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CT활용 교육의 저해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류영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ICT는 컴퓨터 기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도구와 기법을 의미하며, 통신, CD-ROM과 인터넷 같은 정보자원, 정보 통신 공학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를 통한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전송, 수신, 표현, 통제, 관리, 조작 등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를 직업과 일상생활에서 적절히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이해를 지원하기 위한 용어이다. 제7차 교육과정은 학교에서의 교과 수업시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10%이상 활용하도록 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과정안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연수 자료들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현 교육현장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입한 ICT를 활용하는 교과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CT활용 교육의 개념과 현 교육현장의 ICT활용 교육과 외국의 ICT활용 교육을 비교하고 ICT활용 교육의 문제점 및 저해요인들을 연구하였다. The ICT will mean, the hardware of computer base and the tool and the technique which relate with a software a relation, communication, the CD-ROM and the Internet with the same information resource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ngineering it will tie it will reach and relate with the collection, a processing, a store, a search, a transmission, the reception, an expression, a control, the civil official and the fabrication back of information which leads all systems which, it includes appropriately from the occupation which will reach and daily life it uses the hazard which it studies effectively the knowledge which is necessary, it supports a technique and a gain and loss it is a terminology for. The 7th curriculum above 10% in order to apply the subject study hou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education from the school, will present the aim, it will reach and it practices professor for - studying strategy and process it will hold and the place where it draws up the basic which is necessary the annual income data which present an element and a method concretely are provided. But the subject study which applies the ICT which from the present education site it introduces from 7th curriculum well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is the actual condition. It compared the concept of ICT application education and the ICT education of the ICT department of pedagogy foreign nation of the present education site from this dissertation and it tried to research the problems in ICT application education.

      • 중학교 수학에서 컴퓨터의 활용

        윤남진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컴퓨터 활용이 학생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였다. 우선 이론적 배경을 조사함으로써 컴퓨터 활용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효과를 확인하였고, 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수학 소프트웨어들을 알아보았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중학교 교육과정의 단원에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들을 제작해 보았으며, 제작된 도구들을 활용하여 직접 수업을 시연하였다. 이후 설문을 통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수업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았다. 일련의 과정을 바탕으로 컴퓨터 활용 수업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 분석

        윤상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공학적 도구의 특성을 분석하고,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여 비교, 분석한 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추후 교과서 편성 및 효율적인 공학적 도구 활용을 제시하는 데에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서 내용영역별 공학적 도구의 활용 변화는 어떠한가? 2.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서 사용된 공학적 도구의 종류의 변화는 어떠한가? 3.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의 변화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별로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가 활용된 부분을 발췌하여 내용영역별, 기술 공학적 도구별, 공학적 도구의 활용 형태별로 공학적 도구 활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영역별로는 통계, 기하, 함수 영역 등에서 공학적 도구가 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교육과정에서 내용영역별로 활용된 양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공학적 도구가 많이 활용된 내용영역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공학적 도구의 장점인 시각화가 가능한 단원에서 많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학적 도구의 종류의 변화 측면에서는 지정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큰 변화가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통계 단원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이 주가 되었던 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수학 교육용 소프트웨어인 이지통계, 통그라미 등이 사용되면서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단원별로 큰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공학적 도구의 활용 형태는 내용영역별로 집중된 유형이 나타났다. 하지만 종합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에서 탐구를 유도하는 형태인 의도된 탐구유도형태의 빈도가 크게 증가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은 교육과정의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더불어 지정 소프트웨어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명칭이 제시되며 학생들이 공학적 도구를 접하는 데에 제약이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스스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 학습을 하고자 할 때 접근성에 큰 장점이 나타났다. 아직까지 통계 교육용 소프트웨어만 상용화되고 이지그래프와 같은 나머지 소프트웨어의 활용이 미비한 상황이다. 더불어 활용 형태 또한 학생들이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주도적으로 전략을 세워서 수학적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부분이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유형 또한 교과서에 명칭이 제시된 소프트웨어들에 한해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교과서 검정 기준에 부합하여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배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초등수학 구조중심 협동학습 효과 분석

        황해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 towards learning Math.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s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h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s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figuring out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Math education, and the Storytelling’s meaning and effects in math education elementary schools were explored. Second, educational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were examined and modified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d model was derived based on the exist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promote active interaction. Third, in order to apply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ning utilizing structures, three unit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Math textbook related to the examination and appropriate task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nine times for about ten weeks. The subjects were forty two fifth grade students in two classes recognized as homogeneous groups in pre-tes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After conducting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o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on the control group, th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os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was applied and th control group to which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was not applied.