, while Braun offers a psychological explanation for why individuals hold these false intuitions. However, they encounter several challenge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naive Russellians face shared difficulties concerning explanation and rationality,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naive Russellian theory is unsatisfactory. Chapter IV explores contextualist theories. Unlike naive Russellians, contextualists argue that substitution failure does indeed occur and aim to provide a semantic theory for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that aligns with individuals' truth-value intuitions. Contextualists also acknowledge the contextual variability of truth values in sentences and strive to develop a theory that accounts for these contextu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examines two contextualist theories. The first theory is proposed by Crimmins and Perry, who reject the notion that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merely report a binary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proposition. Instead, they argue that the presentation of the proposition becomes the third argument of the attitude verb, allowing for different presentations depending on the context. Through this approach, they attempt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substitution failure. The second theory is presented by Richard, who challenges the notion that the subordinate clause of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represents a Russellian proposition. Richard introduces a new proposition called 'RAM,' which incorporates linguistic components and asserts that this proposition can represent different th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Crimmins and Perry's theory not only involves the counterintuitive claim that attitude verbs are ternary relations but also faces difficulties in contexts where notions are unspecified. Richard's theory, on the other hand, retains the treatment of attitude verbs as binary relations and provides a more effective explanation of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in contexts where notions are not specified by not restricting the correlation function.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is paper argues that if the direct reference theory is accepted, it is preferable to adopt Richard's approach when dealing with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ing sentences. However, Richard's theory is not without its challenges. He faces the problem that one linguistic expression can only represent one concept and the problem of conflicting restrictions. The problem of conflicting constraints, in particular, remains a major obstacle for Richard's theory. To achieve success, this problem must be resolved. As one potential solution, this paper considers adding ways of presentation to the correlation function and examines clues that can help resolve the issue of conflicting constraints.

      •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Reporting Attitudes, and Reporting Behavior Among Nursing Assista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Kyung, MinJung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ProQuest D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636

        Backgrou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direct care workers have been a major concer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orldwide. However, man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ent unreported due to perceived barriers of direct care workers. Workers are encouraged to report even minor injury or near misses to their managements in many countries, but in Korea, the injury reporting responsibility of workers is not defined or described.Methods: This dissertation study used cross-sectional survey data from 377 direct care workers in 19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from May 2022 ~ August 2022. Long-term care facilities included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in three cities in Gyeonggi, which is one out of eight provinces and represents 26% of Korean population. In the study, direct care workers refer to trained care staffs providing the most direct personal care such as feeding, bathing, dressing, and toileting regardless of the certification. Direct care workers who were employed for at least three months or longer in their current job, and able to read, write, and understand Korean were eligib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Results: A systematic review showed a high level of underreporting of work-related injuries or illnesses to management or Workers' Compensation programs, ranging 20%-91% in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ied contributing factors and reasons for underreporting of workrelated injuries or illnesses. Analysis of the survey data from direct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direct care workers had a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in the past 12 months, but only 13.5% of them reported it to their management. Also, half of direct care workers had no intention to report their symptoms. Direct care workers' reporting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their attitudes toward reporting, safety climate, symptom severity, and witnessing injury reporting of others. Direct care workers' reporting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duration of work, work arrangement, safety training, safety climate, experi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frequency and severity of symptoms. Direct care workers having positive reporting attitudes were more likely to have intention to reporting and actual reporting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sight into workers' reporting behaviors and attitude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forms future efforts to reduce underreporting and underestimation of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 韓國의 대표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프레임 비교 분석 : 사드(THAAD)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조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617

