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 혁신성과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이은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11

        People always carry cell phones, an indispensable item for consumers, and because unlike other digital products, it is a product that women have a high level of attachment for, several distribution businesses have recently begun trying to activate shopping malls through mobile internet, but until now, hardly 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onsumers who will actually be using these malls. With researches related to mobile commerce as well, because the range of mobile commerce was vaguely applied, research on the behavior of purchasing fashion products with mobile phones is in fact non-existent. Accordingly,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 on discovering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intention when people use mobile shopping to purchase fashion products.The specific goals of this paper are: 1)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patterns of mobile fashion shopping; 2) discover the effec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has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3) discover the effect the interac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perceived risk has on perceived value; 4) see if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intention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personal innovation; and 5) empirically analyze to see if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intention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mobile internet lifestyle.In this paper,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potential mobile fashion shopping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s subjects people who have experienced purchasing fashion products through online shopping mall from among the mobile internet users, and a total of 511 survey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PSS 12.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 test, cluster analysis, ANOVA,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nd LISREL 8.70 wa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ISREL.When the results of this paper’s research are summarized, first, the results of conducting factor analysi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showed four factors, instant connectivity, ease of use, enjoyment, and personalization/usefulness, and consumers recognized these most readily in their stated order. Also, the results of conducting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risk showed three factors, risk to privacy, economic/product quality/technical risk, and social risk, and consumers recognized these most readily in their stated order.Secon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personalization/usefulness, enjoyment, and ease of use were shown to exert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value was shown to affect purchase intention.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perceived risk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its perceived value, thus lowering the perceived value of mobile fashion shopping.Fourth, w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according to personal innovation,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were seen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groups. In both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instant connectivity, factors such as personalization/usefulness, enjoyment, and ease of use were shown to affect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consumers having a high recognition of instant connectivity factor, but not being able to use it actively. Also, while personalization/usefulness and ease of use were shown to have a greater effect on perceived value in the group with high personal innovation, enjoyment was shown to have a greater effect on perceived value in the group with low personal innovation. This signifies that, in case of the group with high innovation, mobile fashion shopping was evaluated to be somewhat more valuable due to the utility benefits provided by mobile fashion shopping, while in case of the group with low innovation, the enjoyment felt through the a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in perceiving the value of mobile fashion shopping highly. In addition, in case of the group with high personal innovation, perceived risk was shown to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its perceived value.Fifth, the result of dividing the subjects according to mobile internet lifestyle and observing the resulting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by group typ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roups. The mobile internet lifestyle groups were classified as 'passively pursuing technology group,' 'mania group,' and 'skilled leader type group.' With all the groups, instant connectivity exerted no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in case of 'skilled leader type group,'enjoyment also did not exert influence. In all the groups, perceived value was shown to exer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case of 'passively pursuing technology group, 'personalization/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were shown to exer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in that order, and perceived risk was shown to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its perceived value. In particular, risk to privacy was highly recognized. In case of 'mania group,'it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more highly than other groups, and personalization/usefulness, ease of use, and enjoyment exerted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in that order. In case of 'skilled leader type group,' personalization/usefulness and ease of use exerted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in that order.This paper presented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by companies that are planning mobile fashion shopping when they are building their marketing strategy, 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fashion shopping and perceived risk that can influenc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consumers regarding mobile fashion shopping, and by discove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In particular,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that presen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ersonal innovation will be useful in building a marketing strategy that target consumers with high propensity for innovation and opinion leadership, while the results that presen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mobile internet lifestyle will be helpful to consumer segmentation based targeting strategy. 휴대폰은 개인이 항시 휴대하고 다녀 소비자들에게서 빼놓을 수 없는 물건이며 다른 디지털 제품과는 달리 여성들의 애착이 높은 제품이라 최근 몇몇 유통업체들에서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쇼핑몰을 활성화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를 실질적으로 이용하게 될 소비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모바일 커머스 관련 몇몇 연구들도 모바일 커머스의 범위가 모호하게 적용되어 모바일로 패션 제품을 구매하는 행위에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여 패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첫째,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위험의 유형을 알아보고, 둘째,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셋째, 모바일 패션 쇼핑과 지각된 위험의 상호작용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넷째, 개인 혁신성에 따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다섯째,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의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모바일인터넷 사용자 중 온라인 쇼핑몰로 패션 제품을 구입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11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으로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증, 군집분석, 분산분석, 조절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LISREL 8.7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화/유용성, 유희성, 즉시접속성, 용이성의 4가지 요인이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은 이를 즉시접속성, 용이성, 유희성, 개인화/유용성 순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위험의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제/제품품질/기술적 위험, 프라이버시 위험, 사회적 위험의 3가지 위험 요인이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은 이를 프라이버시 위험, 경제/제품품질/기술 위험, 사회적 위험 순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둘째,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 중 개인화/유용성, 유희성, 용이성이 지각된 가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가치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위험의 상호작용은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과 지각된 가치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조절 역할을 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의 지각된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개인 혁신성에 따라 집단을 분류했을 때, 집단별로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즉시 접속성을 제외한 개인화/유용성, 유희성, 용이성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즉시 접속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지만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로 추측된다. 또한 개인 혁신성이 높은 집단에서 개인화/유용성, 용이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반면, 개인 혁신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희성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혁신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모바일 패션 쇼핑이 제공해주는 실용적 혜택으로 인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을 좀 더 가치있게 평가하고, 혁신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모바일 패션 쇼핑을 하는 행위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즐거움 또한 모바일 패션 쇼핑의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 혁신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지각된 위험이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가치 사이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집단 유형별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 집단은 ‘소극적 기술추구 집단’, ‘매니아 집단’, ‘숙련 선도형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모든 집단에서 즉시 접속성이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숙련 선도형 집단의 경우 유희성 또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지각된 가치는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기술추구 집단의 경우 개인화/유용성, 용이성, 유희성 순으로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 위험이 모바일 패션 쇼핑의 특성과 지각된 가치 사이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프라이버시 위험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매니아 집단의 경우 다른 집단들보다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고, 개인화/유용성, 용이성, 유희성 순으로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쳤고, 숙련 선도형 집단의 경우 개인화/유용성, 용이성 순으로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바일 패션 쇼핑 특성과 지각된 위험의 유형을 제시하고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모바일 패션 쇼핑을 기획하는 기업이 마케팅 전략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시해 주었다. 특히 개인 혁신성에 따른 차이를 제시한 결과는 의견 선도력이 있는 혁신성향이 높은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할 것이고, 모바일인터넷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차이를 제시한 결과는 고객 세분화를 통한 타겟팅 전략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Trust and Risk in the Adoption of the Electronic Platform for Public Participation and Fighting Corruption (e-People) in Tunisia

