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탈모고객의 제품사용 실태와 관리 및 만족도 조사

        이지숙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11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the incidences of environment pollution, stress and a variety of diseases are increasing rapidly. Still people want to have healthy skin, shiny hair, and attractive hair style. Everyone desires to be beautiful. This desire fused with the worldwide trend of wellbeing culture and a new concept of healthy beauty has emerged. For a beautiful hair style, healthy hair is needed, which in turn requires healthy scalp. Until now, hair beauty has focused on hair styling. Now the focus of hair beauty is switching to hair and scalp care. And the leaders in this field added scalp care to hair care. The domestic market for scalp care and hair loss management reached 1 trillion won. The market for hair loss management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Systematic scalp and hair care services, such as scalp scaling, scalp massage, equipment maintenance, scalp care products sale, and care program based on scalp and trichology are provided.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hair loss management and use of hair care products by people experiencing hair loss a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hair loss manage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scalp and hair loss clin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41.2% of the study subjects were in their 20s, and 66.6% of the study subjects were women. As for the hair loss symptoms, 45.2%, the largest percentage, had thin and wispy hair and more women had thin hair than men. 80.0% of men had oily hair. As for the scalp condition, 39,3% had oily scalp. 55.4%, the largest, washed hair every day. And the younger the subject, the more frequent the hair washing. 55.4% had almost no dandruff. As more women experience hair loss, 39.6% had female pattern hair loss and 31.0% had male pattern hair loss. 37.2% had hair loss on the crown. As the largest percentage of people experiencing hair loss was in their 20s, 33.4%, the largest percentage, had the onset of hair loss in their early 20s. And 34.7%, the largest percentage, had hair loss for less than a year. 49.5% cited the cause of hair loss as stress. And 55.1%, the largest percentage, cited mental stress as the primary cause of hair loss. As for the social aspects likely to be affected by hair loss, 44.3%, the largest percentage, indicated confidence. With the increase of career women, the number of women suffering from hair loss ha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stress also increased. As for the reasons for getting hair loss management, 44.6% said to stop additional hair loss. 42.7%, said they got to know the hair clinic through word of mouth. 34.1%, the largest percentage, reported having used the clinic for less than 1 month. The older the subject, the longer the length of hair clinic use. As for the motivation for getting hair loss management, 36.0%, the largest percentage, indicated voluntary choice due to hair loss. 61.3%, the largest percentage, said the average hair loss management time is between 30minutes - 1 hour. As for the average number of monthly hair loss clinic visits, 28.2%, the largest percentage, said 3 times. As for the length of receiving hair loss management period, 33.7%, the largest percentage, said between 3-6 months. As for the cost of hair loss management, 41.8%, the largest percentage, said between 30,000-50,000 won. The largest percentage of people in their 20s spent between 50,000 -100,000 won. As for the hair loss management product use, 61.9%, said they do not use it and 38.1% said they use it. 5.6%, the largest percentage, used Davines at home and 9.6%, the largest percentage, used Kerastase at the clinic. As for the experience of hair loss product previously, 84.5% said they had no experience and 15.5% said they had experience. 5.0%, the largest percentage, reported having used Daenggimeori. 47.7%, the largest percentage, purchased the hair loss management product at a beauty salon. 81.4%, the largest percentage, selected the product recommended by the hair care specialist. 36.5%, the largest percentage, said their level of knowledge of the product is fair. The following are related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hair loss management. As for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hair loss management, 55.7%, the largest percentage, said the use of products appropriate for their hair and scalp. 32.8%, the largest percentage, said the effect of hair loss management lasted less than 6 months.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s on hair loss management program, service, skill of the hair specialist, hygiene, and hair loss management products, most people indicated between average and somewhat satisfactory levels.