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규원의 후기시 연구 :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를 중심으로

        정일국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743

        이 논문은 시집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1995)를 중심으로 오규원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을 규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오규원의 시에 대한 기존의 평가에 새로운 인식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오규원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모더니스트’ 내지는 ‘기교주의자’로, 중기의 ‘상품시’를 중심으로 한 평가와 분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오규원의 후기시가 보여주는 시적 방법론 및 세계 인식은 중기시의 그것과는 다르게 포스트모더니즘적 면모를 보여주며, 그것은 시집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1995)을 중심으로 나타난 ‘날(生)이미지 시학’으로 구체화된다. Ⅱ장은 오규원 후기시가 보여주는 세계관의 변화를 ‘메타시’와 ‘물적 현상으로서의 시’를 통해 살펴본다. ‘메타시’는 전통 시학의 위상과 미학적 진리에 대한 부정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시와 시인의 위상을 일상적인 것으로 끌어내린다. 또한 시적 대상으로서 일상적이고 사소한 현실에 주목하고 이를 주관의 개입이 없는 관조적 시선으로 서술하고 있다. 시에서 주관성의 배제는 시적 의미를 생산하는 주체가 시인이 아니라 시적 대상 그 자체라는 인식의 결과이며, 이는 인간 역시 언어적 객체이며 세계라는 것은 그러한 객체들이 형성되는 하나의 텍스트라는 해체주의의 인식과도 접맥된다. 시집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소리』을 중심으로 오규원의 시는 ‘현상으로서의 현실 인식’이라는 한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적 주체로서 시인의 의도를 배제시키고 인간이 사라진 배경만을 관조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사물을 있는 그대로 제시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오규원 후기시의 메타시적 특징과 현상으로서의 현실 인식은 중기시를 통해 보여준 모더니즘적 전위성과 세계 인식의 한계를 극복을 위한 시도이자, 서정적 주체로서 인간이 중심이 되던 전통 시학에서 탈피함으로써 탈인간, 탈중심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Ⅲ장은 ‘날(生)이미지 시학’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으로서 ‘환유시’를 살펴보았다. 오규원의 후기시의 환유적 체계는 사물의 본질을 왜곡시키는 전통 시학의 은유적 세계관에 대한 회의와 반성의 결과물이다. 은유적 체계는 철학과 문학은 물론 현실 자체를 구조화하며 그 본질을 왜곡하고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해왔다. 오규원의 환유시는 이러한 은유적 체계의 극복 의지이다. 시에서의 은유적 체계가 심리적 관계성에 따른 것이라면, 오규원의 환유시는 대상과 대상의 물질적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사물의 본질을 가리는 인간적 자아와 의식의 세계로부터 ‘날이미지’를 찾기 위한 것이다. 초기부터 오규원의 시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것은 ‘자유’와 ‘해방’의 정신으로, 이는 자기 폐쇄적인 주관주의 미학이나 모더니즘의 한계를 벗어나 시대적 현실과의 대응하려는 시적 방법론의 원천이 된다. 이러한 개념이 후기시에 이르러 ‘날이미지’와 ‘환유적 체계’로 전이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모더니즘적 해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인의 노력으로, 그 노력에 대한 평가가 기교주의자 및 모더니스트에만 머물러서는 안된다. 후기시에서 보여준 방법론 및 세계관의 변화에 주목했을 때 포스트모더니즘 시인으로서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laying stress on poetical works 『Way, Side street, Hotel and River water sound』(1995). So, that clear personality of postmodernism which appear to O gyu-won's later poem by purpose, do. This is thing to ready model of new realization in existent estimation about O gyu-won's poem. Existent estimation about O gyu-won was 'modernist' or 'person of a workmanship state'. Estimation and analysis of it are most laying stress on 'advertisement poem' of middle. But, poetic methodology and world realization which O gyu-won's later poem shows show countenance of postmodernism unlike middle poem. It is crystallised by raw image's poetry in poetical works 『Way, Side street, Hotel and River water sound』(1995). Chapter Ⅱ examines change of view of the world which Ogyuwon later poem shows through 'meta-Poem' and 'as physical phenomenon, poem'. 'meta-Poem' is based on unrighteousness for phase of tradition poetry and truth of esthetics. Such contradictory realization pulls status of poem and poet by usual thing. Also, is observing usual and trivial actuality by subject of city, and describe this to gaze who intervention of management does not exist. Subject that it produces meaning of poem to exclude subjectivity in poem is not poet but it is result of realization which is poem relationship target itself. This human like language object be, and it is realization which such objects gather and are formed one textbook that is the world. This is similar with realization of deconstruction. O gyu-won's poem shows characteristic called 'as phenomenon, actuality realization' as do to the center poetical works 『Way, Side street, Hotel and River water sound』. This is product of hard work to present things as it is by excluding poet's plan and presents background that human disappears objectively as personal burden. Meta-Poem and 'As phenomenon, actuality realization' are advance guard and attempt to overcome limit of world realization of modernism which appear to middle poem. Also, as lyric subject, human exuviates in tradition poetry that become the center. It is dephosphorization and that show view of the world of postmodernism called the center to be anxious. Ⅲ chapter examined metonymy poem that is specific unfolding aspect of 'Raw image's poetry'. O gyu-won later poem's metonymy system is result of doubt and self-examination for metaphor system of tradition poetry that warp essence of things. Metaphor system have acted by memorial service held on the anniversary of death that structure actuality itself as well as philosophy and literature and distorts and oppresses the essence. O gyu-won's metonymy poem is conquest will for these metaphor system. Metaphor system of poem is following psychological relation. But, metonymy system observes in material relation of target and target, it is thing to find 'Raw image' from the personal self and consciousness' world that hide essence of things. It is mind of freedom' and release to become the center in O gyu-won's poem world since early. This becomes source of methodology to correspond with actuality of age escaping limit of authoritative and conservative subjectivism esthetics or modernism. Is changed to 'Raw image' and 'metonymy system' for these concept arrives to later poem. It is poet's effort to overcome limit of modernism to observe in this paper. Estimation about the effort must not stay to person and modernist of a workmanship state. When observed in change of methodology and view of the world showing in later poem, it is the rightful matter that estimation as postmodernism poet should be made.

