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구야담』의 轉載과정과 編制양상 연구

        남궁윤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67

        본 연구에서는 『청구야담』의 작품 전체를 대상으로 전대 이야기와의 전재관계와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집의 구축과정과 체제를 살폈다. 19세기 야담은 크게 19세기 초·중반의 야담과 후반의 야담으로 나뉜다. 전자는 전대 야담의 창작적 흐름을 이어 받았지만, 후자는 이미 저술된 이야기를 다시 모아 집대성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구야담』의 찬술시기를 재검토하여 1830∼1834년으로 잠정하였다. 그런데 『청구야담』은 19세기 전반과 후반 사이에 자리하면서도, 이 시기 야담집과 다른 독자적 성격을 지닌다. 『청구야담』의 다음과 같은 성격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다. 첫째, 『청구야담』은 이미 저술된 전대 이야기를 모아 찬술한 야담집이다. 이것은 『청구야담』과 전대 13종의 야담집, 16종의 문집 및 잡록류, 그리고 구연 전통을 잇는 이야기와의 전승관계를 살핀 결과이다. 『청구야담』과 전승관계를 확인한 이야기는 총 191화 가량으로, 전대 야담집과 전승·전재관계가 있는 작품은 172화, 문집과 잡록류와 전승·전재관계가 있는 것이 29화 가량이다. 그리고 구연적 경향이 있는 민담류 유형과 당대 경험을 수록한 작품은 십 여편 이상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청구야담』은 총 290화의 작품 중 2/3이상을 이미 있는 이야기를 전재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 또한 전대 이야기를 모은 찬집으로 일변된다. 한편, 『청구야담』의 찬자가 전대 이야기를 모으더라도, 시대별, 야담집별로 일정한 작품 유형과 패턴이 있다는 점도 논의를 통해 주지하였다. 둘째, 『청구야담』은 적층된 이야기를 전재의 방식으로 구축한 야담 총집이다. 『청구야담』의 작품은 오랜 시간 구전과 기록이 반복되다 서사물로 정착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청구야담』에 전재되기 이전의 문헌들에 이미 서사화된 형태로 존재했던 것이다. 이는 동일 화소의 이야기라고 해도 각 문헌에 정착되었을 때, 전체 작품집의 속성 안에서 혹은 개별 작품의 또 다른 형태로서 의미를 갖는다는 뜻이다. 이런 점에서 『청구야담』의 전재양상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청구야담』은 전대 이야기의 전재로 이루어진 작품이더라도, 전재된 면모와 양상이 작품마다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 작품 선택의 경로와 전재양상에 따라 해당 작품은 전대 이야기와 변별되었다. 『청구야담』의 전재양상은 크게, 전대야담집 소재 작품의 전재, 복수의 문헌에 실린 작품의 전재, 구연되던 이야기의 전재로, 각각의 양상이 다른 형태와 특징을 지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대로 수록하거나, 일부 변개를 가하거나, 오랜 구연과 기록의 반복적 과정을 거친 이야기를 수록하거나, 구연전승 되는 이야기를 수록하거나 하는 방식이었다. 셋째, 『청구야담』은 전재할 이야기를 서사성이 고양되는 방향으로 조직하고 배치하였다. 『청구야담』은 성격이 다른 문헌, 다른 시대, 다른 인물 이야기간의 조합이라도 개별작품을 일관성있게 다듬어 수용했다. 때문에 단일 작품집으로 통합적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는 전재와 구성에서의 일관성으로 이야기의 사실 증명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흥미성이 담보된 이야기는 그대로 가져 왔으며, 서사의 초점이 불분명한 이야기는 추가, 탈락 등의 방식으로 전대 작품을 조직하고 배치하였기에 가능했다. 요컨대, 『청구야담』은 전대 작품을 전재하며 정연하게 편제한 야담의 통합적 결과물로 구축된 작품집이었다. 그런데 『청구야담』에는 이러한 전재와 편제방식이 적용되지 않는 이야기가 있다. 바로 효, 충, 열을 다룬 작품이다. 이를 주제로 한 『청구야담』의 작품은 상당히 긴 분량의 평을 전혀 탈락시키지 않고 그대로 전재한 경향이 있었다. 『청구야담』은 비록 서사성을 제고한 형식의 편제를 취했지만, 당대 이념의 중요한 국면을 담은 이야기는 그대로 수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청구야담』의 전재방식과 구성체제는 어떤 종류의 작품집을 가져오더라도 일관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청구야담』의 문학적 성취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준거가 된다. 이상의 본 연구는 『청구야담』의 그간 연구적 평가를 재고하고, 전재된 작품의 내적 의미 부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여긴다.

