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key of pocket dissection in transaxillary dual-plane breast augmentation : how to control inferior malposition of smooth implants : 매끄러운 보형물의 아래쪽 이동을 줄이는 방법

        오요한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70

        목적: 유방확대술 후 보형물의 아래쪽 이동은 재수술의 두번째로 흔한 이유다. 본 논문에서는 깊은 가슴근막 표층의 연속성을 보존하여 보형물의 아래쪽 이동을 방 지하기 위해, 겨드랑이를 통한 유방 확대술시 이중 평면 보형물방의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실시한 겨드랑이를 통한 내시경적 유방 확대술을 시행받은 환자에 대해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수술은 내시경 하에 박리 를 진행하였으며, 대흉근의 기시점 분리 동안, 깊은 가슴근막의 표층을 보존하였고, 보형물방을 만든 뒤 실리콘 젤 보형물을 삽입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한 자료 는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총 251명의 환자가 수술을 받았고,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0.6개월이었다. 합병증 발생 건수는 총 28건(11.2%)이었으며, 재수술이 2건이었다. 총 3명 (1.2%)의 보형물 위치 이상 환자 중에서 1명(0.4%)이 가벼운 양측 바닥판 기형 을 보였다. 결론: 겨드랑이를 통한 유방 확대술시 내시경을 통한 정밀한 보형물방 박리를 통하 여 깊은 가슴근막의 표층 파괴를 방지함으로, 유방밑선에서 온전한 연속성을 가진 근막 시스템을 만들어 보형물의 아래쪽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Background: Inferior implant malposition after breast augmentation is the second most common reason for revision oper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new concept of dual-plane pocket formation in transaxillary breast augmentation to prevent inferior implant malposition by preserving the continuity of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deep pectoralis fascia.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ransaxillary endoscopic breast augmentation performed from January of 2017 to December of 201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ith the aid of the endoscope, dissection proceeded. During pectoralis muscle origin detachment, the superficial layer of deep pectoralis fascia was preserved. After making pocket, silicone gel implants were inserted.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done to collect data o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A total of 251 patients were performed and the mean follow-up time was 20.6 months. In a total of 28 cases of complications (11.2%), there were 2 cases of reoperations. In a total of three patients (1.2%) of implant malposition, one patient (0.4%) developed mild bilateral bottoming-out deformity. Conclusions: Meticulous dissection by endoscopy could avoid destruction of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deep pectoralis fascia during pocket dissection and produce an intact fascial system with its own continuity at the IMF. A wellcontrolled envelope over the implant and supporting structure underneath it are important in breast augmentation to prevent inferior implant malposition.

      •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재건술에 사용된 무세포진피기질의 장기적 초음파영상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

        이준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55

        Background: Acellular dermal matrix (ADM) is composed of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is widely used in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s. However, long-term changes in the ADM around implants have no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ong-term changes in the ADM covering breast implants using serial ultrasound (US) and histologic evaluations. Methods: We evaluated the US results of 137 patients who underwent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s with ADM coverings. The US results obtained within 18 months of surgery and those obtained 5 years postoperativel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ADM thickness. For histologic analysis, the ADM was harvested from 30 patients who underwent secondary breast surgery. Histologic features of the ECM and cellular components within the ADM were compared at specific intervals from ADM implant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early ADM group: <18 months, late ADM group: >5 yea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DM thickness on US examin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ate ADM (0.73 ± 0.75 mm) compared with that in the early ADM (1.31 ± 0.52 mm, p < 0.001). Histologic analyses revealed 37 that the late ADM group had less thickness with lower ECM levels than the early ADM group. Increased infiltration of host cells such as vascular endothelial cells, myofibroblasts, and immune cells occurred in the late ADM. Conclusions: Implanted ADMs underwent gradual thinning over time, in addition to ECM reduction and infiltration of host cells. These findings ar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natural course of ADMs currently used in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s.