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 on the cost of hair loss management, most people indicated average satisfaction level. As for the continued use of hair loss management, 56.7%, the largest percentage, indicated they will occasionally use it. As for the problems related to hair loss clinics, 55.4%, the largest percentage, indicated high cost. As for the element essential to hair loss management, 39.0%, the largest percentage, indicated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specialized programs, 28.2%, indicated low price, 25.1%, indicate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of the hair specialist, 4.6%, indicated marketing and promotion, 2.5%, indicated service quality, and 0.6% indicated others. Key words ; Hair loss management, scalp care, hair loss products 현대 문명의 발달로 환경오염, 스트레스, 각종질환 등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러한 생활환경 속에서 현대인들은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며,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윤기 나는 머릿결을 위해 매력적인 헤어스타일의 연출을 원한다. 이처럼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는 모든 사람들의 바람이다. 이에 전 세계적인 웰빙 트렌드에 대한 문화적 흐름과도 맞물려, 건강한 아름다움의 개념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아름다운 스타일링을 위해서는 건강한 모발을, 그리고 그 모발이 뿌리내리고 있는 두피를 관리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헤어스타일에 편중되어 왔던 분야를 넘어서 두피와 모발관리를 통해 진정한 아름다움을 도모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고, 이미 선두주자들에 의해 단순한 모발관리를 넘어선 두피·모발관리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 두피·탈모 문제로 고민하는 고객이 1조원 시장을 전망하고 있을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탈모관련 시장의 성장은 더욱더 커질 전망이며 두피스케일링, 마사지, 기기관리와 홈 케어 제품판매 등의 관리와 두피· 모발학에 근거한 관리 프로그램적용, 체계적인 두피·모발 관리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탈모고객을 대상으로 탈모관리실태와 제품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탈모고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두피, 탈모클리닉의 마케팅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효과적인 탈모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연령별로는 20대가 41.2%로 가장 많았고, 여성이 66.6%로 남성의 2배 가까이 많았다. 연구대상자의 탈모양상으로는 모발상태는 가늘고 약함이 45.2%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여성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성들은 여성보다 기름기가 많음 80.0%로 나타났다. 두피상태는 지성두피가 39,3%로 가장 많았고, 샴푸 횟수로는 1일1회가 55.4%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샴푸 횟수는 많았다. 비듬상태는 거의 없음이55.4%, 탈모증세는 여성의 빈도가 높은 만큼 여성형탈모 39.6%로 많았고 남성형탈모는 31.0%로 나타났다. 탈모증 발생 부위는 두정부가 37.2%로 가장 많았고, 탈모가 시작된 시기는 연령의 빈도가 20대가 높은 만큼 20대 초반에 33.4%로 가장 많았고, 탈모증이 진행된 기간은 1년 미만이 34.7%로 가장 많았다. 스트레스는 자주 받음 49.5%로 가장 많았고, 탈모고객들이 생각하는 탈모의 가장 큰 원인 역시 정신적 스트레스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탈모가 사회생활 중 가장 많은 피해를 끼칠 것 같은 측면은 44.3%로 자신감이 가장 높았다.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여성 탈모 인구가 급증하면서 사회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양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관리 실태는 탈모고객들의 탈모관리 받는 이유 중 추가적인 탈모방지 44.6%로 나타났으며, 이용하는 클리닉을 알게 된 계기는 친구 등 주위사람이 42.7%로 가장 많았고, 클리닉 이용 기간이 1개월 미만이 34.1%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용 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탈모를 하게 된 동기로는 탈모증으로 인해 자발적으로가 36.0%로 가장 많았고, 1회 평균 탈모관리 시간은 30분-1시간미만으로 61.3% 로 가장 많았다. 탈모고객들의 월평균 관리 횟수는 3회 28.2%로 가장 많았으며, 탈모관리 프로그램의 기간은 3-6개월 미만이 33.7%로 많았고, 탈모관리 비용은 3-5만원 미만 41.8%로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에서 30대는 5-10만원 미만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탈모관리 제품사용 실태에서 홈 케어 사용여부는 미사용 61.9%, 사용 38.1%로 나타났으며 사용하는 제품은 다비네스 5.6%로 가장 많았으며, 탈모관리를 받을 때 사용하는 제품에 대해 살펴본 결과 케라스타즈가 9.6%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전에 탈모전용제품을 사용해 본 경험에 대해서는 사용해본 적 없음 84.5%, 있음 15.5%로 나타났고 댕기머리가 5.0%로 가장 많았고, 탈모 전용샴푸 구입처는 미용실이 47.7%로 가장 많았으며, 제품선택은 관리사가 선택해주는 제품으로 81.4%로 가장 많았고, 제품에 대한 정보에 대해서는 보통이라고 36.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탈모관리 만족도는 탈모관리를 받을 때 가장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두피·모발에 맞는 전문제품사용이 55.7%로 가장 많았고, 탈모관리 효과 기간은 6개월 이내 32.8%로 가장 많았다. 탈모관리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는 탈모관리 프로그램, 서비스, 관리사의 관리기술, 위생상태, 탈모관리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에서 대체로 만족 한다 사이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탈모관리 가격의 만족도는 보통으로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지속적인 탈모관리를 받을 의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끔 받겠다 56.7%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자들의 현재 이용하는 탈모클리닉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 결과 관리 비용이 비싸다 55.4%로 가장 많았으며, 탈모관리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관리프로그램개발이 39.0%로 가장 높았고, 가격의 대중화 28.2%, 관리사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25.1%, 마케팅과 홍보 4.6%, 직원들의 서비스 2.5%, 기타 0.6% 순으로 나타났다.

