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고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0

        본 연구에서는 분노표현태도와 분노표현방식이 일치하는지, 분노표현태도에 따른 분노표현방식과 그에 따른 대인관계문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노표현방식이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인 395명을 대상으로 분노표현지지태도 척도, 분노억제지지태도 척도, 분노표현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한 결과, 분노표출지지태도와 분노표출방식, 분노억제지지태도와 분노억제방식이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분노표출지지태도와 분노억제방식, 분노억제지지태도와 분노표출방식이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 분노표출지지태도가 높은 사람은 분노표출방식이 높고 다른 사람의 일에 지나치게 관여하려는 경향이 높고 분노표출방식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힘을 타인에게 지나치게 행사하고 자기중심적으로 타인과 세상을 지각하고 행동하며 자신의 지각에 따라 상대방을 바꾸고 통제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억제지지태도가 높은 사람들은 분노억제방식이 높았으며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해하고 회피적이며 비사회성이 높고 자신의 주장이나 의사표현을 잘 하지 못하고 냉소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으며 자기자신보다는 상대방의 입장과 욕구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분노표출지지태도와 과관여의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분노표출방식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억제지지태도와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등의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분노억제방식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 첫째,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지적 변인으로 분노표현태도를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고,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달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분노표현태도와 분노표현방식이 일관적이지 않았고 분노표출과 분노억제가 정적 상관을 보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자기보고형 검사의 한계와, 표집대상의 편향, 분노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상반된 분노표현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 분노표현방식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ger expression attitude agreed on anger expression style, how anger expression style based on anger expression attitude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and whether anger expression style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ression attitud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95 working adults. Measurements were the Anger-out Attitude Scale, Anger-In Attitude scal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out attitude and anger out style.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in attitude and anger in style. However, a positive correlation not only between anger out attitude and anger in style, but also between anger in attitude and anger out style was shown. Adults with high anger out attitude showed high anger out style and domineering, egocentric, and intrusive interpersonal problems. Adults with high anger in attitude showed high anger in style and socially avoidant, self-sacrificing and overly nurturance,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from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out sty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out attitude and intrusive interpersonal problems was shown. The results showe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in sty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in attitude and cold, socially avoidant, nonassertive, overly nurturance, and self-sacrificing interpersonal problems. Sugges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anger expression attitude was considered as one of cognitive variance affecting anger expression style. Second, Unlike the previous study on college student, this study on working adults was not consistent with anger expression attitude and anger expression style. Also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ger out style and anger in sty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ly on self-report data. Second, there was a possibility of sample bias. Third, multidimensional aspect of anger was not considered. Finally, Future study should examine how contradictory anger expression attitude influences anger expression style. key words : Anger expression attitude, Anger expression style, Interpersonal problems

      •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

        이다혜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3306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른 자기애와 분노표현양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소년원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심리상담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의 토대를 마련하고, 소년원학교 학생의 긍정적 학교 적응 및 재범 방지를 위한 체계 구축을 조력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은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은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3.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은 자기애적 성향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5.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향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소년법에 의거하여 제9호와 10호 처분을 받아 경기 지역 소년원학교로 송치된 남자 청소년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애적 성향은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외현적 자기애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Raskin과 Hall(1981)이 개발한 자기애적 성격 검사지(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를 Raskin과 Terry(1988)가 주성분분석을 거쳐 54문항을 40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수정(1999)이 번안한 NPI척도를 사용하였다. 내현적 자기애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Hendin과 Cheek(1997)가 개발한 과민성 자기애 척도(Hypersensitive Narcissism Scale, HSNS)를 정남운(2001)이 번안 및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이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를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와 Spielberger(1997)가 한국판(STAXI-Korean Version)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에 따라 상태분노, 특성분노 하위척도를 제외한 분노표현양식 3개 하위척도만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이원다변량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원학교 남자 청소년의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비행유형과 입원횟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비행유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입원횟수가 3회 이상일 경우 그렇지 않을 때보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았다. 둘째, 분노표현양식의 세 하위 유형은 모두 입원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비행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분노표출에서는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분노억제와 분노통제는 폭력비행으로 소년원학교에 입원한 청소년에게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분노표출 및 분노억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외현적 및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상위 25% 집단의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의 경향이 모두 하위 25% 집단보다 높았다. 다섯째, 자기애적 성향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 모두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분노표출에서만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설명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tendency and anger expression style of male adolescents in juvenile reformatory school.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227 male adolescents at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Gyeonggi-do. Overt narcissistic tendency was measured by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scale(Raskin & Hall, 1981) which was adapted by Han Su Jung(1999).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were measured by Hypersensitive Narcissism Scale(Hendin & Cheek, 1997) which was adapted by Jung Nam Un(2001). Anger expression style was measured by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which was developed by Spielberger, Krasner & Solomon(198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correlation, one-way M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nquency and the frequency of entering to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overt narcissistic tendency.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of male adolescents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nquency, but more than 3 times the number of admission indicated higher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ntering to juvenile reformatory school in anger expression style. But, anger-in and anger-control of male adolescen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elinquency. Third, overt narcissistic tend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ger-out and anger-in.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types of anger expression style. Fourth, the high 25% adolescents of overt and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showed higher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than the low 25% adolescents. Fifth,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was significant influenced by covert narcissistic tendency.

