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vegetable soup : 야채 스프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연구

        Kalsoom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2

        많은 산업화된 나라에서 기능 식품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빠르게 증가하는 하는 이유는 가공 식품의 소비의 증가와 관련되어 건강을 위협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기적의 스프라고 알려진 야채스프는 널리 사용되며 강력한 기능적 및 약학적 구성 성분으로 유명하다. 사용된 야채 스프는 유기농과 비유기농의 당근, 우엉, 표고 버섯, 무와 무청에서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야채스프의 분석 항목으로는 항산화 활성, 무기질 함량, 유리 아미노산 함량, 항암 측정 이였다. 연구에 사용된 모든 요소들은 야채 스프에 의해 이루아진 것이다. 아미노산 조성물에 의하면 urea는 유기농과 비유기농 재료에 의해 제조된 야채스프 추출물 모두에서 감지되지 아니하였다. 한편, 추출물의 pH 범위는 5.3±0.35 ~ 6.1±0.05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유기농과 비유기농 재료에 의해 제조된 야채스프 추출물 모두에서 칼륨(K)의 하량이 다른 무기질 보다 높게 나타났다. 추출물은 심장 질환뿐만 아니라 고혈압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또한, HepG2 cell line의 항암 활성이 높게 나타냈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보아서 야채스프는 항산화 효능, 무기질, 필수 아미노산의 좋은 자원이며 항암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바로는 야채 스프는 기능적 및 약학적 가치 때문에 식품 산업에 매우 중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interest and demand for nutraceuticals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emergence of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Vegetable soup, commonly known as the miracle soup is widely used in the world and is famous for its rich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components for health. The vegetable soup were extracted from both organic and inorganic carrot, burdock root, shitake mushroom, daikon radish and leaves. In current study, we analyzed the antioxidant potential, mineral contents,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anti-cancer potential of this soup. All the parameters studied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vegetable soup. Amino acid results show that urea were not detected in both organic and in-organic vegetable extracts, which means that the acidic contents are not found therefore the pH value of the extract range from 5.3±0.35-6.1±0.05. Both organic and inorganic vegetable soup samples showed the highest ratio (86.87% to 83.37%) of essential amino acid/total amino acid (EAA/TAA). Among all free amino acids, Asp, Glu, and Ala were the three distinct amino acids in both organic and inorganic vegetable soups, . We also observed the highest level of proline content in both organic (81.2±4.8 ug/mL) and inorganic vegetable soups (83.2±4.6 ug/mL).Similarly, mineral contents showed higher potassium content in both vegetable extracts, which lowers blood pressure as well as reduces cardiovascular diseases. The vegetable soup also showed considerable anticancer activity on HepG2 cell line. It was concluded that vegetable soup is a rich source of antioxidants, essential minerals, Free amino acids and possess anticancer potential. Our study suggests that vegetable soup can be of great importance to food industry due to its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values.