        라리비모에즈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11

        People Trust in government and technology is vitally important to the successful adoption of e-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rust, risk and usefulness perceptions on the readiness of citizens to use the people's Public Participation and Fighting Corruption Electronic Platform called e-People system within the Tunisian context. It also aims to develop, enrich and validate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nd inspired from the Trust and Perceived Risk model of Bélanger and Carter (2008).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analysis, which uses a survey questionnaire method within a quantitative approach. Responses will be collected using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ll be run in AMOS Graphics v18.0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research model. The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e integration of number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behavioral and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trust in both internet and government and perceived risk) with a technology acceptance construct (the perceived usefulness) into a coherent model which jointly predicts the citizens’ intention to use e-People system. The findings support the research model and assert its robustness, confirming that trust can be a direct antecedent of citizens’ intentions to use, but it can acts as well, as indirect anteceden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risk, validating the integration of new construct from TAM model. Finally, this research model explains 83% of the variance (R2) in intention to use; and trust of the government was its most significant predictor. Keywords: E-government; E-People; Adoption; Trust;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정부와 기술에서 인간 신뢰는 성공적인 전자정부 채택을 위해서 상당히 중요하다. 이 연구는 사람들의 부패 척결을 위한 공공 참여 전자 시스템 (튀니지 내의 네티즌 제도라 불리는 것)을 이용하기 위해, 준비된 시민의 득과 실 그리고 유용한 인식의 영향을 연구한다. 이것은 또한 개발, 향상, 합리적 행위(TRA)에 기반을 두고, Belanger and Carter (2008)의 신뢰와 인지적 위험에서 영감을 얻은 이론적 모형의 증명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계량적 접근으로 질문 서법을 사용한 단면적 연구이다. 응답들은 구조화 된 인터넷 설문지로 모아질 것이며, 구조적 방정식 모형(SEM)은 연구 모형 안에서 가설된 관계를 테스트하기 위한 AMOS GRAPHICS 내에서 진행될 것이다. 이 연구의 중요한 기여는 수많은 행동적이고 환경적 불확실성과 (인터넷과 정부의 예상된 위험요소에서) 기술적 수용(예상된 유용성) 관련된 수많은 변수의 시민들이 e-people시스템을 쓸 것이라는 예측으로 일관성 있는 모델로의 통합이다. 그 연구는 시민들이 사용하게 되는 직접적인 선행 사건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더욱 더 강하게 뒷받침 해준다. 하지만 예상된 유용성과 위험을 고려해보다면 TAM모델에서 새로운 형태의 통합으로의 타당성을 주며, 이것은 간접적인 선행 사건이 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모형은 83%의 의도 안에서 변화(R2)를 사용한다. 그리고 정부에 대한 신뢰는 가장 중요한 예측 변수이다. 핵심용어 : 전자 정부; 네티즌; 적용; 득; 인지된 위험성; 유용성의 인지

      • The Effect of Personalized E-mail Message on Consumer’s Perceived risk : The moderating role of Intimacy