      • 신경림 후기시의 서술성 연구 : 후기시의 주제적 변화를 중심으로

        황애연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726

        The poet, Shin Kyung-rim has been steadily writing poems for 50 years since he started his literary career in 1955. This thesis aims at making clear the mea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the narrative technique to lyric poems. For this, I will study how the poet accepted the narrative technique in his poems. His poems have been discussed as a case of people's literature in that they showed people's thoughts and feelings on their sides. In his poems, he has posed problems of the collapse of the agricultural community, farmers' poor life in the city, and the historic and social sacrifice of people. These problems have been caused by the enlargement of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1960. So his poems have been considered as people's poems or realistic poems which express people's strike consciousness and their strong will of overcoming such a reality. The main subject of his poems is 'people', so we cannot think about him without 'people'. Such a people-oriented viewpoint has constantly appeared in his poems for 40 years since his collected poems 『Nongmu: Farmers' Dance』. In the nineties, however, there appeared not a little change in his poetic world as the political situation changed home and abroad. His poems reflected the reality and self-examination and internalized them, which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ther lyric poems at that time. He showed the attitude of examining the poet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him through nature and his life. He also opened a new poetic world where he was in pursuit of his inner world by constantly introspecting his past and present in his common life. Thus his poems have been changed from struggling and combatant people's poems orlabor poems to those of self-pursuit and the introspection of the inner world. But there is a changeless feature in his poems. He reflects the situation of his age realistically by accepting the narrative technique in his poems. So his poems have a persuasive power and they arouse readers' deep sympathy. In fact, there have always been narrative poems which have borrowed the narrative technique from epic poems. But there has not been a lively discussion about a form of narration in poems. This is because of the prejudice about the poetic genre that lyric poems should have a different element from narration and therefore narrative poems are not 'poetic'. But the form of narration is not used only in epic poems, butit has often been used in lyric poems. That is, the form of narration, like Eliot's 'objective correlative', can be recognized as animportant factor or a device in lyric poems that a poet can adopt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The subject matter of poems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life as in other literary works and the form of narration is the best form for describing these materials. So it will be a new attempt of understanding his poems to study the form of narration in his poems. The phase of narration has been changed largely four times in his poems, and these changes are related with people or events. His collected poems 『Nongmu: Farmers' Dance』 reflected the poet's experiences in the farming village in 1990s. 『Sae-jae: so high a mountain that even the birds cannot climb』, 『Dallumsei: Let's go over the moon』, 『The Poor Love Song』, and『The Road』 showed the realities of the people from 1970 to 1980. His collected epic poems 『The South Han River』 are about farmers' struggle to restore their rural community. 『The Dream of the Fallen』, 『The Silhouette of Mother and Grandmother』, and『The Horn』described the poet's inner world in 1990s. All these collected poems suggest that the poet accepted the reality and described it differently in his poems.