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비교 분석

        임선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비교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임선정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시대인 21세기를 맞이하여 교육에서도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의 역할과 기능이 요구되었는데, 이러한 배경을 중점에 두고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학습내용은 이해와 활동영역으로 크게 나뉘어져 있으며 그 중 활동영역은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네가지 요소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 체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감상영역에 해당되는 학습자료가 제7차 교육과정의 10학년에서 각 교과서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 분석해보았다. 다음은 감상영역을 분석한 결과이다. 첫째, 국악 감상곡이 전체의 45%이고 서양음악 감상곡이 55%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전 교과서에 비해 국악 감상곡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 하겠다. 그러나 교과서 구성에 있어 이러한 제재곡들을 학생들이 보다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학생들의 흥미와 취미를 반영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작곡가별 분류에서 국악감상곡은 작곡가명을 뚜렷이 알수 있는 20세기 중후반의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해 서양음악 감상곡은 전체적으로 작곡가가 비교적 명확히 밝혀져 음악사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셋째, 시대별 분류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낸 시대는 국악감상곡에서는 민중의 음악이 발달되었던 조선후기(18-19C)이며 서양음악 감상곡에서도 자유의 사상이 나타났던 낭만시대(19C)로 일반 대중이 즐기게 된 민중 음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감상수업을 하면서 해당 단원의 음악이 발생하게 된 시대적, 사회적 배경을 함께 이해시키는 수업으로 진행시킨다면 현재의 우리 시대를 이해하고 미래를 바라보는 안목을 지닐 수 있다는 면에서도 좋은 수업이 될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시대적인 변화를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교과서를 구성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르별 음악 분류에서 국악감상곡이 가장 많이 수록된 장르는 창작국악(25%)이었고, 서양음악 감상곡에서 가장 많이 수록된 장르는 오페라(13%)였다. 다섯째, 악기편성별 분류에서는 국악 감상곡에서는 합악이 19%로 가장 높았고, 서양음악 감상곡에서는 관현악곡이 51%로 다른 악기편성에 비해 월등히 높아 악기편성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 나타나는 음색의 구성요소를 생각한다면 다양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다양한 편성의 감상곡이 수록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을 정리해보면, 전통국악과 창작국악이 강조되었고, 양악에서도 각 영역 간 통합 활동이 가능하도록 편찬되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통합 활동이 되도록 교사가 수업을 구성하겠지만, 교과서 편찬 시 음악사나 연주형태별 비교부분에서 시대라는 공통점을 기준으로 동양과 서양의 음악사나 연주형태를 알기 쉽게 비교해 놓는다면 학습자로 하여금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각 시대별로 악보나 적절한 학습 자료를 많이 싣는 것이 효율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감상영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음색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 관현악 위주의 음악이 아닌 다양한 음색을 들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연주형태의 음악이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효과적인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수업, 교사의 수업구성, 학습자의 이해 등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수업의 매개체가 되는 교과서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학습해야할 악곡과 실제 행해지는 수업과정이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교과서 구성을 보다 능률적이고, 교육과정에 맞게 편찬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교과서 규격 맞추기에 급급한 현상으로부터 탈피하여 양보다 질이 우선되는 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하겠다. ABSTRACT Comparative Analysis on Appreciation Part of Musical Textbook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Lim, Sun Jung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tudy context of musical class of the 7th curriculum revised on the basis of change toward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21th century is largely classified into understanding and activity field. Among them, activity field is divided into singing, musical instrument, creation and appreciation.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be helpful for publication of next textbook through finding curriculum system of 7th musical clas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how study material corresponding to appreciation part is organized in 10th grade of 7th curriculum according to each textbook. When totally arranging appreciation part of 7th musical curriculum, it has the merit that traditional Korea music and creative Korea music were emphasized and it was published for each part to have unification activity in Western music. Of course, teacher will organize study for various unification activity but learner will understand more easily if musical history of East and West or playing pattern is compared on the basis of commonness, age, in comparison part by musical history or playing pattern when publishing textbook. The researcher thinks that many applications of proper musical note or study material by age in textbook will be helpful for effective study. He also thinks that it is reasonable to suggest various-types music that is possible to listen various tone colors rather than orchestra-based music through considering character of appreciation part. Of course, various factors like curriculum, class, teacher's class organization and learner's understanding have to be considered but textbook becoming medium of class has most important ro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ffort to publish textbook as effective and proper one for students to accept musical piece and curriculum effectively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system to escape from the situation sticking to standard of textbook and publish textbook considering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 제6차·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비교·분석 : 일본어과를 중심으로

        이현숙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は,學生たちの外國語の意思疎通能力を養い,我我が追求する21世紀の世界化,情報化時代の人材を養うところに,その目的がある.しかし,このような 化が學習現場で現れなければ,無用の長物になってしまう.新しい敎育課程が追求する目標を成し遂げるためには敎育課程の改訂方法と原則,各構成要素別の內容について現場の敎師の理解が何よりも大事であると言えよう.したがって本稿では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が追求する目標を成し遂げるために次のような硏究目的を設けた. 第一,第6次·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の 制がいかに改編されたかを調べた. 第二,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の各構成要素がいかに改編されたかを調べた. 第三,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の別表I,II,IIIを比較 分析してみた. 第6·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との比較·分析を通して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がどのように敎えられるかを点檢してみた結果,次のような結論を得ることができた. 1.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と同じ意思疎通能力の向上に重点が置いてある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別表Ⅲ]の表記用漢字が追加されたことを除いて全 的な 制に わりはなかった. 2.敎育課程の各構成要素を比較してみた結果,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は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の具 的な實行方案を述べているとも言えよう.言語の四機能を主とし,文化の理解と狀況に合った言語使用能力の伸張をもっと强調しながら內容の記述まで學習者の中心の「∼ことができる.」と述べ,態度まで提示していた. 3.敎育課程の目標の實現のため提示される[別表]を第6·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別に,また,小學校用の英語と比較·分析してみた.敎育課程別には[別表Ⅰ]意思疏通機能の例示分の數が73文から104文に31文も增加し,意思態度 達の機能と談話展開の機能に 化があったことが分かった.小學校用の英語も日本語より例示文(28)が多かったが,「∼に答える」と言う項目は,小學校用の英語だけにあった. 4.意思疎通機能の例示文の中に提示された言語形式を比較してみた結果,「可能動詞の文,V-たことがあります,受身の文,V-させてください」は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提示され,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は,「NのN(國籍と所屬),存在,V-ています, 化」などが提示されていた.英語科では言語形式を[別表]で提示していた. 5.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は提示されたが,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省略された語彙は53語であり,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は提示されなかったが,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提示された語彙は111語であった.また,日本語(823語),小學校用の英語(578語),フランス語(674語)と比較してみた結果,小學校用の英語にだけある語彙は134語,フランス語にだけある語彙は236語,小學校用の英語とフランス語だけにあった語彙は52語であった.そして日本語にしかない語彙は351語であった.その分析の結果,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と比較してみた際とだいたい同じ結果が出た. 第6.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に初めて提示された[別表Ⅲ]の表記用漢字を常用漢字と比較し,また,選擇基準になる日本の小學校の學習用漢字と比較してみた.その結果,表記用漢字733字は一年生から四年生まで習うべき漢字の內10字少ない630字,5·6年生の內88字,その他が16字で構成されている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 意思疏通機能の向上のために第6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よりも嚴しい條件下でもっと多い成就基準を滿足させなければならない第7次高校敎育課程日本語科が正常に運營されるためには敎育課程に對する理解が必要だと思われる.そしてあらゆる面で絶え間ない努力が必要だと思われる.

