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단어읽기, 음운인식,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소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188

        본 연구에서는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래프 활동을 고안, 실시하여 유아의 단어읽기, 음운인식,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무의미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의미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친구이름 조합 무의미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4.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친구이름 단어읽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음절탈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음절변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대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수와 연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기하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W어린이집과 J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 학급 유아 30명이다. 이 중 W어린이집 유아 15명을 실험집단, J어린이집의 유아 15명은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김선옥(2005)의 단어읽기 검사도구, 고연경(2001)의 음운인식 검사도구, 황해익, 최혜진(2007)의 유아 그림 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검사자 훈련 및 예비검사, 예비연구, 교사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및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래프 활동은 연구자가 시안을 작성한 후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의 검토를 거쳐 고안 한 것이다. 본 활동은 1주를 기본단위로 자료조사 및 수집하기, 그래프 만들고 분석하기, 수학적 개념과 연계하기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름글자를 활용한 그래프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별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 간의 증가분에 대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은 유아의 단어 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 중 친구 이름글자를 분절한 무의미 단어 읽기와 친구 이름글자를 조합한 의미단어 읽기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둘째,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은 유아의 음운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하위영역에서 음절 변별과 음절탈락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셋째, 이름글자 활용 그래프 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하위영역별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다. n this study, a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was devised and performed to study its effect on word read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1-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non-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1-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1-3.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non-word reading combined with name letters of friends of young children? 1-4.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words reading combined from name letters of friends of young children? 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phonologic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2-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syllable deletion of young children? 2-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syllable discrimination of young children? 3.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3-1.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algebra of young children? 3-2.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numbers and operations of young children? 3-3.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measurement of young children? 3-4. What is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on the geometr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0 3-year-old young children who are attending W nursery and J nursery located in Jeollabuk-do. Of these, 15 young children in the W nurs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young children in the J nursery to the control group. For research tools, the reading words test of Kim Sun-Ok (2005), a comprehensive test of phonological awareness of Ko Yun-Kyung (2001), and a pictorial math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of Hwang Hae-Ik and Choi Hye-Jin (2007) were use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experimenter training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study, followed by a preliminary examination, preliminary study, teacher training, pre-examination,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examination.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was devised from the draft of the researcher reviewed by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activity is composed of 3 steps on a weekly basis: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graph plotting and analysis, and connection to mathematical concepts. To study the effect of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research questions, a t-test was conducted on the increase of the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d reading of young children, and among subcategorie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non-word reading segmented from name letters of friends and word reading combined from name letters of friends. Second,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phonological awareness of young children, and among subcategorie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deletion and discrimination of syllabus. Third, Graph activity using name let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among subcategorie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algebra, numbers and operations, geometry, and measurement,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 문자해독과정의 읽기 세부영역 상관관계 연구