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study the form of the narration in Shin Kyung-rim's lyric poems centering around his three collected poems, 『The Dance of the Fallen(1993)』, 『The Silhouette of Mother and Grandmother(1998)』, and 『The Horn(2002)』. His poems in these three books have been changed from dealing with the visualization of people to the introspection of the poet'sinner world. He opened a new poetic world where he described the extremely lyric theme 'self-examination' through the narration of natural phenomena and everyday experiences. So the study of his poems through these three collected poems can be more important in that it isabout the enlargement in the method of poetic narration which is used to express effectively the deepened lyricism of his later poems. This study will begin with the arrangement of many opinions about 'narrative poem' which hasn't had a firm definition yet, and it will also deal with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introducing the form of narration to lyric poems. The main body of this thesis will deal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and aesthetic feature in his later poems, focusing on their thematic change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the narrative form in Shin Kyung-rim's poems. 1955년 문단에 등단한 신경림은 지금까지 50여년 동안 꾸준히 시작(詩作) 활동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신경림의 시 속에 나타나는 서술성 즉 서사적 수법의 시적 수용을 연구하여 서정시에서의 서술성의 도입이 지니는 효과와 의의를 밝혀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 동안 그의 시는 민중의 생각과 감정을 그들의 입장에서 반영한 민중문학의 한 사례로 논의되어 왔다. 1960년대 이후 근대화·공업화·도시화의 확대와 심화에 따른 농촌공동체의 붕괴, 농민의 도시빈민화, 민중의 역사적·사회적 희생 등을 문제시하고, 동시에 이런 현실에 대한 민중의 강인한 극복의지와 투쟁의식을 표출한 민중시, 리얼리즘시로 인식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민중' 없이는 신경림을 생각할 수 없을 만큼 신경림 시의 핵심은 '민중'이며, 그러한 민중지향적 시각은 『農舞』이후로 40여년 간 신경림 시 속에 일관되게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국내외 정치 상황이 변화하면서 신경림의 시세계도 상당한 질적 변모를 보인다. 90년대 시들의 전반적인 특징인 현실과 자아를 성찰하고 내면화하는 서정시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삶에 대한 회고와 자연을 통한 자아와 세계에 대한 성찰의 자세를 보여주었고, 범속한 일상사를 통해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끊임없이 성찰하는 내면 추구의 시 세계로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나갔다. 이렇듯 그의 시는 투쟁적이고 전투적인 민중시, 노동시에서 자아의 탐구와 내면의 성찰로 변화했으나 그의 시에서 변함없이 꾸준히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그것은 그가 시의 서술적 수법을 수용하여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시대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이를 통해 깊은 공감과 설득력을 얻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서정시에서의 서술의 수법이 차용된 서술시(Narrative poem)는 우리 시 전통에서 꾸준히 존재했던 방식이다. 그러나 시에서의 서술성의 논의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이는 서정시가 서술과는 다른 요소와 관련되는 장르라는, 그러니까 서정시는 이야기를 말하는 방법이 아니고, 따라서 서술시는 원래 '시적(詩的)'이 아니라는 선입관이 전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술은 서사장르에만 한정되는 전유물이 아니며 서정장르에서도 얼마든지 볼 수 있다. 즉, 서술은 엘리어트의 '객관적 상관물'처럼 시인이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채용할 수 있는 서정장르의 한 요소 또는 장치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의 소재가 다른 문학 장르들처럼 삶과 분리될 수 없으며 서술이 이런 소재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취하는 가장 명백한 형식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볼 때 신경림 시에 나타난 서술의 방식을 고찰하여 보는 것도 그의 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보여 진다. 그의 시에서 서사의 양상은 크게 네 차례 바뀌는데, 그 변모는 인물과 사건에 관련된다. 시집 『農舞』는 주로 시인의 1960년대 농촌 체험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시집 『새재』, 『달넘세』, 『가난한 사랑노래』, 『길』은 민중의 1970~80년대 현실을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연작 서사집 『남한강』은 농민의 공동체 복원투쟁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리고 시집 『쓰러진 자의 꿈』,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뿔』은 1990년대를 살아가는 시인의 내면 성찰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현실에 대한 문학적 수용과 그 형상화된 내용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고에서는 신경림의 『쓰러진 자의 꿈』(1993),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1998), 그리고 『뿔』(2002)에 이르는 3권의 시집을 중심으로 그의 서정시가 지니는 서술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3권의 시집은 기존의 신경림 시의 특성인 민중의 형상화에서 내면의 성찰로 변모한 작품세계를 담고 있다. 내면의 성찰이라는 극히 서정적인 주제를 자연 현상과 범속한 일상사의 서술을 통해 그려내는 새로운 영역을 구축해 나간 것이다. 따라서, 이 3권의 작품을 통한 신경림 시의 연구는 후기시에 심화된 서정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 시적 서술의 방법적 확대라는 의미에서 연구의 뜻을 더해줄 수 있으리라 보여진다.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확고한 개념적 정의를 얻지 못한 '서술시'에 대한 여러 견해를 정리하여 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서정시에서 서술성의 도입이 지니는 의미와 효과를 연구해 볼 것이다. 또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는 신경림의 후기시에 관한 연구에서는 후기시에 나타난 주제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그 서술구조와 미적 특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신경림 시의 서술성이 지니는 의의와 효과를 연구하는 것에 이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오규원의 후기시 연구

