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마고 부부관계치료 경험을 통한 부부관계 기대감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백운영 숭실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8

        이 연구는 부부갈등이 주요요인 중 하나로서 부부관계 기대감에 관한 차이가 부부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마고 부부관계치료 경험을 한 부부들이 부부관계 기대감 내용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를 경험한 세 쌍의 부부(기혼자 6명)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스테크(Stake, R)의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을 통해 추출된 의미 단위는 모두 102개이며, 이를 각각의 사례별로 16개, 12개, 20개의 하위주제로 분류·통합했으며, 최종적으로 개념화한 상위 주제는 모두 5개이다. 이마고 부부세미나가 부부관계 기대감 내용의 차이 및 공통점, 부부관계 기대감 내용의 인식변화과정 경험, 부부공통기대감(부부관계비전)으로써의 부부관계 기대감 내용의 재구성 경험에서 도출된 5개의 본질적인 상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이해 및 인식차이, 둘째, 부부관계 기대감 차이로 인한 부부갈등, 셋째, 원가족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배우자 기대감 내용차이, 넷째, 배우자 기대감에서 부부공통기대감(부부관계비전)으로의 인식변화과정, 다섯째, 부부공통기대감(부부관계비전)으로의 배우자 기대감 내용의 재구성 경험이다.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를 통한 부부관계 기대감 내용 차이의 인식변화와 부부공통기대감(부부관계비전)으로의 변화경험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이 자신의 부모나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경험에서 발달과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해결 과제로 남게 되어 결국 부부관계에 대한 기대감 내용형성에 미해결 과제로 그대로 남게 된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부부관계치료 경험을 통해 지금의 배우자가 원가족 부모님에게 가졌던 기대감이 반영된 이마고와 닮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셋째, 참여자들은 부부갈등의 원인을 다양한 기대감 내용의 차이라고 알게 된다. 넷째, 부부관계 기대감 내용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해하게 됨으로써 부부공통기대감(부부관계비전)으로의 인식변화과정을 경험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를 경험한 부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중심의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실에서 부딪히는 부부관계”, “배우자를 이해하는 부부관계”, “서로 알아가는 부부관계”, “함께 고민하는 부부관계”, “함께 노력하는 부부관계” 등의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서 얻게 된 사실은 부부관계에서 각자 배우자에 대한 기대감이 이마고 부부관계치료를 경험하고 나서는 부부관계에서 부부공통기대감(부부관계비전)으로 변화되어가는 과정으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marital discord stems from discrepancies in marital expectations which derived from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inherited experiences from original family environments. It further explores how the Imago couple relationship seminar influences the changes of marital expectations and reconstruction of the shared marital expectations (couple relationship vision) among participating couples. In order to explore effects of the Imago Couple Relationship seminar on the couple’s marital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the researcher utiliz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of Stake (1983).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couples (six married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eminar. Analysis of the gathered data resulted in 102 extracted meaning units in total. Those units were classified and integrated into 16, 12, and 20 low-ranking subjects in each case, and then 5 high-ranking subjects. The essential high-ranking subjects extracted from recognition of changes of disparities and agreements in marital expectations (visions) through the Imago Couple Relationship Seminar were as follows: (1) disparities between one’s understanding of the spouse and the spouse’s understanding of himself or herself; (2) marital discord due to differences between the couple’s marital expectations; (3) marital expectations stemmed from familial experiences in the family-of-origin; (4) perception change processes in couple relationship vision; and (5) reconstruction experience in marital expectations as couple relationship vi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irst, when the participants have unresolved developmental task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or initial caregivers, they tend to struggle with similar tasks in their marital relationship. Second, the participants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had chosen a spouse who would create a similar marital dynamic with their parental marriage. Thir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rticulate that their marital conflicts stemmed from their different marital expectations. Finally, they experienced the increase in shared marital expectations (couple relationship vision)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each other’s different view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Therefore,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ting couples (three married couples) who experienced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As the result, participating couples in the Imago Couple Relation seminar experienced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each other,’ ‘the increased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pouse,’ ‘the process of accepting reality,’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shared expectations,’ and ‘the movement toward the couple’s common visions.’ Each partner’s marital expectations can be transformed into the couple common visions(the shared expectations) after participating in the Image seminar. Therefore, the couples who underwent the positive transforming experience as a couple greatly valued the Imago Couple Relationship Seminar.