      •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통합교과 교육목표 설정 원천 비교

        김유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2학년 통합교과의 단원목표 설정 원천을 분석·비교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교육목표의 설정과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비교하였다. 1. 바른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의 분석·비교 2. 슬기로운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의 분석·비교 3. 즐거운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의 분석·비교 본 연구는 제6차, 제7차 초등학교 2학년 통합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단원목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자, 사회·문화, 교과와 같은 준거에 비추어 교육목표 설정 원천을 분석하였다. 먼저 각 교과별 단원목표 목록을 작성한 후 <단원목표 설정 원천 판별표>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단원목표 설정 원천 판별표>를 교육과정을 전공한 석사 학위 소지자 5인에게 분배하고 단원목표의 설정 원천을 준거에 따라 판별하고 그 결과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른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의 분석·비교 제6차 교육과정의 바른 생활의 교육목표 설정 원천은 ①학습자, ②교과, ③사회·문화 순으로 많았고, 제7차의 경우에는 ①학습자, ②사회·문화, ③교과의 순으로 다소간 차이가 있었다. 2. 슬기로운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의 분석·비교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목표의 설정 원천의 비중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①교과, ②학습자, ③사회·문화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에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①학습자, ②교과, ③사회·문화의 순으로 나타나 교육목표 설정 원천별 비중에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의 통합방식이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합과적인 통합의 성격이 강했지만,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활동주제 중심 방식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3. 즐거운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의 분석·비교 즐거운 생활 교육목표 설정 원천은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 모두 ①학습자, ②교과, ③사회·문화의 순으로 적용되었다. 특히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해 교과 원천의 비율이 크게 줄어들고 학습자 원천의 비율이 늘어났다. 이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즐거운 생활은 합과적 통합방식보다 활동 주제 중심 통합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단원목표 원천은 과목별·시기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제7차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에 비해 학습자 원천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urces of objectives at unit level in the integrated subjects for the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s are compared: 1. Sources of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of Moral Life 2. Sources of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of Intelligent Life 3. Sources of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This study analyzed unit objectives prescribed in teachers' guidebooks of the integrated subjects (Moral Life, Intelligent Life and Pleasant Life) for the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ources of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of Moral Life Sources of the objectives of Moral Life in the 6th curriculum were large in order of ① learners, ② knowledge, ③ society-culture, and in the 7th curriculum in order of ① learners, ② society-culture, ③ knowledge. Thus there was a mod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eight of sources of the objectives. 2.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ources of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of Intelligent Life Sources of the objectives of Intelligent Life in the 6th curriculum were large in order of ① knowledge, ② learners, ③ society-culture, and in the 7th curriculum in order of ① learners, ② knowledge, ③ society-culture. Th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eight of sources of the objectives. 3.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ources of the objectives in the subject of Pleasant Life Sources of the objectives of Pleasant Life were large in order of ① learners, ② knowledge, ③ society-culture both in the 6th curriculum and in the 7th curriculum.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6th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reduced the weight of curriculum and increased the weight of learn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of subject and period respectively in the unit objective sources of the integrated subjects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and especially comparing the 6th with the 7th curriculum, the latter had an increase of the ratio that learners sources took possession of.

      •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과학’의 화학영역 내용 비교ㆍ분석

        신혜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cheduled to be applied after 2009 and analyzed, especially, added and eliminated contents in the chemical field of 'science', a common basic curriculum accounting for 3rd grade students and 10th grade students and moved contents. In addition, it analyzed the rationalization of revised contents and suggested appropriate follow-up measures followed by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ndard direction, the content system, and the details of the chemical field of 'science. First, examining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the basic characters of the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hey had a same direction, unlike the 7th curriculum that described comprehensively, the revised curriculum concretely described the links among the contents, the functions of study objects,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conditions. Second, while the 7th curriculum divided the content system into energy, substance, life, and the earth, the 7th revised curriculum divided the content system into motion and energy, substance, life, and the earth and the universe. Chemical fields were included into substance. The depth and complement courses from 6th grades to 10th grades in the 7th curriculum were eliminated, free research courses were newly added in the revised curriculum. Third, examining the details, lots of contents such as 'melting powder substance' were eliminated in order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fundamental research activities in the chapter of 'objects and substances' for the 3rd grad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liquids' and 'separating mixtures' were integrated in the 4th grade, and 'volume changes by heat' was eliminated. 'Creating crystal' in the 5th grade was eliminated and 'creating solution'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solution' were integrated into 'dissolution and solution.' 'Changes of solution' in the 6th grade was expanded and moved to the unit of 'acid and base' and the rest of contents in the 6th grade remained. The contents in the 7th grade remained, the contents in the 8th grade was moved to the 9th grade with a part of ' electrolyte and ion' in the 10th grade, 'construction of substance' in the 9th grade was moved to the 8th grade, and 'the regularity in the changes in substance' was moved to the 10th grade. 