      • 『消閒細說』 硏究

        장현곤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8

        『消閒細說』은 단국대학교 율곡도서관 소장 나손문고본 1권 1책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지만 북한에 이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본의 내용과 비교할 때 소재 화소에 출입이 있어 원본이 따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消閒細說』은 이익회에 대한 영사기인 「巡營知印廳永思事蹟記」와 그 화소 중 일부가 황해도 지역과 친연성을 보이고 있어 황해도 지역에서 편찬된 것으로 확인된다. 『消閒細說』은 야담의 창작과 향유층이 鄕任 以下 아전 계층으로 까지 확대된 양상을 보여주는 야담집으로 19세기 야담의 흐름에 일정 부분 함께 하면서 차별화된 면모를 보인다. 우선 야담집 산출 방식에 있어 19세기에 일반적이었던 전대 야담집에서 찬자의 취향에 맞는 이야기를 발췌하여 재배치하는 원칙과 다른 초기 야담집의 견문 방식을 취하고 있다. 때문에 당대에 많이 향유되고 유포되었던 ‘『東稗洛誦』→『溪西雜錄』→『紀聞叢話』’로 이어지는 계통의 야담집들과는 일정 거리를 두고 있다. 이는 『消閒細說』 편찬 지역과 편찬자의 신분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그 내용에서 허구화 등의 정황을 볼 때, 『消閒細說』의 편자가 이야기들을 ‘역사적 사실’로 파악하지 않은 것은 분명한데, 『靑邱野談』과 같이 ‘서사적 진실’을 수용하고 보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편찬자가 작품 편찬에 있어서 주로 고려한 사항은 이야기의 흥미에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담아낸 편자의 필치는 다분히 자신의 문예취향으로 문예적 표현의 강화 등의 글쓰기 방식에 의해 야담의 질박한 표현과 어기를 훼손하고 주제의식에서도 교훈성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消閒細說』 편찬자는 적극적으로 서사에 관여하고 있다. 서사를 이끌어가는 전지적 시점 서술자의 존재를 부각시키고, 허구적 지명과 인명을 활용하며, 등장인물의 개성을 적극 드러내는 등 작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消閒細說』의 이러한 면모는 『此山筆談』의 작가가 자신을 대신하도록 서술자를 설정한 특징과 상통한다. 편찬자의 적극적인 개입은 『消閒細說』에서 주제를 구현한 방식에도 드러나는데 그 방식은 작가의 언술을 직접 담을 수 있는 후평 활용, 작가 의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변개한 닫힌 결말, 현실의 부정적 현상이나 모순 등을 빗대어 표현해 독자들에게 웃음과 함께 깨달음을 주는 수사적 방식으로 이야기의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消閒細說』의 편찬자가 치열한 작가의식을 바탕으로 빼어난 필치를 통해 높은 수준의 작품을 창작하는 데 이르렀다고 보기는 어렵고, 다만 당시 사회와 그 의식의 변화에 관심을 두어 조선후기의 한 이야기판에서 새로운 시대 문화와 정신을 포착해 당대를 힘겹게 살아간 인물의 서사를 담아 온전히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다. This study revealed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new aspects of Ya-dam by exploring different sides of 『Sohansesol(消閒細說)』, written in late 19th century. 『Sohansesol(消閒細說)』 has been believed to be the one-and-only copy in Yulgok Library in Dankook University but another copy was found to exist in North Korea. The two copies have differences in contents so another copy, the original, may exist. 『Sohansesol(消閒細說)』 contains historical records of the governor of Hwanghae-do and some of its contents have affinity to Hwanghae-do region. So it is believed to have been published in Hwanghae-do region 『Sohansesol(消閒細說)』 shows that those who create and those who enjoy Yadam(野談) expanded to Joong-in class(中人層). Also, while joining the history of 19th century Yadam(野談史), it exhibits a distinctive aspect. It takes the style of early Yadam collections, which depend on experiences, so it is different from other 19th century Yadam collections. It seems to be the influence of 『Sohansesol(消閒細說)』’s region of compilation and status of the editor. The editor of 『Sohansesol(消閒細說)』 made the collection focusing on the fun factor and the stories contain the literary preference of the editor. So, the editor breaks away from Yadam’s typical unsophisticated expressions and style of writing, and emphasizes on lessons in terms of topics. In the meantime, the editor of 『Sohansesol(消閒細說)』 is actively involved in the narration(敍事). The editor plays the role of a writer using omniscient viewpoint and fake names of regions and characters. The activeness of the editor can be seen in the way that topics are materialized. It is the use of post-cementation(後評), closed ending, and satirical figure of speech. However, the editor of 『Sohansesol(消閒細說)』 is not a high-level writer. He paid attention to the society and the changing perceptions of that time, captured the spirit of new time and culture in the storytelling scenes of late-Joseon era, and fully delivers us the stories of characters who lived a hard time.