      • 夫婦關係.父母-子女意思疏通.家族機能과 청소년子女 非行과의 關係硏究

        김윤희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박사

        RANK : 232315

        70년대 고도산업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非行과 學生의 범죄는 현재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그 치료나 예방적 측면에서 전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로는 非行의 문제가 家族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 기인된 것임에도 개인중심의 治療的 接近 및 行刑的 次元에 머물고 있다는 점과, 非行의 원인과 문제해결에 家族의 심리적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는 硏究結果는 많으나 非行과 家族의 역동적 相互作用에 대한 體系的 硏究가 미흡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本 硏究는 개인의 문제를 家族의 相互關係속에서 이해하도록 변화시켜 놓은 體系的 家族理論의 관점에서 非行의 문제를 재 검토하여 이의 해결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고 그 유효한 善導 또는 치료 방법과 예방대책을 모색하는데 타당성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本 硏究의 목적은 첫째 非行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家族體系내 下位體系들간의 相互關係에 의한 부산물임을 확인하고자 夫婦關係·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간의 相關關係를 分析하고, 두번째 실제로 非行청소년은 逆機能的인 家族關係 및 機能에 의해 희생된 家族의 속죄양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模範청소년과 非行청소년 家族간의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의 차이를 比較分析하며, 셋째 家族關係 및 機能과 非行과의 因果性을 확인하여 非行문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善導 및 치료 그리고 예방대책을 예측하고자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과 청소년子女 非行과의 因果關係 및 體系의 程度를 分析하는데 있다. 본 硏究는 事後調査硏究(expost facto Derign)이며 硏究를 수행키위해 3개월동안 (1988.10∼1989.1) 서울시내 일부고등학교 1,2학년 재학생중 模範학생 190 家族(570名)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소년원의 재소자인 非行청소년 87家族(261名)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였고, 측정도구로는 David H.Olson등이 개발한 夫婦關係도구(ENRICH : 73항목), 父母-청소년意思疏通도구(PAC : 20항목), 家族機能도구(20항목) 등이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시 3변인간의 相關關係分析은 Pearson Correlation을, 比較分析은 t-test 및 ANOVA를, 그리고 3변인과 非行과의 因果關係分析은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또한 關聯分析을 위해 Canonical discriminant alaylsis를 이용하였고 模範群과 非行群家族간의 人口社會學的 特性의 유관성 검증을 위해 X²-test를 이용하였으며 硏究結果 의 要約은 다음과 같다. 1.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간의 相關關係分析 結果 硏究問題 1에서 夫婦關係 점수가 높을수록 父母-子女意思疏通 점수가 높을것인가에 대한 두변인간의 相關關係를 검증한 結果 r=.3528, p<.001수준에서 유의한 相關關係가 있었고 硏究問題2에서 夫婦關係 점수가 높을수록 家族機能 점수가 높을 것인가에 대한 두변인간의 相關關係를 검증한 結果 r=.3830, p<.001수준에서 유의한 關係가 있었으며, 硏究問題3에서 父母-子女意思疏通점수와 家族機能점수간의 相關關係를 검증한 結果 r=.6411, p<.001수준에서 유의한 關係가 있었다. 이와같이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 상호간에는 밀접한 相關關係가 있다는것이 증명되었다. 2. 模範청소년家族과 非行청소년家族간의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 比較 分析結果 硏究問題 4에서 模範청소년父母와 非行청소년父母의 夫婦關係점수간의 차이를 검증한 結果 두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夫婦간의 知覺不一致 차이비교에서는 t=2. 52, p<.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模範群父母에게서 夫婦간의 不一致가 더욱 심한 것이 증명되었다. 그리고 夫婦關係 하위요인별 비교에서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요인과 배우자의 성격 요인에서 두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非行群父母가 模範群父母에 비하여 더욱 만족하고 있었다. 硏究問題5에서 模範청소년과 非行청소년의 父母-子女意思疏通점수간의 차이를 검증한 結果 r=2.77, p<.001 수준에서 두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되 특히 문제형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고(t=3.50, p<.001), 意思疏通 반응에 대한 家族 3人群간의 知覺不一致차이 검증結果 子-女간, 父母-子女간, 子女가 지각한 父-母간의 반응에서 두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模範群家族의 경우 父母-子女간의 意思疏通은 문제가 적고 父母-子女간의 知覺不一致도 적었다. 硏究問題 6에서 模範 청소년家族과 非行청소년家族의 家族機能점수간의 차이를 검증한 結果 t=2.02, p<.05수준에서 두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非行청소년家族의 家族機能수행능력이 模範청소년家族에 비하여 낮되 특히 適應力에서 현저하게 낮았고, 그리고 家族機能에 대한 家族3人群간의 知覺不一致차이 검증에서도 F=11.47, df=2, p<.001 수준에서 非行청소년家族에게서 知覺不一致가 더욱 심하였으며 특히 子女의 반응에서 非行群의 경우 模範群에 비하여 不一致가 훨씬 심하였다(t= -2.292, p<.001). 