'reaction of acid and base' in the 10th grade was expanded and modified to 'various chemical reactions', and 'the speed of reaction' was eliminated. Fourth, as a result of revising the 7th curriculum, the suitability of the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was analyzed. As the low levels of contents in the 3rd grade were eliminated and the contents in the 4th grade were added by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the connectability increased. As the low levels of contents in the 4th and 5th grades were eliminated, the contents that had the connectability were integrated, and duplicated contents were excluded, the connectability of detailed and repeated contents. Considering the knowledge of the 6th grade, contents were expanded and the proportion of practical contents related to daily lives increased. Although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tents for the 7th grade, the connectability increased by arranging the order of units sequently. The contents moved forward in the 8th, 9th, and 10th grades were easily constructed to understand based on the level of comprehension and they were integrated and moved by considering the connection of the concepts to be suited for academic ranks. The 7th revised curriculum constructed educational courses by trying to sublate the duplication of the contents and aim to integrate the contents and from the aspects, it rationalized the volume and levels of the contents by reducing units for eac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curriculum and integrating or eliminating duplicate contents from the 7th to 10th grades. On the other hand,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was only a starting point of the serial processes for science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effectiveness increases and the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goals can be achieved when follow-up measures are prepared. First,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the curriculum. Second, training for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to assimilate the changes in revised curriculum and practice in real situations. Third, evaluation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correspond to the curriculum. Fourth, th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년부터 적용될 2007 개정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3학년부터 10학년에 해당하는 공통기본교육과정인 ‘과학’의 화학영역에서 추가된 내용과 삭제된 내용, 이동된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개정된 내용의 적정화에 대해 분석하고 교육과정 개정에 이어서 적절한 후속조치를 제시하였다. ‘과학’의 화학영역의 기본방향과 내용체계, 세부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과학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의 기본 성격을 비교하면 기본방향은 같았지만, 포괄적으로 기술하던 7차 교육과정과는 달리 개정교육과정은 내용간의 연계, 탐구 대상과 기능, 학습 방법, 학습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둘째, 7차 교육과정은 내용체계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7차 개정교육과정은 내용체계를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중 화학영역은 물질부분에 해당한다. 7차 교육과정의 6-10학년의 심화‧보충과정은 삭제되었고, 자유탐구과정이 개정교육과정에 신설되었다. 셋째, 세부내용을 비교해 보면, 3학년의 ‘물체와 물질’ 단원에서는 기초 탐구 활동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하여 ‘가루 물질 녹이기’ 등 많은 내용을 삭제하였고 4학년의 ‘여러 가지 액체의 성질 알아보기’와 ‘혼합물의 분리하기’를 이동해서 통합하였으며 ‘열에 의한 부피변화’는 삭제되었다. 5학년의 ‘결정 만들기’를 삭제하고, ‘용액 만들기’, ‘용액의 성질 알아보기’는 ‘용해와 용액’ 한 단원으로 통합하였다. ‘용액의 변화’는 6학년의 ‘산과 염기’단원으로 확대되어 이동하였고, 나머지 6학년의 내용은 유지 되었다. 7학년 내용은 현행 유지 되었으며, 8학년의 내용은 10학년의 ‘전해질과 이온’을 일부 포함해서 9학년으로 이동하였으며 기존의 9학년에 있던 내용은 ‘물질의 구성’은 8학년으로,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은 10학년으로 이동하였다. 10학년의 ‘산과 염기의 반응’은 ‘여러 지 화학 반응’으로 확대 수정 되었고, ‘반응 속도’는 삭제되었다. 넷째, 7차 교육과정을 개정한 결과 과학교육과정의 내용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3학년에서는 수준이 낮은 내용을 삭제하고 내용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4학년 내용을 이동해옴으로써 연관성을 높였고, 4,5학년에서는 수준 낮은 내용은 삭제하고 연계성 있는 내용을 통합하여 이동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포괄하여 구성함으로써 세분화되고 반복되던 내용의 통합성을 높였다. 6학년은 지식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확대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비중을 늘렸고, 7학년은 내용은 변화 없었으나 흩어져 있던 단원의 순서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연계성을 높였다. 8,9,10학년은 개념 도입시기가 필요에 의해 앞 당겨진 내용은 인지 수준 고려해 쉽게 구성하였고, 개념 연계를 고려하여 통합, 이동함으로써 학문적 위계에 맞게 구성되었다.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는 내용의 중복을 지양하고 통합을 지향하여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하였고, 이러한 측면에서 초등학교 과정의 학년별 단원 수를 줄이고 7-10학년 과정에서 중복되는 내용을 통합하거나 삭제하여 내용량과 수준을 적정화 하였다. 한편 교육과정의 개정은 과학 교육을 위한 일련의 과정의 출발점에 불과하다. 교육과정 개정에 이어서 적절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때 효과가 증대되며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교육과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개정된 교육과정의 변화를 충분히 소화하고, 실제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교사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의 의도에 부응하는 평가 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개정을 개발하는 과정에도 체제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 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3학년 교과를 중심으로

        임경진 檀國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textbook is the core among the studying materials to embody a curriculum in a school, and functions very importantly in education. An art textbook, especially, owing to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of visual instruction, mostly organized with reference works in which famous artists' works or students' works were used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in the educational program easily and motivating an enthusiasm on the creat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3rd grade fine arts textbooks and the basic direction and ideology of the 7th curriculum revised in 2000. Based on the objectives of the 7th curriculum, 7 kinds of textbooks of the junior high school 3rd grade will be studied in aspect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he result of examination are as follows. In aspect of aesthetic experience, the artifical works are contained more than the natural works, and most natural works are domestic reference works. The reference works of the artists of standing are contained more than those of students. Artifical reference works are contained equally in the plane works and 3-dimensional works. In aspect of expression, the reference works contain mostly 19th century or earlier works, so comtemporary reference work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ountry's artists of standing, so do those of students. And the materials of the reference works are various and interesting. In aspect of appreciation, the reference works of foreign country's artists are two time more than those of domestic artists, and works of students are less than those of the artists of standing. Among the foreign country's works, western artist' works are more than Korean and Asian artist's works. The modern era works' ratio Korean and western reference works are higher than those of earier era. Comparing of numbers of the reference works in aspect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in 7 kinds of textbooks, the numbers of works in aspect of aesthetic experience are lowest. And only one work of foreign country's student is contained. On the basis of above analysis, the options for improvement in selecting the reference works in textbooks are as follows. In the area of aesthetic experience, there were much more formative objects than natural objects which were mostly domestic. Artists' works were more than student'. On the other hand, objects used in reference works were distributed with 2-D and 3-D equally. In the area of expression, it aimed at modern age works mostly, not at the present time. The internal and foreign artists' works and students' were used with the similar proportion relatively, and materials were exploited in each works were various sd well as interesting. In the area of appreciation, the internal and foreign artists' works showed with the same ratio, and were more than students'. Works from the western culture were more than the eastern culture. Works of the modern age were mainly used in the domestic and Western culture. but works of the ancient times mostly were used in the eastern culture.