      • 실리콘 보형물 삽입 후 인조진피를 이용한 피막 구축의 예방 효과

        조정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55

        미용에 대한 높은 관심과 더불어,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 성형술은 대중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수술이다. 그러나 피막 구축으로 인한 보형물의 위치 이상과 변형의 발생으로 실망스러운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유방 보형물의 변형된 형태와 딱딱해진 촉감으로 인하여 환자에게 불편감을 초래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막 구축 형성을 예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써 인조진피를 이용한 수술 방법이 임상적, 조직학적으로 어떠한 예방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0 마리의 New Zealand rabbit을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양쪽 등배근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임상에서 사용하는 dual plane 방법을 모방하여 보형물의 뒤쪽 표면(백서의 꼬리쪽)은 근육으로 덮고, 보형물의 앞쪽 표면(백서의 머리쪽)은 실험군의 경우 인조진피로, 대조군의 경우 지방덩이로 덮어주었다. 10주 후 보형물 압력을 측정하고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피막 구축에 의해 발생하는 보형물에 대한 압력은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하여 더 높았다(p=0.0059). 조직 검사 소견상 인조진피 하 공간에는 지방덩이 하 공간에 비해 피막이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p=0.0020). 실험군의 근육 하 공간은 대조군에 비해 피막 두께가 얇고(p=0.0039), myofibroblast의 활성 정도도 낮았다(p=0.0089). 보형물 심부 하 조직은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피막 두께나 myofibroblast의 활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7685, p=0.4401). 인조진피와 주변 조직 사이에도 이물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 실험을 통해 인조진피로 보형물의 일부분만 보호하더라도 임상적인 피막 구축 현상이 감소하였고 근육 하 공간의 피막 구축도 억제시킬 수 있었다. 인조진피의 피막 구축 억제 효과로 피막의 두께 증가를 억제하고 myofibroblast의 활성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Augmentation mammoplasty with breast implants has been a widely performed procedure because of the increasing interest in cosmesis. Nevertheles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occurrence of capsular contracture induces positional changes and deformities of the implants. Distortion of the implants causes stiffness, discomfort, and cosmetic disadvantag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is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a group using artificial dermis as coverage for implants and a group using the standard protocol. Ten New Zealand rabbits were used in this study. Each side of the latissimus dorsi muscle was divided into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dual plane technique commonly used in clinical settings, implants were partially covered with the latissimus dorsi muscl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part of the implants was covered with an acellular dermal matrix; in the control group, this part was partially covered with a fat pad. After 10 weeks, the authors checked the pressure of the implants and collected tissue near the implants. The pressure of the impl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059). On histological review, there were fewer capsular contractures beneath the artificial dermal tissue than beneath the fat tissue (p=0.0020). Moreover, the thickness of the capsule was smaller and the activity of myofibroblas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ubmuscular space of the experimental group (p=0.0039, p=0.0089). However, in terms of the tissues beneath the impl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psular thickness and the activity of myofibroblasts between the 2 groups (p=0.7685, p=0.4401). No foreign body reac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rtificial dermal tissue and the surrounding tissue. Partial coverage of implants with artificial dermal tissue may reduce clinical capsular contracture in the subdermal area as well as the submuscular space. The artificial dermis may inhibit the increase of capsular thickness and the activity of myofibroblasts.

      • Impact of tissue expansion on postoperative nipple position following implant-based nipplesparing mastectomy reconstruction

