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의 철학적 배경과 老子철학의 상관관계 연구

        최인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2

        본 고는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의 철학적 배경을 살피고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에코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재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도덕경의 내용을 크게 넷으로 분류하여 탈(脫)중심의 원리, 여성적 원리, 자연적 원리, 평화적 원리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것이 에코페미니즘에서 말하는 원리와 일치함을 주장한다. 현대 페미니즘 담론의 하나인 에코페미니즘의 사상적 원류를 고대 동양의 사유에서 찾아 그 당위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근대 이후 야기된 총체적인 문제들이 근본적으로 근대 서양철학 안에 있음을 인식하고 그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페러다임의 설정 가능성을 에코페미니즘에서 찾고자 하는데 동의한다. 데카르트(Descartes) 이후 근대 세계는 인간과 자연, 여성과 남성, 서구와 비서구 등의 이분법적 인식 체계의 틀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분리와 대립은 지구 위에 인류 문명에 엄청난 인식론적·윤리적 위기를 불러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커다란 오류를 일으키게 되었다. 인간의 주체성은 스스로 절대화되었고 신(神)과 자연, 그리고 상호 주관적인 세계는 평가절하 되었다. 여기서 가장 극단적인 것은 타자(他者)의 자아를 배제시켜 버렸다는 점이다. 이때부터 자연은 도구적 존재로 사유의 존재와 대립하게 되었다. 서양 철학의 형이상학에서는 정신과 육체 그리고 문명과 자연을 분리·대립시켜 왔다. 이러한 철학적 전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항대립의 체계에 대하여 데리다(Derrida)는 그 대립이 평화적인 공존이 아니라 두 항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가치론적인 혹은 논리적인 방식 등으로 지배하여 더 우위를 점하는 관계에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68혁명"이후 다원주의적 의미를 폭발시킨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도는 근대의 가부장제적인 획일적 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들어 여성성(女性性)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새로운 페미니즘 담론이 무성하다. 기존의 급진적 페미니즘,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여성의 성적 차이를 부인하고 결혼, 가족 등 전통적인 가치를 부인하고 있는 것과는 크게 다른 양상이다.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이란 용어는 생태학(Ecology)과 페미니즘(Feminism)의 합성어로 생태론이 인간중심주의에 물음을 제기한 것이라면 페미니즘은 남성중심주의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생태학 중에서도 심층 생태학과 급진적-문화적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에코페미니즘은 심층생태학에서 말하는 원자론, 위계주의, 이원론에 페미니즘적인 시각을 갖고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의 억압과 생태계의 위기를 다같이 가부장적 남성문화의 산물로 보고, 지금까지 서구 근대가 무시했던 부분을 생태·여성적 시각으로 다시 보는 것이다. 그래서 획일화되고 비생명화 되어 가는 사회 구조에 다양성과 관계성 그리고 생명성을 불어넣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연과 여성은 "에코페미니즘"이라는 전략적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동 전선의 장을 구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 문명의 현 단계에서 생태학과 페미니즘의 협업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 에코페미니즘을 통하여 서구 근대의 진보신화와 발전 이데올로기로 인해 소외되어 왔던 주변부의 주체들이 타자화 되지 않으며 더불어 함께 상생(相生)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인지를 도덕경(道德經)을 통해 알아본다. 노자(老子)의 철학 체계 안에서 有와 無는 존재적으로 선후나 차등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층차에서 공존한다. 이것은 노자가 자연을 대상으로 사고한 결과 도출해 낸 노자 철학의 핵심 구조이다. 이 세계는 하나의 세계관, 하나의 중심주의로 획일화 될 수 없다. 드러나는 세계인 有와 가려진 세계, 좀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가능성의 세계인 無가 상대적 관계 속에서 서로의 가치를 인정하며 조화롭게 운행될 때 진정한 道가 실현되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의 여러 갈래들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자 철학과의 일치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덕경(道德經)에 비해 에코페미니즘에 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체계적으로 상관 관계를 밝히는데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크게 보아 상대적 관계성을 인정하고 자연과 여성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는 데에는 일치한다. 필자는 에코페미니즘과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을 통하여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상생(相生)의 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ecofeminism and thus reconstructing philosophy of Lao-tse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feminism. I will classify the contents of Lao-tse philosophy into four major principles (deviation from the center, feminism, naturalism, and peacefulness) which, I will also argue, ar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ecofeminism. In other words, I will back up and justify the philosophical essence or root of ecofeminism, one of the modern discussions of feminism, by showing that ecofeminism is based on the Oriental Philosophy. I also agree that almost every problem and trouble has