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어플리케이션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중심으로

        김상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273

        Recent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which can be represented by the popular us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have brought great change in the way how people use the health information. Using thei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individuals have been increasingly recording and managing their own health records, which are separate concept from conventional 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s) in the medical institutions. A Personal Health Record (PHR) is a tool which provides individuals with the system to safely manage and preserve their all health information for their lifetime long. Accordingly, many IT companies have constantly attempted to develop health care-related applications (apps) and have been investing heavily in the health care industry. However, even the utilization rate of the ‘basic’ mobile health record (mPHR) apps (e.g., Samsung Health, Apple Health Record, and LG Health) is currently about 20%, which is still lower than the expectation. In this paper, based on the privacy calculus model, a research model which explains the resistance mechanism of mPHR app users is proposed. In addition, diverse factors, including trust as a moderating factor, affecting the resistance of mPHR apps are identified and their impacts are examined. More specifically, drawing upon the privacy calculus model, three risk-related (i.e., Privacy Risk, Risk of Time-Loss, Legal Risk) as well as three benefit-related (i.e., Usefulness, Informativity, Autonomy) factors are identified and their impacts on perceived value, which in turn leads to lower resistance are verified.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s /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value is examined. To validate our research model, 243 individual samples were gather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ware of their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but had no experience of using mPHR.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 that perceived value has significant effects on adoption resistanc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adoption resistance of mPHR using privacy calculus model. Practically, in the case of smart-phone manufacturer, it would be important to establish a platform in the smart-phone system by proposing detailed standards to reduce the risk of time-loss.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IT기술의 발달은 평균 수명의 지속적인 증가와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일반인들의 건강정보에 대한 이용형태에 커다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이용정, 2016). 이러한 환경에서 의료기관이 작성하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소비자가 개인의 건강데이터를 전자형태로 기록,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의 이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3).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이란 개인이 본인 또는 가족의 일생 동안의 모든 건강정보에 대해서 안전하게 관리, 보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를 말한다(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3). 많은 IT기업들이 헬스케어 산업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건강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서 유통하고 있지만, 현재 국내 기본 건강 어플리케이션(삼성의 Samsung Health, 애플의 Health Record, LG의 LG Health)의 이용률은 20% 정도로 그 수용 속도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중 기본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어 있는 건강 어플리케이션을 인지하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국내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프라이버시 계산모형(Privacy Calculus Model)을 바탕으로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어플리케이션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도출하고, 검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통해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가치를 제안하며,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지각된 위험요인(프라이버시 위험, 시간손실 위험, 제도적 위험)과 지각된 혜택요인(유용성, 정보성, 자율성)을 각각 도출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서 도출된 요인들이 수용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의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해보고자 한다. 또한 제조사에 대한 신뢰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혜택이 신뢰도에 따라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대되는 결과로는 지각된 가치는 수용저항에 부(-)의 영향을,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가치에 부(-)의 영향을, 지각된 혜택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사에 대한 신뢰는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약화시킬 것이며, 지각된 혜택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이용하여 살펴 본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시간손실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세부기준을 확인하고 제안함으로써 모바일 개인건강기록 시장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지속할 수 있다는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 모바일개인건강기록, 수용저항, 프라이버시 계산모형, 지각된 가치, 지각된 혜택, 지각된 위험

      • 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은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007

        SNS에서 이용자들이 남긴 광범위한 개인 정보들이 쉽게 노출이 됨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개인 정보에 관한 침해 우려와 더불어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성을 점차 염려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SNS에 있어서의 사용자 저항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표현의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s caused users concern about the disclosure of their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privacy concern and self presentation that affecting the user resistance in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This paper suggests that high awareness on privacy of SNS user encourages the SNS companies to consider the privacy protection mechanism for eliminati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ing the risk.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privacy calculus model applies to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n resistance of SNS user.

      •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장치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진동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001

