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채의 내러티브 수행기능과 감정효과 : 허진호의 <8월의 크리스마스> <봄날은 간다>를 중심으로

        문장은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7

        본 연구는 시각예술로서 색채이미지가 기본 구성요소에 속하는 영상매체 중 컬러영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색은 시각적으로 가장먼저 인지되는 요소로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경험을 하게 된다. 영화의 시각적 구성요소로는 미장센의 세트, 의상, 소품, 조명, 색채, 배우의 연기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을 포괄한다. 그러므로 미장센의 효과적인 구성은 표현하고자하는 의미의 전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색은 인간의 감정이나 심리상태를 대변하기도 하는데, 이런 점이 영화 안에서 다양하고 좀 더 세밀한 미장센을 가능케 했고, 등장인물의 성격과 심리묘사, 더 나아가 영화의 내러티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색채는 영화의 공간 안에서 화면을 조화롭게 장식하고 극의 내러티브 상황을 깊이 있게 표현하기도 하며 인물마다의 내면적 스토리를 만들어 캐릭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 영화에서는 장르영화 또는 표현주의 양식을 띤 영화를 제외하고 대부분 사전계획단계나 촬영현장에서 영화 속 색채의 활용과 중요성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색채표현이 자극적이지 않고 현실을 재현하는 일상적인 영화이면서 대중성이 짙은 멜로드라마인 허진호 감독의 대표작품 <8월의 크리스마스>와 <봄날은 간다>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두 영화는 감정을 절제함으로써 주인공의 상황이나 내면적,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색채를 사용한다. 미장센 각각의 요소에 인물의 심리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색채를 사용하는데 특히 반복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색채가 내러티브 안에서 감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한다. 그러므로 이 두 영화는 영화색채가 계획적으로 사용되어 상징적인 표현이 내러티브 안에서 언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관객들의 감정효과에 영향을 준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영화 속 미장센의 색채가 내러티브에 미치는 감정효과에 대해 색채이론과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논의 하였고 설문을 통해 확인하여 보았다. 두 영화에서 색채의 상징의미가 암시적으로 표현된 장면들의 예를 찾아보고 미학적인 아름다움과 극의 내러티브 흐름에 맞는 감정효과에 영향을 준 부분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적인 영화, 즉 사실주의 양식의 영화에서 지금까지 쉽고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었던 영화색채가 관객의 감정에 많은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그것으로 인해 영화 제작진들이 영화 색채의 가치를 인식시키고, 색채심리의 상징적인 부분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영화 색채를 좀 더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한다면 설득력 있고 영향력 있는 색채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나아가 영화전반적인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90년대 이후 한국 멜로드라마영화에 나타난 남성캐릭터 변화 : <8월의 크리스마스>, <파이란>을 중심으로

        조미라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2237

        Tragic emotion can derive from misery of protagonist in melodrama. Audience can sympathize with main actor/actress's sadness, suffering, and troubles, then they shed tears. Tears symbolize the effect of melodrama's emotional, conventional and popular narrative. In scientific, tears can make in stressed situation. Tears is the device to transpire poisons from stress. In this same way, human's emotion can be catharsis through tears in melodrama. Melodrama is a made of popular narrative. European Melodrama evolved in the eighteen century was translated into Korean soil first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form of 'Sinpa theatre' and then imported by America in the full force during post-Korean war period. Heroines are passive and obsequious in Korean traditional patriarchal system until 1960's films. Like those of character can make stimulate audience's emotion. However, adventure of mixed genre and various scenario have changed heroes's character in Korean films since 1990's. Melodrama did not compel excessive emotion and exaggerate heroine's tragic situation any more. Korean films did not delineate heroes of standardization of strong character in traditional patriarchal system. They start to express masculinity of sorrow and frustration. So contemporary heroes are received mild and complex character in melodrama. Then they can cry contrast before heroes. These alienated character can be main topic since 1990's. It means that even men also can enjoy melodrama like women. Jung-won in <Christmas in August, 1998> and Gang-je in <Failan, 2001> showed weak masculinity like women under patriarchal system. They are not strong like before melodrama's heroes. They do not know how to express their emotion. Their characters in the end of film are belong to changing of masculinity. Korean melodrama started to draw different character like Jung-won in <Christmas in August, 1998> and Gang-je in <Failan, 2001>. They cried bitterly and showed repressed their tears. Then they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strong male complex. So there is not super man from conventional principle any more.

      • 허진호 감독 멜로드라마의 탈관습적 연출 연구 : <8월의 크리스마스>와 <봄날은 간다>를 중심으로

        이경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36

        This study analyzed the unconventional direction of the melodrama appearing through director Jin-Ho Huh's work, <Christmas in August> and <One Fine Spring Day>. Director Jin-Ho Huh is not only showing moderated aesthetics through narration and style while not being bound to traditional customs shown in established melodramas but also trying for a direction that differs from existing melodramas through those which contain common, everyday lives. In a word, existing melodramas have narratives that produce accidental and fatal incidents and conflicts as factors for inducing overdrawn emotions. Following, in order to convey a narrative in extreme circumstances more perfectly, melodramas use mise-en scenes which audiences can inhale more closely. It is making dramatical mise-en scenes effective devices for maximizing empathies. Additionally, all these factors have been accepted as customs regulating traditional melodramas. However, director Jin-Ho Huh leads the sentiments of the main characters in ordinary places and restrains it internally rather than showing it excessively; excluding certain fatal incidents and conflicts that stimulate tear ducts. Eventually, the most fitting explanation of the specialty of his films will be the expression of restrain, even if it is a bit of a cliche. For example, while most melodramas stimulate tears at the determinative moment after leading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from the beginning--proceeding as a greatly-fixed plot which is meeting, separation, and the reconfirmation of love after overcoming trials during the process--the audience in director Jin-Ho Hug's melodramas has difficulty experiencing catharsis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desire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s are broken down. This is because certain tensions or excessive emotions are not shown on the surface while hiding tears through the restrain of emotions when excluding emotional violence and shedding tears. Like the above, director Jin-Ho Huh is opening the possibilities of Korean melodramas with his own delicate direction skills while representing unusual styles with distinguished sensitivity which cannot be commonly seen in previous melodramas; even though he is depicting love and separation which are traditional topics of melodra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