      • 닭머리 Soup base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최성은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687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nsumer opinion on soup stock and to examin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up base prepared with chicken heads. As yet, chicken head remains a poorly-used animal byproduc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making stock, most housewives stated that soup stock was prepared with beef mainly and they were open to using commercialized broth products if the quality was assured. Survey respondents often perform some kind of pre-treatment like the removal of blood or blanching prior to cooking. In the first step for investig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icken-head soup base(CHSB), the EFFECT OF PRE-TREATMENT WAS EXAMINED. In this study, soaking time for the removal of blood was found to be optimal at 30 min and blanching was found un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the CHSB. Examination of the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showed that both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response variables in a linear fashion. The optimum levels of the amount of chicken head and cooking time were found to be 1800g and 150 minutes, respective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RSM). The CHSB had less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its derivatives than the soup base prepared with whole chicken(CSB). But the amount of hexanal in the CHSB was 11-fold higher than in the CSB. Investigation of the sensory response to different amounts of spice (ginger and onion) showed that increased spice levels led to a decrease in bloody and organ meat-like flavor. The optimum levels of the amount of ginger and onion were determined by RSM to be 40g and 50g, respectively. The chicken-head soup base(CHSB) with spices contained more arginine, tryptophan, IMP and hypoxanthine than the plain CHSB, while the former contained less hexanal, among flavor ingredients, than the latter.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plain CHSB, CSB and the CHSB with spices, all of which were prepared under optimum conditions, also showed that the CHSB with spices registered lower readings than the plain CHSB and CSB in the category of organ meat-like flavor and bloody flavor. The CHSB exhibited stronger characteristics in categories related to off-flavor, and CHSB was especially much lower in chicken-brothy flavor and sweet taste than the CSB. This was understood as coming from the fact that the CHSB contained a large quantity of hexanal, a substance that disintegrated the unsaturated fatty acid, and nucleotide dervatives like hypoxanthine. This paper will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variety of soup base products using the CHSB, if the chicken-brothy flavor and sweet taste are enhanced in the CHSB in an economical way. In addition, the author hopes that the descriptive analysis that was used for this study will be further refined and more widely used in the development of more products suitable for Korean taste, also promoting traditional Korean food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음식에서 많이 이용되는 육수의 제조현황과 상품화된 육수 재료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비가식 부위인 닭머리로 제조한 soup base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주부들을 대상으로 육수 제조 현황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닭머리 soup based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첫단계로 닭머리 핏물 빼는 시간과 데치기 여부에 따른 닭머리 soup base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그결과를 토대로 전처리 조건을 결정하였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관능적 특성에 따른 닭머리양과 가열시간의 최적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최적 수준으로 제조한 닭머리 soup base와 닭 soup base의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닭머리의 이취(off-flavor)감소를 위하여 닭머리 soup base에 사용하는 부재료의 첨가량을 최적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에서 최적화된 닭머리 soup base들과 닭 soup base의 관능적 특성을 묘사분석에 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육수 제조 현황에 관한 설문 조사결과, 대부분의 육수는 쇠고기로 제조되고 있었으며 특히 양지머리 부위를 육수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육수 제조시 대부분의 주부들은 재료에 대해 핏물을 빼거나 데치는 전처리를 하고 있었으며 상품화된 육수에 대해서는 품질만 보장된다면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닭머리의 핏물 빼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관능검사 결과 외관, 혈액(bloody) 향미 및 내장육(organ meat-like)향미의 강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혈액 향미와 내장육 향미의 경우 30분 이상 핏물을 뺀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 30분을 닭머리의 핏물 빼는 시간으로 결정하였다. 3. 데친 닭머리로 제조한 soup base는 데치지 않은 닭머리로 제조한 soup base보다 유리 아미노산, 핵산 관련 물질과 간은 정미 성분의 함량이 더 적었으며, 삼점검사 결과 두 soup base사이에서는 관능적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므로 닭머리 soup base 제조시 닭머리를 데티는 과정을 거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4. 