        이성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895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면서, 최근에 기업과 소비자는 다양한 기기와 방식을 통하여 서로 의사소통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 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인터넷이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를 맞추기 위한 개인화(Personalization)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개인화 서비스는 기업에 중요한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화 서비스의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는 만큼 개인화 서비스가 개인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침해한다는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화된 이메일 메시지를 중심으로 개인화 서비스가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로,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개인화된 이메일 메시지의 개인화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와 두 번째로 개인화된 이메일 메시지의 친밀감(Intimacy)이 포함 되었을 때, 친밀감이 어떻게 메시지의 개인화와 지각된 위험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적정수준의 개인화는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지만, 일정수준을 넘은 개인화 서비스는 오히려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을 높이는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적정수준을 넘었을 경우, 개인화로 인해 증가한 지각된 위험을 소비자의 친밀감(Intimacy)을 사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터넷 등의 뉴미디어를 통해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실무진들과 개인화된 서비스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dvances in technology have changed the ways of communication. These days, communication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is based on the Internet and mobile equipment. Consumer’s needs have diversifi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Consequently, many scholars who have previously mentioned personalization have stressed the importance of personalization. Personalized service is one of the marketing strategies that is indeed significant. Yet, in order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personal information is required. Some researchers have noted that invasion of privacy has increased due to personalized service.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personalized services provided by companies influence consumers’ perceived risk. We had two objectives: first, to observe how levels of personalization influence the level of perceived risk; second, to consider how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e-mail, which already includes personalized information from the use of intimacy in messag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ptimal level of personalized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while personalized service over a certain level had a negative effect. Thus, consumers’ perceived risk increased when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was too high. However, we also found that consumers’ perceived risk decreased because of intimacy source (e.g. sender’s information, emoticons, soft sentence, and avatar). The research introduces some ways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more effectively to consumers.

      •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성격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공정성과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이지선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890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a social worker`s personality according to his/her job characteristic, which is providing service to a client directly.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employee`s personality influence on various job performances also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which is concerned mostly significant in social work. Thus personality ―a consistent attitude toward facing work and client― related turnover intention means that organizational level`s intervention is actively needed. Some of organizational level`s interventions, because of the importance, perceived an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had to provide employee in proper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sonal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from social work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November 14 to 30 in 2017, and data was collected from social work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Organizational surveys returned 31 organizations out of 32 organization and individual surveys were 380 out of 415 people. The final data is comprised of 28 organizations' 365 social workers after eliminating the minimum range of belonging person per organization. The data analys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ain effect of neuroticism was positively significant on turnover intention and agreeableness was negatively significan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ly, the main effect of distributive justice was negatively significant on turnover intention.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rsonal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were as below. Firs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neuroticism and distributive justice was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negative direction. It means that, when neuroticism was increased, if distributive justice in low level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s increase while distributive justice in high level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s decrease.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traversio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negative direction. It means that, when extraversion was increased, i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low level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s increase meanwhil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high level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s decrease.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xtraversion and procedural justice was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negative direction. It means that, when extraversion was increased, if procedural justice in low level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s increase while procedural justice in high level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s decreas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were as below. First, counselling service or EAP(Employee Assistant Program) had to be provided for understanding social worker`s personality an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needed restructuring. Second, organization had to provide fringe benefit and in-service education to improv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rd, organizations had to establish a system to enhance organizational justice. From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sonality on turnover intention. Secondly, this study prov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turnover intention: it is suggested to improv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anagerial strategy. Lastly,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sonal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justice is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성격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종사자의 개인특성이 다양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 분야에 가장 중요한 직무성과인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업무와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방식에서 일관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성격특성이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은 기관차원에서의 개입이 적극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관차원에서 개입할 수 있는 방안 가운데 적절한 수준으로 조직지원인식과 조직공정성이 종사자들에게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성격특성과 기관의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공정성의 수준을 파악한 후, 이들의 상호작용효과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종합사회복지기관에 속한 종사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7년 11월 1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2주간이었다. 총 32개 기관 중 31개 기관에서 설문이 회수되었으며, 사회복지사는 총 415명 대비 380명이 회수되었다. 이 중 기관 별 최소인원에 맞지 않은 3개 기관을 제외한 총 28개 기관의 36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개인차원의 성격특성에 더해 조직차원의 조직지원인식과 조직공정성의 영향력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다차원적 접근 및 예측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해 개인수준의 성격특성 가운데 신경성은 정적으로, 수용성은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조직수준의 조직지원인식과 조직공정성 가운데 조직공정성의 하위차원인 분배공정성만이 이직의도에 대하여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하여 개인수준의 성격특성과 조직수준의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고정성의 상호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직의도에 대해 개인수준의 성격특성인 신경성과 조직수준의 분배공정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성은 신경성의 수준이 높아질 경우 분배공정성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이직의도의 수준이 더욱 증가하였고, 분배공정성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이직의도의 수준이 더욱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이직의도에 대해 개인수준의 성격특성인 외향성과 조직수준의 조직지원인식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성은 외향성의 수준이 높아질 경우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이직의도의 수준이 더욱 증가하였고,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이직의도의 수준이 더욱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이직의도에 대해 개인수준의 성격특성인 외향성과 조직수준의 절차공정성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경향성은 외향성의 수준이 높아질 경우 절차공정성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이직의도의 수준이 더욱 증가하였고, 절차공정성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이직의도의 수준이 더욱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종사자들의 성격파악을 위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사관리 제도를 개편하는 것이다. 둘째, 조직지원인식 제고를 위한 복리후생제도 및 보수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조직공정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와 제언을 제시할 수 있는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사회복지조직에 있어 종사자의 성격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둘째, 개인의 성격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조직차원의 개입인 조직의 지원과 조직공정성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셋째, 각 성격특성의 하위차원과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공정성의 각 하위차원을 모두 투입함으로써 각각의 차원별로 개입이 가능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연구결과에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졌다는 의의가 있다.