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학습자료 중 가장 핵심이 되며,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미술 교과서는 미술 교과가 시각 중심교과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들은 쉽게 인지하고 창작의욕을 북돋우기 위하여 대부분 참고 작품 등의 예시 작품으로 편집 제작되어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있기 때문에 교과서의 참고 작품은 학생들의 실제 수업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미술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참고 작품들이 새로이 개정되어 실시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방향과 이념을 실천하는 도구로서 제 역할을 다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중학교 3학년 7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 작품을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에 근거하여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적 체험 영역에 있어서는 자연물보다 인공물에 편향하여 참고 작품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수록된 자연물 참고 작품은 대부분 참고 작품을 수록하고 있었다. 기성작가의 참고 작품이 학생의 참고 작품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형물 참고 작품은 평면과 입체가 골고루 수록되어 비교적 다양한 영역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었다. 표현 영역에 수록된 참고 작품은 대부분 근·현대 위주로서 현대의 미술을 적극 반영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의 기성 작가와 학생의 참고 작품이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수록되어 있었고 참고 작품에 사용된 재료는 다양하고 흥미있는 재료가 사용되고 있었다. 감상 영역에 있어서는 국외 작가 작품이 국내 작가의 참고 작품보다 2배 이상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기성 작가의 작품에 비해 학생 작품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국외 참고 작품에 있어 서양문화권 참고 작품이 우리나라 작품과 동양 문화권 참고 작품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와 서양 문화권에서는 근·현대 미술의 수록 비율이 가장 높았다. 7종의 교과서를 미적 체험, 표현, 감상의 세 가지 영역별로 그 참고 작품 수를 비교한 결과 미적 체험 영역의 참고 작품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7종의 미술 교과서는 전 영역에 있어서 외국 학생의 참고 작품은 단 한 점만이 수록되고 있었다.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 참고 작품이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삭막해져 가는 도시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자연물 관창을 통해 얻는 미적 경험이 보다 더 색다른 체험이 될 수 있도록 국내·외에 다양한 자연물 참고 작품을 수록하며, 비교적 최근의 현대 미술을 교과서의 참고 작품으로 적극 수용하여 종래의 교과서의 구태의연함에서 벗어나 현대 미술과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제 7차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추어 감상 영역에 좀 더 다양한 참고 작품을 수록되어야 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소외된 동양 문화권의 근·현대 작품을 보강하여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 문화권의 현재의 조형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외 학생의 참고 작품은 동시대 학생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보다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도록 국외 학생들의 다양한 작품을 수록하여야 할 것이다.

      •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고미영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 및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사회과 교육의 발전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 ② 고교 2, 3학년의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③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에 의해 학습자 중심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추구 ④ 시민성 함양 교과로서의 통합성과 사회과학 교육의 계통성간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7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개발시 교육과정 정책 수립의 폐쇄성과 소수에 의한 독점체제로 개발되고 있어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민주적 논의 구조와 사회적 합의 절차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 교과목 내용이 너무 많고 심화선택과목의 교과 내용이 너무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셋째, 교사가 지역실정, 학교실정, 학습자 실정에 맞게 교육과정 운영의 재량을 발휘할 여지가 거의 없다. 넷째,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교원수급과 교실부족 공간, 시간표 작성의 어려움 등으로 학생 선택권을 하한선까지 줄일 수 밖에 없는 실정이고, 결과적으로 국영수 중심의 입시위주의 학업편식을 조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학생들은 학교에 개설되지 않은 교과 학습을 위해 학원을 전전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의 선택을 받지 못한 교과 교사들은 퇴출의 아픔을 겪는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심화선택과목의 경우 학교에서 개설하는 과목이 일부에 불과한데다 일부 과목의 경우 학습부담이 다른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수능에 유리한 과목만 공부하려는 학습경향으로 인해 심각한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별로 사회과 교사의 수업의 파행이 우려된다. 다섯째, 수준별 교육과정의 경우 수준별 교육과정 자체가 문제이다. 최상위권 학생 일부에게 돌아가는 약간의 혜택을 제외하고는 수준별 교육의 장점은 없다고 해야 할 정도이다. 그나마 아직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수준별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시설확보와 교재개발, 학급내 학생수 감소 등 교육여건의 개선, 획일적 평가체제의 개선, 교사들의 참여 유발을 위한 여건 조성 등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원 양성, 임용, 수급, 연수 등과 관련된 종합적인 정책 마련이 선행되지 않았고, 제7차 교육과정이 고시되고 난 후 계약제교원의 비율 증가 등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는 먼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일곱째, 현재의 통합사회과는 서로 다른 학문적 내용을 분량만 축소하여 묶어 놓은 형식상의 통합에 머물러, 종합적 판단에 의한 합리적 해결 능력 배양이라는 통합교과의 목표 달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또한 통합과 분과의 문제가 정치적 우회로를 통해서 해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덟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서로 다른 세 관점이 공존하고 있는 바, 사회과 교육의 정체성과 관련된 사회적 인식의 부재가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홉째,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회과의 성격과 내용의 부정합성 문제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의 개정은 국가·사회의 필요와 요청, 학문적 연구의 진전 등에 의하여 현장 교사 및 전문가 집단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사회적 합의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시 수시·부분 개정할 있도록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계를 도입했으면 한다. 둘째, 단위학교에서 다양한 편성 운영이 가능하도록 국가수준 교육과정은 ‘최소이수단위’와 ‘최소이수내용’만을 제시하도록 하여 개별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과 평가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교원양성체제를 정비하고 학교내 또는 지역내 교사간 연구 및 협력체제가 확립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내용을 대폭 줄일 것을 제안한다. 과목수를 대폭 줄이고, 각 과목의 내용도 최소필수로 대폭 줄이고, 그 난이도도 대폭 낮추어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의 적정화를 위해 매진해야 할 것이다. 넷째, 수준별 교육을 국가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와 원칙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이냐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수준별 교육은 여러 교수·학습 방법론 중의 하나이지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과 철학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수준별 교육은 교육과정 총론에서 일괄적으로 언급하기보다는 각론, 즉 교과 교육과정에서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생들의 심화선택과목의 편중 현상이 사실상 수능점수와의 연관성에 의한 것이므로 수능의 과목과 난이도를 조정하고, 평가체제를 개선하여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선택과목을 선택해도 손해를 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현재 통합교과로 설정되어 있는 사회과의 분과와 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이해집단이 모두 함께 참여하는 오랜 토론을 거친 사회적 협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사회적 협약을 통해 범 사회과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세우고 여기에 맞추어 교사 양성 및 연수 과정도 장기적으로 조정해 가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사회과 영역별 목표 및 내용의 체계를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구성하여야 한다. 