        한희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94

        이 연구는 오규원의 후기시가 현대에 갖는 시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규원에 대한 연구는 오규원의 시론과 시가 어떻게 변모되어 왔는가에 주목하여 이를 밝혀내는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특히 오규원의 후기 시에 대한 연구에서는 오규원이 새롭게 시도하고 있는 날이미지가 어떻게 시 속에서 재현되고 있는지에 주목하면서 개별 작품을 통해 분석하는 것에 힘을 쏟고 있다. 물론 오규원이 시론과 시 창작을 함께 작업 해 온 작가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론과 시의 관련성이나 시론의 변화에 따른 시의 변모양상을 살피는 일은 분명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한편 아쉬운 것은 시인이 후기 시에 도달한 ‘날이미지’라는 시적 방법론과 이 시적 방법을 통해 이루어 놓은 시의 세계가 현대시에서 가지는 의의나 날이미지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세계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이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날이미지가 추구하고자 한 시의 세계가 현대에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바흐친의 다성성을 이용하여 살핀다. 바흐친의 다성성이라는 방법론은 소설의 분석에서 흔히 쓰이는 방법이지만 시 갈래에서도 충분히 다루어 볼만한 내용임을 검토하고 논의를 진행한다. 오규원의 후기시에서 보이는 인간중심적인 관념의 배제라든지, 작가의 판단 중지, 주체의 시선 배제 같은 방법들은 모두 자유롭게 존재하는 사물을 살려내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다양한 목소리를 인정하는 것과 유사하게 다양하게 존재하는 사물들의 세계를 담는 방법으로 날이미지가 사용되었음을 개별 작품을 통하여 분석한다. 은유의 방법을 지양하고 사물이 존재하는 현상을 드러내기 위해 인접성의 원리에 근거한 환유의 방법을 사용한다거나, 인간의 관념을 넘어서는 시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모두 있는 세계 그대로를 드러내기 위한 방법이었음을 밝힌다. 또한 서술어 사용을 열어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작품 자체가 다른 작품의 부분으로 들어가게 하는 열린 구조의 시도는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할 수 있는 생명체로서의 시의 모습을 담고 있음을 개별 시 작품을 통해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오규원의 후기 시에 한정하여 후기시가 갖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후기 시에서 사용한 날이미지라는 방법은 인간의 관념을 최대한 지양하고 사물의 날 모습, 곧 본래 모습 그대로를 드러내고자 시도한 방법이었다. 이렇게 지향한 세계는 여러 사물의 존재나 현상을 살아있는 공간으로 보게 한다. 열린 공간, 변화하는 공간으로서의 모습을 담은 이 시들은, 바흐친의 견해대로 카니발적 세계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렇게 오규원의 후기 시는 문명의 파괴성에 대한 한 대응으로서, 생명성을 간직한 세계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오규원의 후기시가 갖는 의미 지평을 보다 확대 하였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전봉건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화 연구 : 욕망, 증상, 향유를 중심으로