닭머리의 양과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닭머리 soup base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산한 결과, 조사된 모든 특성에 대한 닭머리양과 가열시간의 선형효과가 극히 유의적이었다.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구한 회귀식으로 산출한 기대값들 가운데 내장육 향미와 혈액 향미가 15점 척도 사용시 7.5점 이하면 닭고기 육수 향미값이 최고인 요인수준조합을 닭머리 soup base의 최적 수준으로 결정하였다. 이 때 선정된 닭머리 양과 가열시간은 각각 1800g과 150분이었다. 5.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물양을 닭무게의 3.3.배로 결정하여 제조한 닭 soup base와 닭머리 soup base의 성분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닭머리 soup base는 닭 soup base에 비해 조단백과 조회분의 함량은 적은곳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미성분 결과, 지방 산패의 원인 물질인 hexanal의 함량이 닭 soup base보다 닭머리 soup base에 11배나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6. 부재료(생강, 양파)양을 달리한 닭머리 soup base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부재료양이 많아질수록 혈액 향미와 내장육 향미의 값이 감소하였고 닭고기 육수 향미는 요인들의 중간 수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반응표면분석을 총해 구한 회귀식으로 산출한 기대값들 가운데 내장육 향미와 혈액향미의 값이 15점 척도 사용시 6점 이하인 요인 수준 조합중 닭고기 육수 향미의 값이 최고인 요인 수준 조합을 부재료 첨가량의 최적 수준으로 결정하였다. 이 때 결정된 생강과 양파의 양은 각각 40g과 50g이었다. 7. 최적 수준의 부재료를 사용한 닭머리 soup base의 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 조지방과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96.5, 1.0, 0.2와 0.2%였다.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은 닭머리 soup base에 비해 부재료를 사용한 닭머리 soup base는 유리 아미노산 중 arginine과 tryptophan의 함량이 더 많았고 핵산과 관련 물질중에서는 IMP와 hypoxanthine의 함량이 더 많았다. 향미 성분에서는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은 닭머리 soup base에 비해 hexanal의 함량이 현저히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8. 최적 수준으로 걀정된 두개의 닭머리 soup base와 닭 soup base와의 관능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부재료를 사용한 닭머리 soup base는 부재료를 넣지않았을 때나 닭 soup base에 비해서 내장육 향미와 혈액 향미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닭머리 soup base는 닭 soup base에 비해 이취와 관련된 특성의 강도가 높고 닭고기 육수 향미와 단맛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닭머리 soup base에 불포화 지방산 분해 물질인 hexanal 함량이 현저히 높고 hypoxanthine과 같은 핵산 분해 산물이 다량 함유된 것 등에 기인 되는것으로 해석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 주부들은 육수를 직접 제조하기보다는 인공조미료와 첨가제가 많이 첨가되지 않은 상품화된 육수제품의 사용을 대부분 희망하고 있었으며 이와같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육수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소비자가 원하는 육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닭머리 soup base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닭머리 이용시 문제가 되었던 이취(off-flavor)는 전처리를 실시하거나 부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상당량 감소시킬 수 있었다. 부재료에 있는 향미 성분의 이취에 대한 작용기전은 후속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닭 soup base에 비해 닭머리 soup base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닭고기 육수 향미와 단맛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앞으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해 이루어진다면 닭머리 육수를 이용한 다양한 육수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행한 묘사 분석에 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 우리의 실정에 맞는 방법들이 개발됨으로써 육수를 비롯한 각종 우리나라 전통 식품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 The Effect of Hot Soup on Satiety

        장희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652

        Recently it is known that consuming soup significantly reduces subsequent food intake, leading to significant reductions in total energy intake. Thus, consuming soup can increase satiety and its effect can be enhanced by altering volume, temperature, energy density, and viscosity. Among various factors of soup that affect on satiety,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hunger, fullness, and energy were investigated. The hot meal consisted of 400g of hot beef-vegetable soup(75℃), Yubu Chobap, Bulgogi, cucumber pickle and radish pickle. The cold meal component were the same as the hot meal except 300g of water(8℃) and boiled vegetables(100g), instead of the hot beef-vegetable soup of the hot meal. Thirst, core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were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the test meals in a within-subjects, repeated measures design. 30 women consumed 17% more kilocalories, 13% more protein and lipid and 16% more carbohydrate in the cold meal than in the hot meal. The core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test meal was higher in the hot meal than inthe cold meal. The thirst at the end of, at 30min and at 60 min postprandial were higher in the hot meal than in the cold meal. However, blood pressure, hunger, and fullnes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test meals. It is concluded that energy and nutrient consumptions were higher in the cold meal, however hunger and fullnes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test meals.