      • 헤드스파 홈 케어를 적용한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박선미 광운대학교 스마트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0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calp contour program applying home care to adult women's head sp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web survey on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for the experimental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a pre-post survey and three scalp measurements on 10 adult women. In addition, the mixed research method was applied by collecting data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er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during the post-survey.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crosstabs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peated measures 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window 25.0, and double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The individual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ly listening to the recorded data, and changes in the scalp in the stimulated area were analyzed through monitoring and visual evaluation using a scalp measuring instru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ir loss stress, interest in scalp contour design, head spa home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but the perception of scalp contour desig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nly in some questions. . Second, there were most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air loss stress, scalp contour design interest, head spa home care behavior,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f parting and M-shaped hair loss patients. Third, interest in scalp contour design and head spa home care behavior of parting and M-shaped hair loss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loss str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Fourth, the head spa home care behavior before the treatment of parting and M-shaped hair loss was effective in moisturizing the scalp by increasing the moisture of the scalp. Fifth, the head spa home care behavior after the treatment of parting and M-shaped hair loss had a calming effect on scalp stimulation caused by the scalp contour design treatment. Sixth, parting and M-shape baldnes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atisfaction with scalp contour design and reducing stress on parting baldness. There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at it conducted a comprehensive evaluation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s, applied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surveys, experiments, and interviews, developed a program combining head spa home care behavior and scalp contour design, and attemp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성인 여성들의 헤드스파 홈 케어를 적용한 스켈프 컨투어 프로그 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을 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를 통해 수 집하였고, 실험연구는 성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3회에 걸친 두피 측정을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사후 조사 시 개별 인터뷰를 통해 실 험자의 주관적인 만족감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 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window 25.0를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평균비교 분석(교차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및 반복측정 변량분 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하였다. 개별 인터뷰 자료는 녹음한 자료를 반복 청취하며 내용 분석하였으며, 두피 측정기를 활용한 모니터링 및 육안 평가를 통해 자극받은 부위의 두피 변화를 분석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마 및 M자 탈모자의 탈모 스트레스,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 관심도, 헤드스파 홈 케어 행동, 외모만족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스켈 프 컨투어 디자인 인식은 일부 문항에서만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르마 및 M자 탈모자의 탈모 스트레스,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 관심도, 헤드스파 홈 케어 행동 및 외모만족 간에는 대부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 다. 셋째, 가르마 및 M자 탈모자의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 관심도와 헤드스파 홈 케어 행동은 탈모 스트레스와 외모만족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가르마 및 M자 탈모자의 시술 전 헤드스파 홈 케어 행동은 두피 수분 증가로 두피 보습에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가르마 및 M자 탈모자의 시술 후 헤드스파 홈 케어 행동은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 시술로 인한 두피자극에 진정효과가 있었다. 여섯째, 가르마 및 M자 탈모자는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 향상 과 가르마 탈모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객관적·주관적 평가를 활용하여 설문 조사, 실험 그리고 인터뷰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헤드스파 홈 케어 행동과 스켈프 컨투어 디자인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대학생의 두피, 모발관리 상태 및 생활습관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5

        A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group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lp-care, hair-care and life style on the hair-loss. Out of 250 survey set distributed, 183 were recover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It was shown that 52% of the analyzed individuals were appealing hair-loss.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extent of hair-loss and scalp conditions such as excessive dandruffs, itchiness, greasiness and inflammations of scalp area were observed. Individuals with hair-loss had the tendency of having higher intake of coffee, alcohol and instant foods as well as higher cigarette-smoking rates.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hair-loss and the use of pain shampoo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seems crucial to keep scalp and hair clean and maintain their hygiene in general and to have balanced life style in order to prevent hair loss among young adults.