        권묘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157

        As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is composed of contents focused on communication, it's little of importance & interest to read English. There were a lot of students having difficulty reading as suddenly studying words or sentences in the upper grades after learning alphabets & sounds in the lower ones. To teach reading to Korean students in EFL situation who have little chance of exposing to English, it's required to understand elements required for stages of development in early reading, and design a systematic curriculum & a way suitable for the stages. This study was to examine correlations among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ability of naming letters, and ability of basic phonics in the detailed section of reading in course of decoding letters related to the early reading stage. Also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results of testing students for this study with those of American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bility of the early reading learner in phonemic awareness & basic phonics? Second, what are correlations among the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the ability of naming letters & the ability of basic phonics in the early reading learner? Third, wha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naming letters & the ability of basic phonics in the early reading learner? To solv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the ability of naming letters and the ability of basic phonics were measured for the 3rd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fter they were tested with PSF(Phoneme Segmentation Fluency), LNF(Letter Naming Fluency), NWF(Nonsense Word Fluency) among DIBELS test to measure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y for Americ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1st grade students of American elementary school on the basis of the Bench Mark and correlation levels among each reading sections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s found that the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of the early reading learner was greatly low in the EFL situation, but the ability of basic phonics reached a certain level. It's shown as a result of that the reason why the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was greatly low was that students already provided with a system of Korean phonemic awareness segmented phonemics among Korean words on the basis of the system in PSF. Second, the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was shown to have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of naming letters & the ability of basic phonics. That is, it could be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had high ability of understanding visual letters and also high ability of basic phonics to read word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tters and sounds. Third, it's shown that the ability of naming letters had a strongly static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of basic phonics. As there's little chance of exposing to letters in EFL situation, it can be thought that understanding letters was an essential element in reading English. The suggestions on basis of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mportance on the phonemic awareness was demonstrated with results of many researches, it's required to introduce an additional curriculum to teach in a systematic way with interest in the phonemic awareness for the Korea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Second, it's the most efficient to measure phonemic awareness with phonemic segmentation, but the early reading learner already provided with a system of phonemic awareness for his/her native tongue in EFL situation may segment phonemes different from a type of phoneme segmentation in English. It's required to discuss & develop test in which effect on the native tongue & the ability of phonemic awareness can be divided, and diagnosed in details. Thir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found that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among the detailed elements in course of understanding letters, but it's hard to generalize the correlation. Accordingly, the longitudinal analysis is needed from a longer-term point of view to generalize the correlation. Fourth, it's required to have interest in development of the early reading ability in addition to curriculum to mainly improve speaking & hearing up to now. If one doesn't properly develop one's ability of early reading, then one will be a reader having difficulty reading as there's a wider gap between the abili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ake use of a tool of diagnose to measure whether one is properly learned through the development stage from the early reading stage. 우리나라 초등 영어교육과정은 의사소통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읽기에 대한 관심과 그 비중이 약했다. 저학년에서 알파벳과 소리 등을 배우다가 고학년이 되어 갑자기 단어나 문장을 배우게 되어 읽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았다. 영어에 노출 기회가 적은 EFL 상황의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읽기를 지도하기 위해서는 초기 읽기 발달 단계에 필요한 요소들과 발달 단계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방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읽기 단계에 해당하는 문자 해독과정의 읽기 세부영역인 음소인식 능력, 문자이름 말하기 능력, 기초파닉스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대상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미국 학생들의 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읽기 학습자의 음소인식 능력과 기초파닉스 능력은 어떠한가? 둘째, 초기 읽기 학습자의 음소인식 능력과 문자이름 말하기 능력 및 기초파닉스 능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초기 읽기 학습자의 문자이름 말하기 능력과 기초파닉스 능력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소인식 능력, 문자이름 말하기 능력, 기초파닉스 능력을 측정하였다. 미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 발달을 측정하는 DIBELS 검사 중 PSF(Phoneme Segmentation Fluency), LNF(Letter Naming Fluency), NWF(Nonsense Word Fluency) 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 대상 학생들의 검사 결과를 미국 1학년 학생들의 검사 결과의 Bench Mark (기준 목표 점수)와 비교하고, 각 읽기영역 간의 상관 정도를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읽기 학습자의 음소인식 능력은 많이 낮으나 기초파닉스 능력은 일정 수준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음소인식 능력이 많이 낮은 것은 음소분절 검사에서 이미 모국어 음소인식 체계가 갖추어진 학생들이 단어 속 음소를 모국어의 음소인식 체계를 바탕으로 분절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음소인식 능력은 문자이름 말하기 능력 및 기초파닉스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음소인식 능력이 높은 학생은 시각적 문자인식 능력이 높고, 문자와 소리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단어를 읽는 기초파닉스 능력 또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자이름 말하기 능력은 기초파닉스 능력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EFL 상황에서 문자에 대한 노출 기회가 적어 문자를 아는 것은 영어를 읽는 데에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소인식에 대한 중요성이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해 증명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 음소인식 지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소분절을 통한 음소인식 능력 측정 검사가 가장 효율적이지만 모국어의 음소인식 체계가 이미 갖추어진 EFL상황의 초기 읽기 학습자의 경우 영어의 음소분절 형태와 다르게 음소를 분절할 수 있다. 모국어 간섭과 음소인식 능력의 문제에 대한 우선적 구분이 필요하고, 세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검사에 대한 논의 및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 결과 문자해독과정 읽기 세부영역 간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일반화하는 것은 주의를 요한다. 이에 초기 읽기 학습자들의 문자해독과정 읽기 세부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지금까지의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더 나아가 초기 읽기 능력 발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초기 읽기 능력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을 경우 그 격차가 더 벌어져 읽기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독자가 된다. 따라서 초기 읽기 발달 단계에서부터 제대로 된 발달 단계를 거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