      • 양영희 다큐멘터리 3부작 연구 : 사적 다큐멘터리의 포스트메모리 형성을 중심으로

        이재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604

        본 연구는 양영희 감독의 다큐멘터리 3부작 <디어 평양>, <굿바이, 평양>, <수프와 이데올로기>를 사적 다큐멘터리의 포스트메모리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재독하여, 냉전기 탈식민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배제되어온 조총련계 재일조선인 가족의 경험과 기억이 후속 세대에 전승되는 양상을 규명하고, 그 내용을 국가와 가족의 역학 속에서 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양영희 3부작은 민족과 국적, 젠더와 텍스트 장르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특수성이 교차하고 있으나, 재일조선인의 가족 이산이라는 수난사적 독해에서 나아가 다층적 소수성과 기억 작업에 주목하는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있으며, 사적 다큐멘터리로서 텍스트가 지니는 고유한 모호성에 대한 해석 또한 깊이 있게 조명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안전의 감각’을 양영희 3부작의 수행적 실천 전략으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억이 전승, 재구축되는 양상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본 연구는 재일조선인 가족을 민족 수난에 의한 수동적 피해자로 독해하는 것에서 벗어나, 국가와 가족 이데올로기의 개입 아래에 순응하고 저항하며 치열하게 삶을 도모한 주체로 읽어내고자 했으며, 나아가 문화텍스트로 발화됨에 따라 비체험 수용자의 연루의 감각을 추동하는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포스트메모리 기억작업이 비극적 역사적 사건의 기억 주체를 확장하고 시공간을 초월한 공감과 연대의 가능성으로 나아가는 지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2장에서 양영희 3부작이 지니는 사적 다큐멘터리로서의 특징을 수행적 실천으로서의 ‘순진한 딸’ 연기하기, 가족사진을 매개로 하는 기억의 재구축, 홈무비 형식을 활용한 연루의 감각 형성으로 나누어, 트라우마적 사건에 대한 기억을 현재화하고 연루의 감각을 형성하며, 포스트메모리를 연쇄하는 전략으로 작동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어 3, 4장에서는 이와 같은 형태로 재구축되고 전승되는 기억 작업의 내용을 분석하며, 양영희 3부작이 냉전기 국가권력에 의해 이주, 이산을 경험한 개인을 재현하며 발생하는 의미를 고찰했다. 3장에서는 <디어 평양>, <굿바이, 평양>의 주관적 기억 작업을 통해 지금-여기에 소환되는 가족구성원들의 신체가 민족국가의 성립 과정에서 정치권력에 의해 호명되고 통제된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순응하고 저항하는 개별주체의 수행을 밝히고자 했다. 4장에서는 <수프와 이데올로기>가 가족사를 4.3 사건으로 확장해내며, 망각이 복원되고 포스트메모리를 연쇄하는 양상을 분석했다. 전작에서 초국가적 여성 주체로 재독했던 어머니 강정희는 4.3 사건의 당사자로서 다층적 증언의 주체로 나타나게 되며, 발화와 침묵, 경험과 망각을 오가는 그녀의 신체는 후속세대의 포스트메모리를 추동한다. 이때 양영희는 강정희의 기억을 재구축하고 확장하여 스스로 새로운 기억의 주체로 거듭나고, 이는 민족, 젠더, 세대적 타자이자 비체험자들의 기억에까지 아로새겨지며, 북송사업과 4.3사건을 민족감정을 넘어 소통과 연대를 바탕으로 하는 소수자적 문제로 확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re-read Yang Yonghi’s documetary trilogy “Dear Pyongyang”, “Goodbye, Pyongyang”, and “Soup and Ideology” focusing on the postmemory formation in personal documentary. Considering Yang Yonghi’s trilogy’s multi-layered specificities ranging from ethicitiy, nationality, gender, and genres, this study looked at the “sense of safety” in the text as a performance practice strategy of the memory work,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pattern of memory transmission and reconstruction based on it. This study sought to read Zainichi family as political subjects who conformed, resisted, and fiercely sought life under the intervention of the nation/state and family ideology.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pattern of driving the ‘sense of involvement’ of non-experienced as the trilogy ignited as a cultural 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int where postmemory work expands the subject of tragic events and moves toward the possibility of empathy and solidarity beyond time/space. In this regard, chapter 2 examined Yang Yonghi trilogy’s characteristics as a personal documentary focusing on the sense of involvement through ‘acting as an innocent daughter’, reconstruction of memory through family photos, and sense of involvement using the home movie format. Subsequently, chapter 3 and 4 analyzed the contents of memory work reconstructed and passed down, and examined the meaning of reproducing individuals who experienced migration and separation by nation/state power during the Cold War in Yang Yonghi trilogy. Chapter 3 analyzed the patterns in which the bodies of family members summoned to ‘now-here’ were called and controlled by political power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ational state through the subjective memory of “Dear Pyongyang” and “Goodbye, Pyongyang”, and intended to reveal the performance of indivigual subjects who conform and resist it. Chapter 4 analyzed the pattern of <Soup and Ideology> expanding the family history to Jeju 4.3 Massacre, restoring oblivion and serializing postmemory. Yang’s mother, Kang Jonghi, who was re-read as a transnational female subject in the previous chapter, appears as a subject of multi-layered testimony who went through the Jeju 4.3 Massacre, and her body, which goes back and forth between speech and silence, experience and oblivion, drives the postmemory of the next generation. At this time, Yang Yonghi reconstructs and expands Kang Jonghi’s memory, and is reborn as a new subject of memory. This is engraved on the memories of ethnic, gender, generational others, non-experienced people, and expands the North Korea's 'Homecoming Project' and 4.3 Massacre beyond national sentiment to minority issues based on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 Sequential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for Optimization-Based Model Calibration