        Wrist wearable device has brought diverse advantages in our daily life,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caused privacy issue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rist wearable device users’ intention to disclose their personal data and propose the device features and its improvement based 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informed consent. For these purposes,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ivacy calculus model and suggested empirical result based on the survey data responded by wrist wearable device users Wrist wearable device user’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data of wrist wearable device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udgment on the positive expectations expected by disclosing personal data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ttitude of disclosing personal data, but the judgment on the negative expectations expected by disclosing personal data negativ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ttitude of disclosing personal data. Secondly, the perceived interface convenience, self-efficacy, availability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of wrist wearable device users all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of disclosing personal data.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rivacy calculus model, this research empirically examined the intention of disclosing personal data. Especially, we examined enhancement of interface, self-efficacy,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as improvement of current method of wrist wearable user disclosing personal data through smart phone. This research suggests implications to both practitioners and academic researchers in the sense that it proved that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data can be increased by strengthening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ue to small and uncomfortable interface, wrist wearable device users disclose their personal data using smartphone, but it has same problems with PC or mobile such as consent fatigue, formal consent. The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data can be increased through increas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uch as interface improvement. Hence, it will help not only firms collect and use the information easier, but also each user protect their personal data by strengthene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improved wrist wearable device in terms of interface, self-efficiency,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and opportunities will allow firms to be more proactive under privacy laws, compared to other competitive.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우리의 생활을 풍요롭고 편리하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프라이버시 이슈에 직면하게 되는 것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이해하고 ‘Informed Consent(고지된 동의)‘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지각된 행동 통제를 중심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 및 개선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 및 프라이버시 계산모형 등을 통해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20세 이상 성인 남·녀 239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해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사용자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상되는 긍정적 결과에 대한 판단은 개인정보 제공태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판단은 개인정보 제공태도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특히,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사용자의 지각된 인터페이스 편의성, 자아 효능감, 자원과 기회의 이용가능성은 모두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는 작고 불편한 인터페이스 때문에 스마트폰을 통해서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기존 PC 또는 모바일에서의 개인정보 제공방식이 갖고 있는 동의 피로도, 형식적인 동의 등 많은 문제점을 그대로 갖게 된다. 향후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지각된 행동 통제가 높아진다면 이는 개인정보 제공의도의 증가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정보수집 및 활용이 용이해지고 개인은 지각된 행동통제의 강화를 통해 정보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자아효능감, 자원과 기회의 이용가능성을 개선한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은 프라이버시를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동적으로 해야만 하는 것에서 다른 경쟁자들보다 앞서 나갈 수 있는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서비스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계획된 행동 이론과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통해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손목 착용형 웨어러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현행 방식에 대한 개선점으로 인터페이스, 자아 효능감, 자원과기회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각된 행동 통제를 강화하여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상품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중심으로

        최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986

        Product recommender services help save consumers time searching information amid the flood of online information, and algorithms are still being developed for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ecommend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recommender system(Hybrid-filtering system, SNS-based recommender system, Bestseller recommender system) on consumer’s perceived benefit(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risk(privacy concer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sion to click was high in the order of Hybrid-filtering, Bestseller, and SNS-based system. Privacy concern was high in order of SNS-based system, Hybrid-filtering, and Bestseller.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on the type of recommender system and perceived usefulness were significant. Finally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 and privacy concern had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intension to click. It has theoretical significant that this study compared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ommended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providing and developing future recommender service. 상품 추천 서비스는 범람하는 온라인 정보 속에서 소비자의 정보탐색 시간을 절약하는데 도움을 주며, 계속해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추천을 위한 알고리즘이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적용하여 추천 서비스 유형인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지인기반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인지된 유용성, 프라이버시 염려, 클릭의도)을 비교하고자 했다. 또한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에 있어서 인지된 개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클릭의도는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 지인기반 추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프라이버시 염려는 지인기반 추천,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 순으로 높았다. 인지된 개인화는 인지된 유용성에 있어서 추천 서비스 유형과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유용성은 클릭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프라이버시 염려는 클릭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비교하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실무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제기 후 카카오톡 이용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이용량, 대화 상대 및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박상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968

        카카오톡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텔레그램과 같은 다른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로 이동하는 등 카카오톡 이용행태에 있어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사람들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기존 SNS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이 실제 카카오톡 이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카카오톡 개인정보 유출 사고 가능성에 대한 소식을 접하기 전·후에 있어 카카오톡 대화 상대 및 대화 내용에 따른 교류 량의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카카오톡 대화 시간에는 성별과 연령, 관계 유지 동기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인 빈도에 있어서는 연령과 서비스 애착 및 서비스 전환 비용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 상대와 대화 내용에 따른 교류 량 차이를 검증한 결과, 카카오톡을 통한 프라이버시 유출 가능성이 확인된 후, 모든 대화 상대와 대화 내용에 있어서 교류 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까운 지인과의 교류 및 정치·시사 의견에 대한 공유가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끝으로 카카오톡 이용감소에는 연령, 과거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네크워크 외부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서비스 전환 의도에는 과거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과,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SNS서비스 제공업체가 사람들의 SNS이용을 방해하는 주요인으로 알려진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 맞설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학술적 측면에서는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험한 사람들의 미디어 사용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소셜미디어 이용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 Two essay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policy, media industry and consumers