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 areas such as comprehension and problem solution. Second,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ttitude between two groups, especially in sub area, such as mathematics study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drawn: first,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can be said to have effects on enha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Second, storytelling-based cooperative learning utilizing structures has a positive impact in enhancing mathematical attitude particularly in mathematics study attitude. Based on the discussions, th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eneralize for students of all ages and various subject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students with diverse ages and sub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ress the stories utilizing storytelling in Math.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와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이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연활용학습의 효과 및 모형을 분석하였다. 둘째, 구연활용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효과를 검토하고, 기존의 구연활용학습 모형과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모형을 기반으로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단원을 설정하고, 적절한 구연 자료를 개발하여 연구대상에게 약 10주간 9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뒤,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 차이를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였다. 첫째,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학업성취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업성취도 하위영역에서는 이해와 문제해결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집단 간 수학적 태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 학습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두 관점에서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업성취도의 하위영역인 이해, 문제해결 영역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수학적 태도 향상에도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 학습태도 향상에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효과적인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활용할 다양한 수준의 구연 자료가 필요하다. 둘째,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의 효과를 일반화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특히 연구를 통하여 구연활용 구조중심 협동학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수학 교과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지도방안 연구 : 인천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슬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래 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 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센터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교과와 협력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를 비롯한 다양한 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 교과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적용 지도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와 타 교과 교사 모두 앞으로의 학교도서관은 도서관 활용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역할이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수학 교과와 국어 교과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실시 여부에 차이를 보였으며, 수학 교과의 경우 국어 교과보다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경험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실시해 본 교사의 경우 자료 활용, 넓은 공간 활용 등이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응답하였지만, 사서교사의 협력 측면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지 못한 인식을 보였다. 넷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실시한 경우 대부분 교과교사가 단독으로 진행하며 학교도서관 공간을 활용하거나, 사서교사에게 자료만을 부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앞으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수업의 계획, 실행, 평가를 함께하는 형태의 수업 구현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학 교사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통해 학생의 학업 성취도 향상, 흥미유발, 다양한 학습활동 전개 측면에서 국어 교과 교사에 비해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앞으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과 관련한 연수, 장학, 공개수업 참관 등의 활동이 수반되어 활용수업의 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다각적인 연구, 꾸준한 노력,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다양한 교과와 학교도서관이 협력한 활용수업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학생들의 다양한 역량을 향상시켜 미래 사회에 대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단단한 발판이 되어 학교 교육의 의미 있는 변화에 학교도서관도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s center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who can proactively respond to future society,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linked with various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involving teachers of various subjects including mathematics,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apply the subject of mathematics to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survey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math and other subject teachers all agreed that the roles of future school libraries in undertaking library-assisted classes should be emphasized. Second, math and korean subjects showed a difference in whether to conduct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and for the math subjects, there was less experience in using school libraries than korean subjects. Third, teachers who conducted the classes utilizing their school library responded that the greatest advantages of school library-assisted classes were the use of a wider range of materials and the use of the ample space, but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in terms of the collaboration with the librarians. Fourth, most of the school library-assisted classes were either conducted by subject teachers on their own using the library, or by asking librarians for materials on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ormulate classes in which both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organize, implement, and evaluate classes together. Fifth, math teachers showed negative perceptions compared to teachers in korean subjects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ncouraging interest, and developing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library-assisted classes, accompanied by activities such as training, scholarship, and observation of open classes related to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If the classe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subjects and school libraries are more active in the future through multifaceted research, steady efforts, and active participation by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se classes would lay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ce human resources, and that school libraries will be able to join the meaningful changes in school education.