        이규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600

        높은 신뢰도를 만족하는 전산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오랜 기간 엔지니어들의 꿈이었다. 전산 모델을 통한 높은 신뢰도의 예측 및 해석을 위해선 정확한 입력 변수 값이 필요하다. 하지만, 미지 입력 변수의 존재는 전산 모델을 이용한 예측 및 해석의 신뢰도를 저하하는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모델 보정이란, 전산 모델의 미지 입력 변수의 값을 추정하는 과정을 뜻하며, 궁극적으로 정확한 미지 입력 변수 값의 추정을 통한 전산 모델의 신뢰도 향상을 목표로 한다. 높은 신뢰도의 전산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많은 관심과 함께, 모델 보정 기법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대표적인 방법이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이다. 올바른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을 위해선 다양한 종류의 불확실성 요인들에 대한 고려, 동시에 효율적이고 정확한 모델 보정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을 이용한 통계적 모델 보정 기법 개발을 위하여 다음 네 가지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연구주제 1: 측정 오류를 고려한 실험 데이터의 불확실성 모델링, 2: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의 볼록 최적화 문제 확인을 위한 민감도 정보 유도 및 민감도 정보를 이용한 강건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3: 정확하고 효율적인 순차적 통계 기반 최적 설계 루프 구성, 4: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결과에 대한 직관적이고 통계적인 검증 방법 개발 연구주제 1: 모델 보정은 전산 모델을 이용한 해석 값과 실험 값으로부터 얻은 두 확률 분포 일치도의 최대화(혹은 불일치도의 최소화)를 통해 미지 입력 변수 값을 추정한다. 정확한 모델 보정을 위해선 실험 측정 값의 불확실성을 적절히 묘사하는 확률 분포가 필요하다. 하지만, 실험 중에 발생하는 시스템 측정 오류와 랜덤 측정 오류에 의해 실험 값의 불확실성이 부정확하게 모델링 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연구 주제는 최대 우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 측정 시 발생하는 측정 오류들을 고려한 실험 데이터의 불확실성 모델링을 목표로 한다. 연구주제 2: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은 효율적인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주로 구배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Gradient-based optimization algorithm)을 사용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보정 척도(Calibration metric)를 이용하고, 구배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결과, 부정확하고 불안정한 보정 결과를 보여왔다. 따라서, 두번째 연구 주제는 1) 위 부정확하고 불안정한 보정 결과에 대한 이유를 분석하고, 2) 유도된 민감도 정보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연구주제 3: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은 통계적인 방법으로 미지 입력 변수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통계 기반 최적 설계(Optimization under uncertainty)를 사용한다. 통계 기반 최적 설계는 확률 분석(Probabilistic analysis)을 포함한 최적화 방법이다.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을 위해서 확률 분석은 해석 값의 확률 분포를 얻기 위한 불확실성 확산(Uncertainty propagation)을 담당한다. 하지만, 확률 분석은 많은 양의 계산을 필요하므로 최적화 과정과 동시에 진행될 때, 효율적인 최적화 루프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번째 연구는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순차적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순차적 최적화 기반 모델 보정은 두 개의 순차적 최적화 루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번째 루프는 효율성을, 두번째 루프는 정확성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방법을 순차적 최적화 및 불확실성 확산(Sequential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SOUP)이라 한다. 연구주제 4: 모델 보정의 마지막 과정으로, 모델 검증 과정은 보정 된 결과가 유효한 결과인지 확인한다. 검증은 정량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네번째 연구주제는 새로운 검증 척도인 확률 일치도(Probability of coincidence: POC)를 제안한다. 확률 일치도는 전산 모델로부터 얻은 해석 결과와 실험으로부터 얻은 측정 결과의 확률적인 일치도를 계산한다. Highly credible computational models have long been a dream of engineers. One factor that impacts the credibility of a computational model is the existence of unknown input variables in the model. For this reason, model calibration – a process of estimating unknown input variables in a computational model – has been explored, with the goal of providing solutions that could ultimately improve the credibility of computational models. Optimization-based model calibration (OBMC) is recogniz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estimating the unknown input variables in a computational model through the use of optimization techniques. For OBMC, a question of fundamental importance arises: How can OBMC be carried out accurately and efficiently under various sources of uncertainties and errors? In order to facilitate OBMC for model calibration in a statistical sense, this doctoral