        최혜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94

        전봉건은 전후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그의 후기시(1970∼80년대)에서는 언어실험에서 벗어나, ‘말의 기능’에 집중하여 본래적 언어로의 시적 변화를 보인다. 주로 짧은 시의 기본적 형태를 바탕으로, 긴 진술보다는 명징하게 표현하는 시적 언어의 경향이 나타난다. 그 변화의 계기는, 세계에 의해 소거된 순수한 본질(être: 존재)을 갈망하는 시적 정신에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주체화 개념을 통해, 세계에 대항하여 ‘상실된 존재’를 되찾으려는 시적 주체의 응전 의식과 그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주체화 과정에서 언술 구조로 드러나는 욕망과 증상, 그리고 본질의 영역인 ‘실재’를 향유하는 양상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후기시에서 시인이 추구하고자 한 진정한 ‘말의 기능’과 미적 응전의 모더니티를 규명한다. 《피리》(1979)를 기점으로, 주체는 인간 삶의 본질적 가치를 억압하는 상징 질서 세계의 결함을 ‘인식’한다. 곧 세계와 나의 ‘다름’을 인식하게 되면서, 소외된 자신의 ‘존재 결핍’의 문제를 상기하게 된다. 은유·환유의 언술 구조에서 드러나는 실어적 증상과 기표의 연쇄에서 발생하는 상징적 암시성을 통해, 세계의 결함을 우회적으로 표출하고 소거된 존재의 문제를 내면화한다. 세계로부터 해방되고 싶은 주체의 욕망은, 무위자연의 내면적 장소로 형상화되기에 이른다. 이는 타자화된 존재가 은폐된 장소로서, 주체의 분열적 응시와 말 걸기가 나타난다. 즉 주체는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에만 그치지 않고 결함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존재를 되찾길 욕망하는 능동성을 보여준다. 《북의 고향》(1982)과 80년대 초중반의 시에서 나타나는 주체는, 자신이 종속된 상징 세계로부터 ‘분리’를 시도한다. 언술 주체는 ‘의미’라는 상징화의 세계에서 분리되기 위해, ‘비의미’의 언어를 구현한다. 곧 시적 대상의 ‘없음’에서 비롯되는 의미의 부재를 통해, 언어로 상징화되지 않는 ‘존재’의 자리를 체현해낸다. 그리고 주체는 이러한 존재 결핍을, 환상 대상인 ‘고향’으로써 채우려고 한다. 상실한 고향을 되찾고 소유하길 꿈꾸는 ‘환상 횡단’을 통해, 상징 세계와의 분리를 시도하는 것이다. 하지만 주체는 환상 속에서조차 고향과의 단절을 겪는다. 이러한 상실감은 어머니의 젖가슴과 분리된 오이디푸스기 아이의 시점으로 회귀되거나, 환상 속에서 분리되는 자신의 발자국과 시선, 그리고 시체화된 육체의 찢기고 흩어지는 이미지로써 표현된다. 《돌》(1984)과 〈6·25〉연작(1985∼88)에서의 주체는, 세계 너머 실재를 마주하려는 응전 의식을 보여준다. 《돌》에서는 ‘고향’을 되찾지 못하는 좌절 속에, 주체의 욕망이 ‘실재’로 전복되기에 이른다. 유년기 트라우마인 ‘모국어’에 대한 억압으로 인해, 주체의 무의식에 ‘침묵’하는 물질로서의 ‘돌 이미지’가 자리 잡게 된다. 하지만 억압된 주체성의 진실에 대해 침묵하지 않으려는 주체의 전복적 욕망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내면에 억압된 ‘돌 이미지’는, ‘모래 속에 묻고 있는 얼굴’이면서 ‘얘기를 들려주는 돌’의 모습으로 의식화된다. 억압된 ‘돌’의 회귀는 신경증적 주체를 발생시킨다. 상실의 경험이 반복되는 강박신경증과, 월남 중 친구를 잃은 심리적 외상이 물리적 신체의 감각으로 나타나는 이인증(Depersonalization)이 시 텍스트로 표면화된다. 실재를 향한 주체의 욕망이 ‘돌’에 투영되면서, 신적 존재로 변용되는 ‘돌 이미지’의 양상 또한 나타난다. 주체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일생일석’을 찾아 헤매기를 반복하며 욕망을 지속한다. 〈6·25〉연작에서는 대상을 욕망하는 것에서 벗어나, 존재의 영역인 ‘실재’의 향유를 희구하는 주체가 등장한다. 전쟁의 참상 곧 외상적 실재는 현실로 귀환한다. ‘짓누르는’ ‘탱크의 캐터필러’, 신체에 외상을 입히는 ‘잡’는 행위, 부서지는 ‘이슬’은, 외상후 스트레스(PTSD)와 포탄 충격(Shell Shock)과 같은 외상성 신경증을 나타낸다. ‘터졌다’, ‘잠갔다’, ‘숨었다’와 같은 어절 반복을 통해 강박신경증은 외현된다. 이러한 반복 형식은 외상의 충격에 동화되기 위한 방어 증상인 동시에, 반복으로써 외상의 진실을 마주하려는 주체의 응전 방식으로 나타난다. 죽음 충동을 암시하는 기표 또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꼭대기에서 자지러’지는 ‘매미’, ‘뼈’, ‘죽은 휘파람새’, 훼손된 신체의 기표는, 섬뜩한 실재를 마주하려는 주체의 의지를 드러낸다. 그리고 전쟁 중 적군을 사살한 ‘낯익은 마을’이 자신이 ‘태어난 고향마을’임을 알게 되면서, 모순된 삶의 ‘진실’을 직면하게 된다. 곧 상징 세계를 전복시키는 ‘낯섦-섬뜩함(unheimlich)’의 증상으로써 경험적 대상이 파괴되는 승화가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후기시에서 추구한 ‘말의 기능’이란, 상징 세계와의 대립 속에서 시적 본질에 닿기 위한 수단으로서, 존재 탐사적 기능으로서, 그리고 주체의 유일한 응전의 기능으로서 발휘된다. 세계의 무결성에 균열을 내는 실재와의 조우를 통해, 모순된 삶을 받아들이고 지속해나가려는 주체의 미적 응전의 모더니티를 실현해내는 것이다. 이로써 상징 세계에 예속된 한계를 넘어, 삶의 진실을 향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주체의 언어로 이해될 수 있다. 전봉건의 후기시는 현실을 전복시키는 시적 순간의 반복적 증상으로서, 강인한 주체의 대항 의지로서 그 숭엄한 미적 가치를 지닌다. Jeon Bong-geon is a leading post-war modernism poet. In later poetry (1970~1980s), he takes the poetic shift, deviating from the language experiment to the intrinsic language focused on ‘function of speech’. Its poetic language has a tendency to express in a lucid manner rather than in a long statement, mainly following the basic form of short poem. The poetic spirit that longs for pure essence (être: being) wiped by the Symbolic pulled the trigger of change.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resistance consciousness of the poetic subject that strives to regain its ‘lost being’ against the Symbolic, and its process through Lacan's concept of subjectivation. The analysis focuses on the desires and symptoms revealed by the structure of speech in the subjectivation process, and the aspect of enjoying(jouir de) ‘the Real,’ the area of essence. It will get to the bottom of the true ‘function of speech’ and the modernity of aesthetic resistance that Jeon pursues in his later poetry. As the starting point of 《Pipe》(1979), the subject ‘recognizes’ the flaws of the Other of Symbolic order that suppress the intrinsic value of human life. It leads to remind the alienated ‘lack of being’, while awaring of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of Symbolic order and self. It reveals the Other's flaws indirectly that internalizes the problem of erased being through the symbolic implications, coming out of a series of aphasic symptoms and signifying chain of the speech structure