      • 두피관리용 Acetyl Hexapeptide-8 앰플의 항노화 및 탄력 개선 효과

        조해원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009

        이 연구에서는 Acetyle Hexapeptide-8을 활성원료로 사용하여 두피관리용 앰플을 제조하였다. 3%와 5% AH-8 앰플의 in vitro와 in vivo에서 탄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제조한 두피관리용 앰플의 안정성은 원심분리, 사이클링, 점도, pH의 변화로 평가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in vitro에서의 인체각질형성세포 (HaCaT)와 인체피부섬유아세포 (HS68)을 사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In vivo에서는 30∼40대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누적자극시험(Cumulative Irritation Test; CIT)을 실시하였다. 항노화 및 탄력 개선의 효능평가는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SOD2, FOXO1, ACTN1, COL17A1, ITGB4의 mRNA 발현 변화를 RT-qPCR로 측정하였다. 또한 마우스 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두피관리용 앰플을 6 주간 처치 후 교원질과 탄력섬유의 변화를 특수염색 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안정성 평가 결과 Vehicle, 3%와 5% AH-8 앰플 모두 원심분리 테스트, 사이클링 테스트, 점도 및 pH 변화가 화장품 평가기준을 만족하여 물리, 화학적으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결과, 3% AH-8 앰플 시료가 5% AH-8 앰플 보다 세포 생존율이 높게 나타나 5% AH-8 앰플보다 세포독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인체적용에 대한 누적자극시험 결과, 3%와 5% AH-8 앰플 모두 피부 적용 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OD2, FOXO1, ACTN1, COL17A1, ITGB4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3%와 5% AH-8 앰플 모두 항노화 인자인 SOD2, FOXO1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탄력 개선 관련 인자인 ACTN1 mRNA 발현은 AH-8 함량이 가장 높은 고농도 (5% AH-8 ampoule 1.75 ㎍/mL)에서 발현이 증가되었고, COL17A1과 ITGB4 mRNA 발현 또한 증가하였다. 마우스 피부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교원질과 탄력섬유 발현 변화를 살펴본 결과 5% AH-8 앰플 시료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Vehicle 앰플은 행나무 잎 추출물과 녹차추출물을 함유하였다. Vehicle 앰플 과 비교하였을 때, AH-8 앰플이 in vitro와 in vivo에서 탄력 개선 효능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AH-8은 두피 탄력 및 항노화 개선 효능이 우수한 화장품 활성원료로서 활용을 증명하였다. This research developed scalp treatment ampoule with acetyl hexapeptide-8 (AH-8)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lasticity improving effect of 3 percent and 5 percent AH-8 ampoules was tested in vitro and in vivo. To test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ed scalp care ampoule, we performed the centrifugation, cycling and measured viscosity, and pH changes. HaCaT cell was used to evaluate the safety of AH-8 ampoule by measurement of cytotoxicity. We tested the AH-8 ampoule on healthy adults from 30 to 40 years of age by cummulative irritation test (CIT). SOD2, FOXO1, ACTN1, COL17A1, ITGB4 mRNA levels were assessed through quantitative real-time PCR (RT-qPCR). Irradiated with UV to mouse skin, then various concentrations of AH-8 ampoule were applied into irradiated sites for 6 weeks. Changes in the amount of collagen and elastic fibers were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collagen and elastic fiber expression through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in mouse skin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5% AH-8 ampoule sample increased the most. AH-8 ampoules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y to HaCaT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CIT showed there was no skin reaction to both 3% and 5% AH-8 ampoules in 30 adults. After treatment of AH-8 ampoule to HaCaT cells, mRNA levels of SOD2 and FOXO1 were increased which are directly implicated in anti-oxidant factors. Of the factor to improving elasticity, ACTN1 mRNA levels were highest increased in treatment with 5% AH-8 ampoule (1.75 ㎍/mL). Also, the AH-8 ampoule increased mRNA levels of COL17A1, and ITGB4 in HaCaT cells. From the special staining in mouse skin treated with 5% AH-8 ampoule,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ercentages of collagen in the dermis compared to vehicle and 3% AH-8 ampoule treated groups. In vitro and in vivo study, we showed that AH-8 ampoule had extremely high capability of improving elasticity when compared to vehicle ampoule containing ginkgo leaf and green tea extracts. This study revealed the efficacy of AH-8 for increasing scalp elasticity and anti-aging in terms of a cosmetic active ingredient.