      • 학음(鶴陰) 심원열(沈遠悅)의 《용창총설(榕牕叢說)》연구

        김채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7

        이 논문은 19세기에 편찬된 학음 심원열의 야담집 《용창총설》을 대상으로 하는 자료 연구이다. 이 문집의 자료를 번역하고 구체적인 성격과 특징, 양상, 위상을 밝히고자 하여 마련된 것이다. 《용창총설》의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용창총설》의 판독과 번역을 일차적인 목표로 잡고 작업을 진행하였다. 《용창총설》은 원문에 입각하여 전문을 온전하게 번역한 적이 없다. 이에 본 연구자가 스스로 번역 작업을 진행해보니, 벽자 또는 난해한 글자들이 종종 등장하여 번역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음을 파악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집이 아직 번역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글자 하나하나 심혈을 기울여 판독하여 정확한 번역을 하려고 힘썼다. 그 결과 《용창총설》 전반에 대한 총괄적 점검이 가능해졌으며 논의가 새롭게 이룩되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게 될 것으로 추정한다. 2장에서는 《용창총설》이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동안 야담 연구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야담만을 대상으로 거시적·미시적 관점에서 논의해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연구시각에서 탈피하여 개인 문집에 들어 있는 야담 작품집에 주목하고 서술자와 그를 둘러싼 문학적·문화적 환경에 대해 먼저 접근하였다. 기본적으로 문인의 작품에는 서술자의 인식과 사상, 그리고 환경적 요소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개별 인물에 대한 논의와 논리적인 그물망으로 총괄적인 논의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인물의 성격와 의의를 엮어가는 심원열의 기본적인 사고 틀을 논의할 수 있었다. 4장에서도 분류한 21명의 화소를 총괄적으로 도출해내어 ①지인지감, ②신이담, ③도덕적 이념 추구, ④당파론 ⑤견문담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심원열의 서술의식과 지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용창총설》에 입전되어 있는 21명의 개별적 인물에 대한 논의를 정밀하게 진행하였다. 즉 ①김징, ②김석주, ③유혁연, ④이준경, ⑤신숙주, ⑥정철, ⑦윤두수, ⑧김류, ⑨이명, ⑩원두표, ⑪이기축, ⑫조태채, ⑬김춘택, ⑭최규서, ⑮유척기, ⑯권대운, ⑰이광좌, ⑱송인명, ⑲김응순, ⑳이종성, ㉑이수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개별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용창총설》의 편찬이나 찬술에 심원열의 분명한 의도가 있었음을 보게 되었다. 아울러서 《용창총설》에 서술된 입전인물 21명을 배치하는 서사가 네트워크라는 특정한 구조 속에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 속에서 심원열이 엄선한 인물을 포폄하고 자신이 직접 견문한 바에 근거하여 식견이나 관찰을 중심으로 사대부의 일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용창총설》의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형적인 ‘인정기술-행적부-논찬부’라는 전의 기본적 형식을 추구하면서 입전인물의 일대기와는 다르게 특정한 인물의 내력에 집중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한편, 노론벌열의 의식적 투사가 21명의 인물에 집중되어 나타난다. 이로써 심원열이 자신의 주변부 인물에서 출발하여 시대를 오르내리는 특별한 의식이 시공간적으로 확대되어 나타나는 점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용창총설》이 지니고 있는 문집의 역사적 성격과 위상을 19세기 조선후기 시대상과 연결하여 해명하였다. 《용창총설》에 구현되는 특별한 서술의식은 인물과 시대, 인물과 인물의 상호 연계성을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인물의 개괄적 사례와 인물의 문제의식이 주목된다. 독자적인 구성 원리를 드러내고 있는 이 야담집의 위상은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전, 야담, 서사류 등의 다면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용창총설》의 가치와 의의를 더욱 새롭게 규명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가 진행한 《용창총설》의 연구는 입전인물 21명에 대한 서사와 그것이 내포한 의미가 무엇인지 밝힌 것이다. 입전 인물들은 단순하게 서술되지 않고 심원열 특유의 관점에 의해 선택되었으며, 사실 서술과 의미파악을 동시에 하고자 한 결과로 드러났다. 여기서 심원열은 노론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당파적 인물의 일화를 전개하되 입전인물 사이의 역사적 계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동시에 입전 인물간의 역동적이고 상호관련적인 네트워크를 선명하게 나타내었다. 종래의 여타 아답집과 준별되는 《용창총설》의 독자성으로는 인물의 중복 등장, 서사적인 짜임새와 구성원리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용창총설》에서는 입전된 인물의 평가가 매우 편향적으로 나타나는 동시에 일정한 상호관련성도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특히 논찬부에서 입전인물의 차별성이 잘 드러난다는 점도 자못 특징적이다. 더불어 견문담, 즉 자신이 직접 주변에서 들은 이야기를 채록한 결과도 반영되어 있어서 매우 이례적인 야담집이라고 볼 수 있다. 《용창총설》에서는 한 개인의 인물 이야기가 전체를 구성하는 것에 핵심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용창총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인물 개인의 이야기와 전체 이야기의 구성이 서로 긴밀하게 맞물려 있는 것도 확인했다. 인물의 이야기는 서술자 심원열에 의해서 철저하게 균질감 있게 서술되면서 여러 인물이 지속적으로 얽히는 특징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점에서 이 자료집은 여타 야담집과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진 것임이 판명되었다. 서사 속 인물의 지속과 변화, 인물의 중복과 교차, 반복과 병렬, 이야기의 결이 맞는 맞물림과 결이 다른 엇물림이 교묘하게 처리된 저작이라고 하는 점에서 서사문학 연구에 일정하게 기여하고 있는 점이 규명되었다. 서사문학사에서 이러한 구성 방식을 선택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물의 관계가 단순하지 않듯이 여러 인물의 이야기가 구조적으로 서로 얽혀 있음을 밝혔다. 