      • 메타버스 플랫폼 가상 패션제품의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이 사용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성격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지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888

        COVID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사회문화적으로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소비문화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 플랫폼이 우리의 일상 속에 등장하면서 가상세계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하였다. 오프라인에서 겪었을 유사한 경험을 온라인에서도 이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현실과 가상세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메타버스 플랫폼은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급속히 발달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이목의 중심에 서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뚜렷한 경계 없이 연결된 가상의 공간으로 제페토(Zepeto), 로블록스(Roblox), 이프랜드(Ifrand), 게더타운(Gather Town), 동물의 숲(Animal Crossing) 등이 대표적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은 아바타에 자신의 자아를 투영함으로써 아바타를 통해 가상현실 세계인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하고 경험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들은 자신의 대리 자아인 아바타를 제작하고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거래되는 가상의 화폐로 가상 패션제품을 구입하여 아바타에 착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비 메커니즘을 파악하여 기업은 메타버스 플랫폼의 기능적 장점을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패션브랜드 구찌(Gucci)는 제페토에서 맵(Map)이라고 불리는 가상 월드 구찌 빌라(Gucci Villa)를 오픈하여 아바타가 착용할 수 있는 가상의 가방과 의상을 판매하였다. 또한 발렌시아가(Balenciaga)는 게임업체 포트나이트(Fortnite)와 협력하여 2021 F/W 컬렉션을 선보인 사례가 있다. 그리고 패션브랜드 자라(zara)는 가상세계 내, 외부에서 모두 착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첫 번째 메타 컬렉션인 라임 글램(Lime Glam)을 출시, 이를 통해 출시된 의류, 액세서리 등이 제페토 내에서 착용할 수 있으며 실제 매장에서도 구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메타버스에 진출한 패션브랜드 인기의 상승지표로, 처음부터 메타버스에 특화된 브랜드를 출시하는 기업도 생겨났는데, 대표적으로 메타버스 패션브랜드 ‘수프라(Ssupra)’이다. 수프라의 의상들은 현실 세계에서도 착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처럼 패션브랜드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브랜드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활동은 플랫폼을 사용하는 이들 중에서 잠재적 고객을 확보하고, 브랜드 이미지의 친밀도를 높여 가상 세계가 아닌 현실 세계에서도 해당 브랜드의 패션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발판을 마련해 나가기 위한 전략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패션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소비자의 관점을 중점으로 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패션 산업의 장래성에 관해 다룬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가상 패션제품의 사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구체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과 사용자의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와 아바타 동일시성,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 가상 패션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용자 특성의 성격유형(외향, 내향)이 메타버스 플랫폼 특성과 사용자의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아바타 동일시성 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에 영향을 미쳐 사용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 설정의 이론적 근거로 지각된 가치 이론(Sheth et al., 1991)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가상 패션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는 패션브랜드들에 효과적인 마케팅 성과를 제공하고, 소비자 측면에서 가상 패션제품의 실질적인 반응에 대한 이해를 도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진행되는 패션 산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평균 39.3세의 국내 남녀 소비자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가상 패션제품을 접해본 사용자로만 한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제시된 자극물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설문 응답자를 고려하여 설문지에 제시된 제페토 앱(App) 내 가상현실 세계 환경의 이미지를 통하여 연상하면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응답 자료 총 300부를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 중 실재감은 자기표현 가치를 제외한 즐거움,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성은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익명성 또한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요인인 실재감, 사회적 상호작용성, 익명성은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자의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요인인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는 사용자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또한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요인인 즐거움,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는 사용자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절변수로 설정한 사용자 특성의 성격유형(외향, 내향)은 실재감이 자기표현,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났으나, 즐거움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성이 즐거움, 시각적 권위,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영향을 나타났으나, 자기표현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익명성이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특성요인인 실재감, 사회적 상호작용성, 익명성이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높아진 관심이 대두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지각된 가치 이론(Sheth et al., 1991)을 적용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과 지각된 가상 패션제품의 가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 구매의도, 성격유형(외향, 내향)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사용자의 지각된 아바타 동일시성을 제외한 가상 패션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 인식은 모두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과 사용자의 성격유형이 가상 패션제품을 소비하는 데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 선행 설문조사를 통해 가상 패션제품을 현실에서의 실제 제품으로도 구매할 의향이 높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패션산업의 연구 범위를 메타버스 플랫폼까지 확장 시킴으로써 향후 연구에 이론적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가상 패션제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가상 패션제품에 대해 사용자가 지각하는 가치, 아바타 동일시성을 이해하고, 사용자 특성의 성격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메타버스 플랫폼에서의 패션브랜드 활동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COVID19 spread around the world, socio-cultural changes occurred, and accordingly, people's lifestyles and consumption culture also changed. In particular, as the metaverse platform, a virtual world, emerged in our daily lives, the paradigm for the virtual world changed. With the surge in demand from people who want to implement similar experiences offline online, metaverse platforms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real and virtual worlds are rapidly developing to allow for new experiences, which are at the center of global attention. The metaverse platform is a virtual space where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are connected without clear boundaries, and representative are Zepeto, Roblox, Ifland, Gather Town, and Animal Crossing. In the metaverse platform, users interact with and experience other users within the metaverse space, a virtual reality world, through avatars by projecting their own selves onto them. Furthermore, users can create their own surrogate self, avatar, purchase virtual fashion products with virtual currency trad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wear them. By grasping this consumption mechanism, companies are actively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for various marketing activities. Fashion brand Gucci opened a virtual world Gucci villa called Map in Geppetto to sell virtual bags and costumes that avatars can wear. Balenciaga also introduced the 2021 F/W collection in cooperation with game company Fortnite. In addition, fashion brand Zara launched the first meta-collection, Lime Glam, designed to be wor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virtual world, allowing clothes and accessories released to be worn within Geppetto and purchased in real stores. Meanwhile, as a rising indicator of the popularity of fashion brands entering Metabus, some companies have launched brands specialized in Metabus from the beginning, and the representative is Metabus fashion brand "Supra." Supra's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can be worn in the real world. As such, fashion brands' activities to expand the brand's scope on the metaverse platform are expected to secure potential customers among those who use the platform and increase the intimacy of the brand's image to provide a continuous foothold for the brand's fashion products in the real world, not in the virtual world. As such, the marketing activities of fashion companies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are increasing, but research on the future of the fashion industry on the metaverse platform is very insufficient, focusing on the consumer's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value and avatar identity of the user's perceived virtual fashion product,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actual virtual fashion product, the perceived value of the user's virtual fashion product, and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avatar identity. The perceived value theory (Sheth et al., 1991) was select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hypothesis setting the effect of these metaverse platforms on perceived virtual fashion products and on users' purchase intention. By conducting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ovide effective marketing results to fashion brands that are launching virtual fashion products on the metaverse platform through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ashion industry conducted on the metaverse platform.