in metaphor and metonymy. The desire of the subject to be liberated from the Other of Symbolic order, figures itself to be the inner space to ‘Letting nature be(Muwijayeon)’. The subject's divisive gaze and talking reveal in this area where the otherized being is concealed. The subject not only perceives the Symbolic tragically, bu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its flaws and shows active desire to regain ‘being’. In 《Hometown of the North》(1982) and the poetry of the early and mid-80s, the subject attempts to ‘separate’ from the subordinate relation with the Symbolic. The subject of speech embodies the language of ‘non-meaning’ to be separated from the Symbolic. In other words, it embodies the place of ‘being’ which is not symbolized by language, through the absence of meaning from ‘nothing’ of the poetic object. And the subject strives to fill ‘lack of being’ with ‘hometown,’ fantasy object petit a. It is an attempt to separate from the Symbolic by ‘fantasy crossing’ that dreams of regaining and owning the lost hometown. However, the subject goes through disconnection from its own hometown even in fantasy. This sense of loss is expressed as return to the child’s point of view in its Oedipus stage, or its footsteps and gaze separated in fantasy, and the torn and scattered image of the corpsed body. The subject in 《Stone》(1984) and <6·25> series (1985∼88) shows the resistance consciousness to face the Real beyond the Symbolic. In 《Stone》, the desire of the subject is subverted into the Real in frustration of not taking back ‘hometown.’ The oppression of childhood trauma, ‘native language,’ sets ‘stone image’ as matter in ‘silence’ in the subject's unconsciousness. However, the subversive desire of the subject who refuses to keep silent about the truth of oppressed identity, wriggles. Thus, the oppressed ‘stone image’ becomes conscious as contradictory figures, ‘buried head in the sand’ and ‘story teller stone.’ The return of the oppressed ‘stone’ drives the subject neurotic. Obsessive-compulsive neurosis repeating the experience of loss, and depersonalization that shows up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he loss of friend during Korean War as the physical symptoms, come to the surface in the poetry text. The Stone reflecting the subject's desire for the Real reveals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into the divine being. That desire keeps flowing, while questing ‘one-stone-in-a-lifetime’ which is never to be found. In series of 〈6·25〉, the subject shows on the stage which craves for jouissance(jouir de) of the Real, the realm of existence, away from desiring an object petit a. The horror of war, traumatic The Real, returns to reality. The ‘pressing’ ‘tank caterpillar,’ harming the body by ‘grabbing’ and breaking ‘dew’ all symbolize the traumatic neurosis such as PTSD and shell shock. Obsessive-compulsive neurosis keeps revealing through the repetition of word segments such as ‘exploded,’ ‘locked,’ and ‘hid’. This repetition form is a defensive symptom to assimilate the traumatic shock, and also, it is represented as resistance mode of the subject which faces the truth of trauma by repetition. Symbolic signifiers that imply a death drive also show up repeatedly. The signifiers of ‘a cicada falling from the top giving a shrill call,’ ‘bones,’ ‘a dead bush warbler,’ and mutilated bodies symbolize the subject’s will to face uncanny the Real. And he faces the ‘truth’ of contradictory life, after realizing that ‘familiar village’ where he killed enemies on the battlefield is ‘hometown’. In other words, by the ‘unfamiliarity-uncanny(unheimlich)’ symptom that causes the subversion of the Symbolic, the empirical objects are destroyed and the sublimation follows its destruction.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speech’ pursued by later poetry works as being-exploratory function, as means to reach the poetic essence in the fierce confrontation with the Symbolic, and as only resistance function of the subject relying on speech. And makes a realization the modernity of aesthetic resistance of the subject that strives to embrace and continue the contradictory life, by encounting with the Real that cracks the integrity of the Symbolic. Thus, beyond the limits subordinated to the Symbolic, it can be understood as the language of the subject who has the potential for the ‘jouissance’ of the ‘truth of life.’ Jeon Bong-geon's later poetry is a recurrent symptom of the poetic moment that overthrows reality, with its sublime aesthetic value as the counter-will of the strong subject.