      • 코로나19 상황에서 부부갈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최수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9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marital conflict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verify whether the anger expression wa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s marit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166 couples in their 20s to 60s with a marriage period of more than 1 year, the marital conflict scale, anger expression styl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demograph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rrespondence sample t-test,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s Bootstrapping technique were performed. As a result, firstly,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marital conflict, anger express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hange in marital conflict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t showed the highest average value in the personal conflict area among the sub-factors of marital conflict,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outbreak.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marital relationship conflict area, communal living conflict area, and third-party conflict area. excluding lastly, In consequence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ger-in and anger-control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anger-out show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mediating effect for husband. While only anger-in functioned 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for w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anger, and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marit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key words: COVID-19, Marital Conflict, Anger expression style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부부갈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남편과 아내 각각 부부갈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결혼기간이 1년 이상인 20대~60대 부부 166쌍을 대상으로, 부부갈등 척도, 분노표현양식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인구통계학적 분석, 상관관계 분석, 대응표본 t검증, 매개효과 분석, SPSS Process Macro의 Bootstrapping 기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편과 아내 모두 부부갈등과 분노표현양식,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부부갈등 양상을 확인해본 결과, 부부갈등의 하위요인 중 개인갈등 영역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나 코로나 발생 이전과 이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부부관계 갈등 영역, 공동생활 갈등 영역, 제삼자 갈등 영역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부부갈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남편의 경우 분노억제, 분노조절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분노표출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아내의 경우, 분노억제만이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서 기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노표현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되며, 코로나19 발생 이후 부부관계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이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코로나(COVID)-19, 부부갈등, 분노표현양식, 심리적 안녕감

      •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박지현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055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라북도 지역 보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공감능력, 분노표현양식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는 주요 변인들 간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는 공감능력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노표현양식은 모두 정적,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심리적 소진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은 각각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노표출에 대한 간접효과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과 적절한 공감능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육교사가 적절한 분노표출의 기회제공과 분노조절능력을 기르는 등의 질 높은 개입을 통해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is study, 3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local nursery schools in Jeollabukdo were collected data through self - report questionnaires using interpersonal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scale and using SPSS 21.0 Analysi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re wer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str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the empathy ability. The anger expression style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psychological burnout. In addition, empathy ability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wer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control. Second, empathy ability has mediating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anger expression style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each, but the indirect effect on the anger expression was not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help to maintain the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intervention and appropriate empathy level. Also, it suggested that the teacher should provide a way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teacher through the high quality intervention such as providing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opportunity and raising anger control abili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초등학생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AS) 반응 특성

        하정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005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haracteristics of reponses to DA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rait angers and anger expression type. For this study, Korean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and DAS test was conducted to 205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4th to 6th grade in Gyeonggi-do from July to November 2016. As 20 students, whose reponses were significantly inconsistent, were eliminated from the test pool. The test materials of the other 185 students were collected and graded by two rators including the author, and then they were analyed with SPSS 21. A statistics method of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make clear of two relations: one between DAS and trait anger and the other one between DAS and style of anger expression. Also t-tests of the upper groups and the lower groups are respectively used to see differences of emotional content and self image scale of DAS by trait anger and style of anger expression. A further t-test was carried out to manifest different points between the cases of selecting aggressive symbols, out of the DAS 14 stimulus drawings, and those of not selecting aggressive symbols. This study has obtained a few findings. First, test groups show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raits anger, anger expression, and anger repression. Second, the level of trait anger is shown to be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content of the DAS test. Third, those in favor of dysfunctional anger management such as anger expression and repression are likely to express negative emotions in the DAS drawings. Fourth, a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trait anger, style of anger expression, and DAS by the DAS’s 14 stimulus parameters. Children who opt for such aggressive symbols as a snake, a knife, a dinosaur, and a volcano are likely to have a high level of trait anger and to select inappropriate anger expression methods like anger expression and anger repression.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opt for a parachute, a chicks, a woman wearing a wedding veil or a rat are likely to have a low level of trait anger, anger-out, and anger-in, and they feel that they take control of anger better. This study makes sure of the DAS as a projective drawing test method with further usages of studying about children’s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Moreover, in the sense that it would provide productive resources, the DAS test is highly expected to be manipulated in clinical areas and counselling areas and to help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특성분노와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이하 DAS)의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 4∼6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STAXI-K)와 DAS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한 답변을 한 아동과 설문의 이해가 어려운 발달 장애 아동 20명을 제외하고 총 18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림의 채점은 연구자 외 총 2명의 평정자가 함께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DAS와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DAS에서 DAS의 14가지 자극 중 공격적 자극을 선택한 경우와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따른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특성분노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는 DAS의 정서내용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특성분노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같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을 선택하는 아동들이 DAS 그림에서 부정적인 정서내용을 더 많이 표현하였다. 넷째, DAS의 14가지 자극 선택에 따라 특성 분노 및 분노표현양식, DAS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뱀, 칼, 공룡, 화산 등과 같은 공격적 자극그림을 선택한 아동들의 경우 특성분노가 더 높고,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같은 부적절한 분노표현양식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낙하산, 병아리, 면사포 쓴 여인, 쥐 그림자극을 선택한 아동들은 특성분노, 분노표출, 분노억제 수준이 낮고 분노를 더 잘 조절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DAS가 아동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을 평가하는 투사적 그림 검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더해 DAS가 아동의 심리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임상과 상담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아동의 건강한 심리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표현방식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부모와 비교