이와같이 두群간의 比較分析을 통해 非行청소년家族은 模範청소년家族에 비하여 父母로서의 機能결여, 父母-子女간의 부정적인 意思疏通, 家族의 適應能力 저하, 기타 家族員간의 갈등 및 父母-子女간의 세대차이가 현저히 심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과 非行간의 因果關係分析 結果 硏究問題 7에서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能과 非行간의 因果關係를 검증한 結果,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通, 家族機龍은 유의한 수준(p(.001)에서 相互因果性이 있었고 이들 3변인은 유의한 수준에서 非行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설명력은 낮은 편이었다. 즉 非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父母-子女意思疏通과 家族의 適應力이었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家族의 結束力, 夫婦關係이었으며 또한 이와는 반대로 非行은 結束力과 適應力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변인간의 因果關係의 程度에서 가장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은 結束力이 父母-子女意思疏通에 미치는 효과(p=.6710, p<001)와 夫婦關係가 結束力에 미치는 효과(p=.5223, p<.001)였다. 또한 結束力과 父母-子女意思疏通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은 夫婦-父母이었다. 이와 같이 家族體系내의 人間關係와 非行은 매우 밀접한 연쇄순환적 因果性이 있다는 것과 子女의 非行에는 父母-子女간의 相互關係와 家族의 適應力, 結束力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4. 關聯分析結果 夫婦關係, 父母-子女意思疏適, 家族機能 측정도구들을 이용하여 硏究對象者家族을 模範家族과 非行家族으로 정확하게 診斷 및 분류한 結果 判別能力은 夫婦關係변인의 경우 59.2%, 父母-子女意思疏適 변인의 경우 57.7%, 家族機能 변인의 경우 56.3%였으며 3변인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는 65.3%였다. 위와같은 硏究結果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結論을 내리고자 한다. 子女의 非行은 家族體系내 下位體系들간의 相互作用에 의해 기인된 家族關係의 부산물이고, 非行청소년은 逆機能的인 父母의 역할수행 및 父母-子女간의 相互關聯 그리고 逆機能的인 家族機能에 의해 희생된 그 家族의 속죄양이라 간주할 수 있으며, 非行청소년을 善導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家族體系 전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을 적용시키는 것이 효율적이고 또한 예방을 위해서는 家族의 개방적인 意思流通과 適應能力을 증진시키되 夫婦간의 關係를 잘 유지시켜 家族의 애정적 結束을 융통성있게 조절함이 바람직하다고 사려된다. 따라서 우리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非行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주요방법으로서 현재의 개인중심의 치료방법을 탈피하여 家族전체를 개입시키는 家族治療로 대치시켜 볼 것과 그리고 근본적인 非行발생과 재발의 예방을 위해 무엇보다도 사회에서의 夫婦敎育 또는 父母敎育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This research was examined for understanding the Delinquency from the view of family systems theory which explains an individual's problems within the family relationships. the goal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define the Delinquency as the result of interac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Family Functioning, not of the individual's proble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ffective treatment and prevention. Therefore, there were examed the correlation among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compared differences between juveniles families with a 'model students' and families with a 'delinquent juveniles' and tested the causality and the level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3 variables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ing) and the delinquency. This research used an ex-post-facto design. Data were obtain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s with 190 families(570 persons) of model high school students(1st and 2nd graders) in seoul and 87 families(261 Persons) of a juvenile reformatory center in Kyunggi province, The tools employed in this study are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ENRICH, 73 item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PAC, 20 items), an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FACES, 20 items). On the other hand,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T -test and ANOVA were used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between those families of the model students and those of delinquent juveniles. The Causality between the preceding three variables and Delinquenc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discriminant ability of three scales. x²-test was used to test differences i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amilies of model students and those of delinquent juveni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among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Research Problem 1 : "The higher the Couple Relationship score, the higher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ore." was supported significantly (r=.3528, p<.001). Research Problem 2 : "The higher the Couple Relationship score, the higher the Family Functioning score." was supported significantly (r=.3830, p<.001). Research Problem 3 : "The higher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ore, the higher Family Functioning score." was supported significantly (r=.6411, p<.001). 