thus far been brought about within the area, and the standpoint of the Western Philosophy, and t! hat we need to seek to establish new paradigm on the basis of ecofeminism. Since the time of Descartes, Human beings in the modern world have come to have a tendency to think of things in two parts: human and nature, male and female, the West and the Non-West, and so forth. This trend of thought has caused lots of great crises in both ethics and thought process of mankind, and then troubled the world. The subjectivity of human has been fortified and considered as absolute one; not only the Creator and nature but also things mutually subjective have been depreciated. One of the most extreme fallacies here is that mankind has excluded self of the other. From that time on, nature as an instrumental being is confronted with mankind as a thinking being. In the Western metaphysical philosophy, spirit and ! body as well as civilization and nature have been separated from, and confronted with each other. As Derrida once pointed out, in the status where two things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the confrontation is by no means the peaceful coexistence but the dominance over other thing with lower value and logic. Since "68 Revolution", the appearance of postmodernnism advocating pluralism has made great changes in the existing standardized social structure based on modern patriarchal system. Nowadays, there are lots of active discussions as regards the new feminism that all sorts of problems are to be treated upon the basis of feminism. The new feminism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adical feminism and socialistic feminism, both of which negate not merely the sexual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but also such traditional values as marriage, family and what not. The term "Ecofeminism" is the compound word of Ecology and Feminism. As you are aware, ecology is to the doubt about the human-oriented trend what feminism is to the doubt about the man-oriented tendency. Ecofeminism has come into being on the basis of deep-structured ecology and radical-cultural feminism. Ecofeminism takes a feministic view of atomic theory, rank, and dualism in deep-structured ecology and takes a dim view of patrilineal society. Ecofeminism looks upon both suppression of women and crisis of ecosystem as the results of the man-oriented patrilineal society and takes a ecological and feministic view of what was looked down on by the modern Western society. We can say that ecofeminism is for putting! variety, relation, and animation into the uniform and non-living structure of the modern society. In ecofeminism, nature and female are able to connect strategically with each other, and present a united front. Moreover, we will treat the influence and effect ecology and feminism have on the present stage of human civilization, and using Lao-tse philosophy we will also seek for the ways for the peripheral beings, which have so far been neglect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ideology for growth of the Western society, to coexist. Within the system of Lao-tse philosophy, existence and nonexistence exist neither priorly nor posteriorly but coexist in the same stage. This idea is the core of Lao-tse philosophy as a result of his speculation about nature. This world cannot be uniformed using just one view of the world or just one key ideology. Truth will be fulfilled when existence, the visible world goes hand in hand with nonexistence, the invisible world, more precisely speaking, the world of possibility. On account of the various voice of ecofeminism, it is true that we find difficulty in matching ecofeminism with Lao-tse philosophy. And it is because the study of ecofeminism lacks at the present time contrary to that of Lao-tse philosophy. Consequently, we have difficulty in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cofeminism and Lao-tse philosophy. On the whole, however, they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admit things correlative and newly appreciate nature and female. In this study, using ecofeminism and Lao-tse philosophy I have sought for ways for human beings to coexist.