        노수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00221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모 집단과 한국 가정 부모 집단의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표현방식이 양육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과 한국 각 쌍 집단에서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탐색하고자 부모의 국적에 따라 비교하였다.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모 쌍 집단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6 한-베 다문화 축제’ 에 참가하여 부스 자리를 확보하고 축제에 참여한 베트남 부부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일부는 다문화가정 방문교사의 도움을 받았다. 한국 가정 부모의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어린이집과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은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모 35쌍과 한국 가정 부모 35쌍으로 총 70쌍의 설문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인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살펴보면 연구에 참여한 대다수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도시형 거주자이며 학벌과 소득 수준이 낮지 않다는 점,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점수가 한국 부부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분노표현방식을 살펴보면 다문화가정 부모와 일반가정 부모 모두 분노표현방식에 있어 분노조절>분노억제>분노표출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문화가정 및 일반가정 부모의 상당수가 화가 나는 상황에서 자신의 분노를 조절하는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요인별 수준을 각 집단의 부모 간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노조절 영역에서는 한국 부모가 높고, 분노억제 영역에서는 한국 모가, 분노표출 영역에서는 한국 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표출에 있어서는 아버지 집단이 어머니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트남 다문화가정 집단과 한국 가정 집단에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분노표현방식과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베트남 부의 양육스트레스는 분노억제 및 거부적 양육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한국 부의 양육스트레스는 분노표출 및 거부적인 양육태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모의 양육스트레스는 분노표출과 자율적 양육태도 및 거부적인 양육태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모의 양육스트레스는 분노억제 및 분노표출, 거부적 양육태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국적별․성별 측면에서 양육스트레스, 분노표현방식, 양육태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양육스트레스는 국적별 성별과 관계없이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분노표현방식의 하위요인인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에서 한국이 베트남보다 높고, 성별로는 남편이 아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과 성별에 따른 양육태도 차이를 살펴보면 한국 가정 부모가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모에 비해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높고, 성별에 따라서는 아버지 집단이 어머니 집단에 비해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거부적 양육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부모의 분노표현 방식이 각기 다른 양육태도와 상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의 자율적-애정적 양육태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모 자신이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가 높지 않아야 하며, 분노표현 방식에 있어서도 자신의 분노 감정을 인지하고 표현함에 있어 분노를 조절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상대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베트남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한국의 가정 부모를 쌍 집단으로 살펴봤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부모 각자의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표현방식, 양육태도를 살펴보고 각기 어떠한 상관이 나타났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에서 다문화가정 부모 및 한국 부모의 양육과 관련된 연구를 풍부하게 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성인애착유형, 특성분노 및 음주문제의 관계: 분노표현 효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해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415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특성분노와 분노표현 양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특성분노가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분노표현 효율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 특성분노, 분노표현 양식, 음주문제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먼저 성인애착 유형에 따른 특성분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의존형과 두려움형 애착 집단은 안정형 애착 집단보다 특성분노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 유형과 분노표현 양식의 관계에서 두려움형 애착 집단은 안정형 애착 집단 보다 분노억제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애착 집단 간에는 분노표현 양식에서 차이가 없었다. 성인애착 집단에 따라 분노표현 효율성이 특성분노를 조절하여 음주문제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본 결과, 의존형 애착과 두려움형 애착 집단에서 분노표현 효율성이 특성분노를 조절하여 음주문제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형과 거부형 애착 집단에서는 분노표현 효율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a differences of trait-anger and anger expression pattern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s. More specifically, it i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trait-anger and drinking problems. 394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adult attachment style, trait-anger, anger expression pattern and drinking problem.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such as secure, preoccupied, dismissing and fearful attachment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reoccupied and fearful groups had higher trait-anger score than the secure group.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achment style and anger expression pattern showed that, fearful group used significantly more anger-in pattern than secure attachment group. Other groups didn't differ in anger expression pattern. The moder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effectiveness between the trait-anger and drinking problems were significant in preoccupied and fearful groups. But such moderating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secure and dismissing group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