여덟째, 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간에는 정합성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리고 그 목표 및 내용 요소들이 상호 모순 혹은 대립되는 경우나 중복이 있는 경우에는 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체 사회과 목표 및 내용체계가 설정되면, 각 영역별 목표 및 내용체계는 전체 사회과의 것을 존중하여야 하며, 서로 대립되는 경우에는 전체 사회과의 것에 준하여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아홉째, 성공적인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에 대한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특히 교사의 근무여건과 교육환경의 개선, 교사 연수에 대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그리고 학교에 대한 시설 투자 등이 무엇보다 선결과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contribute to finding the direc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its proble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high school are as follows: ① the organization of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② introduction of selective-centered curriculum for 2nd- and 3rd-year high school students; ③ promotion of learner-centered ability-based advanced/supplementary educ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bility-based curriculum; and ④ balance between integrity as a subject to develop citizenship and systematicity as social studies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earch,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high school have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is developed exclusively by a small number of people without the process of comprehensive democratic discussion and social agreement on the curriculum. Second, the volume of the contents of subjects is too large and the contents of advanced subjects are too difficult. Third, teachers are given little room to exercise their discretion in operat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mmunity, the school and the students. Fourth, students' option is minimal in the selective-centered curriculum because of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classrooms and difficulties in making out the timetable. Consequently, students' study is concentrated excessively o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Moreover, students have to attend private academies to study subjects that are not offered in school, and subject teachers who are not selected by students have to be dismissed. In addition, for advanced elective subjects, school offers only part of them and some subjects are too burdensome compared to other subjects and, as a result, students tend to take subjects advantageous to their preparation for SAT. For this reason, social studies teachers' class is likely to be crippled in each school Fifth, in the ability-based curriculum, the curriculum itself is a problem. Even we can say that ability-based education does not have any merit except a slight benefit to a small number of outstanding students. In order to substantiate ability-based education that has not been settled yet, it is necessary to secure facilities, develop materials, improve the condition of education including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reform the uniform assessment system, create environment for teachers' participation, etc. Sixth, since the 7^(th) curriculum was announced without the preparation of comprehensive policies related to the education, employment, supply and training of teachers, the percentage of contract teachers is increasing, contradicting the enhancement of teachers' specialty. Seventh, because the current integrated social studies is simply the superficial binding of different academic areas into a subject, it cannot achieve the purpose of integrated subjects to develop rational problem-solving abilities based on comprehensive judgment. Moreover, it has the problem that the issue of integration and division is resolved through political detours. Eighth,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three different aspects, but there is no social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identit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Ninth,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foun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oes not conform to its contents. Based on the problems listed above,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concern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First, curriculum must be revised by national and social needs and requirements as well as academic advancement and through social agreement based on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specialis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 for revising curriculum at any time whenever problems are found in applying the curriculum in the field. Second,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suggest just the lowest limit of credits and contents to complete and allow individual teachers to organize their curriculum and assessment so that individual schools can organize and operate the curriculum in various ways. In order for teachers to be able to organize curriculum,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joint research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in the school or in the community should be promoted. Thir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reduced sharply.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to the minimum level and to ease down the difficulty of contents in order to maintain the optimal volume and level of education contents. Fourth,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whether ability-based education needs to be the basic principle in compo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bility-based education is just one of many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y be inadequate as the principle and philosophy of the curriculum. Therefore, ability-based education should be applied specifically to each subject rather than adopted generally in the outline of the curriculum. Fifth, students' avoidance from advanced elective subjects is actually related to their SAT score. Thu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ubjects of SAT and their difficulties and improve the assessment system so that students can take elective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 and future course without disadvantage. Sixth, it is necessary to reach social agreement through long discussion among interested groups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of the division and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which is currently designated as an integrated subject. Based on the social agreement, long-term plans for the goals and cont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and, according to the plans,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adjusted for the long run. Seventh,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social studies by area should be defined consistently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Eighth,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conform to its contents. If there is contradiction, conflict or redundancy between the objectives and the contents, it must be corrected. Moreover, i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define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each area must respect the general ones. If there is any contradiction, it should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Ninth, successful curriculum requires active unsparing investment in education. Above all, teachers' working condi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teacher training should be supported administratively and financially, and school facilities should be extended.