      • 윌버의 통합사상과 생태여성주의의 비교 연구

        박선화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922

        본 논문은 생태여성주의와 켄 윌버 통합사상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상호 발전적인 방향으로서의 새로운 생태여성주의를 제안하고 있는 글이다. 생태여성주의는 기존 여성주의가 지닌 인간중심성에서 지구중심성으로 그 인식을 확장시킨 여성주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여성주의에 대한 윌버의 입장은 몇 가지 비판적인점을 언급한다. 윌버에 따르면, 생태여성주의 진영에는 자연으로의 회귀라는 생태낭만주의 시각이 있다는 점과 자연의 계층구조와 병리적 계층구조를 구분하지 못하고 모든 위계적 계층구조를 거부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전체를 조망하는 통합적 안목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도 덧붙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은 앞으로의 생태여성주의가 보완해야 할 점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반면에 생태여성주의 입장에서 볼 때 윌버의 통합사상에 대해서도 비판할만한 점이 있다. 윌버의 통합사상은 정치적 사회적 차원의 가부장적인 지배체제 문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적인 고민을 찾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윌버의 사상이 ‘모든 상한과 모든 수준’을 아우르는 통합체계를 지향하면서도 그러한 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추상적이며, 일말의 한계를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태여성주의가 윌버의 통합사상으로부터는 통합적 비전에 대한 전망과 안목을 이어받으면서 부족한 점들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윌버의 통합사상은 정치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힘의 역학관계와 지배체제 문제를 좀 더 구체적인 분석으로서 다룰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러한 상호 발전적인 고찰을 통해서 생태여성주의 진영의 쇄신과 윌버 통합사상에 대한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thesis suggests that comparative study of new ecofeminism and Ken Wilber's Integral Psychology provides a superior perspective than ecofeminism does alone. Ecofeminism is the expanded perception of human-centric feminism to Earth-centric feminism. However, about this ecofeminism, Ken Wilber's side makes a few critical points. According to Ken Wilber, there is a romanticized ecological point of view that turns to nature in ecofeminism. Ecofeminism's perspective refuses all hierarchical class structures, not differentiating between natural hierarchical structure and pathological hierarchical structure. Additionally, ecofeminism does not have the capacity to synthetically discern the whole. Thus, ecofeminism must act as a complement to other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is critical point of Ken Wilber's central idea with regard to ecofeminism. In this Wilber's integral-thought, it hard to find alternative struggling and detailed analysi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apitalism and the political dimension of the patriarchal ruling system problems. Wilber's thought oriented integration that encompasses 'All-Quadrants-All-Levels'. But Wilber's thought still is abstract, and it seems to limit the slightest in such a problems. Thus, ecofeminism’s lack overcome through Wilber's thought, and it is necessary to assume the perspective of integral vision. Likewise, Wilber's integral-thought concretely have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dynamic relations of power and domination system issues in the political-social dimension. Through these mutual developmental consideration, this paper attempted to mention the supplements for the innovation of ecofeminism and integral psychology.

      • Ecofeminism in Elizabeth Gaskell’s North and South

        자오청청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863

        In this thesis, I will spend effort on analyzing the aspect of conflicts in North and South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By focusing on the ideal of anti-anthropocentrism and anti-androcentrism to weaken the power of man and forms a protest against partriarchal system. In North and South, it will be possible to see the conflicts between natural and man and also between women and patriarchal system. By the end of the story achieves the coherence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city. It conveys the huge significance to follow ecofeminism and also expresses Gaskell’s ideal world. In the meantime, it shows us a way which is not separate women and nature to reconstruct a harmonious society.

      • Women and Nature: An Interpretation of Han Kang’s The Vegetarian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CAI XIAON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859

        한강은한국의유명한작가,소설가,비평가이다.그녀는인간본성의고 통스럽고어두운면을묘사하기위해섬세한필치와다양한서술적각도를 사용하는데능숙하다.그녀의소설은단순한성별에대한논의를넘어인간 의운명과자연적운명에대한배려의차원과에코페미니즘의결합의극치 를지니고있다. 본연구에서한강은의도적으로사람들의내면적평화이후의삶을묘사 하지않고,구원을받기전인물들의우울함과고통스런경험에초점을맞추 고있다.이처럼외부로부터끈질기게누적된악의와해악은작은것에서구 원의길을찾는경우가많다.그것들은종종시와선사상을담고있다. Han Kang is a famous writer, novelist and critic in South Korea. She is good at using delicate strokes and diversified narrative angles to describe the painful and dark side of human nature. Her novels have gone beyond the simple discussion of gender, and have the dimension of caring for human destiny and natural destiny, and the height of the combination of ecofeminism. In this thesis, Han Kang does not deliberately describe the life after people’s inner peace, but focuses on the depression and painful experience of the characters before redemption. These persistent accumulated malice and harm from the outside world often find the way of redemption in small things. They often contain poetry and Zen thinking.