2. Comparison of the two family groups Research Problem 4 :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uple Relationships. However, in the comparison of couples of their disagreement to Couple Relationships scale, the parents of the model student group showed higher disagreement rate(t=2.52, p<.05). Research Problem 5 :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t=2.77, p<.01). Communication between the mode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as more open and affirmative(t=2.41, P<.05), and showed fewer problems(t=2.06, p<.05), delinquent juveniles were more problems. There appeared more disagreement in response to variables of PAC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the family of the delinquent juveniles. Research Problem 6 :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ing (t=2.02, p<.05). To be specific, it is shown that there exist higher adaptability in the model student families but, in the families of delinquent juveniles, there exists greater dis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responses to FACES. (F=11.47, df=2, p<.001). 3. Path Analysis for testing the causality between the Couple Relationship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Delinquency. Research Problem 7 : Path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Functioning had the interdependent causality, and Delinquency was affected by the three variables but had a low level of explanatory power(R²=.0989).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aptability (a subscale of family functioning) both had a direct influence on Delinquency, while variables with indirect in fluence were the Couple Relationship and cohesion, the other had, Delinquency have a direct influence cohesion and adaptability of Family Functioning. The highest interrelationship was the influence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by Cohesion. (P=.6710, p<.001) and the next time, on Cohesion by the Couple Relationship (P=.5223, p<.001). 4. Accessory Study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discriminant ability of the three variables :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to classify the family as model or delinquent group.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ouple Relationship were 59.2 %, of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57.7%, of Family Functioning 56.3%. When the three variables were applied together, the discriminant abiltiy increased to 65.3%. These results show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family members have interlocking circular causality and tha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influenced on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if a child is caused by dysfunctional the Couple Relation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Family Functioning, the child may become scape-goat in the family. Problem with the children must be dealt with only through the whole family and prevented through developing open communication and family cohes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Finally, the family therapy is more effective method than individual therapy, to resolve the delinquent problems,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prevention is education of parents who are the center of the family.