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empirically identify research problems. It was surveyed for male and female domestic consumers aged 39.3 on averag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to users who have encountered virtual fashion products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urvey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using the stimulant metaverse platform Zepeto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answered by recalling the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world environment in the Zepeto app (App)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300 copies of the collected respons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the sense of reality significantly affects pleasure,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excluding self-expression value.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easure,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It was confirmed that anonymity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leasure,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metaverse platform, such as presence, social interaction, and anonym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pleasure,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which are the value factors of the user's perceived virtual fashion produ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urchase intention, and the user's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urchase intention. The personality type of user characteristics (extroversion, introversion) set as the moderating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reality on self-expression,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pleasure valu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pleasure, visual authority, and economic valu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relationship on self-expression value. It was also confirmed that anonym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economic valu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platform characteristics factors such as presence, social interaction, and anonym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er's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At a time when the metaverse platform's increased interest in virtual fashion products began to emerge, this study applied the perceived value theory (Sheth et al., 1991) to investigate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platform, perceived avatar identity, purchase intention, and personality type (extroversion, introver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er's perception of virtual fashion products except for the perceived avatar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user's personality type, and was highly willing to purchase virtual fashion products in real life through previous survey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will b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by expanding the research scope of the fashion industry to the metaverse platform. In practical terms,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brand activities on the metaverse platform by understanding the value and avatar identification perceived by users on the metaverse platform and virtual fashion product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 개인 건강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가 산부인과 상담 진료 챗봇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챗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와 인지된 통제 및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Cao, Xinyu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888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각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의료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해결 및 환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인공지능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산부인과의 경우, 신체가 불편한 임산부 또는 사회적인 시선이 두려워서 산부인과를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여성들이 산부인과 진료 상담 챗봇 서비스를 통한 간단한 문의를 시간적 제한 없이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부인과를 이용하는 여성들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챗봇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지각된 유용성, 인지된 통제 및 개인 혁신성을 도입함으로써 연구 모형을 세웠고 각 경로 간의 계수 차이를 검증했다. 산부인과를 많이 방문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385건의 유효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산부인과 진료 상담 챗봇에 제공하는 개인 건강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가 챗봇 이용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개인 건강 프라이버시 염려가 챗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이용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검증됐다. 챗봇에 대한 인지된 통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이용 의도 간의 부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밝혔다. 반면에 인지된 통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지각된 유용성 간의 조절효과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개인 혁신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챗봇 이용 의도 간의 정(+)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산부인과 상담 진료 챗봇의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챗봇 도입 시 사용자의 특성인 개인 혁신성과 서비스 속성인 인지된 통제를 고려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y dint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recent years,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actively adopted in various fields. Similarly, the health communication experts are actively utilizing AI chatbot services to resolve the imbalance between medical supply and demand, as well as promote patient convenience.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regnant women who are unable to visit an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 in person due to physical discomfort or fear of social stigma can make simple inquiries by using obstetrics and gynecology consultation chatbot services at their convenience. This study utilized the private natur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by introduci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control, and personal innovativeness to determine the impacts of people’s privacy concerns on their chatbot usage intentions, verifying the difference in coefficients between each path. 385 valid data were obtain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female participants who frequently visited gynecology clinics in their 20s and 30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rivacy concerns about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vided to a gynecology consultation chatbot negatively influenced the their intentions to use the chatbot. The results also attested a mediating effect of people's personal health privacy concerns on their intentions to use the chatbo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control over the chatbot has mitigated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privacy concerns and their chatbit usage intentions. However, the moderation of perceived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useful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al innovativeness amplifi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chatbot usage intentions. The current study is academically purposeful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individuals' perceived usefulness on their intentions to use a chatbot for gynecological consul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adoption of AI chatbots by considering user characteristics,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ervice attributes such as perceived control.