      • 로봇활용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애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vide effective robot education for full social integration. Robot utilization education positively changed in the preceding researches such as attention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 and change of desirable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obotic application program, and th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robotic application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detail, I examined the effect of subordinate technologies which constitute self-determination power, such as planning skills, performance skills, and evaluation skills. The effects of the self-determination power using the robot application program are as follows. Firstly, the robot utiliz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lanning skill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 A felt a lot of trouble in organizing his own play activities. Thus, pre-test results gave low scores on self-directed activities. However, as the program progressed, I becam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so I showed myself how to plan the direction of the robot itself or to be self-directed while developing activities using the robot. Student B showed great interest in activity log after finishing activities in robot application program, and student C showed great interest in robot itself and steadily increased the behaviors of touching robot or visual demonstration according to task. In the self-determination observation checklist, the number of target behaviors increased from 5.33 times in one session to 18.66 times in 9 ses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technology,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the students and to use various mean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Secondly, the robot utiliz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elf-determination observation checklist analysis, the execution technique show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6 times per session showed a high rate of increase over time. In the 9th session, the average frequency of occurrence was 18.66 times more than 3 times. In the pre-and post-test, the average pre-test score increased from 7.66 to 15.00 post-test. The students who showed a very passive appearance in the execution technique showed an interest in the robot and turned into an aggressive appearance by trying to move the robot several times. Thirdly, the robot utiliz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technique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valuation The pre-and post-test scores of technical evaluation increased from 6.00 on average to 13.66 on post-test by 7.00. The results of the self-determination observation checklist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of 9 sessions was 8.66 times twice as much as the average of 3.33 sessions per session. Robot utilization program After the program activity, the students self-check and self-assess the time to learn their strengths and make up for their weaknesses and gradually tried to solve the given activities themselves. Interest in the program showed an Fourthly,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obot utilization program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planning skill, performance skill, and evaluation skill. Although it differ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and environment, it is different according to program contents and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individual approach according to personal intellectual level and degree of disability when constructing a robot utilization program. Robot utiliz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ducational significance is that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posi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삶의 질 향상과 완전한 사회통합을 위한 효율적인 로봇활용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로봇활용교육은 선행연구에서 장애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 문제행동 개선, 바람직한 행동 변화 등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한 로봇활용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경도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로봇활용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세부사항으로는 자기결정력을 구성하는 하위 기술인 계획하기, 실행하기, 평가하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로봇활용프로그램을 적용한 자기결정력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활용 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계획하기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생A는 자기주도적인 놀이 활동을 구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사전검사결과에서도 자기주도적인 활동에 낮은 점수를 주었지만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활동에 흥미를 느끼면서 스스로 로봇의 진행방향을 계획하거나 로봇을 이용한 활동을 개발하면서 자기주도적으로 활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B는 로봇 활용 프로그램 중 활동을 끝낸 후 적는 활동일지에 큰 관심을 보이며 자신의 다이어리에 로봇활용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날짜를 표시하고 명령어 카드의 그림을 그려 표시하는 듯 종이에 무언가를 끄적이는 행동이 늘었다. 