      •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 및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 영향요인

        이은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의 부부관계 질이 대학생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서울과 인천 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53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답변과 다수의 미응답 질문을 포함한 21부를 제외하고 총 332부를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부부관계 질이 대학생 자녀에게 긍정적 성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부모-자녀관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대학생 자녀가 독립된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함에 있어 자신이 인식한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이 가질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고 이를 긍정적인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 성향적 낙관성의 경향을 알아 본 결과, 전체 평균이 3.31(표준편차 .57)로 나타났다. ‘갈등과 권위’는 평균이 3.60(표준편차 .76)으로 가장 높았고, ‘심리적 조화’가 평균 3.22(표준편차 .91), ‘모의 역할’ 평균 3.21(표준편차 .77), ‘부의 역할’ 또한 평균 3.21(표준편차 1.15)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은 중간값 2.5이상으로 다소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갈등과 권위’영역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로 나타나, 이는 부모의 부부관계 질에 있어 부모의 부부갈등 정도나 갈등 해결이 비교적 잘 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학생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은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전체 평균이 3.86(표준편차 .53)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자녀들이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갖고, 현실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해석하며, 다양한 문제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위영역 중에서 긍정적 기대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대학생 자녀가 인식하는 삶 전반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높은 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 및 성향적 낙관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먼저 부모의 부부관계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은 학력수준에서는 부의 학력이 대졸이상 일 때, 모의 학력은 대졸일 때, 종교가 있을 경우, 부의 직업이 있을 때, 가계평균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일 때, 주관적으로 인식한 가족건강정도와 정신건강정도를 건강하다고 인식할 경우, 부모의 부부관계 질이 본인의 미래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에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향적 낙관성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관적으로 인식한 가족건강정도, 신체건강정도, 정신건강정도, 부모의 부부관계 질에 영향예측 정도, 형제자매 관계에 따라 대학생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질이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을 투입한 모형에서 설명력은 27.4%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 변수를 추가한 경우 설명력은 32.8%로 증가되었다. 즉, 본 연구결과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부부관계 질은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부부 금실, 애정 표현, 대화 수준, 의견 일치 등이 조화롭다고 지각할수록 자녀의 성향적 낙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자녀의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 형성을 위해 부부간 부조화의 해결전략에 대한 관심과 추후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성향적 낙관성에 대한 개입은 개인의 성격강점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차원의 상담적 개입이 가능한 부분 일상적인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어려움에도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다(이재원, 2012). 기존의 대학생들을 위한 낙관성증진 프로그램 등의 적용을 통해 성향적 낙관성 수준을 높여준다면 현재와 미래를 더욱 긍정적으로 대처하고 삶에서 만족을 느끼며 스트레스와 새로운 환경에서도 높은 적응능력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성을 제기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부부관계 증진의 필요성과 동기부여에 기초한 실천적인 가족생활교육을 통한 가족복지가 실현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have with the dispositional optimism of university children. Through this study, by making couple relationship quality of parents to be delivered in a positive tendency to the university children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e perspective that thi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Based on the study conclus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event negative influence which could be obtained by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growing as an independent social member. Also, it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the fundamental data which could be used as positive resources. For this, convenient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2013 with university students going to school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areas. Out of total 353 surveys, 21 surveys with faithless responses and multiple non-response were excluded. The rest of 332 survey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summary of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tendency of couple relationship quality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the total average was 3.31 (standard deviation of 0.57). The median value for the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was over 2.5, showing they highly cognize it. Among them, ‘conflict and authority’ area had relatively higher scores compared to other areas. That is, in terms of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of parent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level of couple conflict of parents and their resolutions are done relatively good. For the dispositional optimism of university children, the overall average was 3.86 (standard deviation of 0.53) based on the 5-point Lickertis scal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university children have positive expectations on their future and also perceive their current situation positively. Also, they have high trust that they can overcome various difficult circumstances by handling them effectively. Among the sub factors, positive expectation area had the highest score and it could be understood that positive expectation on overall life perceived by university children is comparatively high. Second, by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and their dispositional optimism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depending on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father’s job, average monthly income of family, family’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ognized subjectively, and expected influence on couple relationship quality of parents. Furthermore, in terms of dispositional optimism, there was difference in dispositional optimism of university children depending on the family’s physical health cognized subjectively,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expected influence on couple relationship quality of parents, and relationship of siblings. Third, as a result analyzing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couple relationship quality of parents cognized by university children on their dispositional optimism, both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model with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to find its influence on dispositional optimism of university children, explanation power was 27.4%. When the factor of couple relationship quality of parents cognized by children was added, the explanation power went up to 32.8%. That is, as a result of this study, if couple intimacy, affection expression, communication level, and opinion agreement of parents cognized by children are harmonious, their dispositional optimism tended to be hig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ecessity to have interests post researches on strategies for solving mismatch between the couple for forming positive attitudes and cognition of children could be suggested. Because intervention of dispositional optimism is based on the personality strength of an individual, it could be helpful in terms of treating and preventing children’s experiences of difficulties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major studies, and life stress caused by employment (Jaewon Lee, 2012).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function in difference ways such as handling now and future more positively, feel satisfied with life, and have high adapting ability to stress and new environment by improving dispositional optimism. Furthermore,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necessity of developing couple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with parents with children and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program.

      • 역상관 기법으로 시각화한 자기상과 파트너상이 커플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수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83