여러 인물을 한데 엮은 옴니버스식의 서사구조, 한 인물이 여러 장면에 등장하는 피카레스크식 구성, 한 인물의 이야기를 하나로 엮지 않고 다양하게 엮는 인물의 삽화적 전개 방식 등은 이 《용창총설》의 특징적인 현상임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특히 특정한 부분에서 여러 인물의 이야기가 서로 지속되면서 변화되고 중복되면서 차별화되는 형국은 이 작품집의 커다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러한 식으로 인물 군상을 보여주는 것은 서사문학사에서 흔하게 보이던 현상은 아니었던 만큼, 이 저작은 더욱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파악했다. This research paper aims to study Hakeum Shim Wonyeol's Yongchang Chongseol, a collection of stories compiled in the 19th by the author Hakeum Shim Wonyeol. This collection was specifically designed to address: the translation of the material, detailed characteristics, modality, and topology. Translation of the material was the prioritized goal as it would clarify the meanings within "Yongchang Chongseol,” The original text of Yongchangchongseol has previously never been fully translated, which was challenging. Furthermore, when the researcher attempted to translate the work themselves, it was significantly tricky as abstract or unused characters were frequently present. Hence, each letter was heavily analyzed, and the researchers did their best to provide the most accurate translation for sections that needed to be translated. With these efforts, researchers predict that new discussions around the stories will come to fruition as Yongchangchongseol could now be analyzed comprehensively. Chapter 2 provides a discussion on the catalyst regarding the origins of Yongchangchongseol. Previously, only unverified tales were analyzed, with only perspectives such as macroscopic and microscopic ones being available. This study utilized a different analysis method by focusing on collecting unverified works within personal exhibitions and approached each piece considering the narrator's literary and cultural environment. This is because the author’s works are influenced by their narrator's perception of the world, schema, and environmental factors. Chapter 3 utilizes objectivity to provide a comprehensive debate for each character. It showed that Shim Wonyeol's fundamental schemas provided a basis that interwove through the fictional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significance. 21 motifs were identified in Chapter 4 and analyzed with these elements: ①One's ability to judge another's character, ②Suoerhumanism, ③ Pursuit of ideal morality, ④Partisanship, ⑤One's a sense of moral righteousness.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d Shim Wonyeol's narrative consciousness and aims. Chapter 4 included an in-depth analysis and discussion of characters within Yongchangchongseol. These characters were individually sequentially analyzed: ①Kim Jing, ②Kim Seok-Ju, ③Yoo Hyuk-Yeon, ④Lee Jun-gyeong, ⑤Shin Suk-Ju, ⑥Jung-cheol, ⑦Yoon Doo-su, ⑧Kim Ryu, ⑨Lee Myung, ⑩Won Doo-Pyo, ⑪Lee Ki-chuk, ⑫Jo Tae-Chae, ⑬Kim Chun-taek, ⑭Choi Kyu-seo, ⑮Yu Chuk-gi, ⑯Kwon Daewoon, ⑰Lee Gwangjwa, ⑱Song In-myeong, ⑲Kim Eung-soon, ⑳ Lee Jong-Seong, ㉑ Lee Soo-hang. During this process,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re was a clear intent from Shim Wonyeol to compile the stories together. Additio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21 characters, as mentioned above, were structured to fit within a particular network as the stories unfolded. what's unique about this network structure is that within Yongchangchongseol Shim Won-yeol meticulously selects a character to portray the daily lives of nobles based on his schematic knowledge and observations. Also, it follows the standard structure 'Injung skills- Hangjeokbu- Nonchanu' while focusing on a specific character, unlike a biography. on the contrary, there was an effot to put conscious projection of old faction doctrines on the 21 characters. The study confirmed Shim Wonyeol's unique schematic viewpoint beginning from his social circle and continuing to other generations, expanding in time and space. Chapter 5 aims to explain Shim Won-yeol's Yongchangchongseol's