      • 한국여성과 이주여성의 두발관리 인식과 선호도 비교

        정하은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99307

        세계적으로 글로벌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고, 인구이동이 확대됨에 따라 최근 한국사회도 글로벌리즘으로 인하여 국제결혼과 외국인유학생들의 증가로 이주여성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0년 전의 한국사회는 세계에서 유일한 단일민족, 단일국가였으며, 한국인만이 지닌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2011년 기준 국내 결혼 건수 329,087건 중 국제결혼건수가 29,762건에 달한다(통계청, 2012). 이는 전체 결혼건수의 9.0%에 해당하는 비율로 결혼하는 10쌍 중 한 쌍 정도는 국제결혼이라고 볼 수 있다(통계청, 2012).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의 증가현상을 바탕으로 한국여성과 이주여성의 두발관리인식과 선호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상도에 거주하는 한국여성과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20대부터 50대 이상의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국여성은 380명, 이주여성은 연구대상자 선정의 어려움이 있어 19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3년 2월 25일 부터 3월 10일까지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거쳤으며,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3월 20일 부터 5월 20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620부 중 609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 39부를 제외 한 570부가 통계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카이스케어 검정(),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여성과 이주여성의 두발관리인식과 선호도를 비교한 연구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여성과 이주여성의 국적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여성과 이주여성의 식습관 실천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이주여성의 두발관리를 위한 식습관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수준도 한국여성은 중이 가장 높았고, 이주여성은 하가 가장 높았다. 두발관리제품의 광고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한국여성은 이해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나, 이주여성은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2. 조사대상자의 두발관리인식 및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두피 및 두발의 특성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이주여성의 경우 비듬이 더 많았으며, 두피에 유분기와 염증이 더 많았다. 두발의 굵기는 이주여성이 더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과 이주여성 모두 전문적 두피(두발)관리의 경험의 비율이 낮았으며, 이주여성에 비해 한국여성의 두발관리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발관리인식도는 이주여성의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두발관리선호도는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두발관리관심도는 직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두발의 건강유지와 헤어스타일의 아름다움 중 더 선호하는 것은 한국여성은 헤어스타일의 아름다움을 선호하였고, 이주여성은 두발의 건강유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발관리 제품 구입 시 최우선 고려사항으로는 한국여성과 이주여성 모두 제품의 효과를 중요시 하였다. 3. 조사대상자의 두발관리선호도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발관리선호도와 두발관리관심도는 한국여성의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이주여성의 연령과 결혼여부, 최종학력에 따른 두발관리인식 및 관심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두발관리 행동에 차이를 알아본 결과 두발관리 행동은 이주여성의 두발관리 행동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두발의 관심은 이주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여성은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자 새로운 고객으로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주여성의 성향을 반영한 두발관리인식과 선호도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다각적 마케팅이 확립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주여성의 증가는 뷰티산업에 관련 된 새로운 구성원들의 증가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대비하여 그들의 성향과 니즈를 반영한 새롭고 다양한 마케팅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As the globalization sharply expands all over the world and the population moves a lot, the number of women emigrating from other countries is augmented because of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students. 10 years ago, the Korean society was a single-race nation and shared homogeneity that only the Koreans have. In 2011, the total number of marriage was 329,087, 29,762 of which were made internationall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2012). It amounts to 9% out of total newly weds and indicates that a tenth is international couples (NSO, 2012). Based on the fact that the migrated women is increasing, this study will perform comparative analyses on the awareness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and migrated females for the hair treatment.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the Korean wom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sang province as well as foreign females who are in their twenties, fifties or older, and from China, Vietnam and Philippines. Also, surveys are conducted focusing on them. The number of Korean subjects is 380 and that of women who immigrate to Korea is 190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the selection. The preliminary survey lasted from February 25 to March 10 2013 and the respondents were 50. Later the question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 updated survey was conducted for 2 months from March 20. Out of 620, 60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them, 39 cases were excluded since their answers were not enough so that total 570 survey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WIN 18.0 program, the data that is gathered is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x2(chi-square)test, t-testandone-wayANAOVA.StudyquestionscomparetheawarenessandthepreferenceoffemaleswhoareKoreansandemigratefromothercountries. 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orean females and the nationality of migrated women are as follows. The study checked eating habits of both groups and it is found out that the migrated women have better eating habits. The economic level of the Koreans is middle but that of the other group is mostly low.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hair product advertisements, most of Korean women clearly see them but the migrated women hardly do. 2.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and preference for the hair care of study subjects are indicated below. As a result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calp and hair, the migrated females have much dandruff and their scalp is oilier. In addition, they have more inflammations in scalp and thicker hair than the Korean females. The women who are from other countries have less experience in receiving special scalp (hair) treatments. On the contrary, the Korean women tend to think that they need to care their hair as well. The awareness of hair treatment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The preference for the hair care as regards the marital status is remarkable, and the interest in that factor can be categorized by the occupation. In relation to the health of hair and hairstyles, the Korean women prefer to have beautiful hairstyles but the foreign women want to keep their hair healthy. However, both groups of women regard the effects as important when they purchase hair care products. 3. The following results are the subjects’ preference for the hair treatment. Considering the preference and interest of hair care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of the subjects, the Korean femal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and jobs. The awareness and interest of hair care in the migrated group are highly dissimilar, based on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In terms of hair care behaviors, the women emigrating from overseas nations react more positively, and they have more interests in hair. Those women are important members and new consumers of Korean society. Thus, it would be better to analyze the hair care awareness and preference that is reflecting tastes of migrated women and set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is research. The increase in the foreign females indicates that new social members related to the beauty industry are augmented. Therefore, the study suggest to establish brand-new and varied marketing plans that consider their tendencies and needs to prepare for this trend.