      • 제7차 교육과정 중1영어교과서 듣기활동 분석

        이동우 인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영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고 네 가지의 언어 기능 중 듣기의 전이 능력이 가장 높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있는 4종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 듣기 활동을 분석해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제7차 교육과정 의사소통 능력 항목에 의한 분석을 통해서 교육과정이 제시한 의사소통적 측면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했는지 분석했고 다음으로 상황적 범주에 의한 분석을 통해서 제 7차 영어 교과 과정의 근간이 된 Van Ek & Alexander(1980)의 Threshold English Level 에서 제시한 사회적 역할 및 심리적 역할과 대화 장소 항목을 제시한 후 그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과업 듣기 활동에 의한 분석으로 구분한 후 교과서가 얼마나 효과적인 과업을 사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과업 위주 활동(Task-based Learning)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Morley(1991)의 과업 활동을 사용해서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능 항목을 통해서 교과서 듣기 활동을 분석했을 때 7가지 대 영역을 표면적으로는 충족시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균형적인 의사소통 항목을 담고 있지 못하다. 그 중 도덕적인 태도 표현으로 구분되는 사과, 변명, 후회, 관심은 1.2%로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이 또한 D교과서에서만 사용했다. 설득과 권고 항목도 6.7%로 빈도가 낮게 나타나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봤을 때 교과서의 보다 더 균형적인 기능 항목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교과서 듣기 활동에 나와 있는 사회적, 심리적 역할이 다양하지 못했다. Van Ek & Alexander(1980)은 사회적, 심리적 역할 제시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키는 데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지만 분석한 현행 교과서 4종에서는 대화자의 사회적 역할 분석을 통한 분석에서는 친구-친구의 대화가 가장 많은 50.2%를 차지했고 상대의 역할을 알 수 없는 듣기 활동도 21.9%로 분석돼 더 다양한 사회적 역할 제시가 필요했다. 심리적 역할 중에서는 친구끼리 인사를 하거나 의견을 주고받는 동등성(equality)이 가장 많은 57.5%를 차지해 절반 이상의 심리적 역할이 편중돼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상적인 질문이나 대화를 나타내는 중립성(neutrality) 18.6%, 상대방에 대한 연민이나 동정을 나타내는 동정(sympathy)이 21.9%로 분석됐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표시하는 반감(antipathy)은 1.9%로 거의 제시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교과서의 더욱 효과적인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Van Ek & Alexander가 제시한 대화 장소 항목을 사용하여 분석한 대화 장소 분석은 그 배경이 다양하지 못해 교과서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듣기 활동 중 많은 활동들이 배경을 짐작할 수 없어서 기타로 분류하였다. 대화 장소를 분명하게 밝혀 정확히 어디서 현재의 대화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더 나은 수업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과업 활동을 통한 듣기 학습(Task-based Learning) 이 매우 효과적임에도, 분석한 4종의 교과서는 충분한 과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Morley(1991)이 제시한 과업 유형 중 문제해결방법 및 요약하기 와 배경지식 제공하기, 노트 정리하기, 문제해결방법, 역할놀이, 의견 발표 및 토론하기의 항목들은 분석한 4종 교과서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청취 후 질문에 대답하기 항목은 51.7%로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이를 토대로 보면 4종의 교과서는 다양한 과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한국의 영어 교육 환경 상 외부적인 입력, 즉 일상적인 영어 듣기나 말하기 쓰기 활동을 제공하기 힘들기 때문에 영어 교육에 있어 교과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현 교육과정 아래에서는 좀 더 나은 교과서의 구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제7차 교육과정에 적용된 이해중심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오미애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는 21세기 정보화 시대는 새로운 가치의식의 변화와 더불어 문화적 욕구를 수용할 수 있는 창의성 정서를 가진 인간 교육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급성장하는 문화의 수준에 상응하는 미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과 달리 미술을 이해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미술교육은 현대 미술교육의 영향을 받아 제 7차 교육과정 까지 발전되어 왔다. 기존의 창의성 발달 교육에 한계를 느끼며 기초적 이고 조직적인 구성 체계 능력을 가르치는 이해중심 미술교육이 제 7차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 적용되어 있는 이해중심 미술교육(DBAE)에 관하여 연구해 보았다. DBAE란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 운동으로 아이스너와 그리어 등이 연구하였으며, 표현중심 미술에서 벗어나서 미적 안목과 미술사, 미술비평, 미학, 미술제작이 통합되어진 새로운 개념을 가진 미술 교육을 말한다. 연구의 구성으로는 첫째, 이해중심 미술교육의 역사적 배경을 알아보며 둘째, 제 7차 교육과정에 DBAE가 적용된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셋째, 제 7차 교육과정과 DBAE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넷째, 7차 교육과정에 적용된 DBAE의 적용실태와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를 위한 한국 교육 개발원의 일반적 수업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미술과 수업의 지도 과정모형과 DBAE에 의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제 7차 교육과정과 DBAE의 적용 실태는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으로 보고, 이해하고, 판단하고, 창조하는 학습을 하게 한다는 가치가 담겨져 있으며, DBAE가 미술의 독자성 본질적 가치를 강조하면서 미술교육을 학문체계로 세우는데 기여함과 미술교육에서 표현 뿐 만 아니라 미술의 이해와 감상을 강조하였고 교육과정과 교사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한 것은 큰 성과로 볼 수 있지만 이런 장점에 반해 미술을 지식이나 이론을 전달하는 암기 위주의 교육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있다. 또한 DBAE의 뜻은 좋지만 그 상상을 체계적이면서도 쉽고 재미있게 학생들에게 전달할 구체적인 프로그램 제시가 미흡하고 교사에게 많은 것을 요구해 전문적이고 장기간의 교사 교육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DBAE 이론을 우리 미술교육에 알맞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정서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비판적 수용이 필요하며 감상과 이해중심의 교육을 현재의 교육과 접목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It is required to educate people to be who is capable of accept the culture desires along the change of the values, and is creative in the 21st information oriented era. Therefore, it is also required to have an art education to be understood in the other point of views in order to develop the a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vel of culture in progress. Our art education is developed up to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affected by the modern art education. As the limitation of developing the previous education for the creativity is shown up, the art education which is basic and teaches the organized component system ability is applied to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Herein, I studied for the art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DBAE) which is applied to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DBAE is the art education movement based on the academy and is studied by Eisner and Grier. DBAE is the art education which has the new concept compromising the art appreciation, the art history, the aesthetics, the art-making, escaping from the expression oriented art.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s the following. First, it is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rt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Second, it is about the background in which DBAE is applied to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Third, it i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and the DBAE. Fourth, it is about the current status of DBAE application in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and the problems. And the research suggests the typical class process of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as well as the model of the art education with the teaching plan based on the DBAE. In the school, the current status of the seventh education policy and the DBAE has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in which the students see, understand, criticize, and create through the art education based on the academy. It is the great success to impose the original value of the art, contribute to build the art education as the academy system, as well as make the teachers' role important. However, it is worried to be the education for memorizing and transferring the knowledge and theory.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of the DBAE but there are few specific program to transfer the imagination to the students in easy and interesting way, and it requires a lot from teachers so that the organized teacher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DBAE theory to our art education, it is need to accept the DBAE considering the Korean culture and it has to be connected to the education based on the appreciation and the understanding.

