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더십 향상을 위한 훈육방법 연구 : 학사사관후보생 과정을 중심으로

        조위훈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of leadership and with this background, focusing on qualities needed from an officer focusing on leadership progress from training methodolog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my purpose is to increase leadership progress by analyzing training methodology of the Academic Cadet Course. The basis of research for this dissertation is theoretically from the qualities and principles of first stage officers. On this basis, I will explain the training concept and methods of leadership progress during leadership training. On the basis of the Academic Cadet Course of the 3rd Military Academy, whose training focuses on leadership progress, I will analyze and explain that the present tactics problems, and progress focus on training tactics, training goals, and train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data, despite the poor conditions of officer training, because of the research, successful training methods can be created by providing real commanding officer situations similar to the field for first stage officers. Only, in order for leadership progressive education for Academic Cadets, we must increase training time and provide training and leadership education opposed to military tactic education. Also, present goals and main points are realistic, but they must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and in the field. This dissertation has the problem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other courses and developments other than Academic Cadets in 3rd Military Academy. Later research projects will focus on Academic Cadet Courses not only in the 3rd Military Academy, but in other training institutions as well and the research will be done by survey.

      • 교사의 희망과 공감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및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준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긍정적 심리적 속성인 희망과 공감에 주목하여 교사의 희망, 공감 및 불안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초·중·고 교사 358명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과 공감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희망과 공감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불안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음에 희망, 공감 및 불안은 모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희망, 불안, 공감의 순서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희망 및 공감, 불안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여교사의 경우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희망과 공감은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불안은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희망과 공감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고 불안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음에 희망 및 불안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이 희망보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희망 및 공감, 불안의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희망과 공감 수준이 높고 불안 수준이 낮은 교사는 희망과 공감 수준이 낮고 불안이 높은 교사에 비해 대화형의 훈육유형을 많이 사용했다. 반면에 희망 수준이 낮은 교사는 관대형을 더 선호했고 공감수준이 낮거나 불안 수준이 높은 교사는 비일관적인 훈육유형을 많이 사용했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의의와 실용적 의의를 논하였고,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noticing teachers' positive properties such as hope and empath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eachers' hope, empathy and anxiety on self-esteem, job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s and to review tendency of relation of these variables to self-esteem, job satisfaction and discipline styles with sex distin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58 teachers in 3 elementary schools, 6 middle schools, 3 high schools. The results in the inquiry are followings. Firstly, it goes to show that hope and empathy have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 to teachers' self-esteem. That i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level of hope and empathy teachers contain, the higher self-esteem they obtain. On the other hand, anxiety leads to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Namely, it also reveals that the lower level of anxiety teachers have, the higher self-esteem they get. In addition, if anxiety is controlled, hope has greater effects on self-esteem than empathy does. Finally, the result of test by sex distinction shows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have effects on self-esteem of female teachers' much more than that of male teachers'. Secondly, it goes to show that hope and empathy have positive relations to teachers' job satisfaction. That i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level of hope and empathy teachers hav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obtain. On the other hand, anxiety leads to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Namely, it also reveals that the lower level of anxiety teachers contain,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get. In addition, hope and anxiety have influence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nxiety has greater effect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an hope does. Finally, the result of test by sex distinction shows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have effects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of female teachers' much more than that of male teachers'.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 preferable discipline style according to level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Namely, teachers who had a high level of hope and empathy preferred a humane style. In contrast to the former, teachers who had a low level of hope preferred lax style and teachers who had that of empathy preferred a non-consistency style.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o had a low level of anxiety preferred a humane style. In contrast to the former, teachers who had a high level of anxiety preferred a non-consistency style. Finally, the result of test by sex distinction shows that male teachers' preferable discipline styles have nothing to do with level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On the other hand, female teachers' preferable discipline styles have something to do with levels of hope, empathy and anxiety. Lastly, in the foundations of this inquiry, it is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urpose of this study and is proposed upon the limitations and the new direction toward the further study.