      • AI 챗봇(vs.인간 프론트라인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브랜드 개성 및 브랜드 편익 간 지각된 적합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구개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874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의 맥락에서 브랜드 개성(흥미로운-애플 vs. 유능함-삼성), 서비스 제공자(인간vs. 챗봇)가 채택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공식 vs. 비공식), 브랜드 편익(쾌락적 vs. 실용적) 간의 소비자 지각된 적합도를 탐색하여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1은 흥미로운(vs.유능함) 브랜드 개성을 가진 브랜드의 경우, 특히 쾌락적(vs.실용적) 편익을 강조할 때 비공식적(vs.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채택한 AI챗봇이 지각된 적합도를 높이고 더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2는 인간과 챗봇 서비스 제공자의 영향 차이를 비교하면서, 연구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인간은 서비스제공자 역할을 할 때의 영향을 탐구한다. 그 결과 인간 프론트라인 직원의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채택에 대한 소비자는 더 높은 지각된 적합도를 가지며, 브랜드 태도를 더 높게 이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구 3은 AI챗봇과 인간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영향 차이를 밝히며, 근본적인 심리적 메커니즘을 탐색한다. 또한 인간 프론트라인 직원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메타 지각(metaperception)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가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채택한 인간 프론트라인 직원에 대해 더 높은 적합도와 더 높은 브랜드 태도를 나타나는 이유를 입증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와 상호작용을 최적화하고 브랜드 개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브랜드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AI Chatbots’ (vs. Human Frontline Employees) Communication Style, Brand Personality, and Brand Benefit on Brand Attitudes Kaimeng Qiu Major in Marketi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d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ived fit between consumers' brand personality (excitement-Apple vs. competence-Samsung), the communication style (formal vs. informal) adopted by service providers (human vs. chatbot), and brand benefit (hedonic vs. utilitarian)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assessing its impact on brand attitudes. Study 1 reveals that for brands with an exciting (vs. competent) brand personality, AI chatbots adopting an informal (vs. formal) communication style, especially when emphasizing hedonic (vs. utilitarian) benefits, result in higher perceived fit and a more favorable brand attitude. Study 2 delves into the impact differences when humans serve as providers under the same conditions, comparing the effects after interactions with human and chatbot service providers. Results indicate a preference for formal communication styles adopted by human frontline employees. Study 3 explores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s, revealing distinctions in attributions made by consumers for communication styles used by chatbots and human service providers. Additionally, informal communication styles from human frontline employees can trigger negative metaperceptions among consumers, confirming reasons for the preference for formal communication styles with human frontline employee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brands aiming to optimize customer interactions and emphasize their brand personality.