historical contexts and tropes regar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Shim WonYeol's Yongchangchongseol's characters and periods are deeply interconnected, with character interactions displaying the connections prominently. Through these interactions, the study notes the standard examples and makes problematic frameworks of characters stand out. The collection of these tales holds unique value through revealing its principles of composition, and are shown to have can be multi-faceted interpretations, such as jeon, historical tales, and narratives. This allowed the study to cement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Yongchangchongseol further. In conclusion, researchers revealed the narrative significance embued within the 21 characters and their implications within "Yongchang Chongseol.” Of course, the paper does not just provide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Still, interpretations based on Shim Won-yeol's unique perspective resulted in aiming to describe facts and speculate about their meaning simultaneously. Here, Shim Won-yeol maintained Noron's position and developed anecdotes of partisan figures, revealing the characters' historical genealogy. Concurrently, the narrative displayed the dynamics and interrelated networks between the warring characters. What makes Yongchangchongseol so unique and differentiated from other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are the overlapping appearances of characters, unique narrative structures, and composition principles. Moreover, the evaluation of the person who entered the war is very biased while also revealing specific interrelationships within Yongchangchongseol. Mainly, Nonchanbu shows heavy contras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s it reflects the stories the author has heard himself, records of Gyeonmundam, it's recognized as an exceptionally unique collection of historical fables. Each character’s personality is crucial to the buildup of the whole story of Yongchangchongseol. These could also provide new avenues for analyzing Yongchangchongseol.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dividual story of the characte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entire story was closely related. The narrator, Shim Won-yeol's character's stories continuously interconnect specific characters while it is described thoroughly and homogeneously. Hence, our research concluded that this work was widely different from other tales. These works are cleverly shown to have sustained character interactions in the narrative, displaying repetition and parallelism and sustaining different tones. This writing style is unusual in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The stories of several characters are structurally intertwined, while the characters' relationships remain interlocked and complex. The characteristics of "Yongchangchongseol" can be described as the Picaresque composition of one character in different scenes, the illustrative development of intertwined characters, and the omnibus narrative structure of several characters. Specifically, the impotent potential of this work can be described through how it tells a complex tale with a wide cast of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Our study confirmed the immense significance of this unique work within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as it depicted an incredibly unique phenomenon between character relationships.

      • 鄭顯東의 '晩悟謾筆' 연구

        장현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9567