학생C는 로봇 자체에 큰 흥미를 보이며 과제에 맞게 로봇을 만지거나 시각적 시연을 하는 행동이 회기를 거듭할수록 증가하였고, 첫 과제 목표 실패시 다시 도전하는 모습도 보였다. 자기결정력 관찰체크리스트에서 계획하기 기술의 목표행동 발생빈도를 보면 1회기 평균 5.33회에서 9회기 평균 18.66회로 3배 이상 목표행동 수가 증가하였다. 로봇활용 프로그램 설계 시 계획하기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학생들의 특성과 관심 분야, 선호하는 활동을 반영하여야 하며,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로봇활용 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실행하기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너무 쉬운 과제나 너무 어려운 과제는 경도지적장애학생의 학습무력감을 높이므로 학생들의 특성을 살리고 수준을 달리하여 활동목표를 선정하였다. 자기결정력 관찰체크리스트 분석에서 1회기 평균 6회의 발생빈도수를 보이던 실행하기 기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높은 상승률을 보여 9회기에서는 평균 18.66회로 3배가 넘는 발생빈도수를 나타냈다. 사전‧사후 검사에서는 사전검사 평균 5.33점에서 사후검사 평균 15.00점으로 2배 가량 상승하였다. 실행하기 기술에 있어서 아주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던 학생들은 로봇에 관심을 보이며 로봇을 움직이게 하려고 여러 차례 시도하는 과정을 통해 활동에 있어서 적극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로봇활용 프로그램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평가하기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평가하기 기술 사전‧사후 검사 결과 사전검사 평균 7.33점에서 사후검사 평균 14.00점으로 6.66점 상승하였으며 자기결정력 관찰체크리스트 분석 결과 1회기 평균 3.33회에서 9회기 평균 8.66회로 약 2배정도 상승하였다. 다른 하위기술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인 이유는 평가하기 기술은 예상했던 성과와 성취결과를 비교하고 성공에 대한 인식과 환경과의 반응을 점검하며 필요시 전략을 조정하는 요소들이 포함되는 인지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로봇활용 프로그램 활동 종료 후 스스로 자기점검, 자기평가하는 시간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장점을 알고 약점을 보완하며 점차적으로 주어진 활동을 스스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였고, 프로그램에 흥미를 보이면서 적극적인 참여율을 보였다. 넷째, 로봇활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학생들은 계획하기 기술, 수행하기 기술, 평가하기 기술에서 개인 간 차이를 보였다. 자신의 성격이나 처해진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으나 프로그램 내용 및 수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으므로 로봇활용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는 개인적 지적 수준, 장애정도에 따른 개별적 접근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로봇을 활용한 로봇활용프로그램은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향상에 효과가 있고, 자기결정력 향상은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되는 다문화 그림책 내용 분석 및 활용실태조사

        윤상미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urveyed the utilization status. For this purpose, I review and analyze the outline of character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 that will be produced in the futu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is activated. It is aimed at helping to create a healthy imag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The following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research purpose. 1. What is the content analysis in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1-1) What is the external condition of the person in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the type of person and the type of interaction between the others? 1-2) What is the genre typ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What is the actual us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hen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take pla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which conducted 50 case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6 and surveys of actual situation of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tool of this research used in this study wa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reviewed and revi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ool of this research used to analyze the external condition of a person in the picture book, the character typ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others is the tool used by Kim, Yul-hee(2013) to analyze the minority image in the picture book. Chang Hye-mi(2008) and Kang sun-woo also used this tool in their studies. The analysis tool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 was used in this study as it was used in the study of Iran(2015) by Kim Min-jin(2011). The research tools tha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ere also used in this study by Kim, Sook-Ja and Park Se-young(2011). 10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elected, and the researchers visited the institutions directly, received questionnaire data and interviewed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the above procedure,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icture book show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the frequency as an Excel program. The frequency of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on the use of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 utiliz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analyzed by SPSS 23.0 program.