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호보안장치에서의 차량추적논리에 관한 연구

        박영수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33021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열차제어 시스템은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궤도회로의 정보에 의해 차량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열차를 제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위치만을 검지하여 제어하던 기존의 릴레이 로직 시스템(Relay Logic System)을 컴퓨터의 장점을 이용하여 궤도 정보가 차량에 의한 정보인지, 고장에 의한 이상 정보인지를 정확히 판단하여 열차제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였다. 궤도정보의 정확성 판단 방법은 소프트웨어가 갖고 있는 특징인 지능(Intelligence)성과 컴퓨터의 빠른 처리속도를 이용하고, 열차운전 이론을 바탕으로 차량추적 논리를 연구하여 소프트웨어로 실현하였다. 결과적으로 불안정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궤도정보를 이용하는 차량제어 시스템에 궤도정보의 정확성 판단 기능을 부가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A track control system, which is required high realiability, controls and tracks the movement of train by the information of track circuit on rail. The relay logic system, which controlled train by detecting the location of train, proposed the technique highing the safety of train control system by correctly judging wheather it was the information by fault, or that of train using the merit of computer as electronization. The rightness judging method of track information uses the intolerance of the software and the fast processing speed of computer, and is realized by the software that is coded by the train tracking logic based on the train operation theory. As a result, this paper improves the realibility of system adding the function of rightness judgement at the train control system using the track information including unstable element.

      • 철도신호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통신프로토콜의 설계 및 검정

        이재호 高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33007

        본 논문은 철도신호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새로운 통신프로토콜을 설계 및 정형검정을 수행하여 철도신호시스템에 적합한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Type 1 : 직렬전송방식에 의한 프로토콜, Type 2 : 이더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시험을 통하여 현장시스템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기존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은 다양한 신호장치제작사로부터 공급됨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이 사용됨으로 인해 철도신호시스템의 신뢰성 저하는 물론 유지보수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유발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분석 및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장치의 연결 등 확장성을 고려한 표준형의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통신프로토콜의 설계에 있어서 철도신호시스템에 적합한 이론적인 최적의 프로토콜 변수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Matlab 기반의 시뮬레이션 툴을 개발하여 프로토콜 설계에 적용한다. 제안된 통신프로토콜의 성능확인을 위하여 동일한 시뮬레이션 조건 하에서 철도신호의 특이성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안된 프로토콜과 기존의 프로토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 향상을 확인한다. 제안된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형기법에 의한 검정을 수행하여 성능위주의 비정형적 방법으로 설계되는 통신프로토콜에 잠재될 수 있는 오류와 비효율성을 배제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제안된 2가지 형태의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레이블 천이시스템 (LTS: labeled transition system)으로 모델링하는 시스템적 방법 및 대수적 명세기법 중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의 행위특성을 가장 강력하게 표현하는 Modal μ-calculus를 사용하여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 검정기를 구현하고, 구현된 검정기를 이용하여 제안된 통신프로토콜의 안전성과 필연성 특성을 검정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의 실용화를 위하여 현장의 철도신호장치에 제안된 통신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제안된 철도신호용 통신프로토콜을 통한 장치간의 정보전송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 列車高速化와 多樣化를 감안한 線路容量算定에 관한 硏究

        기형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0011

        철도는 대량수송체계로서 산업과 기술 및 첨단소재 등의 발전에 힘입어 일반열차, 초고속열차(KTX), 자기부상열차(HSST) 그리고 광역급행전철(EMU)과 도시형 경전철시스템(LRT, AGT) 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의 출현으로 복합수송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공시시간으로 계획된 열차를 운행하며, 안전, 정확, 신속,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철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는 시기에, 본 논문은 열차의 고속화와 다양화에 착안하여 철도용량의 하나인 선로용량을 주제로 하고 기존 선로용량 개념을 검토하여 현실에 맞게 그 용량 산정방식을 변형하는데 주력하였다.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그 동안 열차운영계획 과정에서 경험하고 부딪치는 문제점을 정리하고, 실용화가 가능하도록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논문의 주제인 변형식의 검증도 실행하였다. 특히 노선선형에 대한 TPS 시행, 운전방식과 열차제어방식 및 신호시스템에 따라 이론적 계산에 의한 노선 선로용량과 철도운영기관의 실용용량과의 차이를 최소화 하는데 역점을 두었으며, 실용Dia예시 검증방식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Railway, a mass transportation system, is effected on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advanced materials and technology. It is formed the complex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which include the common trains, high-speed train (KTX), magnetic levitation train (HSST), Metropolitan Express Railway (EMU) and the urban light rail system (LRT, AGT). Besides, it is the industry operating trains by official timetable and provides us with safety, regularity, quickness and comfortable service. The time of heightened interest in railway, it considered as high-speeding and diversification of the train. Therefor this thesis based on line capacity, one of the railway capacity and will review the existing concepts of reality to fit line capacity that will transform the way to focus on capacity assessments. While this research proceeding it reorganized during the train operating planning experience in the planning process and with facing problems. Based on the case studies to practical use with the kind of validation thesis also run variations of the subject. Especially, operating the TPS of line align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type, train control and signaling system, for enforcement theoretical calculations of the line capacity of railway administration authority to minimize differences with the practical capacity to put emphasis on the verification of Diagram exempl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