        이 논문은 '晩悟謾筆' 수록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 실체를 확인하고 야담사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간 야담과 야담 연구사에서 주로 논의된 야담집은 거의 노론계 인사들의 야담집이었다. 이는 실존하는 자료의 한계에서 기인했다. 그런데 1812년경 편찬된 것으로 보이는 남인계 인사 정현동의 야담집 '晩悟謾筆'이 발굴‧번역되었다. '晩悟謾筆'은 1차 야담집으로 다른 1차 야담집들과 화소를 공유하기도 하고, 새로운 화소를 담아내기도 했다. 또한 '靑邱野談'‧'東野彙輯' 등의 2차 야담집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기존 전승 관계가 확인된 화소를 공유하기도 하고, 새로운 전승 관계가 파악되기도 한다. 특히 '靑邱野談'과의 관련성에서 중요한 시사점들이 있었다. Ⅱ장에서는 '晩悟謾筆'의 저자 鄭顯東의 가계와 사승관계 등을 담은 자료에서 문학사에 처음 등장한 鄭顯東이란 작가의 문학적 기반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晩悟謾筆' 편찬자의 내면 의식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일부 살펴 그 특징을 포착했다. 그리고 '晩悟謾筆'의 서지사항을 고찰해 관련 기본 사항을 확인하고, 上卷 俚語 86칙과 下卷 古事 108칙으로 구성된 각 권의 내용을 간략히 살피는 등의 작업을 통해 '晩悟謾筆'의 이해를 위한 기초 작업을 했다. Ⅲ장에서는 먼저 '晩悟謾筆'의 前史라 할 수 있는 작품들을 일람해 본고 연구 자료의 기반을 확인했다. 선정 주요 대상은 李光庭(1674~1756), 姜樸(1690~1742), 趙普陽(1709~1788), 柳慶種(1714~1784), 成涉(1718~1788), 李克誠(1721~1779)의 저작이다. 이어서 '晩悟謾筆'의 史的 위상을 야담 서사의 집대성작 '靑邱野談'과의 비교‧대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晩悟謾筆'의 편찬자는 기존 잘 알려진 노론계 야담집과 화소를 공유하고 그와 다른 특색있는 서술을 했다. 몇 작품들은 자료의 부재로 기존에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유화의 전승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한편 '晩悟謾筆'의 애정‧결연담 중 기존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화소들이 있다. '晩悟謾筆'의 독자적 성격을 보여주는 작품들로 일부 화소는 편자의 직접적 수사가 가미된 것으로 보인다. Ⅳ장에서는 '晩悟謾筆' 작품들을 선별하고 그 특징을 살펴 '晩悟謾筆'의 주제 의식을 고찰했다. 그 특성은 제재별로 구분해 살필 수 있었다. 선정한 각 제재는 科擧談, 致富談, 女性談, 結緣談이다. 조선 후기의 정치 상황은 출사를 기대할 수 없는 혹독한 환경으로 변하고, 사회‧경제적 변화는 신분제 동요까지 일으켰다. 만오는 이러한 시대 상황과 서사 흐름 속에서 兩班家와 士의 위기를 감지하고, 거대한 운명과 그에 대응하는 인물 형상을 간취해 기록했다. 만오는 그 인물 형상을 통해 당대 사회가 요청하는 윤리적 대안을 제시했다. 한편 여성담에는 여성에 대한 당대의 요구만이 아니라, 당대 모순에서 기인한 현실 속 균열도 포착하고 있다. 그 작품 속에는 당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만오의 안타까운 시선이 보인다. 본고는 '晩悟謾筆' 연구를 통해 '霅橋漫錄'과 비슷한 '晩悟謾筆'의 야담사에서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간 잊힌 채 방치됐던 남인계 이야기판의 서사 세계 일부를 우리 문학사에 편입시킬 수 있었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narrative work of 'Mano-Manpil(晩悟謾筆)'. The subjects mainly studied on Yadam(野談) are the Noron Fraction(老論系)’s Yadam(野談) collections. This is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Yadam(野談) collections. However, 'Mano-Manpil(晩悟謾筆)', a collection of Yadam(野談) by Jeong hyeon-dong(鄭顯東), was discovered and translated. 'Mano-Manpil(晩悟謾筆)' is the first book of Namin(南人)’s Yadam(野談) collections. It shares works with the other first collection of Yadam(野談), and it introduces new work. It is also related to the second collection of Yadam(野談) such as 'Cheongguyadam(靑邱野談)' and 'Dongyahwijip(東野彙輯)'. It not only shares the already known stories but also contains new transmission stories. In particular, its relationship with 'Cheongguyadam(靑邱野談)' is special. Chapter 2 of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uthor and 'Mano-Manpil(晩悟謾筆)'. Jeong hyeon-dong(鄭顯東) is first introduc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This chapter studied his perception of the times and his sense of writing. And this paper looked at the main object of 'Mano-Manpil(晩悟謾筆)' roughly. Chapter 3 of this paper surveys the writings of Lee Kwang-jeong(李光庭), Kang Bak(姜樸), Jo Bo-yang(趙普陽), Ryu Kyung-jong(柳慶種), Sung Seop(成涉), and Lee Geuk-seong(李克誠). In their writings, this paper found works with a tendency towards Yadam(野談). And this paper studied the historical status of Namin(南人)’s Yadam(野談) collections. The method of the study is a contrast to 'Cheongguyadam(靑邱野談)'. Jeong hyeon-dong(鄭顯東) shared motifs with the Noron Fraction(老論系)’s Yadam(野談) collections. And he gave a special description stories. Some works show new literal transmissions of stories. Some of the works are new, independent works. Chapter 4 of this paper select 'Mano-Manpil(晩悟謾筆)' works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should be categorized by sanctions. Jeong hyeon-dong(鄭顯東) senses a crisis in the rapidly changing times and narrative trends. He found and recorded figures corresponding to huge fates. Through the figure of a person, he suggested an ethical alternative that the society of the time. The Namin Fraction(南人系)'s Yadam(野談) had and distributed various stories. This paper confirmed the value of these works. And the forgotten Yadam(野談) were incorporated into our literary history.