      •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여성서사 분석

        이혜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841

        해외와의 교류가 잦아지고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한 오늘날의 현대 사회에서 애니메이션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재미와 감동을 주는 오락 콘텐츠에서 벗어나 하나의 문화산업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스튜디오 지브리는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로 일본의 애니메이션계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지브리는 오랜 기간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제의식을 담아 작품을 탄생시켜왔으며, 그러한 지브리 애니메이션은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지브리가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면서 표현하려 했던 주제의식을 파악하고, 그것을 작품에서 드러내기 위해 어떠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였는지를 분석했다. 특히, 지브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중 하나인 ‘여성’ 주인공의 특징을 통해, 어떻게 여성 캐릭터를 그려내고 여성서사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지브리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가장 여성서사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모노노케 히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네 편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작품의 서사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여성서사에 집중하여 분석했다. 서사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시모어 채트먼의 체계를 채택하였으며, 여성서사에 집중하여 페미니즘 이론의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여성 캐릭터는 기존의 정형화된 여성 캐릭터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먼저,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와 <모노노케 히메>는 주인공의 성격이 투사적이며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바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지브리는 두 작품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경고와 협조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지배의 위치에 있는 남성보다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였으며, 작품의 전반에서 자연의 소중함에 대한 묘사를 보여주고 있다. 자연과 공동체가 어우러져 살아가는 모습은 에코페미니즘에서 지향하는 ‘에코토피아’의 형태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의 주인공들은 작품 속에 등장하는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해나가며, 그러한 과정 속에서 여성이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자아를 형성해가는 모습은 페미니즘에서 지향하는 여성의 모습과 닮아있다. 지브리는 오래도록 여성서사를 그려내며 대중에게 감동을 전달함과 동시에, 사회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가능성에 대해 제시했다. 뚜렷한 주제의식을 지닌 지브리 애니메이션은 대중에게 오랜 여운을 남기며 지금까지도 화두에 오르고 있다. 이렇듯 작품은 저마다의 의미와 가치를 지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제작될 여성캐릭터 발굴 및 형상화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In today's modern society, where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are frequen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anim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It is regarded as a cultural industry beyond simply entertaining and moving entertainment content. In this society, Studio Ghibli is leading the Japanese animation industry as a world-class animation production company. Ghibli has been creating works with a sense of themes that are important to them for a long time, and Ghibli's animations are still loved by many people. This study identified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at Ghibli was trying to express while producing animation, and analyzed what expression methods were used to reveal it in the works. In particular, I tried to study how to draw a female character and form a female narrativ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protagonist,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s ​​of Ghibli. Among Ghibli's animations, four works, <Nausicaa of the Valley of the Wind>, <Hime Mononoke>, <The Away of Sen and Chihiro>, and <Howl's Moving Castle>, which have the most female narrative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narrative structure of each work was identified and analyzed by focusing on women's narratives. Seymour Chatman's system was adopted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theory focusing on women's narratives are as follows. The female characters of Ghibli animation a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tereotyped female characters. First of all, <Nausicaa of the Valley of the Wind> and <Hime Mononoke> have in common in that the main characters have a projective personality and wish for the unity of nature and humans. Through these two works, Ghibli delivered a message of warning and cooperation on environmental issues.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the message, a woman rather than a man in a position of domination is set as the main character, and the overall work depicts the preciousness of nature. Living in harmony with nature and community shows a form close to the ‘ecotopia’ pursued by ecofeminism. Also, the protagonists in <Sen and Chihiro's Away> and <Howl's Moving Castle> take the lead in solving the problems that appear in the work, and in the process, the way women realize their identity and form their own self is seen in feminism. It resembles the image of a woman who aims. Ghibli has conveyed emotion to the public by drawing female narratives for a long time, while presenting various perspectives and possibilities for social issues. Ghibli's animation with a clear theme has left a long lasting impression on the public and is still a hot topic. As such, each work needs to have its own meaning and valu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discover and shape female characters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 에코페미니즘에 의한 장신구 표현 연구