        It is one of the key issues in our society, where the basis of the family is threatened by high divorce rate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couple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ple's self-image and partner-imag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has been suggested by early psychodynamic theorists that possessing stable self-images and other-images are essential to intimate relationships. Due to methodological limitations,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measure and evaluate the implicit and comprehensive properties of mental representations, especially the visual aspects. Therefore, the reverse correlation (RC) method was adopted to visualize the internal self-image and partner-image in this study. The RC method is a data-driven approach which enables self-directed use of information. The RC method, which began to be used to study stereotypes of a specific group in the field of social cognition,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visualize self-images or partner-image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to date that has examined the effect of both self-image and partner-image on couple relationships using the RC method. A total of 132 dating and married couples (264 pers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 first task, participants generated classification images of self (self-CIs) and classification images of partner (partner-CIs) through the RC task and responded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Next, in the second task,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ge groups and rated the degree to which self-CIs and partner-CIs were similar to themselves or their partners. The main analysi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xamined through one-way RM-ANOVA whether self-CIs and partner-CIs were perceived as significantly resembling the self and partner when compared to filler-C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lf-CIs and partner-C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from filler-CIs, and thus could serve as visual proxies for internal self-images and partner-image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explicit partner evaluation and implicit partner imag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partner-image and the partner's self-imag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Finally, APIM based on multilevel modeling was conducted to confirm that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the couple's self-image on the partner-image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커플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은 높은 이혼율로 가족의 근간이 위협받고 있는 우리 사회의 중요 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플의 자기상과 파트너상이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정적인 자기상과 타인상을 형성하는 것이 친밀한 관계에 필수적이라는 점은 초기 정신역동 이론가들에게서부터 주장되어왔으나, 그간 방법론적인 한계로 표상의 암묵적이고 포괄적인 속성, 특히 이미지적인 측면까지 측정하고 평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상관(Reverse Correlation, 이하 RC) 기법을 도입하여 내적인 자기상 및 파트상을 시각화된 형태로 측정하였다. RC 기법은 신호 탐지 이론에 기반한 데이터-주도 접근법으로서, 사람들이 저마다 자극을 평가하는데 우선시하는 준거들을 자유롭게 적용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정보를 자기 주도적으로 사용하게끔 할 수 있다. 사회인지 분야에서 특정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을 연구하는 데 활용되기 시작한 RC 기법은, 최근 들어 자기상 또는 파트너상을 직접적으로 시각화하는 데에도 적용되었으나, 자기상과 파트너상을 동시에 시각화하여 이들이 커플 관계에서 지니는 의미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까지 없다. 총 132쌍(264명)의 기혼 및 미혼 커플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1차 과제시 RC 과제를 통해 자기상(self-CI)과 파트너상(partner-CI)을 생성하고 자기보고식 설문에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2차 과제에서 연령대에 맞게 소집단을 구성하여 커플을 무선 할당하고, 생성된 CI들이 본인 또는 파트너와 유사한 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주요 분석 절차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C 기법으로 생성된 self-CI와 partner-CI가 타인의 CI 대비 자신과 파트너를 의미있게 닮은 것으로 변별되는지 one-way RM-ANOVA를 통해 검증한 결과, self-CI와 partner-CI는 의미있게 변별되었고 따라서 내현적 자기상 및 파트너상에 대한 시각적 대체물이 될 수 있었다. 둘째, 외현적 파트너평가와 내현적 파트너상이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설은 지지되었다. 셋째, 파트너의 자기상과 본인의 파트너상이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설은 지지되었다. 끝으로, 커플의 자기상이 파트너상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가 유의할 것이라는 가설 검증을 위해 다층모형 기반의 APIM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과 여성의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임신 부부의 부모역할 및 부부관계 적응을 위한 부부중심 산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평가

        고민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32270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ouple focused antenatal educational program for first time pregnant couple’s parental roles and couple relationship adjustment and to test the program’s feasibility. Method: Based on the theory of becoming a mother (R. Mercer, 2004), we have developed a couple focused antenatal educational program for social role preparation, maternal/paternal well-being promotion, maternal/paternal self-care promotion, maternal/paternal fetal attachment promotion, and infant care instruc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sessions (1 hour/session) of education and counseling that lasted for 4 weeks. The feasibility test was taken by 33 first time pregnant couple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outcome measures. Antenatal depression, stress, maternal/paternal-fetal attachment, confidence in infant care, and fear of child birth were measured to evaluated for parental role adjustment and dyadic adjustment was for the couple relationship adjustment. Result: Mean age of pregnant women was 32.30 (SD=3.11) and age of their husbands was 33.21 (SD=6.25) years old. They’ve been married for 2.34 (SD=1.63) years. Their gestational age at pretest was 31.30 (SD=2.66) weeks, 78.79% of the couples had planned pregnancy. Pregnant women’s levels of antenatal depression (t=1.89, p=0.034), stress (t=2.18, p=0.018), fear of childbirth (t=2.12, p=0.02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Maternal-fetal attachment (t=-3.28, p=0.001), confidence in infant care (t=-4.02, p< 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ir husbands’ levels of paternal-fetal attachment (t=-3.06, p=0.002) and confidence in infant care (t=-1.85, p=0.037)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not for antenatal depression and stress. Dyadic adjustment scores were not changed either in pregnant women or their husband. Conclusion: The couple focused antenatal educational program seems to be effective at improving fetal attachment and confidence in infant care in pregnant couples and decreasing antenatal depression and stress of pregnant women. So the feasibility of the couple focused antenatal educational program was demonstrated.