      • 19世紀 後半~20世紀 初 筆寫本 野談集 硏究 : <金溪筆談>, <此山筆談>, <揚隱闡微>를 대상으로

        권기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34143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나온 필사본 야담집을 대상으로, 그 존재 양상과 서사구성 및 서술방식을 고찰하여 야담사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시기 야담집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19세기 중엽의 3대 야담집 이후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야담집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흡하거나, 산발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19세기 중엽 󰡔청구야담󰡕을 포함한 3대 야담집의 성행은 분명한 사실이며, 19세기 후반이라는 세기말적 경향,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라는 특수한 시대성은 야담의 전통적 장르로서 시효 만료를 점차 촉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양상의 실재가 어떠한지는 적극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야담집인 󰡔금계필담󰡕, 󰡔차산필담󰡕, 󰡔양은천미󰡕를 대상으로 해당 야담집의 서사구성과 서술방식을 살펴본 뒤 그 특징과 야담사적 위상을 재조명해 보고자 했다. 19세기 중엽을 거치며 야담은 전대 야담집을 단순히 전재(轉載)하거나, 전대 야담집의 관습을 유지‧계승하며 존재하거나, 전대 야담집의 야담을 변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명맥을 이어간다. 이중 가장 활발했던 양상은 전대 야담집의 단순 전재의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는 야담의 향유가 특정집단의 전유물적 성격으로부터 다양한 집단의 적극적 향유의 개념으로 변해가는 것을 의미한다. 적극적 편찬의 견지에서 19세기 중엽 이후의 야담집은 여전히 전대 야담집의 관습을 유지하거나 변용시켜가며 존재하고 있었다. 󰡔금계필담󰡕은 필기와 야담이 혼합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형태상으로는 18세기 야담집을 계승하면서, 편찬자 서유영의 견문에 따른 이야기와 당대에 구전되던 사대부판의 이야기에 폭넓게 관심을 기울였다. 짧은 일화들이 기계적으로 병치되거나, 소재 유화의 모티프가 반복되어 사용되기도 하는 등 서술체적 특징은 일관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범적 인물들의 남다른 행적과 행위를 확인하면서 낭만적인 세계와 가치를 추구하며 혼란한 시대에 대응하고자 했던 서유영의 편찬의도가 드러난 야담집이라 할 수 있다. 󰡔차산필담󰡕은 당대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전대 야담에 수록되어 있던 몇 개의 이야기들을 묶어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고자 하였다. 즉 편찬자 배전은 단순히 이야기를 전재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구체성의 증대, 일화의 유기적 결합, 핍진한 묘사 등을 통해 야담의 새로운 형태를 견인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편찬자 자신의 처지에 맞는 가난하고 결핍된 인물들의 다양한 욕망과 성취를 그려내어 적극적인 편찬의도를 드러내고자 했다. 다만 서술자의 시각이 지나치게 강해지면서, 전대 야담집에서 나타나던 문제해결의 낭만적 인식이 더욱더 비현실적으로 변해가기도 했다. 󰡔양은천미󰡕는 여러 장르가 혼합된 야담의 형태적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다수의 이야기들에서 여러 야담을 하나로 엮어 소설에 가깝게 만들었다. 한국과 중국의 소설이나, 신문의 기사에 이르기까지 원천을 뚜렷하게 지적하기 어려운 다양한 곳에서 야담의 소재를 취택하여 적극적으로 변개시키고 있었다. 이는 남녀 간의 결연이라는 통속적인 소재와 전기적 세계의 추구라는 흥미성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했던 󰡔양은천미󰡕의 편찬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세 야담집의 서사구성과 서술방식의 분석을 통해 19세기 후반~20세기 초 필사본 야담집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것은 18세기 야담에서 시작되었던 자기 경험의 서사가 19세기 후반을 지나면서도 여전히 야담의 주요 소재원이 되었다는 점이다. 또 한편으로는 19세기 중엽의 󰡔청구야담󰡕, 󰡔동야휘집󰡕이 보여주었던 서사편폭의 확장과 야담계 소설로의 전이 현상이 더욱더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20세기 초 󰡔양은천미󰡕에서는 경험의 서사는 거의 사라지고 소설에 가까운 야담들이 주로 수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경험 서사가 지닌 메타포의 한계와 신문이라는 새로운 매체를 극복하고자 했던 야담의 자기 모색과정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천예록󰡕이나 󰡔학산한언󰡕과 같은 18세기 야담집에서 주로 볼 수 있었던 비현실적 이야기들이 이 시기 야담집에 다수 등장하고, 󰡔동패락송󰡕, 󰡔청구야담󰡕 등에서 주로 확인할 수 있었던 현실적 지향의 이야기들 역시 해당 시기 야담집에서 지속적으로 간취된다. 󰡔금계필담󰡕이 주로 비현실적 지향을 표방했다면, 󰡔차산필담󰡕은 철저히 현실적 지향의 이야기들을 수록했고, 󰡔양은천미󰡕는 이 두 가지 요소가 모두 혼재된 경향을 보인다. 요컨대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야담집은 현실지향과 비현실적 지향의 이야기들이 길항하며 공존하던 시기이며, 이것이 편찬자의 개인적 취향과 문학적 동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필사본 야담집은 전 시기 야담집의 담당층에서 벗어나 새로운 매체를 선택해가는 과도기적 상황에서도 잔존해갔다. 편찬방식, 서술체적 특징, 의미적 지향에서 전대의 것을 계승하면서도 변모를 보이며 변화해 갔던 것이다. 시대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담아내지는 못했지만 필사본 야담집은 야담이 나아가야 할 바를 분명히 제시하고 있었다. 야담의 경향이 ‘고담’에 가까운 짧은 이야기의 모음집 정도로 파생되어 가는 와중에도, 여전히 적극적인 편찬자들은 방법론적 전통을 계승하고 새로운 움직임을 통해 변해가고자 했다. 따라서 이것을 야담의 쇠퇴나 해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야담의 전통은 여전히 계승되고 확장되면서 자신의 모습을 재편하는 자기 갱신의 또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storybook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aims to study their aspects of existence, narrative composition, and narrative methods, and to find out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ical storybooks. The reason is that after the three major historical storybooks in the mid-19th century, the evaluation of historical storybook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were evolving into the modern historical stories, is comparatively insufficient or only sporadic. Obviously, however, the prevalence of the three major historical storybooks including Cheongguyadam in the mid-19th century is a clear fact. The fin-de-siecle nature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uniqueness of the time period that was moving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was advancing the expiration date of the historical stories as a traditional genre. However, it has never been found what the actual aspects of historical stories were like. With this issue in mind, this paper targeted Kumkyepildam, Chasanpildam, and Yangeuncheonmi, historical storybook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examined their narrative composition and narrative methods, and tried to shed a new light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status in historical storybooks. Over the mid-19th century, historical stories subsisted through various ways. They reproduced existing historical storybooks, maintained and inherited the conventions of previous historical storybooks, or modified existing historical storybooks. Among these, the most prevalent was the first, reproducing existing historical storybook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however,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gression from the exclusive nature of a certain group to active enjoyment of various groups.