        신유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636

        오늘날 우리의 삶은 과학과 기술의 가속적 발전을 통해 놀랄만한 물질문명, 사회 구조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그와 함께 대두되는 환경파괴의 문제는 인류를 심각한 고민 속에 빠뜨리고 있다. 눈부신 물질문명의 발전 속에서 영원히 지속될 것만 같았던 인류의 미래는 지구 온난화, 자원고갈, 오존층 파괴, 산성비, 토양침식, 수질오염 등의 환경 위기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자원수급 불안은 더 많은 자원과 물질적 풍요를 얻기 위해 약자에 대한 억압과 착취로 이어져 인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20세기 말에 등장한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은 시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론적인 정립이 미비하여 아직은 하나의 경향으로서 존재하지만, 자연에 속한 인간의 본질을 회복하자는 개념이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을 떠나서는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의 평화적 공존에서 의미를 찾는다. 나는 남성과 여성, 인간과 자연이 원래 하나라고 생각하고 어울림과 균형을 통해 생명의 존엄성과 소중함을 인식하고 자연의 아름다움과 순수함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에코페미니즘의 기본 개념에 따라 이 연구 작업은 환경파괴에 대한 위기의 인식을 통해 자연과의 동화를 추구하며 표현하는 것이다. 장신구 제작에는 실버클레이(silverclay)를 주재료로 사용하였고 각인기법, 중공기법을 활용하여 제작의 효율성을 높였다. 제작을 위한 연구 내용은 크게 2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에코페미니즘의 발생 배경 및 개념을 고찰하고 제작의 동기가 되는 에코페미니즘 표현물의 상징적 특징을 알아본다. 둘째 자연의 위기가 인간의 위기임을 깨닫고 환경파괴와 자연 이미지를 상징함으로써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데 그 목적을 둔다. 현대의 위기를 겪고 있는 우리에게 자연의 중요성과 공존의 의미를 되새겨 봄으로써 좀 더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에코페미니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자연의 위기와 자연과의 동화를 표현하였으며 그 과정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 사회가 더불어 살기에 좋은 방식을 제안할 수 있는 참다운 공예인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Today's modern society has accomplished amazing substances and social structural development through accelerativ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 problems caused by this development, have landed people in serious troubles.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future, which seemed to be continued for good in remarkabl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been threatened by environmental crisis such as destruction of ozone layer, acid rain, global warming, depleting resources, soil erosion and water pollution. In addition, since worries about demand and supply of resources have led suppressing and exploiting the weak, in order to obtain the more resources and the material prosperity, human being isn't being able to get through a serious crisis. Ecofeminism which appeared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exists still as a tendency since the theoretical thesis is not timely made out properly, but it is a conception which insists to retrieve the nature of human beings who belong to the nature. Since human beings are a part of the nature, and they cannot survive away from the nature, the true meaning can be found in the peaceful coexistence i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 as a researcher of this study, would like to realize the values of dignity and preciousness of the life, and beauty and purity of the nature through the balance and the harmony, considering that a man and a woman, and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s are originally the one. According to these fundamental conceptions of Ecofeminism, the motif of this study is to express and pursuing assimilation with the nature through the recognition about the crisi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content of this study for work production can be largely summarized by two as follow. First, we consider the background and the conception of Ecofeminism, and learn about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Ecofeminism representation which becomes the motif of the production of a work. Second, we are aware of the nature crisis as the crisis of human beings, and have objectives to strive for the harmony of the nature and the human beings, and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nature through producing the accessories which symbolize the image of the nature a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We try to find a way to live more human life through thinking over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for us who have gone through the modern crisi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bout Ecofeminism, we produced the accessory which symbols the nature image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 expect the roles of true artisans who are able to suggest the good way for human beings with the nature and the society, all together through the procedures.