      • 초등학생이 인식한 효과적인 교사의 훈육 방법과 아동 기질과의 관계

        신민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훈육의 주요한 주체이나 그간 소외되었던 아동들이 실제적으로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교사 훈육 방법과 그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기질이 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교사들이 체계적인 훈육 방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문제 행동에 따라 아동들은 교사의 어떤 훈육 방법을 경험하였는가? 연구문제 2. 아동들은 어떤 교사 훈육 방법을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3. 효과적인 교사 훈육 방법 인식은 아동 기질에 영향을 받는가? 연구문제를 밝히기 위해 인천시,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아동들 총 51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357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예비 조사, 지도 교수의 조언을 얻어 제작한 문제 행동별 아동이 경험한 교사 훈육방법 및 효과 측정도구와 기질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WIN 12.0(K)을 이용하였다. 첫째, 문제 행동에 따른 아동의 교사 훈육 방법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비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아동들이 인식한 효과적인 훈육 방법과 그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카이 제곱 분석을 하였다. 기타로 서술된 효과적 훈육 방법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내용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셋째, 효과적인 교사 훈육 방법 인식이 아동 기질에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각 문제 행동별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상위 3가지 교사 훈육 방법을 종속변수로, 6개 기질 차원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훈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훔침?약탈?빼앗기, 욕설?싸움?협박, 왕따?친구 괴롭힘, 거짓말, 선생님께 반항, 남탓의 6개 문제 행동이 발생한 상황에서 아동들은 대체로 다양한 교사의 훈육 방법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 중 공통적으로 꾸중?야단치기, 방과후 남기, 일대일 상담을 높은 비율로 경험하였다고 나타났으나, 모든 문제 행동에 걸쳐 상주기?칭찬하기와 전문가 의뢰는 낮은 비율의 응답을 보였다. 둘째, 문제 상황별 아동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교사 훈육 방법에서는 모든 문제 행동 영역에 걸쳐 아동들은 공통적으로 꾸중?야단치기와 일대일 상담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훈육 효과를 인식하게 된 이유에서도 몇 가지 공통적인 응답이 드러났다. 아동들은 모든 문제 행동 영역에 걸쳐 문제 행동을 감소?소거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 자기 통제와 문제행동 감소를 효과적 훈육 방법의 선택 이유로 답하였다. 셋째, 아동의 6개 기질 차원은 효과적인 교사 훈육 방법 인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거짓말 문제 행동을 제외하고 각 문제 행동에서 공통적으로 주의 집중성 기질 차원이 일대일 상담의 효과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탓 문제 행동을 제외하고 각 문제 행동에서 공통적으로 융통-경직성 기질 차원이 꾸중?야단치기 효과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문제 행동별 아동이 경험한 교사의 훈육 방법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아동의 입장에서 살펴본 효과적인 교사 훈육 방법은 교사의 인식과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아동의 6가지 기질 차원이 효과적 훈육 방법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아직 인지적으로 발달상에 있는 아동들도 교사의 인식을 밝힌 선행연구와 같이 꾸중?야단치기, 방과후 남기, 일대일 상담을 많이 경험하였다고 답하여 교사와 일치되는 인식을 보였다. 즉 아동들이 교사의 훈육 행위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상주기?칭찬하기와 전문가 의뢰는 교사 인식과는 달리 아동들이 거의 경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아동 훈육에 책임감과 관심을 가지고 아동들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다양한 훈육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아동을 존중하는 방향에서 꾸중?야단치기의 방법을 모색하고 재평가된 상담을 훈육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사 연수 및 프로그램 실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아동의 기질적 특성과 훈육 문제 상황의 요구 수준을 고려한 개별화된 아동 중심의 체계적인 훈육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이를 토대로 질적 연구 또는 종단적 연구를 후속으로 실시하여 아동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교사 훈육 방법의 이유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발달에 따른 훈육 효과 인식 변화에 대한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