        김아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39

        Nipple malposition is an aesthetically devastating event following nipple-sparing mastectomy (NSM) and implant-based reconstruction.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tissue expansion on postoperative nipple position following NSM reconstruction and associated predictors. Patients undergoing NSM and immediate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from 2010 to 2019 were reviewed. Only those who did not have skin excised at the time of mastectomy were included. Exclusion criteria included ptosis, prepectoral reconstruction, and follow-up less than 6 months. The tissue expansion group (expander/implant reconstruction) and no expansion group (direct-to-implant reconstruction) were compared in terms of demographics, operative details, and postoperative nipple position. Horizontal and vertical migration of the nipple were calculated by examining pre- and postoperative photographs with Adobe Photoshop version 21.0.1 (Adobe Inc., USA).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test for independent predictors of vertical nipple migration following tissue expansion. Of 286 patients, 83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pansion and 15 patients without expansion. In the expansion group, superior migration of the nipple was greater (p = 0.001), with independent predictors including breast specimen weight (beta = 0.221; p = 0.045), smooth round implant (beta = 0.213; p = 0.035), and preoperative nipple to inframammary fold (IMF) angle at the lateral view photograph (beta = -0.526; p < 0.001). Tissue expansion tended to superiorly displace the nipple, especially in large breasts with small nipple to IMF angles. In this type of breast, tissue expansion may be avoided or patients should be warned of malposition risk before undergoing implant-based NSM reconstruction. 유두변위는 유두보존유방절제술 후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재건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조직확장기를 이용하여 보형물재건을 시행할 경우 조직확장이 유두의 위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및 이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유두보존유방절제술 후 즉시 보형물재건을 시행한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 피부절제없이 모두 보존한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조직확장을 이용한 환자 (2단계 보형물재건술)와 조직확장을 이용하지 않은 환자 (1단계 보형물재건술) 간에 수술전후정보 및 수술 후 유두위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두위치의 수평적 변화와 수직적변화를 Adobe Photoshop version 21.0.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조직확장 후 수직적유두변화를 예측하는 인자를 선형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83명의 환자가 조직확장을 이용하였고 15명의 환자는 조직확장을 이용하지 않고 보형물 재건을 시행하였다. 조직확장을 사용한 경우에서 수술 후 유두위치가 더 위로 전위된 양상을 보였으며 (p = 0.001) 이를 예측하는 독립적인 예측인자는 유방절제량 (beta = 0.221; p = 0.001), smooth round 형태의 임플란트사용 (beta = 0.213; p = 0.035), 및 수술전 외측에서 관찰된 유두와 가슴밑주름 각도 (beta = -0.526; p < 0.001)가 있었다. 조직확장을 이용하면 위로 더 많은 유두전위가 나타났으며, 특히 용량이 크고 유두와 가슴밑주름의 각도가 작은 가슴에서 더 전위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모양을 가진 가슴에서 유두보존유방절제술과 보형물재건이 시행될 경우 조직확장기의 사용을 보류하거나 또는 환자에게 유두전위에 대한 충분한 사전설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The Effects of Curcumin on the Fibrous Envelope around the Silicone Implants in Rats

        이장원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236

        유방 수술 후 실리콘 보형물 주위에 발생하는 피막구축은 쉽게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피막구축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만성 염증이 과도한 섬유증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강황 속에 함유된 커큐민은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많은 동물 실험들에서 커큐민이 염증성 창자병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성 질병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커큐민의 영향이 실리콘 보형물 주위의 섬유 조직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20 마리의 무게 250~300 g 가량의 암컷 Sprague-Dawley rats를 두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 실험군은 각각 10 마리의 쥐가 포함되도록 하였고, 배부의 피부근층(panniculus carnosus muscle) 밑으로 박리하여 보형물을 삽입할 피하주머니를 만들고 주문 제작한 크기 1.8cm 실리콘 보형물을 삽입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정상적인 식단을 섭취하였고, 실험군에서는 2% 커큐민이 포함된 식단을 섭취하였다. 수술 후 8주째 조직을 채취해 H&E(hematoxilin & eosin) 염색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제작한 뒤 피막의 두께와 염증 세포 분포를 측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보형물 주변 피막의 평균 두께는 대조군에서 174.9μm, 실험군에서 144.4μm로 나타나,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실험군에서 현저하게 얇은 소견을 보였고 (p < 0.05), 실험군의 평균 염증 세포 분포 개수 또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p < 0.05). 결론적으로 염증 세포 분포 개수가 감소할 수록 섬유성 피막의 두께는 얇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p < 0.01), 저자는 커큐민 섭취를 통해 염증 세포 분포 개수를 감소시켜 섬유성 피막 구축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핵심되는 말 : 피막 구축, 실리콘 보형물, 커큐민, 강황 Background :Capsular contracture around the silicone implant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serious complication that cannot be easily prevented or resolved, particularly for the mammary implant. Although the cause of capsule formation is yet to be unknown,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chronic inflammation leads to excessive fibrosis. Curcumin contained in turmeric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many animal studies demonstrated that curcumin is effective to relieve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We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curcumin would have an impact to reduce the generation of the fibrous tissue around the silicone impla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urcumin on the fibrous envelope around silicone implants in Ra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wo groups, comprised of Sprague-Dawley rats (n=20), had two solid 1.8cm-sized oval-shaped silicone implants placed beneath the panniculus carnosus in the both side of back of each rat. In the first group, which served as a control group, ten rats were fed up with a normal diet (group A),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maining ten rats had a ground curcumin feeding given diets containing two percent, which has been calcula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group B). On postoperative 8 weeks, all the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overall extraction of the adjacent tissue to silicone implants including the silicone implants themselves were done by En bloc excision. The excised tissue was fixed in a formalin solution after removing the silicone implants and then paraffin-embedded. Then, in the sectioned tissue sample, the thickness of capsul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inflammatory cells were examined. Results :Gross finding and histolog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observed. A dense fibrous capsule was developed around each implant. Grossly, this capsule was smooth, with 2 distinct layers: the inner inflammatory surface, close to the implant, had modified mod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r contour due to the smooth oval surface of the disk, infiltrated with inflammatory cells, and a layer of loose connective tissue, surrounded by collagenous fibers with dense fibrosis. The mean total thickness of the capsules surrounding the implant was 174.9μm± 31.4 in group A in comparison with 144.4μm± 32.5 in the group B.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hickness of capsule was significantly thin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 < 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ecreasing tendency in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such as giant cells or eosinophil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mean number of 198.2/mm2± 21.9 (225.7/mm2± 23.0 in control group) (p < 0.05). Conclusions :Curcumin would significantly reduce the inflammatory reaction, which leads to reduce the fibrosis formation, resulting in a low risk of capsular contracture. Long-term studies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is hypothesis may provide the basis for a safe and reasonable therapeutic strategy with which to reduce capsular contracture that frequently affects pain in patients with mammary implants.