      • 男性職業軍人의 健康行態와 主觀的健康水準에 관한 硏究

        任勝智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74

        군인의 건강은 곧 국가의 전투력이다. 하지만 군인들은 질병과 부상에 노출되어 있지만 건강한 집단이라는 인식하에 관리되어지고 있지 않다. 이 연구는 군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구강 건강수준을 보고 건강행태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2018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남성 직업군인 688명과 일반인 남성 50,08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남성 직업군인은 일반인 남성보다 음주비율은 약간 높지만 흡연비율은 낮고 체중 조절 경험이 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성 직업군인은 일반인 남성보다 주관적 건강수준 좋음 비율이 높았으며 금연, BMI가 25.0 이하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주관적 건강수준 좋음 비율이 높았다. 주관적 구강 건강수준 역시 남성 직업군인이 일반인 남성보다 좋음 비율이 높았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금연 중일수록 주관적 건강수준 좋음 비율이 높았다. 이 연구에서 남성 직업군인의 흡연, 음주의 건강행태가 주관적 건강수준과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연관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health of soldier is combat power of the country. However, soldiers, who are sick and injured, are not managed in recognition of healthy group.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alyzing secondary data based on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This study targeted 688 male soldier and 50,086 general people. This study looks at the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nd to correlate with health behavior. As a result of analysis, male soldiers had a slightly higher drinking rate than general people, but had a lower smoking rate and had a better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Male soldiers had a higher proporti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than general peaple, smoking, BMI <25.0, and a higher proporti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than otherwise Regarding the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ratio of male soldier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people,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ratio of perceived health status during smok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smoking and drinking health behaviors of male soldiers were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oral health status