      • 한국인을 위한 중년기의 건강한 부부관계 척도개발

        김남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26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iness of marriage relationships for middle-aged Korean couples and test their validity. The subjects were middle-aged Korean couples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The following were the topics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factors and questions applied to the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iness of marriage relationships for middle-aged Korean couples? Second, what are the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s? Third, what i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of scales? Fourth, are the latent means of both gender groups equal? Fifth, what are the gender standards of married middle-aged men and women? This study took the following seven steps to address these topics: The first step was to analyze preceded studies, literature, and interviews, establish the seven concepts of construction, and derive 747 questions from the previous scales related to married couples to sort out 104 preliminary questions considering redundancy, reverse coding, relativity to the concepts of healthy couples, and relativity to middle age. The second step processed the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four steps to assess validity and extracted 59 questions. The third step performed the survey using the 59 questions and used the results of survey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result, there were two factors and a total of 20 questions, 10 questions for each factor. Factor 1 was named "the Equality and Values" and Factor 2 was named "the Communication and Intimacy". The fourth step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iness of marriage relationships for middle-aged Korean couples and concluded that the factor structure was valid. The fifth step tested converg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to examine relativity with other sca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iness of marriage relationships for middle-aged Korean couples, and acquired significant results for all. The sixth step performed the analysis of latent mean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husbands and the group of wives and conclud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The final step found the percentage and standard scores to signify the scores of the scales. The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iness of marriage relationships for middle-aged Korean couple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follows: First, these scales measure the factors related to positive interaction in couple relationship and successful marriage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various theories related to the healthiness of couple relationship. Second, they could be used for couple programs, couple training, and couple therapy to validate their effectiveness. Third, they can be applied to the healthiness of marriage of senior couples as they discuss the healthiness of marriage of middle-aged couples. The life in middle age should be discussed for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in senior years.

      • Does Love Blind?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How People Respond to Sexism From Their Romantic Partners

        Drouin, Erin Marie The Ohio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32219

        One of the many areas in which humans fail to act rationally is within their romantic relationships. Ample research from the literature on relationships stipulates that individuals engage in cognitive strategies to maintain positive views about their romantic partners (Murray & Holmes, 1997). Do people who believe in gender equality still do so when they learn that their partner conveys sexist ideas? I propose two competing predictions that provide different answers to this question. The theory of motivated reasoning suggests that people will counterargue information that threaten their pre-existing beliefs. Therefore, this theory predicts that individuals will evaluate their partner as less sexist after learning information that their partner is sexist. In contrast, Expectancy Violations Theory suggests that negative expectancy violations lead to negative evaluations. This theory predicts that individuals will evaluate their partner to be more sexist after being presented with evidence they're sexist. In a novel laboratory study with romantic couples as participants (Study 1), I found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Expectancy Violations Theory. Furthermore, in an online study (Study 2), I found similar evidence but only for female participants. Overall, these studies suggest that individuals will perceive their partner as more sexist when presented with evidence that they endorsed a sexist belief. This work ha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how people update beliefs about their partner and insights on the ways in which sexist ideas may be stopped from spreading in society.Ultimately, when it pertains to sexism, it seems that love is not blind.

      •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대학생의 부부갈등 인식이 커플관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경주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044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대학생의 부부갈등 인식과 커플관계 탄력성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두가지 하위요인인 적응적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 통계 분석과 Pearson의 상관 분석, 매개모형 분석의 PROCESS macro(model 4)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부부갈등 인식과 커플관계 탄력성 간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이 유의한 매개 효과가 있었다.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은 매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부부갈등을 낮게 인식하면,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이는 커플관계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사용이 커플관계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대학생이 커플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면 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의 사용을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개입의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data conducted on 375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ption and couple relationship resilence of college students who grew up in divorced families. In the analysis, th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was divided into two sub-factors: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For data analysis, the PROCESS macro (model 4)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model analysis was used. As a result, the us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erception and couple relationship resilence.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use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was not significant. Low recognition of marital conflict leads to higher couple relationship resilence, and mor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re used, indicating that this has a positive effect on couple relationship resil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had an important effect on couple relationship resilence. For college students who grew up in divorced families, it was suggested that focusing on increasing the use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to reduce difficulties in couple relationships could be an important goal of intervention.