      • 종양괴사인자-α로 자극된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방사선 내성 향상 효과와 방사선 유발 유방 구형구축 억제 효과

        강승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20

        Background and Objectives : Radiation therapy negatively affects breast reconstruction outcomes, leading to complications such as severe capsular contracture and suboptimal cosmetic results. Clinically, various methods are being tried to prevent radiation induced capsular contracture. To reduce the capsular contracture, fat grafting may be combined with implant insertion, or the stromal vascular fraction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is. In this stiudy we aim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stimulated human ASCs on silicone block to upregulate radiation tolerance and mitigate capsular cont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 In vitro, human ASCs were cultured on silicone blocks and stimulated with TNF-α. Cell viability and adhesion property were assessed after radiation exposure. In vivo evaluation, 8-week-old BALB/c female mice (20–25 g n = 16) were used. In each mouse, four pieces of samples were inserted parallel to the dorsal side. Irradiation was performed one week after the implantation. At 4 and 8weeks, the mice were sacrificied for biopsy and tissue analysis. The collected tissues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histologic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Interestingly, TNF-α stimuation increased the radiation tolerance of human ASCs without compromising paracrine effect. In vivo, TNF-α-stimulated human ASCs demonstrated superior suppression of fibrosis-related factors compared to non-stimulated human ASCs. This was evidenced by decreased expression of fibrosis-related genes, reduced populations of myofibroblasts and fibroblasts, enhanced macrophage polarization towards M2, and reduced capsule thickness at the tissue–implant interface. Overall, TNF-α-stimulated human ASCs exhibited higher radiation tolerance and the ability to reduce capsular contracture by minimizing foreign body reaction-induced macrophage polarization, subsequently resolving excessive scar tissue and improving tissue integration around the implants.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TNF-α-stimulated human ASCs may serve as an effective approach to address capsular contracture in breast reconstruction, providing potential benefits fo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radiation therapy and have silicone implants. 배경 및 목적 : 방사선 치료요법은 유방 재건에 있어 심각한 구형구축 혹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미용적 수술결과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임상적으로 방사선 치료요법으로 인해 유발되는 유방 구형구축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형구축을 줄이기 위하여 보형물 삽입 시 지방이식을 함께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으며 이에 더해 간질 혈관 분획을 추가로 적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종양괴사인자-를 자극한 지방유래 줄기세포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분비를 자극한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실리콘 블록에 종양괴사인자-a를 처리한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위치시킴으로서 방사선 내성 증가와 구형구축형성 감소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설계되었다. 대상 및 방법 : 생체외 실험에서 인체유래지방줄기세포를 실리콘 블럭에 배양한 후 종양괴사인자-a를 이용하여 자극하였다. 이후 실리콘 블럭을 방사선에 노출을 시킨 후 세포생존율과 세포부착능력을 평가하였다. 생체내 실험에서는 16마리의 8주령 암컷 BALB/c 쥐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쥐의 등부위에 4가지의 샘플을 삽입하였다. 삽입 1주일 후 방사선 조사를 하였다. 삽입 4주와 8주에 쥐를 안락사 시킨 후 조직검사 및 분석을 위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조직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조직을 이용하여 정성적, 정량적, 면역학적 방법 등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종양괴사인자-a의 자극이 기존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분비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방사능 저항성을 증가시켰다. 생체내 실험에서, 종양괴사인자-a를 처리한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는 그렇지 않은 인체지방 유래줄기세포와 비교하여 섬유화와 관련된 인자들을 우수하게 억제함을 입증하였는데 이는 섬유화 관련 유전자 발현의 감소, 근섬유모세포와 섬유모세포의 감소, M2로의 대식세포의 분극화의 강화, 조직-보형물 사이의 피막 두께의 감소를 통해 입증되었다. 종합적으로, 종양괴사인자-a를 이용하여 자극한 인체지방유래 줄기세포는 방사능 저항성의 향상과 함께 이물질 반응을 통해 야기되는 대식세포 분극화를 최소화함으로서 구형구축의 형성을 감소시키며, 이들을 통해 과도한 흉터 조직 형성을 줄이고 보형물 주위의 조직 통합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결론 : 연구를 통해 종양괴사인자-a는 유방재건에서 구형구축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방사선 요법을 받는 유방보형물을 가진 환자에서 잠재적인 이득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구형구축 피막의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분석