      • 地方敎育自治制 觀點으로 본 第7次 敎育課程의 音樂敎科 內容 分析 : 초등학교 5학년 음악과를 중심으로

        서광훈 경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ether it is suited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developmental currents of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nd to observe if the 7th music curriculum is compatible with the purposes of the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with raising controversial points, after analyz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the 5th grade Music subject in the 5th and 6th grade study course of the 7th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enforced since 2002.3.1, based on the self-governing system of education enacted to keep up independence, peculiarity,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Standards referred to establish the system of allotting duties according to the central operating bodies of the 7th Curriculum, each curriculum of state level, local level, and school level, are stipulated in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ct, and the Fundamentals of Education Act. 2. The contents system of the 7th music curriculum is reduced to two fields of comprehension and activity dissimilarly from the 6th curriculum presented to three fields of comprehens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wo part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6th curriculum are incorporated into one part of activity in the 7th curriculum. 3. The sphere of appreciating Korean classical music, which promotes our native music culture, is diminished from 55.6% in the 6th curriculum to 44.4% in the 7th curriculum. 4. Enforcement of the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provided a legal, systematic equipment to the 7th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it made the inevitability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centered on autonomy and initiativeness. 5. Administration of the curriculum in local and school level cannot be conducted effectively viewed in a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because of insecurity of creative operation that is derived from selecting difficult and demanding theme tunes on the contents of music subject. 6. The constitution system of the subject contents has a few points at issue, which are difficult forms and creative work, poor data for appreciating folk music, loose and scanty contents of joyful songs, very little allotment rate on textbook to know the local music culture. That's why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e 7th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for us to reconstruct the subject contents. 7.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lf-governing system of local education will have no effect. Teachers can't instruct distinctive cultural heritage in music easily and systematically as restrictions of the screening range on a schoolbook 8. The teachers who are taking the lead are concerned about the occurrence of lots of points in constitution contents and reality of the Curriculum. To wipe out these concerns and operate the normal music curriculum, we need a keen interest, various support and systematic investment from a state level and positiv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teachers on the spot.

      • 工業係 高等學校의 敎育課程行政 硏究 : 第7次 敎育課程 運營을 中心으로

        최종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공업계 고교에서 이루어지는 제7차 교육과정의 선택중심 교과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재량활동의 운영 실태와 애로점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선택중심 교과과정 운영의 실태와 애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2.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와 애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3. 재량활동 운영의 실태와 애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제7차 교육과정, 공업계 고교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선행 연구물, 학술지, 연구보고서, 교육 저널 등을 살펴보았고 공업계 고교의 교육과정 적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운영 연구학교를 방문하여 학교교육계획서, 선행연구물, 기타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작성한 면담지를 가지고 경기도, 경남, 충북 및 대전지역의 4개 공업계 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제7차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육과정운영부, 교육과정지원부 등으로 교과과정중심 조직으로 단위학교의 조직개편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프로그램과 교재개발에 따르는 경비지원, 이론·실습 통합교과수업의 학급규모 감축에 따르는 교사증원, 교실 증축 등이 행해지고 있었으며 교원수급을 고려하여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일부를 11학년에 편성했고 재량활동을 이용하여 소외과목교사를 배려하였다. 과목선택 편중으로 학교에 따라 수능시험에 관계없는 과목과 어려운 교과의 기피 현상이 나타났고 교사의 학과 이기주의로 인해 소속 학과 학생의 자유선택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었다. 성적으로 서열화 된 학과에 입학한 경우, 전공에 대한 학습열의 부족과 정체성 퇴조 등이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진로결정 및 학업과정의 설계를 위한 상담활동 강화와 지도자료 개발 및 전 교사의 상담교사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 진학지도상 관련과목 모두를 개설해야 하나 취업반의 흥미 감소와 관련 없는 보통과목 기피, 전문교과 편성의 어려움 및 교사의 수급 불안정 등 교사, 학생, 학교 차원에서 대학의 전형내용을 반영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학기의 현장실습으로 학교에서 보낼 시간이 단축되어 정의적인 교육의 결손과 진학반 학생들의 사설입시학원 수강 등의 편법이 성행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학생선택과목의 이동수업시 통합교과와 보통교과를 나누어 반편성을 하고 취업반은 현장에서, 진학반은 학교에서 수업하므로 현장에서 돌아온 취업반의 들뜬 정서가 원만한 차시수업 진행을 방해하여 밀도깊은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수준별수업 편성용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무감각과 낮은 학력수준으로 수준의 구분이 무의미했고 해당 교실의 분실 사고와 기물 파손을 최소화하고 이동에 대한 자연스러운 생각을 갖게 만드는 생활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재량활동은 계열별 필수교과를 실시하여 대학수능시험 직업탐구영역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으나 이론위주의 수준별 수업도 아니고 이론·실습 통합교과의 전문과목 수준도 아닌 애매한 수업이 주를 이루었다.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은 학교장 훈시 및 특강 등에 사용되기도 하고 학생선택권제에 따라 소외된 교사의 수업형평성 차원에서 운영하는 학교가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결론 및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면 행·재정적 면에서, 업무 프로그램과 교수·학습방법, 교재개발에 따른 경비 지원, 개발한 교재의 인정 절차 간소화, 타 학교나 기관과의 공동 교육과정 운영지원, 학생들의 외부기관 파트타임 일에 대한 재량활동 인정, 직업훈련학교와 같은 지역사회의 교육시설 이용에 따른 학점 인정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부족한 인력은 기간제 교사, 공통교육과정을 통한 타 학교 교사, 지역의 명문인사를 대체강사로 하여 보충하고, 다른 기관이나 타 학교 시설 활용을 위한 이동수업도 가능하다. 교과교실 확보와 다목적 가변형 교실의 건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학과목표와 전문성을 가진 교육과정의 편성으로 학생의 과목선택권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즉, 다양한 코스를 위한 과목군들을 마련하여 저조한 학력과 학부모의 무관심 등에 따른 특성없는 과목선택이 되지 않도록 이수 계열을 개발하고 학생은 이러한 코스 집중 계열을 선택하게 해야 한다. 학생과목선택권에 따른 전공학과의 정체성 퇴조를 막기 위해서 입학 직후 소속 학과의 특징 교육,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다른 학과에 관심이 있는 경우에는 원하는 과목의 수업을 받게 한다. 이 때 다수의 학생들이 지역 산업체에 취업하므로 지역의 특수성에 걸맞는 과목의 개설은 필수적이다. 4년제 대학 희망 학생을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만이 해결책이며 정원 내 동일계 모집비율의 확대와 전형내용의 완화·조정이 필요하다. 보통·전문교과 82단위만으로도 지원할 수 있게 하여 실업교육의 활성화를 기해야 한다. 현장실습 개선방안으로는 교내실습조를 만들어 교무실, 행정실, 상담실 등에서 손님접대, 전화예절, 서류정리 등을 실습하여 취업에 필요한 정의적인 부분을 해결하고 그 시간만큼 원하는 교과를 학교에서 배우도록 취업생을 배려할 수 있다. 수준별 이동수업보다는 학급내 수준별 분단이나 조별로 하여 공업계 고교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재를 개발 활용하여 개별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교과 재량활동 시간에는 계열필수과목 뿐만 아니라, 수준별 반편성은 안하더라도 국민공통 기본교과의 심화나 보통교과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창의적 재량활동은 교사수급이나 학교의 여건 및 시설을 고려한 편법 운영보다는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역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For the smooth application of the 7th curriculum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ree things; 1. option-centered curriculum 2. dividing students into advanced, regular or lower level classes 3. discretionary activities. It considers how they are running, investigates the difficulties in their operation and presents some improvements on them. To achieve these aims, the proposed research points follow: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running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in dividing students into different level classes, in running the discretionary activities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To solve this question, not only careful inquiry on the 7th curriculum was done, but also a lot of research on the previous studies and dissertations,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research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journals, etc.