      • 조식 후기시 연구

        이애숙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78

        曹植是中&#22269;文&#23398;史最&#20026;光輝燦爛的全盛&#26102;期,&#21363;建安&#26102;期的代表詩人。曹植的詩作&#20026;建安派的代表詩作,以該&#26102;期的&#26102;代背景&#20026;基&#30784;,通過&#20889;情&#20889;景,&#35183;托&#20869;心的悲哀和无奈,曹植其人其作,&#23545;後代的影&#21709;是不可磨滅的。此外,曹植作品中擅長使用多&#31181;描&#20889;手法,及細微的情感表&#36798;方式,這些&#29420;具一格的詩作風格不但在建安文化&#26102;期,甚至是在整&#20010;中&#22269;文&#23398;史上,都留下了&#25502;亮的一筆,&#20026;後人所&#31216;嘆。在曹植&#25968;多作品中,本論文主要選取曹植在其父曹操去世后,受其兄長曹丕迫害的背景下所作詩作中的三十六首,在此&#23558;這三十六首詩&#35270;&#20026;曹植的後期詩,&#24182;針&#23545;其後期詩的表現技法及相&#20851;&#20869;容進行詳細地分析。 首先,曹植算是&#26102;劾造英雄中的“英雄”,其一生生平與&#26102;的當&#26102;代&#29615;境有着非常密切的&#32852;系,曹植的一生可以分&#20026;前半期和后半期&#20004;&#20010;階段。前半期曹植出生名門,&#26435;威&#26174;赫,該&#26102;期曹植的詩作主要凸&#26174;&#26497;富浪漫&#27668;息及貴族&#27668;&#36136;的詩風;到了後半期&#38543;着其父曹操的去世,在血肉相&#27531;的&#27531;酷事&#23454;面前,曹植的詩風有了&#24456;大的&#36716;變, 其詩流露出其&#20869;心的悲哀和無奈。同&#26102;,其作品的表現方式也更&#20026;出&#20247;,曹植該&#26102;期的大部分詩作得到高度好評,成&#20026;膾炙人口的傑作。 &#20174;曹植作品的創作背景&#26469;看,曹植生活在兵荒馬&#20081;,&#28798;害不&#26029;的混&#20081;&#26102;代,曹植的作品中&#23558;&#25112;&#20081;中的逃亂及其目&#20987;的悲&#24808;淋&#28435;&#23613;致地表現出&#26469;。同&#26102;在建安&#26102;期,&#38543;着建安&#26102;期建安派的形成,曹植&#29420;具一格的文化底蘊及其活躍的文化活動,主&#23548;着建安文化的變化。 &#20174;曹植作品的&#20869;容上&#26469;看,其作品主要可以&#21010;分&#20026;吐露悲憤慷慨心情、抒發建功立業的熱情、借以&#24323;婦及思婦表現身世恨&#27426;、及悠仙思想等四大部分。其中感歎在政治中,無法&#23454;現遠大愛&#22269;抱負的詩作居多,此外,表現&#20869;心熱盼遇到識才重才的明君,使自身建立功勳的詩作也居多&#25968;。同&#26102;,曹植環借以因無奈&#31163;別而祈盼團圓的婦人的哀歎,&#26469;表現身遭遇挫折而&#23548;致的精神上及肉&#20307;上的痛苦,以及千方百計想擺&#33073;這&#31181;痛苦折磨,追求自由和解&#33073;及神仙般自由境界的渴望。 曹植在中&#22269;詩歌發展史上,被&#35270;&#20026;五言詩的一代宗匠。曹植一生創作了大量的五言詩,把五言詩推向了前所未有的高峰,&#24182;使之越發成熟。其五言詩,&#21465;事&#19982;抒情相結合,格調雄渾而不卑弱,文&#36766;美而不雕琢,尤其是注重語言的提煉和修&#36766;,特別留意文的整&#40784;及&#38901;律的和諧。 曹植一生大起大落,在浮華世間中大志不得重用;在手足相&#27531;的无奈下,在不遇明主的悲哀中,其詩作詩風自成一&#20307;,曹植是中&#22269;文&#23398;詩歌史上的&#29824;璨明星,也是建安&#26102;期不朽的英雄。曹植的詩作流傳之廣、好評之多、价&#20540;之大,不愧&#20026;中&#22269;文&#23398;詩歌史上的傑作。 曹植은 중국문학사상 찬란한 전성기를 이루었던 建安시기 대표적 시인이다. 특히 건안문학을 대표하는 曹植의 詩는 시대적 아픔을 바탕으로 창작되어 그의 내심의 비애만큼이나 절절하고 아름다운 작품들로 후대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다양하고도 정교한 표현방식은 그를 建安문단뿐 아니라 중국문학 최고의 반열에 오르게 하는데 손색이 없었다. 본고는 曹植의 많은 작품들 중에 아버지 曹操의 죽음 후 형 曹丕의 핍박아래 쓰여진 시들 중 36수를 선정하여 작품의 내용과 표현기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曹植의 생애는 그의 시대와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전&#65381;후기로 현저히 갈라진다. 前半期 귀공자의 신분으로 읊었던 낭만적이고 귀족적인 시풍은 後半期 아버지 曹操의 죽음과 골육상잔의 비극으로 인해 그의 시풍을 울분과 비애의식으로 가득 차게 하였고 또한 작품의 표현방식이 뛰어나고 높이 평가되는 시도 대부분 이 시기에 쓰여졌다. 작품의 창작배경을 살펴보면 曹植은 잦은 전쟁과 자연재해로 혼란한 시대에 살면서 직접 전란 속에 뛰어들거나 목격한 참상들을 시에 여과 없이 담아내었다. 그리고 建安시기 建安문단의 형성아래 曹植의 뛰어난 문학자질과 활동은 建安문학의 변화를 가져오는 주역이 되기에 충분하였다. 작품의 내용면에서 살펴보면 悲憤慷慨한 心情吐露, 建功立業의熱望, 棄婦나 思婦를 통한 身世恨歎, 遊仙思想 네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그 중 정치권에서 멀어져 功業을 이룰 수 없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 시가 주를 이루며, 明君을 만나 공을 세우고자 하는 소망을 드러내는 시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시인의 이별과 그리움을 부녀자에 의탁하여 표현하였고 曹植의 이상이 좌절되고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서 벗어나 자유와 해탈을 위해 神仙의 자유로운 경계를 빌어 仙人과 遊戱하고자 하였다. 曹植은 詩歌 발전사상 五言詩의 거장으로 일컬어지며 그가 창작한 수 많은 작품들은 오언시를 발전 성숙시켜 전대미문의 절정에 이르게 하였다. 그의 시는 서사적이고 서정적이며 웅장하고 힘이 있어 비루하거나 연약하지 않으며 문장이 완벽하여 조잡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언어의 정련과 수사를 중시하였고 문장구조의 정제와 운율의 조화에 신중을 기했다. 曹植은 일생 수 많은 좌절과 고난을 겪었고 겉만 화려한 세상에서 그가 품은 큰 뜻은 끝내 실현되지 않았다. 골육의 상잔과 현명한 군주를 만나지 못한 비애 의식은 시와 그를 일체화하게 하였다. 曹植은 중국시가 사상 가장 빛나는 별이며 건안시기 불후의 영웅이다. 曹植의 시는 많은 호평과 찬사와 높은 가치로 중국 시가사상 걸작이란 이름으로 널리 전해지고 있다.