      •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김윤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04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시기의 첫 자녀를 키우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기혼여성이 현재 지각하고 있는 부부관계, 즉, 배우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가 어머니가 된 자신의 부모기 전이 과정에 있어 부모로서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로서의 만족, 부부간의 친밀감과 안정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6개월∼48개월까지의 만4세 이하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97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측정도구의 주요내용을 정리해 보면 첫째, 부부관계는 기혼여성이 지각한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존중, 공감, 일치의 세가지 하위영역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모기 전이는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 부모의 만족,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의 세가지 하위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s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기 전이의 일반적인 경향 역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의 차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가정의 평균월수입, 교육수준, 배우자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 및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기 전이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신체건강상태, 심리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을 살펴보면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에는 결혼지속년수, 교육수준, 주관적으로 인식한 심리건강상태, 신체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자녀연령, 교육수준, 배우자와의 대화정도,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 신체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교육수준, 결혼지속년수, 주관적으로 인식한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부부관계 변인을 투입한 결과 먼저 부모의 책임감 및 제약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만족은 존중과 공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의 친밀감과 안정성은 존중과 일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기혼여성이 지각한 부부관계는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기 전이기에는 부부 상호간의 관계와는 분리해서 부모로서 지각하는 만족감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저출산과 이혼이 심각한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만큼 부부관계가 부모기 전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결혼예비부부, 결혼초기부부, 첫 자녀 출산 부부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인의 역할에서 어머니라는 역할을 부여받은 기혼여성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불안감과 의무감을 배우자에 의해 보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보편화된 현대사회에서 기혼여성의 출산 전과 후를 계획할 수 있는 일가정 양립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가능한 지원체계의 확립과 실천이 요구된다고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influence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an raising the first child of infant period on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couple relationship currently percieved by married woman, that is, this research studies what kind of relationship does emotional support of spouse hav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as a mother. For this, a survey with married women having babies from 6 months to 48 months, living in Seoul and Gyunggi areas was conducted and total 297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erms of details about measuring tools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regarding couple relationship, respect, sympathy, and agreement were studied as three factors for measuring emotional support of spouse percieved by married women. Moreover,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s sub factors are divided into thre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parental gratification, and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was shown to be over the average and was relatively positive. The general trend of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over the average, meaning that they felt it relatively difficult. Secon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sociolog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it was shown as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the spous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was found that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hys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sycholog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on transition to parenthood was studied. First of all, looking at the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as a factor of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psychological health percieved subjectively, physic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gratification, children’s age, educational level, communication with spouse, life satisfaction cognized subjectively, and physical health had significant influence.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percieved subjectively had significant influence.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ntrolling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and putting in factors of couple relationship, first, respect and sympath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ental responsibilities and restrictions. For parental marital intimacy and stability respect and agre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couple relationship percieved by married women affected transition to parenthood. What is more, in terms of transition to parenthood, it should be separated from couple relationship and gratification cognized as a parent shall be interpreted. Recently, as low birth rate and divorce are becoming serious social problems the research result showing couple relationship influencing transition to parenthood could be used as meaningful data for educating pre-marriage couples, newly married couples, and couples with the first baby. Moreover, this implies that ways to offset anxieties and responsibilities as a roles of married women by spouse which is given by the roles of a wife and a mother have to be made. Furthermo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women’s advance to the society is being generaliz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practical and detailed support system on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allowing them to plan before and after the childbirth.

      • 암환자 부부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부부관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뢰진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1965

        본 연구는 암환자와 배우자가 6주간의 댄스스포츠를 참여함으로써 부부갈등, 부부의사소통, 심리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부부관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5쌍의 암환자와 배우자로써 6주간의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은 라틴 종목 중 차차차로 선정하여 주 2회 총 12회를 진행하였다. 특정 대상자인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관계와 정신건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혼합연구방법 중 설명적 모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양적조사는 부부관계와 부부의사소통, 그리고 심리적 행복감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또한 질적조사는 심층면담, 연구자의 관찰 및 반성일지, 문헌조사를 통하여 양적조사결과를 뒷받침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프로그램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부부갈등에서 제삼자 영역, 심리적 행복감에서 자신감, 자아실현감, 즐거움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하위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어느 정도 부부갈등은 해소되고 부부의사소통과 심리적 행복감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기간 동안 관찰하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부부관계는 ‘이해’, ‘대화’, ‘사랑’임을 알 수 있었으며 ‘극복’, ‘여유’, ‘몰입’, ‘樂’, ‘운동효과’와 같은 정신건강을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암환자 부부의 6주간 댄스스포츠 참여는 부부의 갈등을 해소시킨다. 둘째, 부부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주었으며, 셋째,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댄스스포츠에 참여한 암환자 부부는 서로를 이해하고 스킨십 증진과 공통된 소재의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는 사랑을 확인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준다. 다섯째, 댄스스포츠는 암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부여함으로써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암환자 부부의 댄스스포츠 참여는 삶의 여유를 통하여 즐거움과 자아실현을 경험하게 하고 운동효과를 통하여 운동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해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하며 다양한 제약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암환자 부부가 함께 할 수 있는 취미, 여가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하며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부부관계를 원만히 하고 정신건강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으며 암환자와 배우자가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댄스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