        박태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1979

        Background: Of all the theories on the potential aetiology of capsular contracture, the leading theory is that subclinical infection by bacterial biofilm. However, recent studies are limited by the traditional culture method, so it is restricted to the cultivable fraction of bacteria. Moreover, it is unclear whether detected bacteria originate from. Therefore, the microbial environment of the capsule was analyzed using the most advanced sequencing technology,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microbiome of the breast capsules using NGS and to estimate the origin of the bacteria found. Methods: This is a prospective study, and we included patients who inserted implants as augmentation, reconstruction, and temporary tissue expanders. A total of 25 normal and contracted breast capsules were collected during implant removal or replacement. Ipsilateral skin samples (incision site, nipple, axilla) were collected by swabbing before skin preparation. We analyzed them by dividing them into 2 groups, Healthy Capsule (HC) and Contracted Capsule (CC), according to the baker grade. NGS was performed with an Illumina MiSeq. Data analysis was processed by a Quantitative Insights into Microbial Ecology 2 (QIIME2) pipeline. Results: Beta diversity analysis using the Bray-Curtis dissimilarity method shows capsules are distributed in completely different clusters with skin (p<0.05).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bial structure of the capsule and the ski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psular contracture. In taxonomic analysis, Staphylococcus, Cutibacterium, and Rhizobium, well-known genera as resident skin flora, accounted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population in the skin samples. However, in capsule specimens, the genera Acinetobacter, Cutbiacterium, and Pseudomonas found in the normal flora of breast tissue were dominant. In HC, several bacteria, including breast normal flora, were evenly distributed, whereas in CC, colonies dominated by opportunistic pathogens such as the gener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and Clostridium were identified. Bacterial quantification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bacterial load was higher in CC. This means more bacteria are distributed within the capsule as capsular contracture progresses.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new perspectives on subclinical infection theory. First, the bacteria in the capsule were not originated from the skin. I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endogenous bacteria of breast tissue play a role. Second, opportunistic pathogen dominates the microbiome as capsular contracture progresses. This shows microbial dysbiosis,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changes in the individual immune system. Third, higher bacterial load was checked as capsular contracture progression. It suggests that control over the number of bacteria is required. By understanding and ultimately controlling changes in the breast microbiome around the implant,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prevent, or treat capsular contracture.

      • Effect of Three Different Topographies in Breast Silicone Implant on Bacterial Attachement and Growth : An in vitro study : 유방 보형물에서 서로 다른 세가지 표면 지형이 세균의 부착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생체외 연구