      • Yeats의 後期詩에 나타난 葛藤과 超越

        정미경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62

        W.B.Yeats is a poet. who searches for the conflicts of opposite sets: self and soul, time and timelessness, power and wisdom, art and life. In his poetic world, these dualistic conflicts do important roles and also they revealed themselves more evidently in later poetry than in early poetry. Yeats acquires maturity in later poetry because they bring forth points of view which can describe reality more variously and clearly. Dualistic conflicts presuppose that all the elements of world are consisted of opposite sets : moon and sun, man and woman, the objective and the subjective, etc. And out of the contraries of opposite sets, the conflicts are provoked. Yeats believes that power is stemmed from these dualistic conflicts, and so he delights in conflicts. Among various dualistic conflicts, what are often described in later poetry is the conflicts of self and soul, power and wisdom, time and timelessness. Yeats wants to search for the unity of conflicts as cell as for the aspects of conflicts as Heraclitus, the father of dualism, did. And Yeats doesn't seek to the state to choose any one side, but the state to include both sides at the same time. So this unity is not in the same level as thesis and antithesis of dialectical method. but in the level of eternity. This eternity is said to be the unity of being or the Great Moment. which Yeats pursues through his works eagerly. The symbols of the unity of being used in later poetry and early poetry are dance and sexual images. Using these symbols. Yeats tries to embody the world of harmony in which have not opposition or contradiction between self and soul, time and timelessness. But this is transcendent state, where conflict is resolved during the very short time. So Yeats seeks to the final state that transcends the chaotic state of conflicts instead of temporal reconciliation, and it is the tragic joy that satisfies his thought finally. Yeats strives to search for the conflicting states and represents the state of reconciliation in his poetry. And he also wants to include all possibilities in his final answer. In this study, I will search for the aspects of conflicts which constitute the background of his poems through his later poems. And next, I will explor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onflicts and clarify the transcendental state which showe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ng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