      • 특성복합체 구인과 학업성취 관련 모형에 대한 타당화 연구

        辛禮德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870

        In the long history of psychology, cognition, affection, and conation have been considered to be the determinant constructs for academic achievement. Since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 began to develop in the early 20th century, each construct of cognition, affection and conation has been studied independently, and most researchers have tended to restrict their attention to a specific class of psychological traits, such abilities, personality, or interests, separately. But the traits of abilities, personality, and interests are all assembled together in structuring a variety of important behavior and learning outcomes. For example, ability level and personality dispositions determine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a particular task domain, and interests determine the motivation to attempt the task. For the reason, it is needed to examine various kinds of psychological traits simultaneously or systematically to elucidate their collective role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trait complexes, each of which is represented by commonalities among ability, personality, and interest trait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it complexes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tests, personality scale, and interest scale were administered to 432 high school students, and self-report achievement ratings on 11 school subjects were obtained. Ability tests consisted of Gf and Gc intelligence. Personality scale consisted of five factors of FFM(five factor model)- 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interest scale consisted of six Holland vocational interest constructs- realistic, investigativ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and conventional.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including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factor analysis, canonical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ross-valid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ive types of trait complexes were identified from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among ability, personality, and interest trait families. They were as follows: (a)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which consists of Gf abilities and investigative interest, (b)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which consists of Gc abilities, investigative interest, enterprising interest, and openness personality, (c) Artistic trait complex which consists of enterprising interest, artistic interest, openness personality and extraversion personality, (d) Social trait complex which consists of social interest and agreeableness personality, (e) Clerical/Conventional trait complex which consists of perceptual speed ability, conventional interest, and conscientiousness personality. Results of various analys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canonical analysis also confirmed these five trait complexes. Secondly,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it complexes and the perceived school subject achievement factors- Natural sciences, Humanities/Social sciences, and Arts/Physical education. On the basis of content similarity, the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the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and the Artistic trait complex were related to Natural sciences, Humanities/Social sciences, and Arts/Physical education achievement factor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external validity of the trait complexes. In addition,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ignificant increment in the proportion of variance of all three perceived school subject achievement factors explained due to variables of related trait complex after general intelligence(g or Gf) had already been taken into account, indicating predictive validity of the trait complexes. Thirdl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mo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ive trait complexes and the three perceived school subject achievement factors.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Natural sciences achievement factor. The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path to Humanities/Social sciences achievement factor and also a negative and significant path to Arts/Physical education achievement factor. The Artistic trait complex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path to Arts/Physical education achievement factor. The empirical data supported the conceptual model of this study. The overall fit measures of such as x²/df, TLI, CFI, RMSEA were all acceptable. In addition, generalizability of this model was confirmed through cross-validation testing which showed that this model was fitted adequately in a cross-validation sample. In conclusion, a much richer picture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n be drawn when integration of historically differentiated fields of ability, personality, and interest are brought into focus for research and practice. Trait complexes which are combinations of ability, personality, and interest traits, may predict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al outcomes in comparison with isolated traits, but they may provide a more explanatory power for learning phenomena than isolated traits. For educational practice, the trait complexes identified from cross-domain research in this stud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ir major and career on behalf of students and selection, counseling, and instructional treatment on behalf of teachers. 오랜 심리학 역사를 통해, 인지와 정서와 의지는 학업 성취를 결정하는 중요한 구인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 개인차 심리학이 발달하면서 인지, 정서, 의지의 개인차 구인들은 특수한 속성 유형으로 분화되어 독립적으로 연구되어졌으며, 지금까지도 인간의 능력, 성격, 흥미의 심리적 특성들은 통합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채 단편적이고 부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다양한 상황에서 과제를 학습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능력, 성격, 흥미 특성들은 함께 조합하여 작용한다. 예를 들어, 능력과 성격 특성은 특정한 과제 영역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결정하고, 흥미 특성은 과제를 시도하기 위한 동기 수준을 결정한다. 따라서 학업 성취를 설명하고 예언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심리적 특성들의 집합적인 역할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들을 동시적으로 또는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능력, 성격, 흥미 특성들의 공통성으로 이루어진 특성복합체의 유형을 탐색하고, 특성복합체와 지각된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능력, 성격, 흥미 검사와 함께, 11개 교과성취에 대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능력 검사는 Gf와 Gc 능력 모두를 포함하였으며, 성격 척도는 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5요인 성격으로, 흥미 척도는 현실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진취형, 관습형의 Holland식 6가지 직업흥미 구인으로 구성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의 두 고등학교에서 총 432명의 1학년 학생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 분석, 요인분석, 정준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교차타당화 분석 등이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 성격, 흥미 특성들간의 단순상관으로부터 5가지 유형의 특성복합체가 다음과 같이 발견되었다. (a) Gf 능력과 탐구형 흥미로 이루어진 과학/수학 특성복합체, (b) Gc 능력과 탐구형, 진취형 흥미, 개방성 성격으로 이루어진 이지적/교양적 특성복합체, (c) 진취형, 예술형 흥미와 개방성, 외향성 성격으로 이루어진 예술적 특성복합체, (d) 사회형 흥미와 친화성 성격으로 이루어진 사회적 특성복합체, (e) 지각속도 능력과 관습형 흥미, 성실성 성격으로 이루어진 사무적/관습적 특성복합체가 그것이다. 요인분석과 정준상관 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이상의 단순상관에서 추출한 5가지 특성복합체와 부합되는 구성체를 발견할 수 있었으므로, 특성복합체의 구인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외국의 대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4가지 특성복합체가 발견되었으므로, 특성복합체는 동일하게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다기보다는 문화적 상황에 따라 또는 학습자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 특수적 구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둘째, 단순상관 분석을 통해 특성복합체와 지각된 교과성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과학/수학 특성복합체는 자연과학 교과성취와, 이지적/교양적 특성복합체는 인문사회 교과성취와, 예술적 특성복합체는 예체능 교과성취와 가장 높게 관련되었다. 예상한 바대로 특성복합체는 내용면에서 유사한 교과성취와 관련되었으며, 이것은 특성복합체의 외적 타당도를 나타낸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모든 교과성취에서 Gf로 설명하는 성취변량을 구한 후에 각 교과성취와 관련된 특성복합체가 추가로 설명할 수 있는 성취변량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특성복합체로 학업성취를 설명하면 과거의 일반지능 하나로 설명하였던 것보다 더 많은 학업성취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특성복합체의 예언 타당도를 나타낸다. 셋째, 5가지 특성복합체와 3가지 지각된 교과성취 간의 인과관계를 탐구하기 위해서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Amos 분석 결과, 과학/수학 특성복합체는 자연과학 교과성취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지적/교양적 특성복합체는 인문사회 교과성취에 정적인 유의한 경로를 가지며, 반면에 예체능 교과성취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경로를 가졌다. 예술적 특성복합체는 예체능 교과성취에 정적인 유의한 경로를 가졌다. 이로써 특정한 교과 영역마다 성공으로 이끄는 특성복합체가 다르게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특성복합체의 영역 특수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모형은 다양한 적합도 지수에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모형이 실제 데이터와 잘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차타당도 표집에서도 이 모형은 전반적 적합도 지수가 양호하였으므로, 교차타당도 분석을 통해 본 연구모형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합하면, 역사적으로 독립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져 온 능력, 성격, 흥미 영역이 적성 개념의 재정립을 위한 연구와 교육 실제를 위해서 통합될 때, 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해 더욱 풍부한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즉 능력, 성격, 흥미 특성들의 조합인 특성복합체는 고립된 특성이 예언하는 것과 다른 수준의 교육 결과를 예언할 수 있는데, 이것은 고립된 특성으로 학습 현상에 대해 설명하는 것보다 특성복합체로 설명할 때 더욱 실제적인 학습 현상을 정교하고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특성복합체라는 새로운 구인은 다양한 교과성취에 관련된 지능, 성격, 흥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 편에서는 전공과 진로의 방향과 노력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서, 또한 교사 편에서는 학생 선발과 배치, 상담, 교수 처치 등의 교육 실제에서 교육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