dissertation aims to address four essential issues: 1) Research Thrust 1 – Characterize the uncertainty in experimental observations considering the systematic and random measurement errors; 2) Research Thrust 2 – Derive analytical sensitivity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convexity of the optimization problem formulated by OBMC, and conduct robust OBMC using the derived analytical sensitivity information; 3) Research Thrust 3 – Formulate an optimization under uncertainty loop for accurate and efficient OBMC, and the associated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processes; 4) Research Thrust 4 – Validate the calibrated computational model that is derived from OBMC not only in a statistical sense, but also with 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Research Thrust 1: The process of model calibration estimates unknown input variables of a computational model with a goal of maximizing the agreement (or minimizing the disagreement) between probability distributions that result from computational predictions and experimental observations. To execute accurate model calibration, a proper probability distribution is required that describes the uncertainty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data). However, experimental observations may include systematic and random measurement errors. When characterizing the uncertainty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no consideration of systematic and random measurement errors may degrade the accuracy of calibrated results. Thus, Research Thrust 1 proposes a method that utilizes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ith modeling of systematic and random errors to properly develop a probability distribution that describes the uncertainty in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Research Thrust 2: Occasionally, gradient-based optimization algorithms are effective for use in OBMC. However, the calibrated results derived from gradient-based algorithms that use existing calibration metrics result in inaccurate and unstable calibration. Therefore, Research Thrust 2 aims to 1) investigate the fundamental explanations of the inaccurate and unstable calibrated results that arise from using existing calibration metrics, and 2) enhance the robustness of OBMC by providing gradient information. Research Thrust 3: OBMC is a probabilistic method used to estimate unknown input variables through the use of optimization under uncertainty (OUU). OUU combines the optimization process with the probabilistic analysis; this is used for the uncertainty propagation process in OBMC. Performing OBMC using an OUU formulation requires a high computational cost because the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processes are associated in a loop.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BMC, Research Thrust 3 presents a sequential OBMC approach that makes use of first 1) an efficient, and then 2) a highly accurate uncertainty propagation method, in sequence. The proposed method is called sequential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propagation (SOUP). Research Thrust 4: As the final process of model calibration, model validation checks whether the calibrated result is valid or not. The validation should be conducted in a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way. Research Thrust 4 proposes a new validation metric called probability of coincidence (POC). The POC calculates the probabilistic degree to which the computational prediction agrees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 관용어를 통한 한국 식문화 교육

        오예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84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관용어에 대한 이해를 신장시키고, 기본 생활양식 중 ‘식(食)’에 관한 관용어를 통해 한국문화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란 인간이 살아가면서 한 사회에서 만드는 물질적, 정신적 결과물이다. 시대가 다르면 문화가 다른 것처럼 환경이 다르면 문화가 다르다. 관용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문화를 내포하는 언어 형식이다. 한국 음식과 관련된 관용어는 인간의 생활양식 세 가지 중 두 가지와는 다르게 과거에서 현재까지 지속되어 전통문화와 현대문화를 아우를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의 전통문화에 깃들어 있는 한국어의 문화 관용어를 가장 잘 이해하고 흥미 있게 쓸 수 있는 것이 바로 ‘식문화’와 관련된 문화라고 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와 언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와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의 식문화와 언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의 음식과 관련한 관용어를 정리하고 각각 ‘중국’, ‘일본’, ‘영어권’에서 관용어를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용어 속의 같은 단어라도 문화권에 따라서 다른 상징성을 나타내는 면이 있었고 또한 비슷한 면도 있었다. 