      • Contextualizing Taiwanese pentecostalism : toward a ch'i (氣) pneumato-ecofeminism at Taipei full gospel church

        Wei, Ching-wen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 2022 국내석사

        RANK : 2618

        This study fashions a contextual pneumatology for Taipei Full Gospel Church (hereafter, TFGC) by correlating Taiwanese Pentecostal pneumatology and Taiwanese cosmological Ch’i (氣) from pneumato-ecofeminist perspective. It argues that many scholars who worked on contextualization of Taiwanese Pentecostalism have neglected to make a correlation between Pentecostal pneumatology and the Ch’i (氣), embedded in religio-cultural traditions of Confucianism. The Confucianist principle of Ch’i (氣) reflects a holistic cosmology in which between heaven, human, and earth/nature are in harmony, in other words, a worldview of Heaven-creation-humanity-harmony (天人合一).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such anthropocosmic worldview, encompassing the spiritual and physical realms, shows promise to contextualize a Ch’i (氣) pneumatology at TFGC for the promotion of ecological and gender wholeness. The study utilizes mainly Rosemary Radford Ruether’s ecofeminism and Elizabeth A. Johnson’s ecofeminist pneumatology accompanied by Jürgen Moltmann’s pneumatology, Amos Yong’s dialogical Spirit, and Stephen B. Bevans’ “synthetic model” to analyze how the Ch’i (氣) of Taiwanese cosmology and TFGC’s pneumatology, which is influenced by Korean Pentecostal preacher, Cho Yonggi’s The Fourth Dimension. This study argued that TFGC’s pneumatology has failed to overcome the dualistic worldview of reality inherited from Western Christianity that has reinforced eco-crisis and gender inequalities. The study concluded that TFGC should thus, search for correlating the Ch’i (氣) with the Holy Spirit insofar as to foster a Ch’i (氣) pneumato-ecofeminism to tackle the issue of ecology and gender injustice within Taiwanese context. 본 논문은 타이페이 순복음교회 (이후 TFGC로 표기)의 성령론을 이해하고자 대만 오순절주의 성령론과 대만인들의‘기(氣)’우주론을 영적-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대만 오순절주의를 연구한 학자들은 많았지만 오순절 성령론과 유교주의 종교적 문화전통에 녹아 있는‘기(氣)’사상의 연관성은 다루어 지지 않았다. 유교주의‘기(氣)’사상은 하늘, 인간, 땅(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범우주론을 보여주고 이는‘하늘-창조-인류-조화의 세계관’으로도 불린다. 이 논문의 주된 목표는 이러한 우주-인간론적 세계관을 통해 영적, 물리적 영역을 아우르는‘기(氣)’영성론을 TFGC에 적용하여 남녀 양성간 조화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도모하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로즈마리 래드포드 루터의 생태여성주의, 엘리자베스 A. 존슨의 생태여성주의 영성론을 참고하고 위르겐 몰트만의 성령론과 아모스 용의 언어적 성령, 그리고 스티븐 B. 베반스의“융합모델”을 인용하여 대만‘기(氣)’우주론과 한국 오순절 설교가 조용기의‘4차원의 영성’에 영향을 받은 TFGC 성령론을 살펴보겠다. 본 연구에서 TFGC의 성령론은 자연파괴와 성차별을 부추긴 서양 기독교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이원론적 세계관을 유지하고 있음을 밝히며, 결국 TFGC는 성령과‘기(氣)’의 세계관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여‘기(氣)’영성-생태여성주의를 받아들임으로써 대만사회에 내재된 생태계 문제와 성차별 문제들을 방지하는 일에 동조해야 함을 요구하고 있다.

      • Woman and Nature : An Ecofeminist Reading of Wuthering Heights

        WU WENWE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604

        Women and nature are the themes of ecofeminism and also the two points of ecofeminism literary criticism. Therefore, the thesis intends to study the women and nature themes in Wuthering Heights and find related aspects in developing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ature, by using ecofeminist approaches. The harmony is achieved accordingly when women and men respect the differences of each other. Ecofeminists think that nature does not exist in opposition to humans, but rather exists as an organic element of the entire universe. And it is not anthropocentric in such a relationship, but rather a healthy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as well as a community of mutual respect and coexistence. Catherine and Heathcliff finally found peace and self-recovery in nature. This is the picture of peace that Heathcliff and Catherine found in nature, which makes us understand that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as well as human being and nature can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