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knowledg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To grasp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application of 7th curriculum, I visited the research school designated by the Board of Education on the subject of the 7th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analyzed the school's programs, the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some related materials. Through such work, the interview paper was prepared and the interview was given to the teachers working in the four technical high schools in Kyunggido, Kyungnam, Chungbok and Daejun area. Through the results from the above-research, several aspects were shown. First of all is the system reorganization of each school. In the aspec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inancial support was needed on the school affairs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More teachers and some annex for new classrooms were needed because a decrease of the class size and an increase of new classes was expected when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bination classes were done. Due to insufficient supply of teachers, the schools didn't put all common basic curriculums in the 10th grade and instead put some of them in the 11th grade. The schools put some subjects which were not chosen by students in discretionary activity programs. Certain optional subjects were preferred; it showed that schools putting importance on entering colleges avoided the subject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chools which preferred technical subjects avoided some difficult subjects. Due to the selfishness of some teachers, teachers discouraged choosing subjects of other departments and sometimes they didn't open some optional subjects for other department students In the case of those who entered a department that they didn't actually want because of their scores, they showed low zeal for their study and identity deficiency for their major, etc. So, some counselling activities needed to be reinforced for the decisions of further courses in the future and the design of studying process for the students. All the teachers needed to do counsell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guidance materials. To enter four-year colleges that ask for the basic minimum units of completion of a course of study, all the related subjects should be school-designated subjects but with the decrease of studying interest of employment students, the avoidance of ordinary subject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ir study, the negative influence of technical subjects organization, the unstable supply of some other ordinary and technical subjects teachers except compulsory(screening) subjects teachers, etc conflict with one another; teachers, students, and the school. So, it was not easy to reflect the contents of college screening. On-the-job training for six months led to a shortage of school life. it was predicted that students who want to go to colleges would use this period for their own purpose like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of entrance examination, etc. For the shift classes of optional subjects, the classes are organized by two; 12th grade students' synthesis course and ordinary course of the entrance class. So employment class moved to the actual job sites and the college-entrance class studied at school. Later, when the employment-class students came back to school, they disturbed the atmosphere of the next classes with their restlessness and gave a lot of difficulties to the classes. It showed that students weren't concerned much about the evaluations for the shift classes divided by different levels and the teachers felt a lot of burden about the excessive evaluation work. Students were quite low in the basic learning ability and it was quite hard to divide students into different levels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s in such classificatio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es for each subject were composed with required subjects to the departments and it was for the preparation of the vocational search field of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 For the college-entrance class teaching classified by levels should be done with the materials focused on somewhat theoretical things but actually it wasn't done. For the employment class, the level should be technical subject of theory·practice combination, but it was not that way because of the lack of the supply of teachers, classrooms and facilities.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classes were filled with the principal's addresses related to students' morals, lectures for cultivating sharing and cooperative spirits, and classes for the subjects which were not chosen by the students, etc. Through all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urgent. With the supply of classrooms and teachers, school affairs progra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etc are requested to be done at the level of nation, province and city board of education. The procedures of recognition of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implified and it is needed to activate such external activities as join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with other schools or other agencies(bodies); approving the part-time work students did in the outside bodies as discretionary activity and confirming the credits students got through some local educational facilities like an occupation training school besides a regular course. To fill up the shortage of teachers, temporary teachers, other school teachers to arrange common educational curriculum, some local people with appropriate knowledge can be the lecturers and some mobile classes to use the facilities of other schools are possible. Building classrooms for each subject's class should be obtained(assured) and building changeable classrooms for big and multipurpose should be considered. The curriculum organization which has clear aims and professionalism is needed for students' various options(the enlargement of the students' optional rights). School should provide various courses and subjects for students to choose. Poor scholastic ability and parents indifference can not give any influence in student's choices and it is impossible to choose some subjects freely owing to school circumstances. So, teachers have to develop some good programs for students to avoid unnecessary choices and students can choose some intensive course subjects useful to their study. This way, the students' options will function well. According to students' subject options, to prevent identity deficiency about their majors, some education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ome career options after graduation should be done soon after the entrance to high school. In the case that students have more interest in some other department than in his or her own, he can attend the other classes. The local characteristics are a primary factor. If the local area is focusing on consumption, the opening of commercial business subject is required. When we see that many students get jobs in the local industrial companies, the curriculum organization of the school itself is quite potent influence. For the students who want to enter four-year colleges, the improvement of system is the only way. The registration rate of the allied course of study in the entrance quota of the college should be enlarged and the contents of university screening should be mitigated and mediated. The vocational education could be activated when students are allowed to apply if students completed more than 82 units in ordinary and technical subjects. To stimulate technical high school education, each school should be assured of a degree of autonomy in policy making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As one of the ways to reduce the period of the job-site training, in-school training groups can be organized and the students can do shift working in the teachers' office, staff-office or counselling room, etc. Here, they can train how to welcome people, how to answer the phone and how to file papers, etc, and get some friendly feeling education needed for getting jobs. This way, students can save time and learn some other technical subjects at school. Instead of classified shifting classes, it would be better to divide students into groups or teams within one class and apply various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different level class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he levels of the materials should be quite low compared to the difficulty of ordinary high school course materials. Using the subject discretionary activity time, the school should give students the chance to choose not only the required subjects to the major but also ordinary subjects or the further study of the basic subjects in general common course even though the classes don't need to be classified. Through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time, the school should provide students the chances to have various and broad ideas with the curriculum suited for the local characteristics using all possib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stead of using some expedient ways due to teacher shortages or poor school facilities or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