그리고 한국의 식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중국어권과 영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방안을 만들었다.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에 대한 문화를 간접적으로나마 교실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영어 문화권에서 학습하는 것과 중국어 문화권에서 학습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였다. 동아시아권, 특히 중국 학습자를 대상으로 식문화를 학습하게 하는 과정에서 ‘문장 만들기’ ‘역할극 하기’ 활동 등을 통해 관용어를 이해하게 하고 이를 통해 한국문화를 이해하게 하는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영어권 학습자에게는 다소 생소한 음식 문화를 동영상 자료와 실물 자료를 등장시켜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각 나라에서의 문화적인 뿌리는 각기 다른 이유로 생겨났기 때문에 물질적인 문화라 할지라도 일반문화처럼 교육하는 것보다는 문화권 별로 다르게 교육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언어는 인간 행동의 한 양식이며 문화의 중요한 구성요소다. 외국어를 학습할 때는 반드시 문화적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고 문화적 배경이 다른 만큼 관용어나 어휘 또한 다를 수 있다. 또한 ‘문화’라는 것은 상호적이며 옳고 그름이 없다. 따라서 일방적인 한국문화를 교수하는 것보다는 모국의 문화와 비교하거나 대조하고, 혹은 자신이 습득한 문화나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올바른 문화 수업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관용어만을 가르치는 것도 아니며, 하나의 문화만을 교육하는 것도 아니다. 관용어를 통해서 문화를 교수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idioms for foreign lear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naturally through idioms about day-to-day life and food. Culture is the material and spiritual outcome of a society in which humans live. Just as times change, cultures change, and environments change. An idiom is a language form that contains a piece or pieces of a culture. When comes to the Korean language, we see a plethora of idioms related to food that encompass both tradition and modernity, and it is through understanding these idioms that foreign learners can best understand Korean culture.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as well 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This thesis examines cul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ood culture and language. In addition, idioms related to Korean food were organized and compared with those found in 'China', 'Japan', and 'English-speaking countries', respectively. As a result, even idioms comprised of the same words exhibited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ulture. In addition, different education plans were created for both Chinese and English-speaking learners to experience Korea’s food culture in the classroom. In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food culture" for East Asian learners, especially Chinese learners, the author developed and presented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idiom through "making sentences" and "role playing" activities. In addition, video materials and realia were used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hich were somewhat unfamiliar to English-speaking learners. In summary, since cultural roots in each country have been shaped by differing reason and factors, it is vital to match our teaching methods to the backgrounds of students rather than educate them with a general approach. Language is a form of human behavior and an important component of culture, and cultural factors must be considered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dioms and vocabulary may also be different just as cultural backgrounds are different. Moreover, 'culture' is not a one-sided affair. Therefore, rather than teaching Korean culture as if it were in a vacuum, comparing or contrasting it with the customs and background of one’s students facilitates greater understanding. This study does not teach only idioms, nor does it educate only one culture, but rather it takes an active role in making Korean culture digestible with consideration to others’ backgrounds through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 POP기능을 겸한 즉석편의식품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즉석 스프를 중심으로

        김희규 한세대학교 디지털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599