      • 지루성 두피의 개선 효과가 있는 오일류의 비교 연구

        김지영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2846

        영문초록 :In this study, I have made Emu, Camellia, Macadamianuts oil as stick shape which have effects on moisturizing, restoration of skin and executed analyzing test. The objects are 4 males and 8 females whose ages are from twenties and fifties living in Seoul and Incheon and classified them as 5 groups and the test have been executed for 4 weeks from 10 .10. 2005 to 5. 11 .2005. The test method has been executed with spreading of stick type oil by 3 times a week after scaling administration and spreading of oil after removal of moisture by towel drying after shampoo in the evening during the days which were not administrated. I measured the oil quantity using Laprope and used Digital scope to check scalp condition and documented the photos which have been taken before administration because the person who have the problem in scalp can be easily misunderstood that he has not problems in scalp if he is administrated. And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rate of oil decreasing in group which have been treated with EMU, Camellia, Macadamianuts oil spreading decreased as 58.33%, 50% and 47% and comparison group showed 38% of decreasing rate so I was 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The scalp condition of group which have been treated with Emu oil spreading showed minute improvements after third administration averagely and the pores, which were clogged by inflammation, are recognized that they has been opened and executing the normal functions after 12th administration. The erythema of group which has been treated with Camellia oil showed that the erythema has been mitigated after 5th administration and they have been disappeared after 12th administration. The group which has been treated with Macadamianuts oil showed little improvements after 4th administration and also showed little problems after 12th administration. And the comparison group has started to be improved after 10th administration and it has been improving with the repeats of improvements and aggravations. The final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that Emu oil affects remarkably the control of secretion of sebum and anti-inflammatory and the effects in order could be recognized orderly as Camellia and Macadamianuts and I think the Emu oil has eminent effect so it can be widely applic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