        이종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67

        배경: 구형구축은 보형물을 이용한 유방재건 수술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삽입한 유방보형물 표면에서의 미생물막과 보형물주위 만성염증에 따른 교원 섬유 침착으로 과도한 섬유화가 일어나며 발생한다는 염증이론이 지지를 받고 있다. 거친표면은 보형물 피막 교원 섬유 배열을 방해함으로서 구형구축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이론에 근거하여 물리적, 화학적 측면에서 유방보형물의 표면을 교정하는 시도들이 있는데, 최근에는 기존의 거친표면과 부드러운표면에 이어 미세표면 보형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유방보형물 감염의 대표적 균주로 알려진 황색 포도상구균, 표피 포도상구균, 녹농균을 이용, 구형구축 염증이론에 입각하여 부드러운 표면, 거친표면, 미세포면의 서로 다른 세가지 종류의 표면 지형 보형물에서 세균의 부착과 증식 양상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부드러운 표면, 거친표면, 미세포면 보형물을 2cm 직경으로 멸균적으로 자른 각 12개의 소형 보형물 표면에 3.9 × 108 CFU/ml 농도의 황색포도상 구균, 표피 포도상 구균, 녹농균을 포함하는 tryptic soy broth 상 37℃ 환경에서 각각 2시간, 6시간, 24시간을 배양 후 부착된 미생물막을 10분간 40kHz로 초음파 처리하여 각각 tryptic soy agar 에 배양 후 10배 희석법을 통해 미생물막 상의 세균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각 세종류의 보형물 표면에 24시간 배양한 황색포도상 구균을 고정 후 인산염완충식염수(PBS) 세척하고 에탄올로 탈수하였다. 이후 표면을 백금으로 코팅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부착된 미생물막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황색포도상 구균 배양에서 부드러운 표면과 미세표면 보형물 상에서의 세균의 수는 모든 배양시간에서 거친 표면 보형물 상에서의 세균 수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24시간 배양에서는 미세포면 보형물 상에서의 황색포도상 구균의 수가 유의하게 가장 낮았다. 표피포도상 구균 배양에서는 부드러운 표면과 미세표면 보형물 상에서의 세균의 수는 모든 배양시간에서 거친 표면 보형물 상에서의 세균 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녹농균 배양 24시간 배양에서는 미세표면 보형물 상에서의 세균 수가 가장 낮았다. 주사전자현미경 상에서 24시간 배양된 황색포도상 구균은 거친표면 보형물 상에서 조밀하고 두꺼운 생물막, 부드러운 표면과 미세표면 보형물 상에서는 얇게 분산된 양상의 생물막을 보였다. 결론: 미세표면 보형물에서는 모든 균, 모든 배양시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세균 수가 측정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 상에서도 미세표면 보형물 상에서는 얇게 분산된 생물막을 보였다. 추후 분자수준에서의 생체 내 연구가 필요하지만, 미세표면 보형물은 기존 거친표면 보형물의 특성과 적은 생물막 형성을 통하여 구형 구축을 줄이는 보형물로서 기대해 볼 수 있다.

      • 흰 쥐에 삽입된 응집성 실리콘 젤 피막의 조직학적 반응에 대한 고찰

        김진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1946

        기존의 실리콘 젤 유방 보형물의 내용물은 액체 실리콘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형물 파열 시 실리콘이 조직 내로 확산되어 제거가 힘들다. 반면, 응집성 실리콘 젤은 반고체 성상이므로, 파열 후에도 조직 내로 확산되지 않아 제거가 용이하다. 그 동안 응집성 실리콘 젤 유방 보형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파열 후 응집성 실리콘 젤의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는 파열 후 유방 보형물 외부로 흘러나온 응집성 실리콘 젤이 체내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경우 이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 염증 반응 및 면역학적 변화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중 420-540g 내외의 흰 쥐 20마리를 5마리씩 나누어 실험하였다. 흰 쥐를 마취시킨 후 배부의 중심부에 15mm의 수직절개를 가하고, 배부의 피부밑 근육층 아래에 10x10mm 크기의 포켓을 만들었다. 실험군에는 10 x 10 x 5 mm 크기의 고체 실리콘 고무(실험군 1), 2cc 액체성 실리콘 젤(실험군 2), 10 x 10 x 5 mm 크기의 응집성 실리콘 젤(실험군 3)을 각각 삽입하였고, 대조군에는 식염수 2cc를 주입한 뒤, 창상을 봉합하였다. 3개월 후 주위조직을 넓게 포함하여 삽입물을 채취한 뒤 슬라이드를 각각 2개씩 제작하여, 피막의 두께, 염증세포의 분포와 수, 근섬유모세포의 양 및 TGF-β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피막의 두께는 실험군 3(응집성 실리콘 젤)에서 가장 두꺼웠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염증세포의 수는 실험군 3에서 다른 실험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근섬유모세포의 양과 TGF-β 발현 정도 역시 실험군 3에서 가장 증가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흰 쥐의 배부에 삽입된 응집성 실리콘 젤, 액체성 실리콘 젤, 고체 실리콘을 주위에 발생한 피막을 서로 비교해 보았을 때, 염증세포의 수가 응집성 실리콘 젤 삽입 시 가장 많은 것 이외의 주목할만한 차이점은 없었다. 따라서 응집성 실리콘 젤 누출로 인한 조직학적 반응은 기존의 다른 실리콘 보형물 젤 누출로 인한 것과 차이가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