        언론은 한 나라의 가장 기본적인 정치적 사회적 구조를 반영한다. 달리 말하면, 국제적인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뉴스 보도가 나라별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언론보도는 언론사의 논조에 따라 다르게 틀 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동일한 이슈라 하더라도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보도의 시각이나 관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사드와 같이 해당 국가뿐만 아니라 주변국과의 관계 또한 중요한 이슈의 경우에는 이해관계에 있는 국가들의 사회적, 외교적,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전개되기도 한다. 이는 특정 이슈의 범주가 국내를 넘어 외교적 문제를 포함할 경우, 언론사의 논조보다 해당 이슈에 대한 국가적, 외교적 입장에서의 관점이 더욱 중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최근 외교적 이슈로 부각한 한국의 사드 배치와 관련한 논의들이 언론사의 논조에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드’ 관련 보도에 대한 한국의 대표 보수언론인 <조선일보>와 진보언론인 <한겨레> 간의 프레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한국에서 사드에 대한 논의가 처음 시작된 시점인 1999년 1월 22일부터 사드의 배치장소를 비롯하여 사전결정을 마무리 한 2016년 9월 30일까지이다. 분석 자료는 두 신문사 홈페이지에서 ‘사드’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한겨레>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추출된 기사들 가운데 한겨레에 저작권이 없는 경우에 한해 해당 언론사에 직접 문의하여 구별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선일보 734건, 한겨레 729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후 1차 분석 작업을 거쳐 사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121건을 제외했다. 이에 최종 분석대상 기사는 조선일보 649건, 한겨레 693건으로 총 1324건이다. 분석유목은 보도 량, 정보원, 프레임, 보도태도 등이다. 보도 량은 두 신문사의 보도 건수와 유형을 비교하였다. 정보원은 뉴스에 등장한 정보원의 국적과 직업유형을 구분하였다. 프레임은 ‘안보 프레임’, ‘정치 갈등 프레임’, ‘신 냉전 프레임’, ‘경제 프레임’, ‘풀뿌리 민주주의 프레임’, ‘패권 프레임’, ‘사드 사양 프레임’, ‘북한위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 ‘기타 프레임’ 등 10개 프레임으로 분류했다. 분석결과, 두 신문사 간 보도 량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에서는 사설과 칼럼, 연재기사 등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한겨레>의 경우에는 스트레이트와 해설기사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원의 국적에서는 한국 정보원이 가장 많이 등장했고, 미국과 중국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일본, 북한, 러시아 정보원도 등장했지만 그 비율은 높지 않았다. 정보원의 직업유형은 <조선일보>에서 전문가와 익명 정보원이 더 많이 등장했고, <한겨레>의 경우에는 시민단체와 일반인이 더 많이 등장했다. 사드 관련 보도에서 가장 자주 나타난 프레임은 ‘신 냉전 프레임’이었다.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게 되면 아시아에서의 한국의 위치가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에는, ‘안보 프레임’, ‘사드사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겨레>는 ‘풀뿌리 민주주의 프레임’을 더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태도는 두 신문사 간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찬성태도를 보였고, 정부의 입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보도하였다. 사드에 대한 보도에서도 <조선일보>는 ‘북한위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 등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프레임들은 정부의 관점과도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한겨레>는 주로 사드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과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사드’에 대한 한국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간의 보도시각, 보도태도 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ess reflects the most fundamental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of Korea. In other words, the news reports of international events or issues may vary in different countrie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Furthermore, press reports generally have a tendency of being edited differently based on the tone of the press company. This demonstrates that even regarding a singular issue, the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 of a report may vary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the press company. Of course discussions are made on important issues, such as THAAD, which affect not only the relevant country, but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countries. This occurs from various perspectives - including social, diplomatic, cultural, economic, and military views. It signifies that if the scope of a specific issue includes diplomatic problems outside national borders, the perception from national and diplomatic positions on the issue may be further emphasized than the tone of the press. In this regard,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THAAD in Korea, which surfaced as a recent diplomatic issue, have been affected by the tone of the press. Thu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frame of Korea’s key conservative press <ChosunIlbo> and progressive press <Hangyore> on reports related to ‘THAAD’.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January 22, 1999,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on THAAD in Korea, to September 30, 2016, the point at which all prior determinations including the location to arrange THAAD had been set. As data for analysis, the keyword ‘THAAD’ was searched on the websites of the two newspaper companies to be collected. With <Hankyore>, the articles extracted from the website, on whichthe copyright was not owned by Hankyore, were directly inquired to the relevant press companies to identify the articles. Through this process, 734 articles fromChosunIlbo and 729 articles fromHankyore were extracted. After a primary analysis process, 121 article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THAAD were eliminated. Thus, there were a total of 1324 final articles for analysis: 649 articles by ChosunIlbo and 693 articles by Hankyore. The categories of analysis included the report quantity, source, frame, and attitude of the piece.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the number and types of reports of the two press companie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source, the category was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nationality and occupation of the source that appeared on the news. The category of frame was categorized into 10 frames, including ‘security frame’, ‘political conflict frame’, ‘new cold war frame’, ‘economy frame’, ‘grass-root democracy frame’, ‘hegemony frame’, ‘THAAD specifications frame’, ‘North Korea threat frame’, ‘Korea-USA alliance frame’, and ‘other’. The result of analysis display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ess companies concerning the quantity. ChosunIlbo display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ditorials, columns, and running stories; however,Hankyore displayed more straight-forward and narrative articles. With respect to the sources, Korean was the most common nationality of sources, followed by the USA and China. There were also Japanese, North Korean, Russian, and other sources, but these appeared less frequently. The most common occupation of the sources included professionals and anonymous sources in the ChosunIlbo,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in Hankyore. The most common frame in THAAD-related reports was the ‘new cold war frame’. This signifies that once THAAD is placed in Korea, the position of Korea in Asia may suffer. In the ChosunIlbo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curity frame, THAAD specifications frame, and Korea-USA alliance frame featured highly whereas theHankyore further emphasized the grass root democracy frame. With respect to the reporting attitude, a clear difference was displayed between the two press companies. <ChosunIlbo> displayed a notably serious attitude towards THAAD, and reported positively on the government’s position. In the process of reporting on THAAD, <ChosunIlbo>centered its reporting on the North Korean threat frame and Korea-USA alliance frame - this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overnment’s stated stance. In contrast, <Hankyore> appeared to be more critical o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and position on THAA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porting time and attitude of Korea’s progressive press and conservative pr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endency of the press concerning ‘THAAD’.