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described i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section based on the recorded fi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s in the multi - cultural picture books us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mostly male and most of them had names. The age of the characters was mostly described as infants and adults, and the occupations of the characters were mainly occupied by foreign workers, housewives, and farmers. There were many character types and main characters and flat figures. The interaction between person and others was positive, and the type of interaction that accepted and recognized was high. Secon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living fairy tales and fantasy fairy tales. Th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as evenly distributed. Thir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Multicultural picture books, picture materials, real materials and internet materials were us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Teachers recognized that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mainly selected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to daily work topics, development and interest of children and their needs, a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Teachers said that children were interested in greetings, cultures, lifestyles, hand signs, and pictograms of the world through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e course of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felt limitations in the course of teaching due to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awareness of teachers about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for teacher education and systematic teaching activity data dissemin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necessar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as a single curriculum for education policy so that it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in the field.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되는 다문화 그림책 내용분석 및 활용실태조사를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외형과 다문화 교육내용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제작 될 다문화 그림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을 활성화시켜 유아의 다문화 인식 발달 과정에 건강한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 그림책에 나타난 내용 분석은 어떠한가? 1-1) 다문화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외적 조건과 인물 유형 및 타자 간의 상호작용 유형은 어떠한가? 1-2) 다문화 그림책의 장르유형과 다문화 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때 다문화 그림책 활용 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05년~2016년 사이에 출판된 다문화 그림책 50권과 다문화 그림책 활용 실태조사를 실시한 서울, 경기,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10기관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연구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도구로서 지도 교수의 검토를 받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였다.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외적조건, 인물유형, 타자간의 상호작용을 분석을 위해 사용한 연구도구는 김율희(2013)가 그림책에 나타난 소수자 이미지를 분석할 때 사용했던 도구로 장혜미(2008)와 강선우(2008)의 연구에서도 사용된 도구였다. 다문화 그림책 장르 유형 분석도구는 이란주(2015)의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던 김민진(2011)의 다문화 그림책 장르 분석준거를 본 연구에서도 그대로 사용하였다. 다문화 그림책의 교육내용을 분석한 연구도구는 김숙자·박세영(2011)연구에서 김영옥(2007)의 연구를 발판으로 구성한 도구를 본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자료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다문화 교육활동을 연구한 박혜경(2012), 진예슬(2015)의 연구도구와 박순주(2016), 권오원(2010)의 연구에서 그림책 활용 설문자료를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 맞게 제작하였다. 또, 유아교육기관 10기관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방문하여 설문자료를 받고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위의 절차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그림책의 내용 분석은 엑셀(Excel)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빈도에 따른 결과 값을 나타냈고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다문화 그림책 활용실태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빈도 분석하였다. 교사와의 인터뷰 내용은 녹음 파일을 토대로 연구 결과 및 논의 부분에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되는 다문화 그림책에 나타난 인물의 성(性)은 남성이 많았고 대부분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인물의 연령은 유아와 성인이 많이 묘사되어 있었고 인물의 직업은 주로 ‘외국인 노동자’, ‘주부’, ‘농부’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에 다양한 직업은 나타나 있지 않았다. 인물유형은 주인공과 평면적 인물이 많았고 인물과 타자간의 상호작용은 긍정적이며 수용하고 인정하는 상호작용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그림책은 생활동화와 환상동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문화 그림책에서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다문화 교육 활동을 계획하여 실시하였고 다문화 교육 활동에서 다문화 그림책, 그림 자료, 실물자료, 인터넷 자료가 많이 활용되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그림책은 주로 일과 주제와의 연관성이나 영유아의 발달 및 흥미, 요구에 따라 선정되고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유아들이 다문화 그림책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의 인사말, 문화, 생활양식, 핸드사인, 픽토그램(그림문자)등에 흥미를 보였다고 하였다. 이러한 다문화 교육을 진행할 때 교사들은 다문화에 대한 교사인식과 배경지식부족으로 수업을 진행할 때 한계를 느꼈고 부족한 교수 활동 자료로 수업을 진행할 때 더욱 어려워하였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사항으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교육과 체계적인 교수활동자료 보급이 필요하고 교육 정책적으로 다문화 교육을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교사들은 이야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