        디자인은 그 자체가 현재의 사실을 근거로 미래를 예측하는 가치창조 활동이며 근본적으로 소비자 지향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문명시대를 살아가는 변화된 소비자의 요구와 가치를 반영하려는 노력이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패키지디자인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거대한 유통 메커니즘 속에서 패키지디자인은 상품에 가치를 더해서 상품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소비자는 일방통행의 정보전달방식에서 서로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하고 창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원하고 있다. 이는 4대 매체의 광고활동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더 이상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엔 한계를 느끼게 된 것이다. 성숙한 시장에서 보다 섬세하게 소비자에게 다가가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POP가 중요한 포지셔닝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패키지디자인은 인간의 감성에 소구하여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소비자 지향적 패키지 전략으로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감성에 대한 접근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마케팅 전략의 전개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POP와 패키지디자인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POP기능을 가진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적용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설정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조사방법 즉 개념적 문헌고찰, 사례분석,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연구하였다. 개념적 문헌고찰로는 국내외 관련 논문을 주요대상으로 POP의 이해와 소비자구매행동과 패키지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논리적인 틀을 정립하는데 활용하였다. 사례분석은 스프 패키지를 중심으로 POP기능을 가진 패키지디자인 사례를 직접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지역 거주하는 소비자 120명을 대상으로 직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7년 6월 15일에서 6월17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과정에서 POP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구매행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OP기능을 가진 스프 패키지디자인이 디자인적 접근은 우수하지만 POP기능이 없는 스프 패키지디자인에 비해 소비자에게 더욱 주목성을 끌고 브랜드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것은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는 스프 패키지에서 POP의 기능을 가진 패키지디자인이 중요하며 여기에 소비자성향, 판매환경, 소비자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연구가 펼쳐져야 할 것이다. Design is the create activities, which develop values of product through the foresight based on the current trends, and radically customized services. In various fields of design, include package design field, there are efforts to keep reflecting customer’s demanding and values which are changed in a digital-civilized age. Package design adds value of products in the immense distribution structure. Customers are anticipating changing from one-way communication to both-way communication which provides various and creative communication, because traditional mediums of advertisement are inadequate to satisfy them. POP advertisement has become a significant communication for corresponding delicately with customers in the markets. For the reason, package design adopts customized package strategy so that customers’needs and desire can be satisfied by them. In order to using the strategy efficiently, understanding what customers want; their feelings to be understand, then analyzing them. Overall, in this paper, I suggest more efficient solutions, which are purpose of study, through analyzing between POP advertisement and package design, researching facts how impact does POP functional package design to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 It analyzed three steps such as the conceptual documentary records consideration, a case study, and survey analysis. Through the conceptual documentary records consideration, mainly we focu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lative papers so that we could understand the POP advertisement and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s and Package Design, finally, established logical structure of them. Through a case study, we analyzed and aggregated directly a case of Package Design, which has POP features, among the domestic food market. Survey analysis; we surveyed direct survey analysis to approximately 120 customers who live around Seoul; from June 15th 2007 and June 17th 2007. SPSS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fter all, these are results of study.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most of the customers have recognized POP advertisement whenthey purchase products; in addition, it has impacted their purchasing behavior directly. Second, nevertheless having less Product Package Design, it has been found that Soup Package Design, which has POPfeatures, has been attended more by customer rather than Soup Package Design, which has less POP features. In conclusion, we have claimed in this paper, for maximizing effects of business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we should start the study of POP featured the Soup Package Design which has included the customers’ needs, merchandising circumstances, and design which gives the customer inspi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