      • Factive and Assertive Attitude Reports

        Djarv, Kajsa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Penn 2019 해외박사(DDOD)

        RANK : 2606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semantics, pragmatics, and syntax of propositional attitude reports; in particular, how assertion and presupposition are reflected in these different parts of the grammar. At the core of the dissertation are factive attitude reports, involving predicates like know, discover, realize, resent, appreciate, and like. Since Stalnaker (1974), factivity is taken to encompass both the discourse status of the embedded proposition p as Common Ground and the projection of the inference that the speaker is committed to p from the scope of operators—in both cases, unlike asserted content. Syntactically, factivity and assertion are argued to provide the semantic-pragmatic underpinnings for a range of complementation patterns (Kiparsky and Kiparsky 1970, Hooper and Thompson 1973, Rizzi 1997, a.o.).The central contributions of the dissertation are: (i) demonstrating what precise dimensions of assertion and presupposition are reflected in the syntax and semantics of clausal embedding, and (ii) decomposing the classically multifaceted notion of factivity into a set of more specific theoretical notions; importantly, dissociating the discourse status of p and the projection-prone speaker commitment inference.We attribute the speaker commitment inference to a lexical presupposition of an evidential modal base that entails p. We argue that this evidential base is always anchored to a Judge, which, depending on the type of factive predicate, is bound by different individuals. In the case of doxastic factives like discover, the judge is bound by the speaker, whereas in the case of emotive factives like appreciate, it is bound by the attitude holder, and for fact that nominals, it is realized as an index on the noun. The discourse status of p, we attribute to a separate dimension of discourse new vs. Given content (in the sense of Schwarzschild 1999), which cross-cuts both factive and non-factive verbs. Among the predicates which treat their complements as Given, we differentiate between the requirement (of response predicates like accept and not say) that p has an antecedent in the discourse, and the requirement (of emotive factives like resent and appreciate) that the situation or individual providing the attitude holder’s evidential basis for p is contextually accessible. We further argue for a fundamental semantic distinction between primarily acquaintance-based predicates —which include both factives (evidentials) like discover and non-factives like fear— and fundamentally doxastic or epistemic predicates, like believe and trust. Making these distinctions allows us to account for a wide range of apparently connected, yet clearly disparate empirical phenomena, some of which represent open problems in the literature and some of which are new observations made in the dissertation. Importantly, we are able to capture: (i) the dissociation of the discourse status of p and the commitment-to-p inference in doxastic factives (Chapters 3 and 5); (ii) a number of asymmetries between doxastic and emotive factives regarding their apparent entailment properties, interactions with operators, and sensitivities to contextual effects (Chapter 5); (iii) variations in entailment and argument-structural patterns across verbs like know and believe (Chapter 4); and (iv) the distribution of a set of proposed syntactic correlates of assertion and presupposition; in particular, V-to-C movement, wh-extraction, and selection for DP vs. CP-complements (Chapters 2 and 3).