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e compilation, historical storybooks since the mid-19th century existed through maintaining or modifying the convention of the previous generation. Kumkyepildam shows the mixed form of notes and historical stories. It inherits the form of historical stories in the 18th century and focuses on the stories of the compiler, Yuyoung Seo’s experience and the stories of the nobility of the day. Its narrative characteristics were not consistent as short episodes were mechanically juxtaposed and motifs of similar materials were repeated. However, it showed the intention of the compiler, Yuyoung Seo to reveal the whereabouts and behaviors of exemplary characters, pursue a romantic world and values, and respond to the confusing era. Chasanpildam takes the form of stories that are close to historical novels and tried to compile one story by combining not only the stories of the days but several historical storie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e compiler, Jeon Bae, did not simply reproduced existing stories but can be seen to have led a new form of historical stories by increasing specificity, organically combining episodes, and giving realistic descriptions. While doing so, by depicting the desires and achievements of poor and deficient people that correspond to the status of the compiler, Jeon Bae, it tried to express the active intention of compilation. However, the view of the narrator became too strong and the romantic perception of solving problems that was seen in the historical storie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urned to be more unrealistic. Yangeuncheonmi compiled various historical stories into one and made it close to a novel, or added Korean and Chinese novels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stories that combine various genres. Especially, it adopted the materials of historical storie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newspaper and other sources that are hard to trace back, and actively modified them. This can be due to the intention of compiling Yangeuncheonmi that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popular theme of marriage between a man and a woman and the interest factor of pursuing the romantic world. The analysis of narrative composition and narrative methods of these three historical storybooks show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s of historical storybook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That was the narration of one’s own experience that started from historical stories of the 18th century continued to be the main source of historical sto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meantime, however, the phenomenon of expanding scope of narration and progression to the historical novels that was shown in the mid-19th century in Cheongguyadam and Dongyahuijip tended to become stronger. In Yangeuncheonmi of the early 20th century, the narration of experience almost disappeared and historical stories close to historical novels showed up, which can be seen as the process of self-exploration that tried to overcome the quantitative limitation of the metaphor that experiential narration had and the new media of newspaper. In the meantime, unrealistic stories that could be seen in the 18th century such as Cheonyerok and Haksanhanun appear a lot, and reality-oriented stories that were mainly seen in Dongpaeraksong and Cheongguyadam are continuously found in the historical storybooks of the time. While Kumkyepildam mainly had unrealistic pursuit, Chasanpildam had purely reality-oriented stories and Yangeuncheonmi shows the tendency of combining these two. In short, historical storybook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show the coexistence of reality- and unreality-oriented stories and this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sonal taste of the compilers and literary trend.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direct use of one’s own experience was disappearing, the reality-orientedness of historical stories turned from realism to popular nature. Historical storybook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subsist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they escaped those who were involved in historical storybooks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adopted new media. While inheriting the previous generation in terms of the method of compilation,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pursuit of meaning, they showed various aspects and went through changes. Though they did not actively express the significance of the time, the manuscript of historical storybooks clearly presented the direction that historical stories should move toward. While the nature of historical stories was shifting toward the compilation of short stories that are close to old tales, active compilers still tried to inherit methodological tradition and make changes through new movements. So it cannot be called the degeneration or breakdown of historical stories. So it can be said that historical stories entered a new phase of self-renewal while tradition of historical stories were still handed down and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