        김민성 Korea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101918

        오늘날의 미디어 생태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법제와 산업, 그리고 소비자에 대한 융합적인 이해가 필수적이다. 미디어 법이나 정책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기준과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미디어 법제는 미디어 산업과 기술을 진흥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이익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편 인터넷과 스마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한 미디어 산업의 변화는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 패턴을 변화시키며, 이용자 기반이 확충되지 않은 미디어 산업은 지속성이 없기에 소비자의 이용 패턴이나 의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미디어 법제와 미디어 산업, 그리고 소비자는 상호 영향을 미치며, 미디어 정책과 미디어 산업, 그리고 소비자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은 미디어 생태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 규제와 미디어 사업자의 상호작용, 그리고 미디어 산업과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두 개의 소논문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미디어 생태계의 다양한 변화를 인터넷과 스마트 미디어가 견인하였다는 점에 착안하여, 첫 번째 논문은 스마트 미디어의 확산과 관련 있는 단말기 보조금 규제가 통신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두 번째 논문은 최근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정보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각광받고 있는 추천시스템 이용을 위한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 의사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논문은 한국 통신시장에서 여러 논란의 중심이 되어 온 단말기 보조금 규제와 관련해 부당한 단말기 보조금 지급에 대한 처벌이 통신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단말기 보조금은 단말기 구입 부담을 낮춤으로써 시장 확산을 견인하였지만 과도한 보조금 지급에는 부정적 측면도 존재하기에 한국 정부는 2000년부터 이용자 차별을 이유로 과도한 보조금 지급을 규제해왔다. 위반시 과징금이나 영업정지로 대표되는 처벌을 부과해왔는데, 이러한 처벌의 영향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따라서 첫 번째 논문은 처벌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에 있어 이벤트 스터디를 통한 단기적 주가에의 영향과 회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장기적 재무지표에의 영향을 모두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통신사의 부당한 보조금 지급에 대한 처벌이 발표되면 단기적으로는 통신사의 주가가 오히려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기적인 재무지표 분석 결과 매출액증가율과 영업이익증가율이 모두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적인 주가에의 영향과 장기적인 재무지표에의 영향 모두 통신사의 크기에 따라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처벌의 세기나 세 통신사가 모두 함께 처벌받았는지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번째 논문은 최근 온라인상에 유통되는 정보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추천시스템의 중요성이 부각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추천시스템 이용을 위한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 의사를 살펴보았다. 정보가 과잉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짐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추천시스템이 각광받음과 동시에 추천시스템이 활용하는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우려 또한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추천시스템이 수집하고 활용하는 정보의 범위가 최근으로 올수록 점점 더 확장되고 있다는 점, 정보의 유형별로 이용자의 정보 제공 의사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개인정보의 유형 분류를 새롭게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에 개인정보 유형으로 많이 구분되던 기본 신상 정보나 개인 식별 정보 외에 이용 패턴에 관한 정보와 이용 맥락에 관한 정보, 그리고 피드백 정보까지 총 5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중 계산 모형을 바탕으로 유형별 개인정보 제공의사를 살펴본 결과, 유용성과 편리성은 모든 유형의 정보 공개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성 역시 모든 유형의 정보 공개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심각성은 모든 유형의 정보 공개 의사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효능감은 피드백 정보를 제외한 모든 네 가지 유형의 공개의사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자기효능감은 피드백 정보에 대한 공개의사에만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media ecosystem, a comprehensive approach toward media legislation, media industry, and consumers is needed. Media laws and policie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media industry by providing standards and bases for service providers to conduct businesses. Media related regulations are also important as it encourages the development of media related technologies for consumers to enjoy the improved media environment. In the new media era, consumers also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and sustainability of service providers. As regulators, media industry players, and consumers each participate in developing the media environment, the media ecosystem is anticipated to continuously grow and develop into a sustainabl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of two essay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regulation, media industry and consumers. The first essay examines the impact of handset subsidy regulations which is related to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on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The second essay examines user’s intention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r online recommendation systems. The first essa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penalties on undue mobile handset subsidies on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Korea has regulated excessive mobile handset subsidies to prevent consumer discrimination. Although penalties have often been imposed for violating the regulations of mobile handset subsidies,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ver the effects of penalties on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short-term wealth effect on the market value of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when the penalties on undue mobile handset subsidies are announced. However, financial data analysis shows that penaltie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firm’s long-term profitability. Findings also reveal that the differences among most sub-groups a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the firm’s size. The second essay examined consumers’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The internet is a double-edged sword with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but also overwhelming. In light of this difficult challenge, recommendation systems have gained popularity in recent years. By reducing the trouble of searching and selecting the right information, recommendation systems help users obtain information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However, recommendation systems also raise concerns over privacy issues. The second essay thus examined consumers' intention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dual calculus model which incorporates two interrelated trade-offs. Five distinct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usage patterns, personal identifiers, biographical information, usage context and feedback information) were specifically selected based 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imply that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convenience of the recommendation system do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user’s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Perceived vulnerability also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Perceived severity, howev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user’s intention to disclose all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Coping efficacy showed positive effects on user’s willingness to disclose personal data except for feedback information.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had a positive impact only on disclosing feedback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