      • 촛불집회 관련 언론보도에서 나타난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

        홍성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601

        According to Third-Person Effects which was initiated by Davison(1983), people who was exposed to the message of mass media think that it has a greater effect on others than on themselves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that message. so far, the studies on Third-Person Effects have been verifying the idea that, in the message of mass media centered on positive or negative contents, Third-Person Effects have been showed.Compared to a series of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inspect whether Third-Person Effects occurred or not in the case of the reports on Candlelight Rally in July. This issue wa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issue and especially important, controversial issue in Korea last year. Also, this study covered Third-Person Effects and behavior aspect and attitude aspect. Online and offline behavior related to Candlelight Rally was included, and attitude aspect related to Candlelight Rally, which a bill of Internet regulation and a bill of Rally regulation, was covered in this study. Also, many factors related to Third-Person Effects- degree of participation, political inclination, information provider- was covered in this study.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ird-Person Effects is occurred in case of controversial issue like the reports on Candlelight Rally. Also, in the negative reports on Candlelight Ral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urned out to be one of variables which had influence on Third-Person Effects. Third-Person Effects differed in terms of the political inclination in case of positive reports on Candlelight Rally, but difference of Third-Person Effects is not discovered by the information provider. In the relation between Third-Person Effects and the behavior aspect, it was verifies that Third-Person Effects and online behavior is related, but Third-Person Effects and offline behavior is not related. In the relation among Third-Person Effects, attitude aspect and political inclination, the 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political inclination is prominent.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applicability of Third-Person Effects, investigating Third-Person Effects in the different condi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concrete, reports on Candlelight Rally was cover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attempt which broaden studies about Third-Person Effects, and that after this sophisticated discussions about Third-Person Effects can be performed. 데이비슨(Davison, 1983)에 의해 제기된 제3자 효과 이론에 따르면, 매스 미디어의 메시지에 노출된 사람들은 그 메시지의 영향력을 지각함에 있어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지금까지 제3자 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미디어 메시지에 집중해 제3자 효과 지각이 나타난다는 것을 입증했다.이러한 일련의 연구들과 비교해 본 연구는 지난 6월에 있었던 촛불집회에 관한 언론 보도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촛불집회라는 이슈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단정지을 수 없는, 중요하고 갈등적인 이슈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제3자 효과 지각과 행동 측면, 태도 측면을 다루었다. 촛불집회와 관련된 온라인, 오프라인 행동과, 촛불집회로 떠오른 인터넷 규제나 집시법 강화 법안에 관련된 태도를 다루었다. 그리고 제3자 효과에 관련된 여러 요소들- 관여도, 정치성향, 정보제공자-를 다루었다.본 연구의 결과는 제3자 효과가 촛불집회와 같은 갈등적 이슈에 관한 언론 보도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촛불집회를 부정적으로 다룬 언론 보도에서, 관여도가 제3자 효과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나라는 것과 촛불집회를 긍정적으로 다룬 언론 보도에서 정치적 성향에 따라 제3자 효과 지각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보제공자에 의한 제3자 효과 지각의 차이는 없었다. 제3자 효과와 행동 차원의 관계에서, 제3자 효과 지각과 온라인 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제3자 효과 지각과 오프라인 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제3자 효과 지각과 태도 차원, 정치적 성향 사이의 관계에서는 정치적 성향과 태도 간의 상관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본 연구는 이전과 다른 새로운 조건에서 제3자 효과를 살펴봄으로서 제3자 효과 이론의 적용을 넓히려고 시도했다. 구체적으로는 촛불집회에 관한 언론 보도를 다루었다. 본 연구가 제3자 효과에 대한 연구를 넓히는 의미있는 시도이길, 그리고 이후로 제3자 효과에 대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